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439B1 - Battery charging circuit and method of vehicle - Google Patents

Battery charging circuit and method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439B1
KR100193439B1 KR1019960073882A KR19960073882A KR100193439B1 KR 100193439 B1 KR100193439 B1 KR 100193439B1 KR 1019960073882 A KR1019960073882 A KR 1019960073882A KR 19960073882 A KR19960073882 A KR 19960073882A KR 100193439 B1 KR100193439 B1 KR 100193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generator
control sign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3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54716A (en
Inventor
곽상섭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101996007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439B1/en
Publication of KR19980054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7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439B1/en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trol Of Charge By Means Of Generators (AREA)

Abstract

발전기에 의해 자동차의 동작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회로가, 전류센서와, 제1제어신호 발생시 배터리와 전류센서를 연결하는 제1스위치와, 제2제어신호 발생시 배터리와 발전기를 연결하는 제2스위치를 구비하며, 시동 스위치오프시 제1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전류센서로부터 배터리의 충전전원을 수신하여 설정전압과 비교하여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설정전압 보다 낮을 시 발전기를 연장 구동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A battery charging circuit of a vehicle having a battery for charging the operating power of the vehicle by a generator includes a current sensor, a first switch 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current sensor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e battery and the generator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 second switch for connecting the generator, and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when the start switch is turned off, and receives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from the current sensor and extends the generator when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is lower than the set voltage. To charge the battery.

Description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회로 및 방법Battery charging circuit and method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터리 보호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동 오프시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여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rotection circuit and a method of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ircuit and a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a charging operation of a battery by sensing a voltage of the battery at start-off.

도 1은 자동차의 배터리(battery) 계통의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차량 운행 중에는 발전기(alternator)12에서 전류를 발생하며, 이 전류로 자동차의 각 부하13들을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부하13들을 구동하고 남은 전류는 배터리11에 공급되어 배터리11을 충전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이때 상기 발전기12에서 발생되는 전류가 부하13에서 필요로 하는 전류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11에 충전된 전류가 방전되어 부하13에 공급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of a battery system of an automobile, in which a current is generated by an alternator 12 while driving a vehicle, and each of the loads 13 of the vehicle is driven by this current. The current remaining after driving the loads 13 is supplied to the battery 11 to charge the battery 11. At this time, when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generator 12 is smaller than the current required by the load 13, the current charged in the battery 11 is discharged and supplied to the load 13.

따라서 자동차를 운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발전기12에서 발생되는 전류가 부하13에서 필요로하는 전류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11의 충전 전류의 방전이 계속 발생된다. 특히 출퇴근 시간 대에 많은 차량이 붐비는 시내 도로를 주행하거나 또는 명절 등과 같은 때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상태하는 상태에서는 정차와 서행을 반복하게 되며, 이런 경우 발전기12에서 발전하는 전류량 보다 부하13에서 소비되는 전류가 많게 되면 배터리11의 방전이 가속화된다. 특히 이런 경우 시동이 오프되면 재 시동시 배터리11의 완전 방전에 의해 시동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이 오래되어 충전 기능이 불량한 배터리인 경우에는 특히 이와 같은 문제점이 더욱 더 커진다.Therefore, when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generator 12 is smaller than the current required by the load 13 while driving a vehicle, the discharge of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11 continues to occur. Especially during the commute time, the vehicle stops and runs slowly while driving on a busy city road or while driving on the highway at a time of holiday, etc. When the current increases,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11 is accelerated. In particular, in this case, when the start is turned off, the start may be impossible due to the complete discharge of the battery 11 when the start is restarted. In addition, especially when the battery 11 is old and the charging function is poor, this problem becomes even great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에서 시동오프시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감지하여 충전전압이 설정전압 보다 작은 경우 일정시간 발전기의 구동을 지속시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it and a method for recharging a battery by detecting the charging voltage of a battery when a vehicle is turned off in a car and continuing to drive a generator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charging voltage is smaller than a set volta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전기에 의해 자동차의 동작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회로가, 전류센서와, 제1제어신호 발생시 상기 배터리와 전류센서를 연결하는 제1스위치와, 제2제어신호 발생시 상기 배터리와 발전기를 연결하는 제2스위치를 구비하며, 시동 스위치오프시 상기 제1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전류센서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원을 수신하여 설정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설정전압 보다 낮을 시 상기 발전기를 연장 구동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ttery charging circuit of a vehicle having a battery for charging the operating power of the vehicle by a generator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current sensor, a first switch 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current sensor when a firs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 second switch 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generator when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generating the first control signal when the start switch is turned off to receive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from a current sensor, and comparing the set voltage with the charging of the battery. When the voltage is lower than the set voltag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driving the generator to charge the battery.

도 1은 자동차에서 종래의 배터리 구동회로 계통을 도시하는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battery driving circuit system in an automobil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회로를 도시하는 도시하는 도면2 is a diagram showing a battery charging circuit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차의 시동 오프시 배터리의 전압 크기를 감지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charging of a battery by sensing a voltage level of the battery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자동차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의 구성을 살펴보면, 스위치SW3은 시동 스위치로서 시동키의 동작에 따라 연동되는 스위치이며, 상기 스위치SW3의 상태는 제어부21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스위치SW3은 상기 배터리11과 EMS블럭22 사이에 직렬 연결된다. 릴레이RLY1의 스위치SW1은 공통단자가 배터리11의 포지티브단자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출력단자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릴레이RLY1의 코일은 트랜지스터Q1에 연결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제어전극(base)은 제어부21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CTL1에 연결된다. 상기 릴레이RLY1의 스위치SW1은 상기 트랜지스터Q1이 오프 상태일 시 배터리11의 포지티브 단자와 제1출력단자NC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어신호CTL1 발생시 상기 트랜지스터Q1이 온되며, 이로인해 릴레이RLY1의 코일을 통해 전류 패스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11의 출력단과 제2출력단자NO가 연결된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ircuit for controlling charging of a car batter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2, the switch SW3 is a switch that is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gnition key as a start switch, and the state of the switch SW3 is sensed by the controller 21. The switch SW3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battery 11 and the EMS block 22. The switch SW1 of the relay RLY1 has a common terminal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battery 11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In addition, the coil of the relay RLY1 is connected to the transistor Q1, and the control electrode base of the transistor Q1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ignal CTL1 output from the controller 21. The switch SW1 of the relay RLY1 maintains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battery 11 and the first output terminal NC connected when the transistor Q1 is in an off state, and the transistor Q1 is turned on when the control signal CTL1 is generated. A current path is formed through the coil to connect the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11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NO.

전류센서(current sensor)23은 상기 릴레이RLY1의 스위치SW1의 제2출력단자NO와 상기 배터리11의 네가티브 단자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11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발생한다.A current sensor 23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output terminal NO of the switch SW1 of the relay RLY1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11, and detects the current output from the battery 11 to generate a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발전기12는 상기 배터리11의 포지티브 단자 및 네가티브 단자 사이에 병렬 연결되며, 엔진의 구동시 연동되어 부하13의 동작 전류를 발생한다. 상기 부하13도 상기 배터리11의 포지티브 단자 및 네가티브 단자 사이에 병렬 연결된다. EMS블록22는 자동차의 엔진부를 통칭한다.The generator 12 i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11, and interlocks when the engine is driven to generate an operating current of the load 13. The load 13 is also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11. EMS block 22 collectively refers to the engine part of a vehicle.

제어부21은 상기 EMS 블록2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11의 충전전압을 검사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21은 상기 스위치SW3 오프시 제1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어신호CTL1을 출력하며, 상기 제1설정시간 동안 상기 센서23에서 출력되는 상기 배터리11의 충전전압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되는 배터리11의 충전전압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11의 충전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보다 클시 제2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어신호CTL2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기준전압 보다 작을 시 제3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어신호CTL2를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3설정시간은 상기 제2설정시간 보다 훨씬 큰 값을 갖는다.The control unit 21 i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MS block 22, and has a reference voltage for checking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1 outputs the control signal CTL1 during the first setting time when the switch SW3 is turned off, and receives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11 output from the sensor 23 during the first setting time. When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11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the control signal CTL2 is activated for a second predetermined time and is less than the reference voltage, compared with the received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11 and the previously stored reference voltage. The control signal CTL2 is activated for a set time. The third set time has a value much larger than the second set time.

릴레이RLY2의 스위치SW2는 상기 배터리11와 상기 EMS블럭22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릴레이RLY2의 코일은 트랜지스터Q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제어전극(base)는 상기 제어신호CTL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신호CTL2가 오프되면 상기 EMS블록22와 상기 발전기12의 사이를 차단하며, 상기 제어신호CTL2 온시 상기 트랜지스터Q2가 온되고 이로인해 릴레이RLY2의 코일에 전류 패스가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SW2가 온되며, 이로인해 상기 발전기12와 EMS블록22 간에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릴레이RLY2는 상기 발전기12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로 동작된다.The switch SW2 of the relay RLY2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battery 11 and the EMS block 22, the coil of the relay RLY2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ransistor Q2, and the control electrode base of the transistor Q2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ignal CTL2. . Accordingly, when the control signal CTL2 is turned off, the EMS block 22 and the generator 12 are cut off, and when the control signal CTL2 is turned on, the transistor Q2 is turned on, and thus a current path is formed in the coil of the relay RLY2 so that the switch SW2 is turned on. Thus, a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generator 12 and the EMS block 22. The relay RLY2 is operated as a driv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generator 12.

상기 도 2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11의 충전 보호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배터리11의 양단에 전류센서23을 연결하고, 상기 배터리11의 포지티브 단자와 발전기12 사이에 릴레이RLY1을 연결한다. 또한 차량 정지 후 상기 시동 스위치SW3을 오프 위치에 놓으면 EMS블록22에만 전원이 연결되고 다른 블록은 모두 오프되도록 상기 제어신호CTL2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ENS블럭22에 배터리11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시간은 약 10초 정도로 설정하고, 이 시간동안 상기 제어신호CTL2를 온시키며, 이 시간은 제2설정시간이 된다. 상기 제2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어신호CTL2가 온되면 상기 릴레이RLY2가 온 상태를 유지하여 엔진이 구동된다.Referring to the charging protection operation of the battery 1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a current sensor 23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attery 11, and a relay RLY1 is connected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battery 11 and the generator 12. Connect In addition, if the start switch SW3 is placed in the off position after the vehicle stops, the control signal CTL2 is generated such that power is connected only to the EMS block 22 and all other blocks are turned off. At this time, the time for supplying the power of the battery 11 to the ENS block 22 is set to about 10 seconds, and during this time the control signal CTL2 is turned on, and this time is the second set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CTL2 is turned on during the second set time, the relay RLY2 is kept in the on state and the engine is driven.

이때 배터리11과 발전기12 사이에 연결되는 릴레이RLY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CTL1을 제1설정시간 동안 활성화시키며, 그러면 상기 릴레이RLY1의 스위치SW1이 배터리11과 전류센서23 간의 통로를 형성하며, 이때 상기 전류센서23은 상기 배터리11에서 방전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1에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1은 상기 제어신호CTL1을 오프시켜 상기 배터리11과 전류센서23 간의 전류 통로를 차단하고, 수신된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11의 충전 상태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11의 충전전압이 설정된 기준전압 보다 큰 값을 가지면 상기 제어신호CTL2를 제2설정시간 동안 활성화시킨 후 오프시켜 EMS블록22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상기 배터리11의 충전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보다 작은 값을 가질 시 상기 제어신호CTL2를 제3설정시간 동안 활성화시킨 후 오프시켜 상기 배터리11이 충전할 수 있는 시간을 연장시킨다. 이때 상기 제3설정시간은 상기 배터리11가 충전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5분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1은 상기 발전기12에서 출력되는 전류 중 상기 EMS블록22의 구동전류를 제외한 나머지 전류를 모두 상기 배터리11에 인가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이로인해 재 시동시 필요한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trol signal CTL1 for controlling the relay RLY1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11 and the generator 12 is activated for a first set time, and then the switch SW1 of the relay RLY1 forms a passage between the battery 11 and the current sensor 23. The current sensor 23 senses a current discharged from the battery 11 and applies it to the controller 21. Then, the control unit 21 turns off the control signal CTL1 to block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battery 11 and the current sensor 23, and checks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11 by comparing the received voltage with a reference voltage. At this time, if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11 is greater than the set reference voltage, the control signal CTL2 is activated for a second set time and then turned off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EMS block 22, and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11 is set to the reference voltage. If it has a smaller value, the control signal CTL2 is activated for a third set time and then turned off to extend the time that the battery 11 can charge. In this case, the third preset time is set to a sufficient time for the battery 11 to be charg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5 minutes.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1 controls all of the currents output from the generator 12 except the drive current of the EMS block 22 to be applied to the battery 11, thereby securing energy required for restarting. .

도 3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ging operation of a vehic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자동차 운행 상태에서 차량 정차한 후 시동 스위치SW3이 오프되면, 상기 제어부21은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3단계에서 제어신호CTL1 및 제어신호CTL2를 온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신호CTL1은 제1설정시간 동안 온시킨다. 상기 제어신호CTL1이 온되면 트랜지스터Q1이 온되며, 이로인해 릴레이RLY1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스위치SW1이 스위칭되어 배터리11의 포지티브 단자와 전류센서23 간의 통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CTL2가 온되면 트랜지스터Q2가 온되며, 이로인해 릴레이RLY2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스위치SW2가 온된다. 따라서 상기 시동 스위치SW3이 오프되더라도 상기 스위치SW2에 의해 상기 EMS블록22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며, 이로인해 상기 EMS블록22는 상기 시동 스위치SW3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신호CTL2가 활성화되어 있는 주기 동안에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start switch SW3 is turned off after the vehicle is stopped in the vehicle driving state, the controller 21 detects it in step 311 and turns on the control signal CTL1 and the control signal CTL2 in step 313. At this time, the control signal CTL1 is turned on for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CTL1 is turned on, the transistor Q1 is turned on, so that a current flows in the coil of the relay RLY1, and the switch SW1 is switched to form a passage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battery 11 and the current sensor 23.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signal CTL2 is turned on, the transistor Q2 is turned on, so that a current flows in the coil of the relay RLY2, and the switch SW2 is turned on. Therefore, even if the start switch SW3 is turned off, the operation power is supplied to the EMS block 22 by the switch SW2. As a result, the EMS block 22 is operated while the control signal CTL2 is activated while the start switch SW3 is turned off. Normal operation will be performed.

이때 상기 스위치SW1에 의해 상기 배터리11과 전류센서23이 연결되면, 상기 전류센서23은 상기 배터리11에서 방전되는 전류의 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1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1은 3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7단계에서 배터리11의 충전전압과 미리 설정하여 저장된 기준전압을 비교한다.At this time, when the battery 11 and the current sensor 23 are connected by the switch SW1, the current sensor 23 detects the amount of current discharged from the battery 11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21. The control unit 21 detects this in step 315, and compares the pre-set and stored reference voltages with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11 in step 317.

이때 상기 배터리11의 충전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보다 큰 값을 가지면, 상기 제어부21은 상기 3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은 제1설정시간 경과시 상기 제어신호CTL1을 오프시키며, 상기 제어신호CTL2를 제2설정시간 동안 온 상태를 유지시킨 후 오프시킨다. 이때 상기 제1설정시간은 1초로서, 상기 제어신호CTL1이 오프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1이 오프되며, 이로인해 스위치SW1이 스위칭되어 상기 배터리11와 발전기12 간의 전류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CTL2가 온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EMS블록22에는 동작 전원이 공급되므로 상기 발전기12는 상기 제2설정시간 동안 발전 기능 수행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배터리11도 상기 제2설정시간 동안 충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설정시간은 10초가 된다.If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11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the controller 21 proceeds to step 321. In step 321, the control unit 21 turns off the control signal CTL1 when the first set time elapses, and maintains the control signal CTL2 in the on state for the second set time and then turns off. In this case, the first set time is 1 second, and when the control signal CTL1 is turned off, the transistor Q1 is turned off. Thus, the switch SW1 is switched to form a current path between the battery 11 and the generator 12.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signal CTL2 is in the on state, the EMS block 22 is supplied with operating power, so that the generator 12 performs a power generation function during the second set time, and thus the battery 11 also charges during the second set time. Will be performed. Here, the second preset time is 10 seconds.

그러나 상기319단계에서 배터리11의 충전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보다 작은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21은 상기 3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은 제1설정시간 경과시 상기 제어신호CTL1을 오프시키며, 상기 제어신호CTL2를 제3설정시간 동안 온 상태를 유지시킨 후 오프시킨다. 이때 상기 제1설정시간은 1초로서, 상기 제어신호CTL1이 오프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1이 오프되며, 이로인해 스위치SW1이 스위칭되어 상기 배터리11와 발전기12 간의 전류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CTL2가 온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EMS블록22에는 상기 제3설정시간 동안 동작 전원이 공급되므로 상기 발전기12는 상기 제3설정시간 동안 발전 기능 수행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배터리11도 상기 제3설정시간 동안 충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설정시간은 5분이 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19 that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11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the controller 21 proceeds to step 323. In step 323, the control unit 21 turns off the control signal CTL1 when the first set time elapses, and turns off the control signal CTL2 after maintaining the on state for the third set time. In this case, the first set time is 1 second, and when the control signal CTL1 is turned off, the transistor Q1 is turned off. Thus, the switch SW1 is switched to form a current path between the battery 11 and the generator 12.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signal CTL2 is in the on state, the EMS block 22 is supplied with operating power for the third set time, so that the generator 12 performs a power generation function during the third set time. 3 Charging operation is performed for the preset time. Here, the second preset time is 5 minute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보호회로는 시동 오프시 배터리11의 방전 전류량을 측정한 후 배터리11의 전류 크기가 설정 값 이상이면 정상적으로 EMS블록22의 구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배터리11의 전류 크기가 설정 값이 이하이면 상기 EMS블록22의 구동을 연장하여 발전기12를 계속 구동시키며, 이로인해 상기 배터리11이 상기 발전기12에서 발생하는 전류를 충전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charge protection circui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amount of discharge current of the battery 11 at start-off, and normally stops driving the EMS block 22 when the current magnitude of the battery 1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If the current magnitude of the battery 11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the drive of the EMS block 22 is extended to continuously drive the generator 12, whereby the battery 11 charges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generator 12.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되면 자동으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검사하며, 검사 결과 배터리가 저충전 상태이면 발전기를 연장 구동하여 자동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회로를 사용하면, 배터리의 소모가 많은 조건에서 운행을 하더라도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정차 후에도 항상 안정된 시동을 걸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방지하므로, 배터리를 불필요하게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 battery is automatically checked for charging. If the battery is in a low charging state, the generator is extended to drive the battery automatically. Therefore, by using the battery 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battery is running in a condition that consumes a lot of battery can maintain a constant state of charge, thereby enabling a stable start at all times after the stop. 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is completely discharg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attery does not need to be replaced unnecessarily.

Claims (2)

발전기에 의해 자동차의 동작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회로에 있어서,In the battery charging circuit of a vehicle having a battery for charging the operating power of the vehicle by a generator, 전류센서와, 제1제어신호 발생시 상기 배터리와 전류센서를 연결하는 제1스위치와, 제2제어신호 발생시 상기 배터리와 발전기를 연결하는 제2스위치를 구비하며, 시동 스위치오프시 상기 제1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전류센서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원을 수신하여 설정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설정전압 보다 낮을 시 상기 발전기를 연장 구동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회로.A current switch, a first switch 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current sensor when a firs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 second switch 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generator when a secon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Generates a battery and receives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from a current sensor and compares the set voltage with the battery when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is lower than the set voltage to drive the generator to charge the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for driving the battery . 발전기에 의해 자동차의 동작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방법에 있어서,In the battery charging method of a vehicle having a battery for charging the operating power of the vehicle by a generator, 시동 스위치 오프시 상기 배터리의 방전전류를 측정하며, 상기 방전전류의 크기가 설정된 기준전류 값 보다 작을 시 발전기를 연장 구동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방법.Measuring the discharge current of the battery when the ignition is switched off; and charging the battery by extending the generator when the discharge current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current value.
KR1019960073882A 1996-12-27 1996-12-27 Battery charging circuit and method of vehicle KR1001934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882A KR100193439B1 (en) 1996-12-27 1996-12-27 Battery charging circuit and method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882A KR100193439B1 (en) 1996-12-27 1996-12-27 Battery charging circuit and method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716A KR19980054716A (en) 1998-09-25
KR100193439B1 true KR100193439B1 (en) 1999-06-15

Family

ID=6638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3882A KR100193439B1 (en) 1996-12-27 1996-12-27 Battery charging circuit and method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4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552B1 (en) * 2005-04-11 2006-08-14 이미리 Apparatus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vehicles
WO2006109958A1 (en) * 2005-04-11 2006-10-19 Withland Co., Lt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vehicles
KR100921647B1 (en) * 2007-12-28 2009-10-14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A Over Voltage Prtection Circuit of Cell of Battery Pack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716A (en)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2813A (en) Battery charging system and electric vehicle with battery charging system
US7872447B2 (en) Electrical storage apparatus for use in auxiliary power supply supplying electric power from electric storage device upon voltage drop of main power supply
WO2012008124A1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EP0020098B1 (en) Gen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generators
JP2008182872A (en) Electricity storing apparatus
KR102024196B1 (en) Electricity storage system
KR101795169B1 (en) Method for jumping ignition of battery
JP5154306B2 (en) Vehicle power supply
JP2016201871A (en) Power storage system
US8237305B2 (en) Auxiliary electrical power system for vehicular fuel economy improvement
CN112218788A (en) In-vehicle power supply control device and in-vehicle power supply system
US5132605A (en) System for recharging the battery of a motor vehicle
KR100193439B1 (en) Battery charging circuit and method of vehicle
JP2643362B2 (en) Charge control circuit
US5936314A (en) Failure detecting device for a power supply changeover switch
KR20040074783A (en) Power apparatus of hybrid electric vehicle and method controlling thereof
KR101294491B1 (en) Alternator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 using a voltage conversion device
JP2001069683A (en) Power supply system
KR1999002200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formation of controlled voltages
KR200147895Y1 (en) Overdischarge prevention apparatus of a car battery
JPH09290684A (en) Headlamp lighting control device of small vehicle
JPH09261882A (en) Charging method and charging apparatus
KR100208155B1 (en) Battery automatic charging device
JP7378982B2 (en) Charging control device
KR0133235B1 (en) Over charge prevention device of an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