KR19990002993U - 자동차용 도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993U
KR19990002993U KR2019970016585U KR19970016585U KR19990002993U KR 19990002993 U KR19990002993 U KR 19990002993U KR 2019970016585 U KR2019970016585 U KR 2019970016585U KR 19970016585 U KR19970016585 U KR 19970016585U KR 19990002993 U KR19990002993 U KR 199900029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ner panel
panel
impact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규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6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2993U/ko
Publication of KR199900029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993U/ko

Links

Landscapes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측방향으로 충돌하였을 때에 발생되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는 아우터패널(4)과 이너패널(6)이 도어글래스(2)를 감싸고 있으며, 이너패널(6)의 외측에는 도어트림(100)이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용 도어에 있어서, 이너패널(6)과 도어트림(100)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에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쪽면은 이너패널(6)에 부착되고, 반대쪽면은 도어트림(100)에 면접되게 위치하며, 한쪽면과 반대쪽면을 이어주는 연결부는 이너패널(6)에 대해 수직위치보다 일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만큼 기울어져 있는 형상을 가지는 충격흡수패널(120)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측방향으로 충돌하였을 때에 발생되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고속으로 주행할 때 안전사고시 운전자나 탑승객의 부상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각종 충격방지수단들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자동차가 정면이나 후방에서 충돌을 하였을 경우에는 자동차의 전방이나 후방에 장착되는 범버어세이 및 임펙트빔 등이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충격으로 운전자나 탑승자가 앞으로 튕겨 나가 인스트루먼트패널이나 글래스에 부딪쳐 부상당하지 않도록 조향핸들과 운전석의 사이에 또는 인스트루먼트패널과 보조석의 사이에 에어백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자동차의 측면으로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자동차의 도어가 어느정도의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차량에 따라서는 도어의 내측이나 루프상에 제공되는 에어백 시스템이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방지하게 된다.
이제, 도 1을 참고하여 어느 정도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설계된 도어의 구성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자동차의 도어는 아우터패널(4)과 이너패널(6)이 레귤레이터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승강운동을 하는 도어글래스(2)를 감싸고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아우트패널(4)의 내측에는 종방향으로 중공의 임펙트빔(8)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임펙트빔(8)은 측방향에로 가해지는 충격을 일차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너패널(6)의 외측에는 도어트림(10)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도어트림(10)과 이너패널(6)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는 에너지흡수재(12)가 개재되어 있다. 이 에너지흡수재(12)는 측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충분한 충격흡수력을 가져야 함이 요구되며, 따라서 충분한 부피를 갖는 스티로폼 등이 사용되고 있다.
즉, 자동차가 측방향으로 충격을 받으면, 먼저 일차적으로 임펙트빔(8)이 충격을 흡수하고, 이차적으로 에너지흡수재(12)가 잔류의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에게 미치는 충격을 감소시켰다. 물론, 아우트패널(4)과 이너패널(6) 그리고 도어트림(10)은 자체적으로도 어느정도의 충격을 흡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에너지흡수재(12)는 자동차가 측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부피가 큰 스티로폼 등이 사용되기 때문에 이에 따르는 가격의 상승은 물론, 에너지흡수재(12)를 설치하는 설치공간이 커지면서 도어의 내측이 승객룸내로 들어와 상대적으로 탑승객의 실내 공간이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격이 저렴하고, 설치공간은 적게 차지하면서도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 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도어글래스 4: 아우트패널
6: 이너패널 8: 임펙트빔
100: 도어트림 120: 충격흡수패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는 아우터패널과 이너패널이 도어글래스를 감싸고 있으며, 이너패널의 외측에는 도어트림이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용 도어에 있어서, 이너패널과 도어트림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에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쪽면은 이너패널에 부착되고, 반대쪽면은 도어트림에 면접되게 위치하며, 한쪽면과 반대쪽면을 이어주는 연결부는 이너패널에 대해 수직위치보다 일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만큼 기울어져 있는 형상을 가지는 충격흡수패널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는 아우터패널(4)과 이너패널(6)이 도어글래스(2)를 감싸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아우트패널(4)의 내측에는 종방향으로 중공의 임펙트빔(8)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임펙트빔(8)은 측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일차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너패널(6)의 외측에는 도어트림(100)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도어트림(100)과 이너패널(6)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는 충격흡수패널(120)이 개재되어 있다.
이 충격흡수패널(120)의 형상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한 쪽면은 이너패널(6)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고, 반대쪽면은 도어트림(100)에 면접되게 위치하며, 한쪽면과 반대쪽면을 이어주는 연결부는 이너패널(6)에 대해 수직위치보다 일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α°) 만큼 기울어져 있다.
이와 같은 충격흡수패널(120)의 형상은 반드시 “ ㄷ”자 형상이 아니더라도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벨로우즈 타입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측방향에서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이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에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면 그 형상은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물론, 충격흡수패널(120)은 충격을 받았을 때에 꺽여지기는 하지만 파괴되지는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는 철판 등을 사용한다.
지금부터는, 자동차의 측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되어 승객에게 전달되는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의 측면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은 일차적으로 임펙트빔(8)에 흡수되고, 잔류의 충격은 이차적으로 충격흡수패널(120)이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축되면서 흡수하게 되어 승객에게 미치는 충격을 감소시키게 된다. 물론, 아우트패널(4)과 이너패널(6) 그리고 도어트림(100)도 자체적으로 어느정도의 충격을 흡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는 이너패널과 도어트림의 사이에 종래의 에어지흡수재보다 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충격흡수패널을 구비하여 에너지흡수재에 비해 가격을 절감시키고, 아울러서 설치공간이 작아지기 때문에 이에 따른 도어의 폭이 작아지며, 상대적으로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아우터패널(4)과 이너패널(6)이 도어글래스(2)를 감싸고 있으며, 이너패널(6)의 외측에는 도어트림(100)이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이너패널(6)과 도어트림(100)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에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쪽면은 이너패널(6)에 부착되고, 반대쪽면은 도어트림(100)에 면접되게 위치하며, 한쪽면과 반대쪽면을 이어주는 연결부는 이너패널(6)에 대해 수직위치보다 일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만큼 기울어져 있는 형상을 가지는 충격흡수패널(120)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2. 아우터패널(4)과 이너패널(6)이 도어글래스(2)를 감싸고 있으며, 이너패널(6)의 외측에는 도어트림(100)이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이너패널(6)과 도어트림(100)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에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쪽면은 이너패널(6)에 부착되고, 반대쪽면은 도어트림(100)에 면접되게 위치하며, 한쪽면과 반대쪽면을 이어주는 연결부는 벨로우즈 타입의 형상을 가지는 충격흡수패널(120)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KR2019970016585U 1997-06-30 1997-06-30 자동차용 도어 KR199900029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585U KR19990002993U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585U KR19990002993U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993U true KR19990002993U (ko) 1999-01-25

Family

ID=69686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585U KR19990002993U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299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4668B1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 흡수장치
KR19990002993U (ko) 자동차용 도어
KR100195498B1 (ko) 충격 흡수 구조를 갖는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KR100369001B1 (ko) 자동차의 범퍼
KR19980043327A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 흡수장치
KR0139596Y1 (ko) 자동차의 후방 충격 흡수 구조
KR100193664B1 (ko) 자동차용 범퍼
KR960005104Y1 (ko) 자동차 임팩트비임의 충격완화용 탄성부재
KR200147650Y1 (ko) 자동차용 리어범퍼
KR0149336B1 (ko) 자동차용 충격 흡수장치
KR100232472B1 (ko) 자동차용 범퍼 장착구조
KR013905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측면 충격 흡수 구조
KR0117537Y1 (ko) 자동차의 충격흡수용 패딩을 갖는 측면도어의 강성보강용 바아
KR0140207Y1 (ko) 차량용 범퍼의 충격흡수구조
KR19980021229U (ko) 프레임 장착 차량의 정면 충격 흡수 구조
KR19980039405U (ko) 완충 구조를 갖는 범퍼
KR19980051348U (ko) 자동차 범퍼의 보강구조
KR19980044378U (ko)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자동차용 범퍼
KR19980054111U (ko) 자동차의 후방범퍼 구조
KR20030024979A (ko) 자동차의 범퍼
KR19980036976U (ko) 차량용 프런트 필러 구조
KR19980021212U (ko) 자동차의 정면 충격 흡수 구조
KR19980047846U (ko) 자동차의 측면충격 흡수구조
KR19990031808A (ko) 자동차의 펜더에이프런 어퍼멤버구조
KR19980026457U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