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450U - 승차권발행장치의 2라인 통합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승차권발행장치의 2라인 통합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450U
KR19990002450U KR2019970016019U KR19970016019U KR19990002450U KR 19990002450 U KR19990002450 U KR 19990002450U KR 2019970016019 U KR2019970016019 U KR 2019970016019U KR 19970016019 U KR19970016019 U KR 19970016019U KR 19990002450 U KR19990002450 U KR 199900024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line
integrated
unit
issu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16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2450U/ko
Publication of KR199900024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450U/ko

Links

Landscapes

  • Ticket-Dispens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역무자동화시스템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발매기 등에 채용되는 승차권발행장치의 2라인 통합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이 승차권발행장치의 2라인 통합이송장치는, 역무자동화(AFC) 시스템장비인 승차권발매기, 발권기 등에 장착되어 승차권 용지를 권취하여 저장하는 이중롤(301, 311)을 지니고, 상기 이중롤(301, 311)에 감겨져 있는 승차권용지로부터 소정의 시각정보 및 자기정보가 입력되는 승차권을 선택적으로 발행하기 위하여, 상기 이중롤(301, 311)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승차권용지는 별도의 경로, 즉 2라인이송부를 따라 이송되어,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되는 절단부(304)를 통과한 후 하나의 경로, 즉 1라인이송부로 통합되어 이송되는 승차권발행장치에 있어서 : 2라인이송부의 말단인 절단부(304)에서 각각 절단된 승차권용지 1, 2를 1라인이송부로 이송하는 통합이송롤러(322) ; 및 2라인이송부와 1라인이송부사이에 고정설치되며, 절단부(304)로부터 승차권용지가 이송되어 오면 그 방향을 바꾸어 1라인이송부로 보내지도록 하는 통합가이드(3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소정의 규격을 지닌 승차권을 발권하는 승차권발행장치에서 승차권용지가 이중으로 공급되는 2라인을 하나로 통합하여 이송하여 처리할 수 있어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차권발행장치의 2라인 통합이송장치
본 고안은 승차권발행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역무자동화(AFC) 시스템장비인 승차권발매기나 정산기 등에 장착되는 단위장치로서 소정의 규격을 지닌 정상적인 승차권을 발행하는 승차권발행장치에서 별도의 2라인을 통하여 이송하는 승차권용지를 하나의 라인으로 통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이용자를 처리해야 하는 지하철에는 매표, 개찰, 집찰, 정산 등의 역무가 모두 무인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무자동화 시스템이 구축되어 다수의 승객을 신속히 처리하고 있다.
도 1에 일반적인 승차권발매기의 내부에 각 단위장치들의 배치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등에 이용되는 승차권발매기는 외부로 조작키와 표시장치가 노출되는 전면판넬부(1)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승차권발행부(3)와 지폐처리부(5)와 동전처리부(4)와 금고부(6)와 전원부(7)와 주제어부(8) 그리고 역무원판넬부(2) 등이 설치된다. 이 밖에도,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승차권 발매기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 및 발열램프와 공기를 순환시키는 회전날개가 설치되고 승차권을 발매하는 동작 중간에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승차권의 발행동작을 완전히 완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비밧데리가 설치된다.
지하철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은 승차권발매기에 소정의 금액, 예컨대 지폐 또는 동전을 투입하고 전면판넬부(1) 상에서 목적지 또는 원하는 구간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주제어부(8)의 제어하에 지폐처리부(5), 동전처리부(5) 등에서 요금을 정산하여 거스름돈을 방출하고 승차권발행부(3)(또는 승차권발행기, 승차권발행장치라고도 한다)로부터 소정 기록이 입력된 승차권이 발행된다.
도 2에는 종래의 승차권발행장치(3)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승차권을 발행하는 승차권발행장치(Ticket Issuing Unit : TIU)는, 승차권용지가 감겨져 있는 제1 및 제2롤(31, 32)과 이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피딩롤러(33, 34), 그리고 승차권을 소정규격으로 절단하는 절단부(35), 소정의 정보를 서멀프린팅헤드(TPH) 등으로 인쇄하는 인쇄부(36)와 자기기록을 기록하는 기록부(37) 및 기록된 자기정보를 독출하여 정상적인 승차권인지를 판별하는 독출부(38)가 포함된다. 상기 제1 및 제2롤(31, 32)에 감겨있는 승차권용지는 선택적으로 풀려나와 상술한 각 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절단되고, 각각 소정의 시각정보와 자기정보가 기록된다.
그런 다음, 상기 독출부(38)에서 판독한 결과 정상적인 승차권이면 배출구(39)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제공되며, 불량한 승차권인 경우에는 폐표수집함(39a)으로 보내져 폐표처리된다. 이러한 승차권발행장치(3)의 각 부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주제어부(8)의 제어하에 승차권발행장치 제어부(30)(TQS)에 의하여 제어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승차권발행장치(3)에 있어서는, 일시에 많은 승차권을 롤상에 저장하여 역무원이 유지, 관리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거두기 위해 두 개의 롤지를 장착하여 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일시에 저장되는 승차권 매수에는 대차가 없어 역무원이 유지, 관리하는 시간이 절약되지 않고 그 연결을 선택하는 기구의 구성만 복잡화되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승차권발행장치를 개선한 새로운 구성을 본 출원인에 의하여 동일자로 출원되는 특허출원 중첩된 이중롤을 이용하는 승차권발행장치에서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출원에서 개시하고 있는 것은 역무자동촤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발행장치에서 승차권용지를 저장함에 있어서 중첩된 이중롤만을 이용함으로써, 승차권을 대량으로 발매할 수 있고 소형화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중첩된 이중롤을 이용하는 승차권발행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본 고안에 대한 자세한 설명에 통합되어 기술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중첩된 이중롤을 이용하는 승차권발행장치와 같이 승차권용지가 별도의 2라인으로 피딩되어 하나의 라인으로 통합이송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승차권발행장치의 2라인 통합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보통권발매기 내부에 각 단위장치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승차권발행기(TIU)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중첩된 이중롤을 이용하는 승차권발행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2라인 통합이송장치를 확대, 예시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면판넬부2 : 역무원판넬부
3 : 승차권발행부(TIU)4 : 동전처리부
5 : 지폐처리부6 : 금고부
7 : 전원부8 : 주제어부(TQM)
9 : 저널프린터부10 : 케이스
30 : TIU 제어부(TQS)31, 32 : 제1, 제2롤
33, 34 : 제1, 제2피딩롤러35 : 절단부
36 : 인쇄부37 : 기록부
38 : 독출부39 : 배출구
39a : 폐표수집함3' : 승차권발행장치(본고안)
300 : 제어부(TQS)301, 311 : 제1, 제2롤
303, 313 : 제1, 제2피딩롤러304 : 절단부
305 : 자기기록부306 : 자기독출부
307 : 폐표수집함308 : 인쇄부
309 : 배출구320 : 통합이송장치
322 : 통합이송롤러324 : 통합가이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역무자동화(AFC) 시스템장비인 승차권발매기, 발권기 등에 장착되어 승차권 용지를 권취하여 저장하는 이중롤을 지니고, 상기 이중롤에 감겨져 있는 승차권용지로부터 소정의 시각정보 및 자기정보가 입력되는 승차권을 선택적으로 발행하기 위하여, 상기 이중롤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승차권용지는 별도의 경로, 즉 2라인이송부를 따라 이송되어,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되는 절단부를 통과한 후 하나의 경로, 즉 1라인이송부로 통합되어 이송되는 승차권발행장치에 있어서 : 2라인이송부의 말단인 절단부에서 각각 절단된 승차권용지 1, 2를 1라인이송부로 이송하는 통합이송롤러 ; 및 2라인이송부와 1라인이송부사이에 고정설치되며, 절단부로부터 승차권용지가 이송되어 오면 그 방향을 바꾸어 1라인이송부로 보내지도록 하는 통합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발행장치의 2라인 통합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이 제공하고자 하는 승차권발행장치의 2라인 통합이송장치는,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통합이송롤러는 1라인이송부를 구동하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중첩된 이중롤을 이용하는 승차권발행장치(3')의 내부구성을 예시하는 개략도가 도시된다. 도시되어 있는 상기 중첩된 이중롤을 사용하는 승차권발행장치(3')는 중첩된 이중롤인 제1롤(301) 및 제2롤(311), 제1피딩롤러(303) 및 제2피딩롤러(313), 그리고 절단부(304)를 포함하는 2라인이송부와, 자기기록부(305), 자기독출부(306), 폐표수집함(307), 인쇄부(308), 및 배출구(309)로 구성되는 1라인이송부 및 제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2라인이송부와 1라인이송부 사이를 연결하는 본 고안에 따른 2라인 통합이송장치(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롤(301, 311)은, 동일자 특허출원인 중첩된 이중롤을 이용하는 승차권발행장치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도록 중첩되어 구성되며, 소정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승차권용지가 대량으로 권취되어 있다. 승차권용지를 이송하는 것은 펄스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피딩롤러(303, 313)이며, 주제어부(8)(도 1 참조)의 소정의 발권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펄스모터를 구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승차권용지는 한 번에 소정의 길이만큼씩 이송되며, 또한 두 개의 롤(301)(311)로부터 선택적으로 각각 별도의 이송경로를 따라 피딩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절단부(304)는, 각각 별도의 경로를 따라 제1 또는 제2롤(301, 311)로부터 제1 또는 제2피딩롤러(303, 313)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이송되어 오는 승차권용지의 일단을 규정된 길이, 예컨대 66mm의 길이로 절단한다.
이상과 같은 제1 및 제2롤(301, 311)부터 절단부(304)까지는 승차권용지가 각각 별도의 2개 라인으로 이송되어지는 2라인이송부를 구성한다.
절단된 승차권은 소정의 자기정보가 기록되며, 또한 시각정보가 기록되어 배출되는데, 자기정보는 자기기록부(305)의 자기기록헤드에 의해서, 시각정보는 인쇄부(308)의 서멀헤드(TPH ; Thermal Printing Head)에 의해서 기록된다. 폐표수집함(307)에는 상기 자기기록부(305)에서 기록된 자기정보가 정상적인가를 자기독출부(306)에서 독출하여 결정된 불량한 승차권이 폐표처리되어 수납된다. 이 자기기록부(305), 자기독출부(306), 폐표수집함(307), 인쇄부(308), 그리고 정상적인 승차권이 이용자에게 배출되는 배출구(30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2라인 통합이송장치에 의하여 1라인이송부로 통합된 후 처리하는 단일한 장치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승차권발행장치의 2라인 통합이송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2라인 통합이송장치(320)는 통합이송롤러(322)와 통합가이드(324)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합이송롤러(322)는 2라인이송부의 말단인 절단부(304)에서 각각 절단된 두 개의 승차권용지 1, 2를 1라인이송부의 처음인 자기기록부(305)로 넘겨주기 위한 별도의 이송롤러이며, 상기 1라인이송부 또는 2라인이송부를 구동하는 모터와는 별도의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1라인이송부를 구동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합가이드(324)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라인이송부와 1라인이송부사이에 고정설치되며, 2라인이송부의 말단인 절단부(304)에서는 두 개의 승차권용지 1, 2중 어느 하나가 이송되어 오면 그 방향을 조금씩 바꾸어 1라인이송부로 보내지도록 하는 가이드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차권발행장치의 2라인 통합이송장치에 의하면, 소정의 규격을 지닌 승차권을 발권하는 승차권발행장치에서 승차권용지가 이중으로 공급되는 2라인을 하나로 통합하여 이송하여 처리할 수 있어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2)

  1. 역무자동화(AFC) 시스템장비인 승차권발매기, 발권기 등에 장착되어 승차권 용지를 권취하여 저장하는 이중롤(301, 311)을 지니고, 상기 이중롤(301, 311)에 감겨져 있는 승차권용지로부터 소정의 시각정보 및 자기정보가 입력되는 승차권을 선택적으로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이중롤(301, 311)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승차권용지는 별도의 경로, 즉 2라인이송부를 따라 이송되어,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되는 절단부(304)를 통과한 후 하나의 경로, 즉 1라인이송부로 통합되어 이송되는 승차권발행장치에 있어서 :
    2라인이송부의 말단인 절단부(304)에서 각각 절단된 승차권용지 1, 2를 1라인이송부로 이송하는 통합이송롤러(322) ; 및
    2라인이송부와 1라인이송부사이에 고정설치되며, 절단부(304)로부터 승차권용지가 이송되어 오면 그 방향을 바꾸어 1라인이송부로 보내지도록 하는 통합가이드(3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발행장치의 2라인 통합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이송롤러(322)는 1라인이송부를 구동하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2019970016019U 1997-06-27 1997-06-27 승차권발행장치의 2라인 통합이송장치 KR199900024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019U KR19990002450U (ko) 1997-06-27 1997-06-27 승차권발행장치의 2라인 통합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019U KR19990002450U (ko) 1997-06-27 1997-06-27 승차권발행장치의 2라인 통합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450U true KR19990002450U (ko) 1999-01-25

Family

ID=69686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019U KR19990002450U (ko) 1997-06-27 1997-06-27 승차권발행장치의 2라인 통합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245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8300B1 (en) Ticket processing terminal device
KR19990002450U (ko) 승차권발행장치의 2라인 통합이송장치
GB2143356A (en) Systems for the issue of tickets
KR100227497B1 (ko) 중첩된 이중롤을 이용하는 승차권발행장치
JP2590068B2 (ja) 自動取引装置
JP3754853B2 (ja) 発券用プリンタ
JP2647248B2 (ja) 券類発行装置
KR19990004205A (ko) 승차권 발행장치
JPH0558514A (ja) 磁気書込・読取装置および券類発行方法
JP2553355B2 (ja) 券処理端末装置
JPH05225411A (ja) 発券装置
JPH096996A (ja) 自動券売機および発券方法
JP2919052B2 (ja) 券発行装置
JPH06124373A (ja) 多券種発行装置
KR100407863B1 (ko) 공과금 고지서 자동 수취 장치
JPH012195A (ja) 券処理端末装置
KR100216218B1 (ko) 승차권 발행 롤장치
KR200264902Y1 (ko) 공과금 고지서 자동 수취 장치
JP3813017B2 (ja) 自動取引装置
JP2545863B2 (ja) 券処理端末装置
JP2901772B2 (ja) 券類発行装置
KR19990004190A (ko) 승차권부정잼 방지 시스템
JPH10166674A (ja) 自動取引装置
JPH011094A (ja) 券処理端末装置
JPS605414Y2 (ja) 携帯形精算券印刷発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