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975U - 이중 모드(dual-mode) 전압 제어 발진기 - Google Patents

이중 모드(dual-mode) 전압 제어 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975U
KR19990002975U KR2019970016567U KR19970016567U KR19990002975U KR 19990002975 U KR19990002975 U KR 19990002975U KR 2019970016567 U KR2019970016567 U KR 2019970016567U KR 19970016567 U KR19970016567 U KR 19970016567U KR 19990002975 U KR19990002975 U KR 199900029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controlled oscillator
resonant frequency
dual
voltage cont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환
Original Assignee
조희재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재,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희재
Priority to KR2019970016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2975U/ko
Publication of KR199900029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975U/ko

Links

Landscapes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호 병렬로 연결된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소자값에 의해 공진 주파수가 결정되는 전압 제어 발진기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와 직렬로 연결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교류 제어 전압에 따라 자체 커패시턴스가 가변되어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바렉터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이중 모드(dual-mode) 전압 제어 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제어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가변되어 서로 다른 2개 모드의 사용 주파수를 각각 발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2개 모드의 단말기에 모두 사용될 수 있고, 아울러 서로 다른 2개 모드의 통합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 모드(dual-mode) 전압 제어 발진기
본 고안은 이중 모드(dual-mode) 전압 제어 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제어에 따라 서로 다른 2개 모드(CDMA, PCS …)의 사용 주파수를 각각 발진시킬 수 있는 이중 모드 전압 제어 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전압 제어 발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필터부(10)와 공진부(20)와 발진부(30)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공진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0)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와 연결된 바렉터 다이오드(VD1)와, 상기 필터부(10)와 바렉터 다이오드(VD1) 사이에 일단이 연결된 제 1 커패시터(C1)와, 상기 제 1 커패시터(C1)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와 연결된 인덕터(L1)와, 상기 인덕터(L1)와 상호 병렬로 연결된 제 2 커패시터(C2)와, 상기 제 1 커패시터(C1)와 인덕터(L1) 사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발진부(30)와 연결된 제 3 커패시터(C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상호 병렬로 연결된 인덕터(L1)와 제 2 커패시터(C2)의 소자값은 전압 제어 발진기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원하는 공진 주파수를 발진시키기 위한 각각의 소자값이 결정된다.
[수학식 1]
(단, f: 공진 주파수 L: 인덕터의 인덕턴스 C: 제 2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상기와 같이 상호 병렬로 연결된 인덕터(L1)와 제 2 커패시터(C2)의 소자값으로 공진 주파수(센터 주파수)를 맞추고, 외부에서 튜닝 전압(Vt)을 인가하여 바렉터 다이오드(VD1)의 커패시턴스를 적절하게 가변시키면 해당되는 1개 모드의 사용 주파수(OUT)를 정확하게 발진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바렉터 다이오드의 커패시턴스를 변화시켜 발진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는 범위 즉, 가변 범위가 100MHz 미만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전압 제어 발진기는 자신에게 해당되는 1개 모드의 사용 주파수밖에 발진시킬 수 없었고, 그로 인해 사용 주파수대가 다른 모드의 단말기에는 각각의 사용 주파수 대역에 적합한 전압 제어 발진기가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CDMA 모드의 사용 주파수인 800MHz 와 PCS 모드의 사용 주파수인 1.8GHz 사이에는 1GHz 의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바렉터 다이오드에 의한 미세 조정만으로는 800MHz 와 1.8GHz 를 모두 발진시킬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의 제어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서로 다른 2개 모드의 사용 주파수를 모두 발진시킬 수 있는 이중 모드 전압 제어 발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압 제어 발진기의 간략화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진부의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드 전압 제어 발진기의 공진부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공진부
L1: 인덕터 C2: 제 2 커패시터
VD2: 제 2 바렉터 다이오드 VDC: 교류 제어 전압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이중 모드 전압 제어 발진기는 상호 병렬로 연결된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소자값에 의해 공진 주파수가 결정되는 전압 제어 발진기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와 직렬로 연결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교류 제어 전압에 따라 자체 커패시턴스가 가변되어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바렉터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는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호로 기재하였고, 각각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였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드 전압 제어 발진기는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크게 필터부와 공진부와 발진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와 발진부는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공진부는 종래 기술과 달리 외부에서 인가되는 교류 제어 전압에 따라 자체 커패시턴스가 가변되어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바렉터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부(120)는 필터부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와 연결된 제 1 바렉터 다이오드(VD1)와, 상기 필터부와 제 1 바렉터 다이오드(VD1) 사이에 일단이 연결된 제 1 커패시터(C1)와, 상기 제 1 커패시터(C1)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와 연결된 인덕터(L1)와, 상기 인덕터(L1)와 상호 병렬로 연결된 제 2 커패시터(C2)와, 상기 제 2 커패시터(C2)의 타단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교류 제어 전압(VDC)에 따라 자체 커패시턴스가 가변되는 제 2 바렉터 다이오드(VD2)와, 상기 제 1 커패시터(C1)와 제 2 커패시터(C2) 사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발진부에 연결된 제 3 커패시터(C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 2 바렉터 다이오드(VD2)에는 역방향 전압이 인가되므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교류 제어 전압량과 자체 커패시턴스의 가변량은 반비례한다.
상기와 같이 제 2 커패시터(C2)와 제 2 바렉터 다이오드(VD2)가 상호 직렬로 연결되면 제 2 커패시터(C2)와 제 2 바렉터 다이오드(VD2)의 합성 커패시턴스가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게 되고, 상기 합성 커패시턴스는 아래 수학식 2에 따라 구할 수 있다.
[수학식 2]
(단, C: 합성 커패시턴스 C1: 제 2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C2: 바렉터 다이오드의 커패시턴스)
예를 들어, 인덕터(L1)의 인덕턴스가 3nH 이고 교류 제어 전압(VDC)에 의해 제 2 커패시터(C2)와 제 2 바렉터 다이오드(VD2)의 합성 커패시턴스가 2.5pF 으로 조정되면 상기 수학식 1 의 공식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약 1.84GHz 로 맞추어 지고, 합성 커패시턴스가 12pF 으로 조정되면 공진 주파수가 약 840MHz 로 맞추어 진다.
따라서, 800MHz 주파수대를 사용하는 CDMA 단말기와 1.8GHz 주파수대를 사용하는 PCS 단말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이중 모드 전압 제어 발진기는 외부 제어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가변되어 서로 다른 2개 모드의 사용 주파수를 각각 발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2개 모드의 단말기에 모두 사용될 수 있고, 아울러 서로 다른 2개 모드의 통합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호 병렬로 연결된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소자값에 의해 공진 주파수가 결정되는 전압 제어 발진기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와 직렬로 연결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교류 제어 전압에 따라 자체 커패시턴스가 가변되어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바렉터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드(dual-mode) 전압 제어 발진기.
KR2019970016567U 1997-06-30 1997-06-30 이중 모드(dual-mode) 전압 제어 발진기 KR199900029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567U KR19990002975U (ko) 1997-06-30 1997-06-30 이중 모드(dual-mode) 전압 제어 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567U KR19990002975U (ko) 1997-06-30 1997-06-30 이중 모드(dual-mode) 전압 제어 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975U true KR19990002975U (ko) 1999-01-25

Family

ID=69686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567U KR19990002975U (ko) 1997-06-30 1997-06-30 이중 모드(dual-mode) 전압 제어 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297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062A (ko) * 1997-07-31 1999-02-25 윤종용 캐패시턴스 제어에 의한 발진회로
KR100408118B1 (ko) * 2000-06-13 2003-12-03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압제어발진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062A (ko) * 1997-07-31 1999-02-25 윤종용 캐패시턴스 제어에 의한 발진회로
KR100408118B1 (ko) * 2000-06-13 2003-12-03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압제어발진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0279A (en) VCO having adjustment for fluctuations in relation between control voltage and output frequency
US5539359A (e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having voltage-sensitive capacitor with bias supply circuit
KR0153379B1 (ko) 디지탈 무선통신시스템의 업/다운컨버터용 전압제어발진기
JP3923285B2 (ja) 水晶発振器
KR20000076672A (ko) 발진기 및 전압 제어형 발진기
JPH0927716A (ja) 電圧制御発振器
KR20060091507A (ko) 병렬구조의 스위치드 가변 인덕터 회로
JP2003332842A (ja) 発振器
KR19990002975U (ko) 이중 모드(dual-mode) 전압 제어 발진기
CN114726316A (zh) 一种倍频带低相噪的压控振荡器及信号发生装置
KR20080029680A (ko) 이중 대역 발진기 및 이를 이용한 주파수 합성기
KR20010110468A (ko) 스위칭된 인덕터를 사용하는 다중 밴드 오실레이터
GB2376361A (e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KR100864800B1 (ko) 전압제어 발진기 및 그를 갖는 위상 고정 발진기
JPH03131104A (ja) 電圧制御発振器
KR100301167B1 (ko) 전압제어 발진기
KR100285307B1 (ko) 동축공진기를이용한lc발진회로를구비하는전압제어발진기
KR900002652Y1 (ko) 고주파 발진기
JPH10261918A (ja) 電圧制御発振回路
US3237135A (en) Bridge circuit arrangement employing voltage controlled capacitance for corrective frequency regulation
KR19990005088U (ko) 다중모드 전압제어발진기
KR100406357B1 (ko) 휴대폰의 광대역 전압제어발진회로
KR100264836B1 (ko) 업-다운 변환기를 이용한 발진기의 온도보정방법
JPS6016704A (ja) Rfモジユレ−タ用発振回路
KR0137035Y1 (ko) 발진기 안정화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