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361A - Car charging system - Google Patents

Car charg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361A
KR19990002361A KR1019970025952A KR19970025952A KR19990002361A KR 19990002361 A KR19990002361 A KR 19990002361A KR 1019970025952 A KR1019970025952 A KR 1019970025952A KR 19970025952 A KR19970025952 A KR 19970025952A KR 19990002361 A KR19990002361 A KR 19990002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engine
vehicle
power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59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1019970025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2361A/en
Publication of KR19990002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361A/en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기장치 등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검출하여 규정치 이하인 경우에 엔진 측으로부터 발전기로의 동력전달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엔진의 가동에 필요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harging system that detects power consumed by an electric device of a vehicle and cuts off power transmission from an engine side to a generator when it is below a specified value, thereby improving fuel efficiency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engine.

시동 전동기에 의해 크랭킹되는 차량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는 발전기로부터 발생된 전력이 주 축전지에 충전됨과 동시에 차량 부하에 공급되도록 형성된 차량용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In a vehicle charging system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the vehicle load at the same time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receives the power of the vehicle engine cranked by the starting electric motor,

상기 시동 전동기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발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보조 축전지와;An auxiliary storage battery which is installed to supply power only to the starting motor and is charged by the generator;

상기 주 축전지와 차량 부하 사이의 전원 공급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주 축전지로부터 상기 차량 부하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감지하는 부하전류 감지수단과;Load current sensing means installed on a power supply path between the main battery and the vehicle load to sense an amount of current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to the vehicle load;

상기 엔진과 상기 발전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부하전류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전류의 양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발전기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단속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interruption means installed between the engine and the generator to interrupt power transmission from the engine to the generator when the amount of current sensed by the load current sensing means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

Description

차량용 충전 시스템Car charging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기장치 등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검출하여 규정치 이하인 경우에 엔진 측으로부터 발전기로의 동력전달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엔진의 가동에 필요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by detecting the power consumed by the electric device of the vehicle, and in the case of less than the specified value, the transmission of power from the engine side to the generator is cut off, thereby improving fuel economy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engine. To a vehicle charging system.

일반적으로 차량용 충전 시스템은 축전지, 발전기, 레귤레이터(Regulator)등으로 구성되어 발전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을 축전지에 공급하여 항상 축전지를 충전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차량 주행중의 점화, 조명, 계기 등 기타 모든 전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고 하고 있는 데, 종래의 차량용 충전 시스템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In general, a vehicle charging system is composed of a battery, a generator, a regulator, and so on. The power generated by the generator is supplied to the battery to keep the battery always charged, and at the same time, all other electricity such as ignition, lighting, and metering while driving While powering the device, a conventional vehicle charging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미도시)의 크랭크 풀리(1)에 벨트(2)를 매개로 하여 구동되는 발전기(3)와, 발전기(3)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발생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각종 점화, 조명, 계기 등의 전기장치(5)의 고장을 방지하는 레귤레이터(4)와, 발전기(3)로부터 발생된 전력이 저장되고 전기장치(5)로의 전력 공급을 담당하는 축전지(6)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the generator 3 driven through the belt 2 to the crank pulley 1 of the engine (not shown) and the voltage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3 are detected to maintain the generated voltage constant. Regulator 4 to prevent failure of electrical devices 5 such as various ignition, lighting, instruments, and the like, and storage battery 6 that stores power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3 and is responsib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al device 5. It consists of).

여기서, 축전지(6)에는 차량의 엔진을 가동시키기 위한 시동 장치(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이 시동 장치(10)는 축전지(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시동 스위치(7)와, 이 시동 스위치(7)가 온됨에 따라 별도의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을 매개로 엔진의 플라이휠(미도시)에 전달하여 엔진이 가동되도록 하는 시동 전동기(9)로 구성되어 있다.Here, the starter device 10 for operating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orage battery 6. The starter device 10 includes a start switch 7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orage battery 6, and As the start switch 7 is turned on, a starter electric motor 9 is configured to transmit a separate power transmission means (not shown) to a flywheel (not shown) of the engine so that the engine is opera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차량용 충전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vehicle charging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운전자에 의해 시동 스위치(7)가 온되어 시동 전동기(9)가 구동되면, 이 구동력은 동력전달수단을 거쳐 엔진의 플라이휠에 전달되어 엔진을 가동시키게 된다.First, when the starter switch 7 is turned on by the driver and the starter motor 9 is driven, this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lywheel of the engine via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o start the engine.

엔진이 가동되기 시작하면, 엔진의 크랭크 풀리(1)와 발전기(3)의 풀리(3')에 연결된 벨트(2)의 동력 전달에 의해 발전기(3)로부터 전압이 발생되게 된다.When the engine starts to operate, voltage is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3 by power transmission of the crank pulley 1 of the engine and the belt 2 connected to the pulley 3 'of the generator 3.

발전기(3)부터 발생되는 전압은 레귤레이터(4)에 의해 발생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각종 점화, 조명, 계기 등의 전기장치(5)에 공급됨은 물론, 축전지(6)에 충전되어 상기 전기장치(5)에 공급된다.The voltage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3 is kept constant by the regulator 4 and supplied to various electrical devices 5 such as various ignitions, lighting, instruments, etc., as well as charged in the storage battery 6 and the electrical devices. It is supplied to (5).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차량용 충전 시스템에 따르면, 엔진이 가동되는 동안에 발전기(3)에 의해 생산된 전력은 차량의 전기장치(5)에 전달되어 소비됨과 동시에 축전지(6)에 충전되는 것이 일반적인 데, 주간에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전기장치를 사용하는 빈도, 즉 차량 소비 전력이 현저하게 낮아 엔진이 발전기(3)를 계속적으로 가동시키게 되어 엔진의 가동에 필요한 연비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vehicle charging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power produced by the generator 3 while the engine is running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 device 5 of the vehicle and consumed at the same time as the battery 6 is generally charged, When driving the vehicle during the day, the frequency of the driver using the electric device, that is, the vehicle power consumption is significantly low, the engine continues to operate the generator 3,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el economy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engine is reduc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차량의 전기장치 등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검출하여 규정치 이하인 경우에 엔진 측으로부터 발전기로의 동력전달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엔진의 가동에 필요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detecting the power consumed in the electric device of the vehicle, such that the power transmission from the engine side to the generator in the case of less than the specified value, thereby reducing the fuel economy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engin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ehicle charging system that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 차량용 충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charging system.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0 : 시동 전동기 21,22 : 보조, 주 축전지20: starting motor 21,22: auxiliary, main battery

23 : 제어부 24 : 마그네틱 클러치23: control unit 24: magnetic clutch

25 : 발전기 26 : 부하전류 감지부25: generator 26: load current detection unit

27 ; 차량 부하 28 : 검출라인27; Vehicle Load 28: Detection Line

29 : 다이오드 30 : 엔진29: diode 30: engine

31 : 동력전달수단 33 : 단속부31: power transmission means 33: intermittent par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충전 시스템은 시동 전동기에 의해 크랭킹되는 차량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는 발전기로부터 발생된 전력이 주 축전지에 충전됨과 동시에 차량 부하에 공급되도록 형성된 차량용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동 전동기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발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보조 축전지와; 상기 주 축전지와 차량 부하 사이의 전원 공급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주 축전지로부터 상기 차량 부하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감지하는 부하전류 감지수단과; 상기 주축전지의 전압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수단과;상기 엔진과 상기 발전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부하전류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전류의 양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발전기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단속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vehicle charging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the vehicle load at the same time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receives the power of the vehicle engine cranked by the starting motor is charged to the main battery A system comprising: an auxiliary storage battery installed to supply power only to the starting motor and charged by the generator; Load current sensing means installed on a power supply path between the main battery and the vehicle load to sense an amount of current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to the vehicle loa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voltage of the main battery; transmission of power from the engine to the generator when the amount of current detected between the engine and the generator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terruption means for blocking th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충전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충전 시스템은 시동 전동기(20)에 의해 크랭킹되는 차량 엔진(30)의 동력을 전달받는 발전기(25)로부터 발생된 전력이 주 축전지(22)에 충전됨과 동시에 차량 부하(27)에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In the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25 receiving the power of the vehicle engine 30 cranked by the starting motor 20 is charged to the main battery 22 and the vehicle load 27 Is formed to be supplied to the same as in the prior art.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충전 시스템은 시동 전동기(20)와 발전기(25) 사이의 전원 공급로(32)상에 설치된 분기 전원 공급로(33)를 매개로 설치되는 시동 전동기(20)에만 전원이 독립적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발전기(25)에 의해 충전되는 보조 축전지(21)와, 주 축전지(22)와 각종 점화, 조명, 계기 등의 전기장치인 차량 부하(27) 사이의 전원 공급로(32)에 설치되어 주 축전지(22)로부터 차량 부하(27)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감지하는 부하전류 감지부(26)와, 주 축전지(22)의 전압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부(35)와, 부하전류 감지부(26) 양단으로부터 한쌍의 검출라인(28)을 형성하여 부하전류 감지부(26)에 의해 감지된 전류의 양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엔진(30)으로부터 발전기(25)로의 동력전달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부(34)가 구비된다.In the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ource is independent only of the starting motor 20 installed through the branch power supply path 33 installed on the power supply path 32 between the starting motor 20 and the generator 25.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path 32 between the auxiliary storage battery 21 and the primary storage battery 22 and the vehicle load 27 which is an electric device such as various ignition, lighting, and instruments, which are supplied by the generator 25 and are charged by the generator 25. A load current detector 26 for detecting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22 to the vehicle load 27, a detector 35 for detecting the voltage of the main battery 22, and a load; Power transmission from the engine 30 to the generator 25 when a pair of detection lines 28 are formed from both ends of the current sensing unit 26 so that the amount of current sensed by the load current sensing unit 26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 intermittent part 34 is provided for intermittent operation.

보조 축전지(21)는 시동 전동기(20)에만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전원 공급로(32)상으로부터 발전기(2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분기된 분기 전원 공급로(33)와 분기 전원 공급로(33) 사이의 전원 공급로(32)상에 다이오드(29)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The auxiliary storage battery 21 is a branch power supply path 33 and branch power supply branched to supply power to the generator 25 from the power supply path 32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only to the starting motor 20.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diode 29 on the power supply path 32 between the supply paths 33.

부하전류 감지부(26)는 주 축전지(22)로부터 차량 부하(27)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감지된 전류의 양이 큰 경우에는 차량의 각종 전기장치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상태이고, 감지된 전류의 양이 미비할 경우에는 차량의 각종 전기장치의 사용 빈도가 낮은 상태, 즉 주간에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 load current detection unit 26 is for detecting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22 to the vehicle load 27. When the amount of detected current is large, various electric devices of the vehicle are used. If the amount of current detected is insuffici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vehicle is running during the day when the frequency of use of various electric devices of the vehicle is low.

검출부(35)는 주 축전지(22)의 플러스(+) 극성과 제어부(23) 사이에 전기적으로 설치된 연결선으로서 주 축전지(22)의 방전이 계속되어 전압이 규정치 이하인 경우를 측정하게 된다.The detection unit 35 is a connection line electrically provided between the positive (+) polarity of the main battery 22 and the control unit 23 to measure the case where the discharge of the main battery 22 is continued and the voltage is below a prescribed value.

단속부(34)는 엔진(30)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발전기(25)측으로의 동력 전달을 단속하기 위한 마그네틱 클러치(24)와, 이 마그네틱 클러치(24)를 구동시키기 위해 부하전류 감지부(26)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23)로 구성된다.The intermittent part 34 is installed in the engine 30 and receives a predetermined signal from the outside to drive the magnetic clutch 24 and the magnetic clutch 24 for controlling the power transmission to the generator 25 side. The control unit 23 receives a signal sensed by the load current detection unit 26.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 클러치(24)는 제어부(23)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엔진(30)과 발전기(25)와의 상호 동력 전달을 일정 시간동안 차단하는 것으로 이는 공지의 기술인 바, 이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magnetic clutch 24 cuts off the mutual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engine 30 and the generator 25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3, which is a known technique, the description of this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충전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운전자에 의해 시동 스위치(미도시)가 온되어 시동 전동기(20)가 구동되면, 이 구동력은 동력전달수단을 거쳐 엔진(30)의 플라이휠(미도시)에 전달되어 엔진(30)을 가동시키게 된다.First, when the starter switch (not shown) is turned on by the driver and the starter motor 20 is driven, this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lywheel (not shown) of the engine 30 via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o operate the engine 30. Let's go.

엔진(30)이 가동되기 시작하면, 엔진(30)의 구동력을 발전기(25)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31)을 통해 발전기(25)로부터 전력이 발생된다.When the engine 30 starts to operate, electric power is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25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31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30 to the generator 25.

발전기(25)로부터 발생된 전력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보조 축전지(21) 및 주 축전지(22)에 만충전됨과 동시에 각종 점화, 조명, 계기 등의 전기장치인 차량 부하(27)에 공급된다.The electric power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25 is fully charged to the auxiliary storage battery 21 and the main storage battery 22 as time passes, and is supplied to the vehicle load 27 which is an electric device such as various ignitions, lights, and instruments.

여기서, 보조 축전지(21)에 충전된 전력은 시동 전동기(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는 데, 다이오드(29)의 전류 흐름 방지에 의해 차량 부하(27)측으로 전류의 공급이 되지 않고, 주 축전지(22)에 충전된 전류는 차량 부하(27)로 공급됨과 동시에 보조 축전지(21)에 충전된 전력이 전무한 경우에 시동 전동기(2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이에 공급된다.Here, the electric power charged in the auxiliary storage battery 21 is used only for driving the starting motor 20, the current is not supplied to the vehicle load 27 by preventing the current flow of the diode 29, The electric current charged in the main battery 22 is supplied to the vehicle load 27 and supplied to the starter motor 20 when there is no power charged in the auxiliary battery 21.

여기서, 운전자등이 차량 주행 중에 차량의 각종 전기장치인 차량 부하(27)를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 데, 주 축전지(22) 또는 발전기(25)로부터 차량 부하(27)측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부하전류 감지부(26)에 의해 감지되어 소정의 신호로 제어부(23)에 입력되는 데, 제어부(23)에서는 부하전류 감지부(26)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기초로 하여 규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차량 부하(27)의 사용 빈도수가 극히 낮아 차량이 주간에 운행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하여 엔진(30)의 동력이 발전기(25)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마그네틱 클러치(24)가 구동되도록 신호를 출력한다.Here, the driver or the like often uses the vehicle load 27 which is various electric devices of the vehicle while driving the vehicle, and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22 or the generator 25 to the vehicle load 27 side. Is detected by the load current detection unit 26 and input to the control unit 23 as a predetermined signal, the control unit 23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load current detection unit 26 in the case of less than the specified value Sinc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load 27 is extremely low,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running during the day, and a signal is output such that the magnetic clutch 24 is driven so that the power of the engine 30 is not transmitted to the generator 25.

한편, 주 축전지(22) 또는 발전기(25)로부터 차량 부하(27)측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이 규정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23)에는 차량 부하(27)의 사용 정도가 현저하게 높아 차량이 야간에 전력소모가 많은 상태라고 판단하여 엔진(30)의 동력이 발전기(25)로 전달되도록 마그네틱 클러치(24)가 구동되도록 신호를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22 or the generator 25 to the vehicle load 27 sid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cribed value, the control unit 23 significantly increases the degree of use of the vehicle load 27 so that the vehicle is powered at night.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consumption is high, and outputs a signal so that the magnetic clutch 24 is driven so that the power of the engine 30 is transmitted to the generator 25.

따라서, 차량이 주간에 운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주 축전지(22)로부터 충전된 전력만으로 차량 부하(27)의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30)의 잉여 동력을 발전기(25)로 필요에 따라 단속적으로 전달하기만 하면 된다.Therefore, when the vehicle is driven during the daytime, since the function of the vehicle load 27 can be sufficiently performed only by the electric power charged from the main storage battery 22, surplus power of the engine 30 is needed as the generator 25. You just need to deliver it intermittently.

즉, 제어부(23)는 주 축전지(22)의 방전이 계속되어 전압이 규정치 이하인 경우를 검출부(35)인 연결선을 통해 판단하게 된다.That is, the controller 23 determines the case where the discharge of the main storage battery 22 continues and the voltage is below the prescribed value through the connection line which is the detector 35.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충전 시스템은 각종 조명, 계기 등의 차량 부하에 전력이 미비한 경우인 주간에 차량을 운행할 때, 엔진의 잉여 동력을 발전기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차량 부하에 소비되는 전류의 양이 증대하는 경우, 또는 야간에 차량이 운행할 때, 엔진의 잉여 동력을 발전기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엔진의 가동에 필요한 연비를 향상시킬 수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surplus power of the engin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generator when the vehicle is driven in the daytime when the vehicle has insufficient power in various vehicle loads such as lighting and instruments. When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increases, or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t night, the surplus power of the engine is transmitted to the generator, thereby improving the fuel efficiency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engine.

Claims (3)

시동 전동기에 의해 크랭킹되는 차량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는 발전기로부터 발생된 전력이 주 축전지에 충전됨과 동시에 차량 부하에 공급되도록 형성된 차량용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In a vehicle charging system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the vehicle load at the same time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receives the power of the vehicle engine cranked by the starting electric motor, 상기 시동 전동기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발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보조 축전지와;An auxiliary storage battery which is installed to supply power only to the starting motor and is charged by the generator; 상기 주 축전지와 차량 부하 사이의 전원 공급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주 축전지로부터 상기 차량 부하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감지하는 부하전류 감지수단과;Load current sensing means installed on a power supply path between the main battery and the vehicle load to sense an amount of current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to the vehicle load; 상기 주축전지의 전압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수단과;Detection means capable of detecting a voltage of the main battery; 상기 엔진과 상기 발전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부하전류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전류의 양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발전기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단속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시스템.Intermittent means for interrupting transmission of power from the engine to the generator when the amount of current sensed by the load current sensing means is installed between the engine and the generator; Car charg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축전지와 상기 발전기 사이의 전원 공급로상에는 다이오드가 설치되어 상기 보조 축전지의 전류가 상기 차량 부하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시스템.The vehicle charging system of claim 1, wherein a diode is provided on a power supply path between the auxiliary storage battery and the generator to prevent current of the auxiliary storage battery from flowing to the vehicle lo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 수단은 상기 엔진과 발전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발전기로의 동력전달을 단속하기 위한 마그네틱 클러치와; 상기 부하전류 감지수단의 양단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전압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마그네틱 클러치를 작동시켜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발전기로의 동력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전 시스템.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eans includes: a magnetic clutch disposed between the engine and the generator to control power transmission from the engine to the generator; And control means for receiving the voltage across the load current sensing means and operating the magnetic clutch to cut off power from the engine to the generator when the voltag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KR1019970025952A 1997-06-20 1997-06-20 Car charging system KR199900023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952A KR19990002361A (en) 1997-06-20 1997-06-20 Car charg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952A KR19990002361A (en) 1997-06-20 1997-06-20 Car charg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361A true KR19990002361A (en) 1999-01-15

Family

ID=6598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5952A KR19990002361A (en) 1997-06-20 1997-06-20 Car charg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236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852B1 (en) * 2002-08-13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harge system of a batte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852B1 (en) * 2002-08-13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harge system of a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8629A (en) Apparatus for diagnosing low voltage battery
KR20010061998A (en) Automotive power supply
US4607246A (en) Malfunction indicating method for vehicle-mounted DC generator
EP0448065B1 (en) A battery-recharg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9990002361A (en) Car charging system
KR100445860B1 (en) A power supply apparatus of cars with auxiliary battery
KR200147895Y1 (en) Overdischarge prevention apparatus of a car battery
KR100208155B1 (en) Battery automatic charging device
KR100215659B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ir conditioner in an automobile
KR100465400B1 (en) Over-discharge prevention device for vehicle battery
KR100193439B1 (en) Battery charging circuit and method of vehicle
KR0144043B1 (en) Battery discharging protection apparatus
JP2000316300A (en) Power generating device for vehicle
KR200316732Y1 (en) Voltage regulator of car generator
KR0134554Y1 (en) Reverse current protection device for alternator
KR200289720Y1 (en) A power supply apparatus of cars with auxiliary battery
KR19980036749U (en) Battery replacement time indicator
JP2504023B2 (en) Voltage regulator for vehicle charging generator
KR200213490Y1 (en) Yisyou Power Supply
KR19980039389A (en) Device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load when overcurrent is consumed
KR19990003993A (en) Vehicle power control system
KR100223617B1 (en) Battery discharge prevention equipment
RU2079699C1 (en) Electric start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70021720A (en) Emergency start device and method for discharging a vehicle's capacitor
KR970036352A (en) Energy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ic vehicle with slip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