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616A -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 - Google Patents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616A
KR19990002616A KR1019970026284A KR19970026284A KR19990002616A KR 19990002616 A KR19990002616 A KR 19990002616A KR 1019970026284 A KR1019970026284 A KR 1019970026284A KR 19970026284 A KR19970026284 A KR 19970026284A KR 19990002616 A KR19990002616 A KR 19990002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lider
fluorescent lamp
ceil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정희
Original Assignee
원정희
미미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정희, 미미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정희
Priority to KR1019970026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2616A/ko
Priority to KR1019980017934A priority patent/KR100318531B1/ko
Publication of KR19990002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616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매입형으로 설치되는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형광등이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형광등 기구를 천정에 설치할 때 독립된 형광등 기구를 이용하여 천정바에 시공하여야 함으로서 시공이 복잡하고 시공작업의 어려움을 피할수 없는 것이었으며, 한편으로는 지진등이 발생하여 건물이 흔들리는 등의 경우에는 형광등 기구와 천정바의 결합 부위가 견고하지 않아 형광등 기구가 천정바로부터 이탈되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피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할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서, 이는 형광등 기구를 이루고 있는 헹거장치의 슬라이더(15) 및 당김/복귀 수단 등을 중앙에 수용하는 받침판(11) 및 조립판(17)과, 이 받침판(11) 및 조립판(17) 사이에 조립되어져서 중앙의 스프링 수단(14)과 함께 수평적으로 당김/복귀 작용 할수 있도록 동작하는 슬라이더(15)와, 이 슬라이더(15)에 고정되어져서 이것을 코일 스프링의 압축력으로 외측에서 안쪽으로 당김 하거나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원위치 복귀할수 있도록한 스프링 수단(14) 등을 포함하는 구성의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
본 발명은 천정 매입형 형광등 기구의 내진 행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천정에 시설되고 있는 천정바에 형광등을 설치할 때 형광등 기구의 간단한 결착 시공과 분리가 용이하며, 한편으로는 구성이 간단하고 일단 고정된 형광등 기구는 내진에 견고히 견딜수 있는 고정 특성을 갖을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천정 매입형 형광등 기구를 천정에 설치할 때는 천정 매입형 형광등 기구를 천정에 걸어주는 앙카볼트등의 걸고리 보조수단으로 건축 시공시에 시설하거나, 또는 슬라브에 앙카볼트를 시설하고 이 앙카볼트에 등기구를 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단순한 등기구의 시설작업 보다 설비 보조수단에 시간과 수공이 많이 소요되었다.
또, 천정 매입형 형광등 기구의 또 다른 예로는 천정에 시설되어 있는 천정바에 등기구를 설치하는 유형도 알려져 있으나, 이 또한 등기구를 천정바에 걸어 고정시키는 간단하고 편리한 수단이 강구되어져 있지 않아 이러한 등기구의 시설공사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지진이 심한 지역등에서 건물이 지진에 영향을 받게되면 천정바에 고정된 등기구가 쉽게 이탈됨으로서 내진에 따른 신뢰성 있는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데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할수 있도록 본 출원인에 의한 선출원 발명에서는 천정바에 걸어주는 클립 및 행거장치 등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들은 등기구 본체의 앵글 양측에 클립을 결착시키어 등기구를 천정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천정바에 클립식으로 고정 결합될수 있도록 현가 시키면서 용이하게 원터치 해체할수 있고, 한편으로는 반사판 등을 형광등과 함께 수용할수 있도록 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선출원 발명의 클립수단은 단순히 등기구 본체의 앵글 양측에 클립을 결착 시키고 분리하는 단순한 기능을 갖는 것이어서 그 용도의 제약이 있는 것이었으며, 행거장치에 있어서는 천정바에 기판인 받침대를 원터치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슬라이더 당김/복귀 수단이 받침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되어져 있는 판스프링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반사판 자체가 등기구의 일부로서 부착 고정되는 경우에 이러한 장치의 경/박/단/소화 및 슬림화를 이루는데 제약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이러한 행거장치의 슬라이더 받침판으로 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더 당김/복귀 수단은 받침판으로 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배치된 스프링 안내봉과 코일 스프링으로 성취함으로서 이러한 행거장치의 슬림화와 기구적 단순화를 보장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형광등 자체를 고정하는 등기구가 천정바에 걸어주는 받침판과, 이 받침판에 나사 결합 등의 고정 수단으로 결합되어 천정의 I 자나 ㅁ자 단면의 천정바 하방이나 상부에서 선택적으로 물림 고정되는 걸이 수단을 갖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의 하방에서 결합되는 반사판과의 결합 구조만에 의하여 직접 천장에 고정되는 등기구가 형성되므로서 이러한 형광등 기구를 단순화 할수 있고 내진 특성이 양호한 형광등 기구를 제공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형광등 자체를 고정하는 등기구가 상기 슬라이더가 없이 단지 천정바에 걸어주는 받침판과, 이 받침판에 나사 결합 등의 고정 수단으로 결합되는 반사판과의 결합 구조만에 의하여 직접 천장에 고정되는 등기구가 형성되므로서 이러한 형광등 기구를 단순화 할수 있고 내진 특성이 양호한 형광등 기구를 제공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예의 목적을 실현할수 있도록 헹거장치의 슬라이더 및 당김/복귀 수단 등을 중앙에 수용하는 받침판 및 조립판과, 이 받침판 및 조립판 사이에 조립되어져서 중앙의 스프링 수단과 함께 수평적으로 당김/복귀 작용 할수 있도록 동작하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에 고정되어져서 이것을 코일 스프링의 압축력으로 외측에서 안쪽으로 당김 하거나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원위치 복귀할수 있도록한 스프링 안내봉 및 코일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구성의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좀더 상세히 설명하여 봄으로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특징들이 이해될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형광등 행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행거장치가 구비된 천정매입 형광등 기구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 -A선 의 확대 단면표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프링 수단을 또다르게 실시한 제 2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을 ㅁ 천정바에 설치한 상태의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등기구 본체 2. 소켓
3. 형광램프 4. 반사판
5. 체결수단
10. 행거장치 11. 받침판
13. 걸고리부 14. 스프링 수단
15. 슬라이더 16. 손잡이부
17. 조립판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10)의 분해 사시도로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헹거장치(10)의 슬라이더(15)들 및 당김/복귀 수단 등을 중앙에 수용하는 받침판(11) 및 조립판(17)과, 이 받침판(11) 및 조립판(17) 사이에 조립되어져서 중앙의 스프링 수단(14)과 함께 수평적으로 당김/복귀 작용 할수 있도록 동작하는 슬라이더(15)와, 이 슬라이더(15)에 고정되어져서 슬라이더(15)를 사용자 및 작업자의 수동작으로 코일 스프링을 압축 시킬 때 발생하는 코일 스프링의 압축력으로 슬라이더(15)들을 외측에서 안쪽으로 당김 하거나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원위치 복귀할수 있도록한 스프링 수단(14)등으로 이뤄져 있다.
상기 슬라이더(15)들은 제각기 바깥쪽으로 받침판(11) 외단에 형성시킨 절곡부(11d)와 면접하여 도 3과 같이 건물 시공시 미리 고정 설치되는 I 천정바(20) 또는 ㅁ 천정바(23)에 고정되거나 또는 분리되는 걸고리부(13)와 스프링 수단(14)을 고정하면서 손잡이를 형성하는 손잡이부(16)를 갖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15)를 안쪽으로 제각기 당김하고 원위치 복귀시키는 당김/복귀 수단의 스프링 수단(14)은 상기 슬라이더(15)의 손잡이부(16)에 형성된 안내봉 공(16a)을 통하여 일정 너비 위치되게 끼워지고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있어 너트(c)로 고정되고, 코일 스프링(b)은 스프링 안내봉(a)의 외주연에 끼워져 있다.
또, 상기 슬라이더(15)를 도면중 하부에서 감싸는 조립판(17)은 상기 슬라이더(15)의 손잡이부(16)가 관통될수 있도록한 손잡이홈부(17)가 중앙에 형성되어져 있고,상기 슬라이더(15) 등을 수용하면서 받침판(11)측과 결합되도록 형성되어져 있는 나사공(17a)과, 받침판(11)에 형성시킨 끼움공(11c)에 결합되는 돌출부(17c)들이 다수개 형성되어져 있다.
또, 상기 조립판(17)과 결합되는 받침판(11)에는 슬라이더(15)들의 걸고리부(13)와 대응하는 절곡부(11d)와 끼움공(11c), 나사공(11a)들이 제각기 구비되어져 있으며, 스프링 안내봉(14)을 겨냥한 부위에는 반사판 체결수단인 메인볼트(51)가 관통되는 볼트공(11d)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 상기 받침판(11)측의 볼트공(11d)에 설치되는 반사판(4)의 체결수단은 메인볼트(51)가 관통되었을 때 받침판(11)측에 메인볼트(51)를 고정하는 너트(51)와, 이 너트(51)의 다음단에 설치되어 반사판이 개입된 상태에서 반사판을 견고히 지지 고정하기 위한 와샤(53)와, 나비너트(54)등으로 이뤄져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행거장치(10)는 이것을 도 4와 같은 변형된 스프링 수단(141)을 갖는 또다른 행거장치(10A)로 구현할수 있다.
여기서의 스프링 수단(141)은 직경이 암놈관(e) 보다 큰 직경의 수놈관(d)과, 이 수놈관(d)의 내경에 끼워지는 암놈관(e)으로 이뤄져 있고, 상기 수놈관(d)과 암놈관(e)은 제각기의 단부 부근에서 상호 충첩된 상태로 연결되어져 있으며, 암놈관(e)의 중앙 내벽에는 코일 스프링(b)이 설치되는 스프링 고정봉(f)이 구비되어져 있다.
또,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형성된 또다른 행거장치(10B)로 구현할수 있다.
여기서는 받침판(11)의 양측 부위에는 슬라이더(15)의 걸고리부(13)가 각기 관통할수 있도록 구멍을 낸 걸고리 관통공(11e)이 형성되어져 있고, 슬라이더(15)는 받침판(11)상부에 얹어져서 결합되면서 손잡이부(16)는 상측을 향하여 배치되어져 있는 구성으로 이뤄져 있다.
또, 상기 스프링 수단(14,141)들은 도 7과 같이 변형된 스프링 수단(142)을 포함한 행거장치(10C)로 구성할수 있다.
여기서는 받침판(11) 중앙 부위에는 제각기 독립되게 코일 스프링(g,h) 들을 수용하는 스프링 안내봉(i,j)들을 일점에서 지지하는 고정편부(18a,18b)가 형성되어져 있고, 슬라이더는 제각기 2개의 좌/우 슬라이더(15a,15b)로 분할되어져 있는 것이 도 1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것이다.
또, 상기 행거장치(10)는 이것을 슬라이더 수단이 개입되지 않은 도 8 및 도 9와 같은 행거장치(10D,10E)들로 구성 할 수가 있다.
도 8의 행거장치(10D)는 I 천정바(20)에 얹어지는 받침판(11)과 반사판(4)을 상호 결합 시킬 때 중앙의 볼트(21)와 너트(22)에 의한 고정 수단만을 갖는 구성으로 할수도 있고, 또는 도 9의 행거장치(10E)는 ㅁ 천정바(23)의 일측에 개방된 절결홈측으로 걸고리편부(11e)가 진입되어 결합되는 걸고리편부(11e) 일측에 갖는 받침판(11)으로 변형된 것 외에는 도 8의 실시예와 전적으로 같은 구성이다.
또,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건물 시공시 고정 설치되며 하측에 천장 부재(26)를 부착하는 I 또는 ㅁ자형 천정바(20,23)의 간격이 너무 커서 형광등 기구의 거치가 어려울 경우에는 I 또는 ㅁ자형 천정바(20,23)들의 상측 또는 하측에 크로스바(25)를 설치하게 되며 이때 사용될수 있는 행거장치(10F)를 나타내었다.
상기 행거장치(10F)는 일측이 개구된 ㄷ자형 클립부(24a)와, 이 클립부(24a)의 하측편부와 반사판(4)까지 관통되어 결합되는 볼트(24b)와 너트(24c)로 이뤄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헹거장치(10)의 받침판(11)이 I 천정바(20)위에 놓여지게 거치한후 슬라이더(15)들 사이에 탄력 설치되고 있는 슬라이더(15)의 당김/복귀 수단을 이용하여 헹거장치(10)를 I 천정바(20)에 결합 고정 시킬수 있다.
이때는 조립판(17)의 손잡이홈부(17b)로 돌출 되어져 있는 손잡이부(16)를 손가락으로 잡은 후 바깥에서 안쪽으로 잡아 누르게 되면 스프링 안내봉(14)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12)이 압축되면서 슬라이더(15)들이 바깥에서 안쪽으로 직선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15) 외곽의 걸림부(13)는 받침판(11)의 절곡부(11d)와 이격되어 I 천정바(20)를 수용할수 있는 간격으로 벌어지며, 이후 I 천정바(20)가 이들 사이에 개입되었을 때 손가락을 놓으면 코일 스프링(12)은 복원력을 발생시키고 슬라이더(15)의 걸고리부(13) 단부는 받침판(11)의 절곡부(11d)측으로 전진하여 I 천정바(20)를 개입시킨 상태로 고정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행거장치를 일정간격 복수개 설치한후 도 2 및 도 3과 같이 소켓(2)이 설치된 반사판(4)을 도 1예의 체결수단(5)으로 고정하고 다시 소켓(2)에는 형광등(3)을 끼우게 되면 등기구가 완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행거장치(10)는 받침판(11)을 I 천정바(20)측에 안정된 상태로 간단히 설치 할수 있게 되는 것이여서, 이 받침판(11) 및 반사판(14)으로 이뤄지는 등기구를 천정에 설치할 때 그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여 설비공사의 능률을 극대화 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5)의 당김/복귀 수단은 수평 배치의 스프링 안내봉(14)과 코일 스프링(12)으로 이뤄져 있어 반사판(4)이 받침판(11)의 체결수단(5)으로 조립될 때 그 폭을 최소화 할수 있어 이러한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 할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슬라이더(15)의 걸고리부(13)는 하측에서 I 천정바(20)의 내측 돌부를 받쳐주고 상측 측변에서는 받침판(11)의 절곡부(11d)가 I 천정바(20)의 측변측을 받쳐주기 때문에 받침판(11) 등을 포함한 행거장치(10)가 I 천정바(20)에 견고히 붙어있게 되어 여하한 지진등에도 형광등(3)을 포함한 행거장치(10)가 I 천정바(20)로 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적극적으로 배제할수 있는 것이다.
또, 등기구를 I 천정바(20)에서 분리할때는 도 3과 같이 반사판(4)이 받침판(11)으로 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슬라이더(15)의 손잡이부(16)를 잡고 외측에서 안쪽으로 누르게 되면 스프링 안내봉(14)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12)이 압축되면서 슬라이더(15)들이 바깥에서 안쪽으로 직선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15) 외곽의 걸림부(13)는 받침판(11)의 절곡부(11d)와 이격되어 I 천정바(20)를 분리할수 있는 간격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받침판을 천정바로부터 분리할때도 그 용이성을 보장할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헹거장치(10)를 도 5와 같이 ㅁ 천정바(23)를 이용하여 고정 시킬때는 ㅁ 천정바(23)의 상측에 형성된 절결홈(23a)에 슬라이더(15)의 걸고리부(13)를 진입 시켜 고정하는 방법만 다를뿐 도 1에의 작용과 동일하다.
한편, 도 4와 같은 또다른 실시예의 행거장치(10A)는 수놈관(d) 및 암놈관(e)들이 잡이부(16)에 제각기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부(16)측을 제각기 내측으로 누르게 되면 암놈관(e)의 코일 고정봉(f)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b)은 압축 작용하면서 암놈관(e)이 수놈관(d)측으로 진입되면서 슬라이더를 당기게 되는 것이고, 손잡이부(16)를 놓게 되면 원상태로 복귀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 도 6과 같은 행거장치(10B)는 스프링 수단(14)이 받침판(11) 상부로 배치되어져 있다는 점외에는 전적으로 도 1의 실시예와 작용이 같은 것이다.
또, 도 7과 같은 또다른 실시예의 행거장치(10C)는 도 1예의 당김 복귀 수단의 변형예인 스프링 수단(142)이 받침판(11) 중앙의 고정편부(18a,18b) 들을 중심으로 스프링 안내봉(i,j)의 코일 스프링(g,h)들이 제각기 압축/복귀 작용을 하고 2개의 좌/우 슬라이더(15a,15b)가 동작한다는 점에서 도 1의 작용과 전적으로 동일하다.
또, 도 8 및 도 9와 같은 헹거장치(10D,10E)의 경우에는 슬라이더 수단이 존재하지 않고 단순히 받침판(11)과 반사판(4) 및 볼트(21)-너트(22) 수단으로 등기구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장치의 단순화와 작업의 용이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 10과 같은 행거장치(10F)의 경우에는 일측이 개구된 ㄷ자형 클립부(24a)의 개구부를 크로스바(25)에 거치한후 클립부(24a)의 하측편부와 반사판(4)까지 관통되어 결합되는 볼트(24b)에 반사판(4)을 조립하고 다시 너트(24c)로서 조이게 되면 간단한 행거장치를 완성할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헹거장치, 반사판, 형광등등으로 이뤄지는 등기구의 헹거장치가 천장의 천장바에 원터치 조립 및 분해식으로 간단히 설치 및 해체될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장치의 시공상의 단순화 및 작업의 용이성을 보장할수 있는 것이며, 한편으로는 행거장치의 두께를 현저히 줄일수 있어 이러한 등기구로 인한 설비상의 공간 제약 등을 탈피할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행거장치가 건물 시공시 고정되는 I 자 및 ㅁ형 단면을 갖는 천장바의 상/측/하면에서 감싸고 받쳐주면서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여하한 건물 진동에 견고히 정착되어 고정수단의 신뢰성도 양호히 확보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천장 매입형 형광등 기구 있어서, 상기 천장 매입형 형광등 기구를 구성하는 헹거장치(10)의 슬라이더(15)들 및 당김/복귀 수단 등을 중앙에 수용하는 받침판(11) 및 조립판(17)과, 이 받침판(11) 및 조립판(17) 사이에 조립되어져서 중앙의 스프링 수단(14)과 함께 수평적으로 당김/복귀 작용 할수 있도록 동작하는 슬라이더(15)와, 이 슬라이더(15)에 고정되어져서 슬라이더(15)를 사용자 및 작업자의 수동작으로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킬 때 발생하는 코일 스프링의 압축력으로 슬라이더(15)들을 외측에서 안쪽으로 당김 하거나 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원위치 복귀할수 있도록한 스프링 수단(14)등으로 이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5)들은 제각기 바깥쪽으로 받침판(11) 외단에 형성시킨 절곡부(11d)와 면접하여 도 3과 같은 I 천정바(20) 또는 ㅁ 천정바(23)에 고정되거나 또는 분리되는 걸고리부(13)와 스프링 수단(14)을 고정 하면서 손잡이를 형성하는 손잡이부(16)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14)은 상기 슬라이더(15)의 손잡이부(16)에 형성된 안내봉 공(16a)을 통하여 일정 너비 위치되게 끼워지고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있어 너트(c)로 고정되고, 코일 스프링(b)은 스프링 안내봉(a)의 외주연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14)은 직경이 암놈관(e) 보다 큰 직경의 수놈관(d)과, 이 수놈관(d)의 내경에 끼워지는 암놈관(e)으로 이뤄져 있고, 상기 수놈관(d)과 암놈관(e)은 제각기의 단부 부근에서 상호 충첩된 상태로 연결되어져 있으며, 암놈관(e)의 중앙 내벽에는 코일 스프링(b)이 설치되는 스프링 고정봉(f)이 구비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1)의 양측 부위에는 슬라이더(15)의 걸고리부(13)가 각기 관통할수 있도록 구멍을 낸 걸고리 관통공(11e)이 형성되어져 있고, 슬라이더(15)는 받침판(11)상부에 얹어져서 결합되면서 손잡이부(16)는 상측을 향하여 배치되어져 있는 구성으로 이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14)은 받침판(11) 중앙 부위에는 제각기 독립되게 코일 스프링(g,h) 들을 수용하는 스프링 안내봉(i,j)들을 일점에서 지지하는 고정편부(18a,18b)가 형성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
  7. 매입형 형광등 기구를 이루는 형광등의 행거장치는 천정바(20)에 얹어지는 받침판(11)과, 이 받침판(11)에 직접 고정 결합되는 반사판(4)과, 이 받침판(11) 및 반사판(14)을 상호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21)와 너트(22)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장치의 받침판(11)에는 천정바(23)의 일측에 개방된 절결홈측으로 걸고리편부(11e)가 진입되어 결합되는 걸고리편부(11e)가 구비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등의 내진 행거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장치는 천정바의 상/하측에 설치되는 크로스바(25)에 결합 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ㄷ자형 클립부(24a)와, 이 클립부(24a)의 하측편부와 반사판(4)까지 관통되어 결합되는 볼트(24b)와 너트(24c)로 이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
KR1019970026284A 1997-06-20 1997-06-20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 KR19990002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284A KR19990002616A (ko) 1997-06-20 1997-06-20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
KR1019980017934A KR100318531B1 (ko) 1997-06-20 1998-05-19 슬림형헹거식조명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284A KR19990002616A (ko) 1997-06-20 1997-06-20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616A true KR19990002616A (ko) 1999-01-15

Family

ID=658922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284A KR19990002616A (ko) 1997-06-20 1997-06-20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
KR1019980017934A KR100318531B1 (ko) 1997-06-20 1998-05-19 슬림형헹거식조명등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934A KR100318531B1 (ko) 1997-06-20 1998-05-19 슬림형헹거식조명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026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5439A (ko) * 1999-06-10 2001-01-15 성종제 천정매입형 형광등기구의 행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809Y1 (ko) * 2007-01-25 2008-07-04 정승문 조명등용 프레임
KR20200001856U (ko) 2019-02-13 2020-08-21 코스모스전기(주) 슬림 등기구
KR102347452B1 (ko) * 2019-09-16 2022-01-06 박병기 엣지형 조명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5439A (ko) * 1999-06-10 2001-01-15 성종제 천정매입형 형광등기구의 행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001A (ko) 1998-08-17
KR100318531B1 (ko) 2002-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45106C (en) Hanger bar centering mechanism
US8474774B2 (en) Panel component holder
US7628504B2 (en) Light fixture retrofitting apparatus and method
US6595664B2 (en) Quick-install, flush-mount bracket for light and other fixtures
KR101753613B1 (ko) 간편 설치구조의 조립식 엘이디 도광판 천정등
KR200407104Y1 (ko) 등기구가 일체로 구비된 레이스웨이
US10788162B2 (en) Retrofit kit and methods for conversion of fluorescent light assemblies to LED assemblies
CN112796458A (zh) 一种建筑吊顶机构
KR19990002616A (ko)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
KR20200132033A (ko) 조명등 고정기구 어셈블리
KR101707559B1 (ko)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KR101666065B1 (ko)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KR101935531B1 (ko) 천장등 고정장치
KR20180011988A (ko) 탄성력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구비된 배선박스
KR200236410Y1 (ko) 탄성결합식 조명등 현수간
EP3021440B1 (en) A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al device
JP3642066B2 (ja) 天井バーの構造
KR200480808Y1 (ko) 메쉬트레이용 조명장치 장착구
KR100390306B1 (ko) 형광등기구의 장착장치
KR102121657B1 (ko) 조명 장착 장치
CN220080475U (zh) 一种复合板吊顶安装结构
EP1741849A1 (en) Functional ceiling system
CN213019254U (zh) 一种筒灯
KR101941663B1 (ko) 모드 전환형 듀얼 조명등
CN214658156U (zh) 扣板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