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626U - Cabin compartment for spare tire of car - Google Patents

Cabin compartment for spare tire of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626U
KR19990002626U KR2019970016202U KR19970016202U KR19990002626U KR 19990002626 U KR19990002626 U KR 19990002626U KR 2019970016202 U KR2019970016202 U KR 2019970016202U KR 19970016202 U KR19970016202 U KR 19970016202U KR 19990002626 U KR19990002626 U KR 199900026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spare tire
article
item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20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6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2626U/en
Publication of KR199900026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626U/en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수납용 함실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트렁크 룸에 여러 가지 물품이 수납된 후, 일정시간이 지나게 되면 상기한 물품 들이 트렁크 룸에서 유동되면서 서로 섞이게 되어 필요한 물품을 찾을 경우, 신속하게 찾지 못하게 되며, 특히 깨지기 쉬운 물품은 파손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rtment for accommodating a spare tire of a vehicle, and in the related art, after various items are stored in a trunk room, when a predetermined time passes, the above items flow in the trunk room and are mixed with each other to find a necessary articl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find quickly, especially fragile items are broken.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 패널(100)에 형성되어 있는 함실(110)에 스페어 타이어(200)가 수납된 후, 스페어 타이어(200)와 함실(11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수납구(300)를 형성하되, 수납구(300)의 상면에는 여러 가지 물품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310)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공간에 수납구(30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다음, 수납구(3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310)에 차량 정비용 공구나 청소용 물품 또는 파손되기 쉬운 물품을 수납함에 따라 물품의 보관 및 정리가 용이하고 물품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pare tire 200 is accommodated in the compartment 110 formed in the rear floor panel 100 of the automobile, the storage opening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spare tire 200 and the compartment 110. While forming the 300,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 300 is formed by inserting the groove 310 so that a variety of articles can be inserted, by inserting and fixing the storage port 300 in the space, and then of the storage port 300 By storing the vehicle maintenance tool or cleaning article or a fragile article in the insertion groove 31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t is a useful design that can easily store and organize the article and effectively prevent the article from being damaged.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수납용 함실Cabin compartment for spare tire of 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를 보관하기 위하여 트렁크 룸에 형성되어 있는 함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상기 함실에 스페어 타이어가 수납된 후, 남는 공간을 이용하여 차량 정비용 공구나 파손되기 쉬운 물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물품의 보관 및 정돈을 용이하게 하고 물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수납용 함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rtment formed in a trunk room for storing spare tires of a vehicle. More specifically, after the spare tire is stored in the compartment, a tool for maintenance of a vehicle or an article which is easily damaged by using a remaining space It is to provide a spare tire storage compartment of the vehicle to facilitate the storage and ordering of the article and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article so that it can be stored.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구성 부분을 크게 나누면 섀시와 바디로 나누어지는데, 섀시는 자동차의 차체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서 자동차를 주행시키는데 필요한 장치가 조합된 것이다.In general, a car is divided into two parts, a chassis and a body. The chassis is a part other than the body part of a car, which is a combination of devices necessary to drive a car.

즉, 자동차의 골격에 해당하는 섀시 프레임에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주행상태에 알맞도록 변화시켜 구동바퀴에 전달하는 동력발생장치,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한 조향장치, 주행중 자동차를 감속, 정지 또는 정차중 비탈길에서 정지를 위한 제동장치, 주행중 노면으로 부터의 진동, 충격 등을 완화하기 위한 현가장치 및 조향 휠 등의 주행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That is, a power generating device that transfers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gine to the driving wheel in a chassis frame corresponding to the skeleton of the car and transmits it to the driving wheel, a steering device for arbitrarily chang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decelerating, stopping or Braking devices for stopping on slopes during stops, suspension devices for mitigating vibrations and shocks from road surfaces during driving, and traveling devices such as steering wheels are installed.

그리고 상기 바디는 사람이 타는 부분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이는 외부 구성 부분, 내부 구성 부분 및 내장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 구성 부분에는 자동차의 외부에서 보이는 부분으로 승용차에서는 승차원의 승차석을 위시하여 엔진이나 트렁크 등에 필요한 공간과 주행중에 맞는 외력에 대하여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고 있는 부분이다.And the body is a part constituting the riding part, which consists of an external component, an internal component and a built-in portion, the external component is a part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car in the passenger car, including a passenger-grade passenger seat It is the part that secures the necessary strength against the space required for driving, trunk, etc. and the external force suitable for driving.

또한 상기 내부 구성 부분은 자동차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이지만 상기 외부 구성 부분을 지지하여 바디 전체의 강도를 확보하고 있는 부분이며, 승용차에서는 외부 패널의 안쪽에 설치하는 각 패널로써, 루프 패널 및 플로어 패널과 함께 접합되며 바디의 골격이 되는 부분이다. 또 타이어의 부분에는 휠 하우스라는 패널이 접합되어 있고 연료 주입구 부위에는 연료 주입구 필러 패널이 접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ternal component is a part which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but is a part that secures the strength of the entire body by supporting the external component, and in a car, each panel installed inside the external panel, the roof panel and the floor panel It is joined together and becomes the skeleton of the body. A wheel house panel is joined to the tire portion, and a fuel inlet filler panel is joined to the fuel inlet.

그리고 상기 바디는 사람이 승, 하차하기 위한 도어나 엔진 점검을 위하여 여는 후드 및 트렁크 리드와 같이 개폐되는 부분을 제외한 외면 부분을 총칭하는 바디 셀, 앞 부분의 바디를 지칭하는 프론트 바디와 뒷 부분의 바디를 지칭하는 리어 바디, 그리고 바디 밑면인 언더 바디와 바디의 측면 부분인 사이드 바디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And the body is a body cell that generically refers to the outer part of the body except the opening and closing parts, such as a hood and trunk lid for a person to get on and off the door or the engine check, the front body and the rear part of the body It may be divided into a rear body, which refers to a body, and an under body, which is the bottom of the body, and a side body, which is a side part of the body.

또한 상기 언더 바디는 프론트 플로어 패널과 리어 플로어 패널로 나눌 수 있으며, 프론트 플로어 패널에는 시트 등이 설치되며, 리어 플로어 패널에는 트렁크 룸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nderbody can be divided into a front floor panel and a rear floor panel, seats are installed in the front floor panel, and a trunk room is formed in the rear floor panel.

즉, 도 1 은 언더 바디중 리어 플로어 패널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10)에는 함실(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는 스페어 타이어(20)가 수납되어 있어, 주행중 타이어에 이상이 생기거나 펑크가 났을 경우, 상기 스페어 타이어(20)로서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FIG. 1 illustrates a rear floor panel of an underbody, and a compartment 11 is formed in the rear floor panel 10, and spare tires 20 are stored in the rear floor panel 10. If it is produced or punctured, it can be replaced as the spare tire (20).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10)로서 구성되는 트렁크 룸에 여러 가지의 물품을 보관함에 있어서, 차량용 정비 공구나 전등 또는 청소용 물품 등이 트렁크 룸에 수납된 후, 일정시간이 지나게 되면 상기한 물품 들이 트렁크 룸에서 유동되면서 서로 섞이게 됨에 따라 필요한 물품을 찾을 경우, 신속하게 찾지 못하게 되므로 수시로 정리해야 되는 불편함과 깨지기 쉬운 물품 등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in storing various items in a trunk room constituted as the rear floor panel 10, the vehicle maintenance tools, lights or cleaning items, etc. are stored in the trunk room, and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passes, the above items As they flow in the trunk room, they are mixed with each other, and if they find the necessary items, they cannot find them quickly, so the inconvenience and fragile items that need to be cleaned up from time to time have been easily broken.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어 플로어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스페어 타이어 수납용 함실의 공간을 이용하여 정비공구나 청소용 도구 등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물품의 정돈은 물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물품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수납용 함실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using the space of the spare tire storage compartment formed in the rear floor panel to efficiently store the maintenance tools or cleaning tools, etc. Of cours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storage, and to provide a compartment for accommodating spare tires of a vehicle to prevent damage of goods as much as possible.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함실에 스페어 타이어가 수납된 후, 스페어 타이어와 함실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수납구를 형성하되, 수납구의 상면에는 여러 가지 물품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형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storage port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spare tire and the compartment after the spare tire is accommodated in the compartment formed in the rear floor panel of the vehicle, the various item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 It is achieved by forming an insertion groove that can be inserted.

이러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함실에 스페어 타이어가 수납된 후, 상기 함실과 스페어 타이어의 틈새에 수납구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다음 상기 수납구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여러 가지 형상의 삽입홈에 정비용 공구나 청소용 물품 또는 파손되기 쉬운 물품을 수납함에 따라 물품의 보관 및 정리가 용이하여 트렁크 룸을 보기 좋게 정리할 수 있으며, 물품을 찾을 경우에도 신속하게 찾을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pare tire is accommodated in the compartment formed in the rear floor panel of the vehicle, the insertion hole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compartment and the spare tire and fixed, and then inserted into a variety of shap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 By storing maintenance tools, cleaning items, or fragile items in the groove, it is easy to store and organize the items so that the luggage compartment can be easily arranged and can be found quickly even when the items are found. There is a number.

도 1 은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요부 분리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리어 플로어 패널 110 : 함실100: rear floor panel 110: compartment

200 : 스페어 타이어 300 : 수납구200: spare tire 300: storage port

310 : 삽입홈310: insertion groove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to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nd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2 는 본 고안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도로써,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 패널(100)에 형성되어 있는 함실(110)에 스페어 타이어(200)가 수납된 후, 스페어 타이어(200)와 함실(110) 사이의 공간부에 삽입될 수 있는 수납구(300)를 형성하되, 수납구(300)의 상면에는 여러 가지 물품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310)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at i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lan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artment 110 formed in the rear floor panel 100 of an automobile. After the spare tire 200 is accommodated, the storage tire 30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spare tire 200 and the compartment 110, but various item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opening 3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groove 310 is formed to be inserted.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 패널(100)에 형성된 함실(110)에 스페어 타이어(200)가 수납되는데, 이때 상기 스페어 타이어(200)가 함실(110)에 수납된 후, 스페어 타이어(200)와 함실(110)과의 틈새에 여러 가지 형상의 삽입홈(3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발포수지로 형성된 수납구(300)를 삽설하므로서 상기 수납구(300)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의 물품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pare tire 200 is accommodated in the compartment 110 formed in the rear floor panel 100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spare tire 200 is accommodated in the compartment 110, and then the spare tire ( The insertion groove 310 of various shapes is formed in the gap between the chamber 200 and the compartment 110, and by inserting the storage port 300 formed of foamed resin, various items are effectively stored using the storage port 300. You can do it.

즉, 트렁크 룸에는 차량을 정비할 때 사용되는 여러 가지의 공구나, 차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도구 및 비상용 전등 등이 수납되며, 이와 함께 운전자에 따라 여러 가지의 물품을 수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물품 들은 트렁크 룸에서 특별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트렁크 룸의 내부에서 물품 들이 서로 유동되면서 섞이게 되고 이에 따라 에 따라 운전자가 수시로 정리 정돈을 해야하며, 특히 깨지기 쉬운 물품 들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That is, the trunk room stores a variety of tools used to service the vehicle, a cleaning tool for cleaning the car, an emergency light, and the like, and various items are stored according to the driver. They are not specially fixed in the luggage compartment, so that the goods flow together in the luggage compartment and are mixed together, which requires the driver to organize them from time to time. In particular, fragile items are damaged.

따라서 본 고안은 스페어 타이어(200)가 리어 플로어 패널(100)의 함실(110)에 설치된 후, 남는 여유 공간에 수납구(300)를 설치하고 상기 수납구(3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여러 가지 형상의 삽입홈(310)에 각각의 물품을 종류별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물품의 정돈 및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수납구(300)의 재질이 발포수지로 형성되어 있어, 깨지기 쉬운 물품들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pare tire 200 is installed in the compartment 110 of the rear floor panel 100, the storage port 300 is installed in the remaining free space, and various shap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 300. Since each of the articles can be stored in the insertion groove 310 of the type to facilitate the ordering and use of the article, the material of the receiving opening 300 is formed of a foamed resin, to store the fragile items safely It can be.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 패널의 함실에 스페어 타이어가 설치된 후, 그 여유공간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구를 설치하고, 상기 수납구의 삽입홈에 트렁크에 수납되는 여러 가지의 물품의 수납하므로서, 물품의 정리 정돈이 용이하며 파손되기 쉬운 물품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pare tire is installed in the compartment of the rear floor panel of the vehicle, a storage opening having various shapes of insertion grooves is installed by using the free space, and the insertion groove of the storage opening is installed. By storing a variety of items to be stored in the trunk, it is a useful design that can easily organize the articles and can effectively protect the fragile items.

Claims (1)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 패널(100)에 형성되어 있는 함실(110)에 스페어 타이어(200)가 수납된 후, 스페어 타이어(200)와 함실(110) 사이의 공간부에 삽입될 수 있는 수납구(300)를 형성하되, 수납구(300)의 상면에는 여러 가지 물품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310)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수납용 함실.After the spare tire 200 is accommodated in the compartment 110 formed in the rear floor panel 100 of the vehicle, the storage opening 300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spare tire 200 and the compartment 110. To form, but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 300, the compartment for storing the spare tir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groove 310 is formed so that various articles can be inserted.
KR2019970016202U 1997-06-28 1997-06-28 Cabin compartment for spare tire of car KR1999000262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202U KR19990002626U (en) 1997-06-28 1997-06-28 Cabin compartment for spare tire of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202U KR19990002626U (en) 1997-06-28 1997-06-28 Cabin compartment for spare tire of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626U true KR19990002626U (en) 1999-01-25

Family

ID=69686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202U KR19990002626U (en) 1997-06-28 1997-06-28 Cabin compartment for spare tire of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2626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15134A (en) Storage compartment for car
US20230406414A1 (en) Front vehicle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a front vehicle module
US2647012A (en) Automotive vehicle luggage compartment and spare wheel carrier
EP1084942A1 (en) Rear floor forming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an automotive vehicle incorporating such a structure
KR19990002626U (en) Cabin compartment for spare tire of car
KR20220095274A (en) Roof box for vehicles
JP4239777B2 (en)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JP3363423B2 (en) Automotive trunk floorboard and its mounting structure
KR200363216Y1 (en) Multi box for vehicle
KR0145596B1 (en) Spare wheel fixing device for a vehicle
KR200204672Y1 (en) A rotatable partion of van
JPH066106U (en) Car luggage storage device
US20230382335A1 (en) Reconfigurable vehicle bumper ends
JPS6337302Y2 (en)
KR100365231B1 (en) A luggage block member of hatchback car
KR200169016Y1 (en) Preventive structure of a car trunk room
KR200194301Y1 (en) Impact absorbing structure
KR970005628Y1 (en) Spare tire mounting structure in jeep automobile
JP2023110423A (en) Spare tire mounting method
KR19980056800A (en) Car's trunk room mat
KR19980056509A (en) Spare tire carrier structure of wagon vehicle
KR19980042226U (en) Spare tire carrier for jeep with built-in toolbox
KR19980040730U (en) Tire mounting groove having pin for intrusion prevention of car
KR19980026221U (en) Floor covering structure of car trunk
KR19980031370U (en) Spare tire storage device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