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1279A -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1279A
KR19990001279A KR1019970024537A KR19970024537A KR19990001279A KR 19990001279 A KR19990001279 A KR 19990001279A KR 1019970024537 A KR1019970024537 A KR 1019970024537A KR 19970024537 A KR19970024537 A KR 19970024537A KR 19990001279 A KR19990001279 A KR 19990001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image
video
scree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0126B1 (ko
Inventor
김주원
이재경
정진국
심봉천
정권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24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126B1/ko
Priority to US09/096,533 priority patent/US6300981B1/en
Publication of KR19990001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92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volatile storage medium, e.g. Random Access Memory [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Abstract

본 발명은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이 있는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청자가 표시를 원하는 영상을 저장하고 무신호시 또는 채널 변경 및 입력단자의 변경의 경우 상기 저장된 영상을 자동으로 표시함으로써 시청자의 무료함을 감소시키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영상 입력수단과, 영상 입력단자 또는 상기 영상 입력수단으로 절환되는 제1 스위치와, 이 제1 스위치에서의 영상신호를 제1 메모리에 일시 저장하고 스틸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출력하며 그때의 영상을 저장하라는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영상 데이터를 제2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수단과, 영상 입력단자의 영상신호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의 출력신호를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와, 이 제2 스위치에서의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씨알티(CRT)로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 수단과, 영상 입력단자에 영상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영상신호 검출 수단과, 키 입력에 따라 또는 상기 영상신호 검출 수단의 출력신호를 점검하여 무신호를 판별한 경우 시청자 스크린의 저장, 표시를 위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티브이(TV)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브이(TV)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다채널의 고주파(RF)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오디오 신호 처리를 통해 씨알티(CRT)로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스피커(SP)로 음성신호를 출력하며 스틸(STILL) 기능을 구비한 경우 소정 크기의 메모리를 구비하여 영상입력신호를 게속 저장하다가 스틸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출력하여 씨알티(CRT)의 화면에 스틸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스틸(STILL)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TV)는 도1 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국 또는 외부로부터의 영상 신호(Vp)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비디오 메모리(104)와, 노말 모드인 경우 상기 영상 신호(Vp)를 선택하고 스틸(STILL) 모드인 경우 상기 비디오 메모리(104)의 출력 신호(Vm)를 선택하는 스위치(101)와, 이 스위치(101)로부터의 출력신호(Vs)를 영상 처리하여 씨알티(CRT)(103)에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102)와, 방송국 또는 외부로붙의 음성신호(Ap)를 처리하여 스피커(SP)(108)에 출력하는 음성신호 처리부(107)와, 키 입력부(105)의 출력 신호를 점검하여 노말 모드인지 또는 스틸 모드인지를 판별함에 의해 상기 스위치(101)로 제어신호(Cs)를,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2)로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또는 틴트 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Cv)를, 상기 비디오 메모리(104)로 영상데이터의 읽기/쓰기를 위한 신호(Cm)를,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107)로 음량 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Ca)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2)는 비디오 매트릭스 회로등으로 구성된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109 는 방송국으로부터의 영상 신호 및 브이씨알 또는 캠코더와 같은 외부의 AV 기기로부터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영상 입력단자이고 110 는 음성 입력단자이다.
이와같은 일반적인 티브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이크로 컴퓨터(106)는 키 입력부(105)의 출력 신호를 점검하여 노말 모드인지 또는 스틸 모드인지를 판별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106)는 노말 모드로 판단한 경우 제어신호(Cs)를 스위치(101)로 출력하여 영상 입력단자(109)를 영상신호 처리부(102)에 접속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영상신호 처리부(102)는 영상 입력단자(109)로부터의 영상 신호(Vp)를 씨알티(103)의 화면에 표시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며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106)의 제어신호(Cv)에 따라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또는 틴트 등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동작과 같이 영상 입력단자(109)로부터의 영상 신호(Vp)를 처리하여 씨알티(103)의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중에 비디오 메모리(104)는 마이크로 컴퓨터(106)의 제어신호(Cm)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Vp)를 순차적으로 계속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이 수행될 때 음성 입력단자(110)로 입력되는 씨알티(103)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신호(Ap)는 음성신호 처리부(107)에서 처리되어 스피커(SP)(108)에 출력되며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106)의 제어신호(Ca)에 따라 음량 등을 제어하게 된다.
만일, 상기 동작과 같이 방송국 또는 외부로부터의 영상 신호(Vp)를 영상신호 처리부(102)에서 처리하여 씨알티(103)의 화면에 영상으로 표시하고 그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신호(Ap)를 음성신호 처리부(107)에서 처리하여 스피커(108)로 음성을 출력시키는 중에 사용자가 임의의 화면에 대한 영상을 보기 위해 키 입력부(105)에서 스틸(STILL) 키를 누르면 상기 키 입력부(105)의 출력신호를 점검한 마이크로 컴퓨터(106)는 스틸(STILL) 모드를 판별하여 제어신호(Cs)를 스위치(101)로 출력하며 상기 스위치(101)는 절환되어 비디오 메모리(104)의 출력단자를 영상신호 처리부(102)의 입력단자에 접속시키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106)는 제어신호(Cm)를 비디오 메모리(104)에 출력하여 그 비디오 메모리(104)에 저장된 데이터(Vm)를 영상신호 처리부(102)로 순차적으로 출력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영상신호 처리부(102)가 비디오 메모리(104)로부터의 영상신호(Vm)를 처리하여 씨알티(103)에 출력하며 그 씨알티(103)의 화면에는 소정 화면 분량의 스틸 영상이 반복적으로 표시되어진다.
이 후, 사용자가 키 입력부(105)에서 스틸(STILL) 해제키를 누르면 마이크로 컴퓨터(106)의 제어신호(Cs)에 의해 스위치(101)는 영상 입력단자(109)를 영상신호 처리부(102)에 접속시키게 되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06)의 제어신호(Cm)에 의해 비디오 메모리(104)는 상기 영상 입력단자(109)로부터의 영상신호(Vp)를 저장하는 쓰기 모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노말 모드의 동작이 다시 재개되어 씨알티(103)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며 그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이 스피커(108)로 출력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스틸 기능 해제시 또는 다른 화면 스틸시 현재 화면의 영상 데이터를 잃게 되고 시청자의 조작에 의해 스틸 영상을 표시하므로 티브이 시청중 무신호인 경우 또는 채널 및 입력단자의 변경 등의 경우 시청자가 지루함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청자가 표시를 원하는 영상을 저장하고 무신호시 또는 채널 변경 및 입력단자의 변경의 경우 상기 저장된 영상을 자동으로 표시함으로써 시청자의 무료함을 감소시키도록 창안한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이 있는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가족 사진 등의 화면에 시청자가 원하는 자막을 입력하고 원하는 화면 모드로 꾸밀 수 있는 시청자 스크린 꾸밈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티브이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도 2에서 메모리 제어부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도 5는 도 3에서 메모리 제어부의 블록도.
도 6은 도 2 및 도 3에서 영상 입력부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데이터 저장을 위한 신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무신호시 영상 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키 입력에 따른 영상 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스탠바이시의 영상 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채널 탐색시의 영상 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도 12은 본 발명에서 영상 편집에 따른 화면의 예시도.
도 13는 본 발명에서 채널 탐색의 순서를 보인 에시도.
도 14는 자화면 표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1,208,215 : 스위치 202 : 영상신호 처리부
203 : 씨알티(CRT) 204 : 영상신호 검출부
205 : 키 입력부206 : 마이크로 컴퓨터
207 : 전원부 209 :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부
210 : 메모리 제어부 211,212 : 메모리
213 :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부
214 : 영상 입력부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영상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영상 입력수단과, 영상 입력단자 또는 상기 영상 입력수단으로 절환되는 제1 스위치와, 이 제1 스위치에서의 영상신호를 제1 메모리에 일시 저장하고 스틸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출력하며 그때의 영상을 저장하라는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영상 데이터를 제2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수단과, 영상 입력단자의 영상신호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의 출력신호를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와, 이 제2 스위치에서의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씨알티(CRT)로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 수단과, 영상 입력단자에 영상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영상신호 검출 수단과, 키 입력에 따라 또는 상기 영상신호 검출 수단의 출력신호를 점검하여 무신호를 판별한 경우 시청자 스크린의 저장, 표시를 위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은 제1 스위치에서의 영상신호를 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의 출력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제1 메모리와, 시청자 스크린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와, 상기 제1 메모리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제2 스위치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과 상기 제1 메모리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고 시청자 스크린 저장 및 표시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메모리와 제2 메모리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제2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영상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영상 입력수단과, 영상 입력단자 또는 상기 영상 입력수단으로 절환되는 제1 스위치와, 이 제1 스위치에서의 영상신호를 제1 메모리에 일시 저장하고 스틸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출력하며 영상 편집된 데이터를 궤환받아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고 영상을 시청자 스크린을 위하여 저장하라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해당 영상 데이터를 제2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수단과, 온스크린 데이터를 출력하는 온스크린 처리 수단과, 영상 입력단자 또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 또는 온스크린 처리 수단으로 스위칭되는 제2 스위치와, 이 제2 스위치에서의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씨알티(CRT)로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 수단과, 영상 입력단자에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출하는 영상신호 검출 수단과, 키 입력에 따라 시청자 스크린의 저장, 표시 및 편집을 위하여 또는 영상신호 검출수단의 출력신호를 점검하여 무신호시 시청자 스크린의 표시를 위하여 상기 메모리 제어 수단 및 온스크린 처리 수단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은 제1 스위치에서의 영상신호를 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과, 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의 출력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제1 메모리와, 시청자 스크린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와, 상기 제1 메모리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과,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과 상기 제1 메모리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고 시청자 스크린 저장 및 표시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메모리와 제2 메모리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제2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하며 편집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로 궤환시키는 메모리 제어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키 입력 또는 무신호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스틸 키의 입력인 경우 제1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영상 편집키가 입력된 경우 시청자의 키 입력에 따라 영상을 편집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영상 저장키가 입력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제1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제2 메모리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영상 표시키가 입력된 경우 제2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제1 메모리에 전송하고 그 제1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시청자 스크린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채널 탐색키가 입력된 경우 채널 탐색의 끝이면 제2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제1 메모리로 저장하고 그 제1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시청자 스크린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무신호를 판별하면 제2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제1 메모리에 전송하고 그 제1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시청자 스크린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스탠바이키가 입력된 경우 특정 회로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제2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제1 메모리에 전송한 후 그 제1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시청자 스크린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영상 입력부(214)와, 영상 입력단자(200) 또는 상기 영상 입력부(214)로 절환되는 스위치(208)와, 이 스위치(208)에서의 영상신호(Vs2)를 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9)와, 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9)의 출력신호(Vd1)를 일시 저장하는 비디오 메모리(211)와, 시청자 스크린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212)와, 상기 비디오 메모리(211)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13)와, 영상 입력단자(200)의 영상신호 또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13)의 출력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치(201)와, 이 스위치(201)에서의 영상신호(Vs1)를 처리하여 씨알티(CRT)(203)로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202)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9)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13)와 상기 비디오 메모리(211)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고 시청자 스크린 저장 및 표시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비디오 메모리(211)와 플래시 메모리(212)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스위치(201)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Cs2)를 출력하는 메모리 제어부(210)와, 영상 입력단자(200)에서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신호 검출부(204)와, 키 입력부(205)의 출력신호에 따라 스틸(STILL) 모드, 시청자 스크린 저장 및 표시 모드가 설정된 경우 또는 상기 영상신호 검출부(204)의 출력신호를 점검하여 무신호를 판별한 경우 시청자 스크린의 저장, 표시를 위하여 상기 메모리 제어부(21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Cm)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206)와, 이 마이크로 컴퓨터(206)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07)로 구성한다.
상기 메모리 제어부(210)는 도3 의 블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9)의 출력신호(Vd1)를 압축하는 MPEG 인코더(301)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9) 또는 플래시 메모리(212)를 비디오 메모리(211)에 접속시키는 멀티플렉서(302)와, 상기 비디오 메모리(211)의 출력신호를 복호,신장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13)에 출력하는 MPEG 디코더(303)와, 마이크로 컴퓨터(206)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멀티플렉서(302), 비디오 메모리(211) 및 플래시 메모리(212)의 동작을 제어하며 스위치(201)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입출력 제어기(304)로 구성한다.
또한, 도4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영상 입력부(214)와, 영상 입력단자(200) 또는 상기 영상 입력부(214)로 절환되는 스위치(208)와, 이 스위치(208)에서의 영상신호(Vs2)를 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9)와, 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9)의 출력신호(Vd1)를 일시 저장하는 비디오 메모리(211)와, 시청자 스크린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212)와, 상기 비디오 메모리(211)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13)와, 온스크린 데이터를 출력하는 온스크린 처리부(216)와, 영상 입력단자(200) 또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13) 또는 온스크린 처리부(216)로 스위칭되는 스위치(215)와, 이 스위치(215)에서의 영상신호(Vs1)를 처리하여 씨알티(CRT)(203)로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203)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9)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13)과 상기 비디오 메모리(211)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고 시청자 스크린 저장 및 표시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비디오 메모리(211)와 플래시 메모리(212)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스위치(215)의 스위칭을 제어하며 편집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스위치(215)의 출력신호(Vs1)를 상기 비디오 메모리(211)로 궤환시키는 메모리 제어부(210)와, 영상 입력단자(200)에서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신호 검출부(204)와, 키 입력부(205)의 출력 신호에 따라 스틸 모드, 시청자 스크린 저장 및 표시 모드가 설정된 경우 또는 상기 영상신호 검출부(204)의 출력신호(Vt)를 점검하여 무신호를 판별한 경우 시청자 스크린의 저장, 표시 및 편집을 위하여 상기 메모리 제어부(210) 및 온스크린 처리부(216)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Cm)(Cd)는 마이크로 컴퓨터(206)와, 이 마이크로 컴퓨터(206)의 제어신호(Cp)에 의해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07)로 구성한다.
상기 메모리 제어부(210)는 도5 의 블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9)의 출력신호(Vd1)를 압축하는 MPEG 인코더(301)와, 이 MPEG 인코더(301) 또는 플래시 메모리(212) 또는 스위치(215)를 비디오 메모리(211)에 접속시키는 멀티플렉서(302a)와, 상기 비디오 메모리(211)의 출력신호를 복호,신장시키는 MPEG 디코더(303)와, 마이크로 컴퓨터(206)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멀티플렉서(302a), 비디오 메모리(211), 플래시 메모리(212) 및 스위치(215)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Sm)(RW1)(RW2)(Cs2)를 출력하는 메모리 입출력 제어기(304)로 구성한다.
상기 영상 입력부(214)는 도6 의 블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한다.
즉, 영상 입력부(214)는 도6 (a)의 블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청자가 원하는 사진 화면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캐너(311)와, 이 스캐너(311)의 출력신호를 티브이 포맷에 적합하게 변환하는 포맷 변환부(312)로 구성한다.
또한, 영상 입력부(214)는 도6 (b)의 블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물을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321)와, 이 카메라(321)의 출력신호를 티브이 포맷에 적합하게 변환하는 포맷 변환부(322)로 구성한다.
상기 비디오 메모리(211)는 정지(STILL) 화면 표시용 비디오 램(Video RAM)으로 nsec 이상의 속도로 읽기,쓰기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212)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화면 저장용 리라이터블(Rewritable) 롬(ROM)으로 msec 의 속도로 읽기,쓰기 동작을 수행하며 이이피롬(EEPROM)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202)는 색신호 처리 매트릭스 회로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는 영상 입력부(214)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시청자 자신이 원하는 사진 등의 화면을 입력하려는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206)의 제어신호(Cs1)에 의해 스위치(208)를 상기 영상 입력부(214)에 절환시키게 된다.
이때, 영상 입력부(214)는 도6 의 블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캐너(311)로 시청자가 원하는 사진 화면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면 포맷 변환부(312)가 상기 스캐너(311)의 출력신호를 티브이 포맷에 적합하게 변환하여 스위치(208)로 출력하거나 또는 카메라(321)로 대상물을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면 포맷 변환부(322)가 상기 카메라(321)의 출력신호를 티브이 포맷에 적합하게 변환하여 상기 스위치(208)에 출력하게 된다.
또는, 튜너(도면 미도시)로부터의 방송 신호, 브이씨알(VCR) 또는 캠코더 등의 AV 기기의 입력신호 등으로부터 시청자 스크린을 입력시키려는 경우 키 입력부(20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은 마이크로 컴퓨터(206)는 제어신호(Cs1)를 출력하여 스위치(208)를 영상 입력단자(200)으로 절환시키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208)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Vs2)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9)에서 디지털 데이터(Vd1)로 변환하고 그 디지털 데이터( Vd1)를 입력받은 메모리 제어부(210)는 압축한 후 제어신호(RW1)를 출력하여 비디오 메모리(211)에 저장하게 된다.
이 후, 키 입력부(205)에서 스틸 모드가 설정되면 마이크로 컴퓨터(206)에서 제어신호(Cm)를 입력받은 메모리 제어부(210)는 절환신호(Cs2)를 출력하여 스위치(201 또는 215)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13)에 접속시킴과 아울러 상기 비디오 메모리(211)의 저장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13)에 출력하여 영상신호 처리부(202)를 통해 씨알티(203)의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시청자가 씨알티(203)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중 시청자 스크린으로 표시를 원하는 영상이 표시되면 키 입력부(205)에서 영상 저장키를 입력하면
메모리 제어부(210)는 상기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비디오 메모리(211)로부터 플래시 메모리(212)로 전송하여 저장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영상 입력단자(200)에서의 영상신호(Vp)로부터 시청자 스크린을 위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 입력단자(200)에서의 영상신호(Vp)가 스위치(201)를 통해 영상신호 처리부(202)에 입력되어 영상 처리된 후 씨알티(203)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며 동시에 상기 영상 입력단자(200)에서의 영상 신호(Vp)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209)에서 디지털 신호(Vd1)로 변환되어 메모리 제어부(210)의 제어신호(RW1)에 의해 비디오 메모리(211)에 순차적으로 저장되어진다.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206)는 키 입력부(205)의 출력신호를 점검하여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이 있는지를 계속 판단하는데, 스틸(STILL) 키의 입력을 판별한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206)는 메모리 제어부(210)에 제어신호(Cm)를 출력하고 상기 메모리 제어부(210)는 제어신호(Cs2)를 출력하여 스위치(201)를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기(213)로 절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메모리 제어부(210)에 의해 비디오 메모리(211)의 저장 데이터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13)에 출력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그 아날로그 신호는 스위치(201)를 통해 영상신호 처리부(202)에 출력되어 영상 처리되며 그 영상 처리된 신호를 입력받은 씨알티(203)는 화면에 정지 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틸 기능에 의해 시청자 스크린을 표시하는 중에 시청자 스크린으로 표시를 원하는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키 입력부(205)에서 시청자 스크린 저장키를 눌러 해당 화면 영상의 저장을 설정하게 된다.
이때, 키 입력부(20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은 마이크로 컴퓨터(206)는 씨알티(203)의 화면에 표시되는 현재의 영상을 플래시 메모리(212)에 저장하기 위한 제어신호(Cm)를 메모리 제어부(210)에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메모리 제어부(210)는 메모리 입출력 제어기(304)가 멀티플렉서(302)에 절환신호(Sm)를 출력하여 비디오 메모리(211)와 플래시 메모리(212)간의 데이터 버스를 접속시키고 상기 비디오 메모리(211)와 플래시 메모리(212)에 제어신호(RW1)(RW2)를 각기 출력하여 상기 비디오 메모리(211)로부터 상기 씨알티(203)의 화면에 표시되는 현재의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플래시 메모리(212)에 저장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212)에 시청자 스크린으로 표시를 원하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후 키 입력부(205)에서 시청자 스크린 표시키가 눌리면 마이크로 컴퓨터(206)는 제어신호(Cm)를 메모리 제어부(210)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메모리 제어부(210)는 메모리 입출력 제어기(304)에서 절환신호(Cs2)(Sm)를 출력하여 스위치(201)를 절환시킴과 동시에 멀티플렉서(302)를 절환시키며 이 후 제어신호(RW1)(RW2)를 비디오 메모리(211)와 플래시 메모리(212)에 각기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212)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비디오 메모리(211)에 저장되며 상기 비디오 메모리(211)의 저장 데이터는 MPEG 디코더(303)에서 신장되어 스위치(201)를 통해 씨알티(203)에 출력됨에 의해 화면에 시청자 스크린의 영상이 표시되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시청자 스크린의 영상이 표시될 때 사용자는 도11 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경 화면을 편집하거나 시청자 스크린에 대응하는 년월일 및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도4 및 도5 의 블록도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수행되어진다.
먼저, 씨알티(203)의 화면에 시청자 스크린의 정지 영상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가 키 입력부(205)에서 영상 편집키를 누르면 마이크로 컴퓨터(206)는 제어신호(Cm)를 메모리 제어부(210)에 출력함과 동시에 제어신호(Cd)를 온스크린 처리부(216)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온스크린 처리부(216)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205)에서 선택하는 해당 키에 대응하는 온스크린 데이터를 출력하며 메모리 제어부(210)는 스위치(215)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13)의 출력신호와 상기 온스크린 처리부(216)의 출력신호를 스위칭하도록 메모리 입출력 제어기(304)에서 절환신호(Cs2)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영상신호 처리부(202)에서 스위치(216)의 출력신호를 영상 처리하여 씨알티(203)에 출력하며 그 씨알티(203)의 화면에 사용자가 편집한 영상이 표시되어진다.
이때, 사용자가 키 입력부(205)에서 시청자 스크린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키를 누르면 마이크로 컴퓨터(206)의 제어신호(Cm)를 입력받은 메모리 제어부(210)는 메모리 입출력 제어기(304)가 절환신호(Sm)를 멀티플렉서(302a)에 출력하여 스위치(216)의 출력단자를 비디오 메모리(211)에 접속시키고 제어신호(RW1)를 상기 비디오 메모리(211)에 출력하여 상기 스위치(216)에서의 출력신호(Vd1)를 저장시키게 된다.
이 후, 메모리 입출력 제어기(304)는 절환신호(Sm)를 멀티플렉서(302a)에 출력하여 비디오 메모리(211)와 플래시 메모리(212)를 접속시키고 제어신호(RW1)(RW2)를 상기 비디오 메모리(211)와 플래시 메모리(212)에 출력하여 편집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플래시 메모리(212)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에서 도12 (a)(b)와 같이 화면의 배경을 액자 또는 임의의 형태를 표시하도록 편집할 수 있으며 도12 (c)와 같은 화면으로 편집하는 경우 배경 화면의 색상, 영상에 대응하는 문구 예로, 축 백일, 축 결혼 등을 원하는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가 키 입력부(205)에서 시청자 스크린 표시키를 입력시키면 마이크로 컴퓨터(206)의 제어신호(Cm)를 입력받은 메모리 제어부(210)는 메모리 입출력 제어기(304)가 절환신호(Sm)를 멀티플렉서(302a)에 출력하여 플래시 메모리(212)를 비디오 메모리(211)에 접속시키고 동시에 제어신호(RW2)(RW1)를 상기 플래시 메모리(212)와 비디오 메모리(211)에 각기 출력하여 상기 플래시 메모리(212)에 저장된 영상 편집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메모리(211)에 출력시키게 된다.
이 후, 비디오 메모리(211)의 저장 데이터는 MPEG 디코더(303)에서 복호되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13)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는 스위치(215), 영상신호 처리부(202)를 순차 통해 씨알티(203)에 입력되며 그 씨알티(203)에 시청자 스크린이 표시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시청자 스크린 저장 및 표시 그리고 편집을 위한 동작은 도9 의 신호 흐름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되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는 영상신호 검출부(204)가 영상 입력단자(200)로 입력되는 영상신호(Vp)의 유무를 검출하는데, 만일 영상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영상신호 검출부(204)의 출력 신호(Vt)를 점검한 마이크로 컴퓨터(206)는 시청자 스크린을 표시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212)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중 특정 데이터를 출력함과 동시에 스위치(201 또는 215)를 절환시키도록 제어신호(Cm)를 메모리 제어부(210)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메모리 제어부(210)는 제어신호(Cm)를 입력받은 메모리 입출력 제어기(304)가 제어신호(Sm)를 멀티플렉서(302)에 출력하여 플래시 메모리(212)를 비디오 메모리(211)에 접속시키고 제어신호(RW2)(RW1)를 상기 플래시 메모리(212)와 비디오 메모리(211)에 각기 출력하여 상기 플래시 메모리(212)의 저장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메모리(211)에 저장시키며 절환신호(Cs2)를 출력하여 스위치(201 또는 215)를 절환시킴에 의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13)와 영상신호 처리부(202)를 접속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212)의 저장 데이터는 비디오 메모리(211)에 저장된 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13)를 통해 영상신호 처리부(202)에 출력되고 그 영상신호 처리부(202)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은 씨알티(203)는 시청자 스크린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무신호시의 시청자 스크린 표시 동작은 도8 의 신호 흐름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되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정 방송을 시청하기 위하여 채널을 탐색하는 중에 설정된 모든 채널의 탐색이 종료된 경우 시청자 스크린을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먼저, 특정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키 입력부(205)에서 채널 업/다운키를 계속 누르게 되면 마이크로 컴퓨터(206)에서의 튜닝제어신호에 의해 해당 채널을 선국하며 그 선국된 채널의 영상신호(Vp)는 영상신호 처리부(202)에서 영상 처리되고 그때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은 씨알티(203)는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채널 탐색을 계속 수행하면 도12 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채널 변경을 수행하게 되며 만일, 설정된 채널의 탐색이 종료되어 시청자 스크린 표시 모드가 되면 마이크로 컴퓨터(206)는 제어신호(Cm)를 메모리 제어부(210)에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8 의 신호 흐름중 루틴(S1)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메모리 제어부(210)가 절환신호(Cs2) 및 제어신호(RW1)(RW2)를 출력함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212)의 저장 데이터가 비디오 메모리(211)에 저장되고 그 비디오 메모리(211)의 저장 데이터가 영상신호 처리부(202)를 통해 씨알티(203)에 출력되어 시청자 스크린이 표시되어진다.
이러한 시청자 스크린의 표시는 도13 의 예시도와 같이 설정 채널의 순환적 탐색이 모두 수행되고 키 입력부(205)에서 채널 업/다운키를 선택하는 경우 탐색되었던 채널의 탐색이 다시 시작됨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채널 탐색시의 시청자 스크린 표시 동작은 도11 의 신호 흐름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티브이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도 시청자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도10 의 신호 흐름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되어진다.
먼저, 마이크로 컴퓨터(206)는 키 입력부(205)의 출력신호를 점검하다가 스탠바이 모드를 판단하면 전원부(207)를 제어하여 메모리 제어부(210), 비디오 메모리(211), 플래시 메모리(212), 영상신호 처리부(202) 및 씨알티(203) 등의 특정 회로에만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메모리 제어부(210)가 절환신호(Cs2) 및 제어신호(RW1)(RW2)를 출력함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212)의 저장 데이터가 비디오 메모리(211)에 저장되고 그 비디오 메모리(211)의 저장 데이터가 영상신호 처리부(202)를 통해 씨알티(203)에 출력되어 시청자 스크린이 표시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자화면(PIP)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에 적용하는 경우 도14 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씨알티(203)의 화면에 자화면 영상이 표시될 때 시청자 스크린으로 표시를 원하는 영상이 존재하면 스틸(STILL) 모드를 설정하여 자화면에 정지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 후, 시청자 스크린으로 표시하기 위한 영상이 표시되어 키 입력부(205)에서 영상 저장키를 입력하면 도7 의 신호 흐름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시청자 스크린을 위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마이크로 컴퓨터(206)가 메모리 제어부(210)를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한 과정이 수행되어 플래시 메모리(212)에 시청자 스크린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진다.
즉,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212)에 가족 사진 등의 정지 화상을 저장하여 앨범 표시 선택시, 티브이 파워 오프시, 무신호시 또는 채널 절환시등과 같은 미리 정해진 조건에서 시청자 스크린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 영상 신호가 없는 경우 티브이가 오프시 또는 채널 절환시에 가족 사진 등을 시청자 스크린으로 표시함으로써 시청자의 무료함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5)

  1. 영상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영상 입력수단과, 이 영상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제1 메모리와, 이 제1 메모리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시청자 스크린의 영상 데이터로 저장하는 비휘발성인 제2 메모리와, 시청자 스크린 영상 데이터 저장인 경우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제2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스크린 영상 데이터 출력인 경우 상기 제2 메모리로부터 제1 메모리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영상 처리를 행하는 영상 처리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영상 입력단자 또는 상기 영상 입력수단으로 절환되어 영상 데이터를 제1 메모리에 출력하는 제1 스위치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영상 입력단자의 영상신호 또는 상기 제2 메모리의 출력신호를 스위칭하여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수단으로 출력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무신호시 시청자 스크린을 표시하도록 영상 입력단자에 영상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제어부에 출력하는 영상신호 검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메모리는 비디오 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2 메모리는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영상 입력수단은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스캐너와, 이 스캐너의 출력신호를 티브이 포맷으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영상 입력수단은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이 카메라부의 출력신호를 티브이 포맷으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8. 영상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영상 입력수단과, 이 영상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제1 메모리와, 이 제1 메모리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시청자 스크린의 영상 데이터로 저장하는 비휘발성인 제2 메모리와, 시청자 스크린 영상 데이터 저장인 경우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제2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 스크린 영상 데이터 출력인 경우 상기 제2 메모리로부터 제1 메모리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제1,제2 메모리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와,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영상 처리를 행하는 영상 처리 수단과, 키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제어 또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시청자 스크린의 저장 및 표시를 위해 상기 메모리 제어부 및 영상 처리수단을 제어하는 티브이 제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티브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영상 입력단자 또는 상기 영상 입력수단으로 절환되여 영상 데이터를 제1 메모리에 출력하는 제1 스위치와, 메모리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영상 입력단자의 영상신호 또는 상기 제2 메모리의 출력신호를 스위칭하여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수단으로 출력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무신호시 시청자 스크린을 표시하도록 영상 입력단자에 영상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제어부에 출력하는 영상신호 검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메모리 제어부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 또는 제2 메모리를 제1 메모리에 접속시키는 멀티플렉서와, 티브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멀티플렉서 및 제1,제2 메모리의 동작을 제어하며 제2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입출력 제어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메모리 제어부는 입력 영상신호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 또는 제2 메모리를 제1 메모리에 접속시키는 멀티플렉서와, 티브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멀티플렉서 및 제1,제2 메모리의 동작을 제어하며 제1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입출력 제어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13. 영상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영상 입력수단과, 이 영상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제1 메모리와, 이 제1 메모리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시청자 스크린의 영상 데이터로 저장하는 비휘발성인 제2 메모리와, 사용자 스크린 발생시 출력 문자 및 배경 데이터를 출력하는 온스크린 처리부와, 시청자 스크린 영상 데이터 저장인 경우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제2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스크린 영상 데이터 출력인 경우 상기 제2 메모리로부터 제1 메모리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 스크린에 문자 정보 또는 배경을 표시하도록 상기 온스크린 처리부를 제어하여 사용자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영상 처리를 행하는 영상 처리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영상 입력단자 또는 상기 영상 입력수단으로 절환되어 영상 데이터를 제1 메모리에 출력하는 제1 스위치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영상 입력단자의 영상신호 또는 상기 제2 메모리의 출력신호를 스위칭하여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수단으로 출력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무신호시 시청자 스크린을 표시하도록 영상 입력단자에 영상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제어부에 출력하는 영상신호 검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16. 영상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영상 입력수단과, 이 영상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제1 메모리와, 이 제1 메모리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시청자 스크린의 영상 데이터로 저장하는 비휘발성인 제2 메모리와, 사용자 스크린 발생시 출력 문자 및 배경 데이터를 출력하는 온스크린 처리부와, 시청자 스크린 영상 데이터 저장인 경우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제2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 스크린 영상 데이터 출력인 경우 상기 제2 메모리로부터 제1 메모리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제1,제2 메모리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와,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영상 처리를 행하는 영상 처리 수단과, 키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제어 또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시청자 스크린의 저장 및 표시를 위해 상기 메모리 제어부, 온스크린 처리부 및 영상 처리수단을 제어하는 티브이 제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티브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영상 입력단자 또는 상기 영상 입력수단으로 절환되여 영상 데이터를 제1 메모리에 출력하는 제1 스위치와, 메모리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영상 입력단자의 영상신호 또는 상기 제2 메모리의 출력신호를 스위칭하여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수단으로 출력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무신호시 시청자 스크린을 표시하도록 영상 입력단자에 영상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제어부에 출력하는 영상신호 검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19. 키 입력을 판별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스틸 키의 입력인 경우 제1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영상 저장키가 입력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제1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제2 메모리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 방법.
  20. 키 입력을 판별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스틸 키의 입력인 경우 제1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영상 편집키의 입력인 경우 시청자의 키입력에 따라 화면 편집을 수행하는 제3 단계와, 상기에서의 편집 영상 데이터를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4 단계와, 상기에서 영상 저장키가 입력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편집 영상에 대응하는 제1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제2 메모리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제5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화면 편집은 배경 화면 및 그 배경 화면의 색상을 조정하고 영상에 대한 문자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 방법.
  22.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여 시청자 스크린으로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키 입력을 판별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채널 탐색키이면 채널 업 또는 다운에 따라 해당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면서 채널 탐색의 끝인지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채널 탐색의 끝이면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시청자 스크린으로 표시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표시 방법.
  23.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여 시청자 스크린으로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키 입력을 판별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스탠바이 모드의 키 입력이면 특정 회로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메모리의 저장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시청자 스크린으로 표시하는 제2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표시 방법.
  24.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여 시청자 스크린으로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신호 여부를 판별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무신호를 판별한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시청자 스크린으로 표시하는 제2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표시 방법.
  25. 키 입력을 판별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시청자 스크린 저장키가 입력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저장된 영상을 기설정된 조건이 되면 자동 디스플레이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방법.
KR1019970024537A 1997-06-13 1997-06-13 시청자스크린디스플레이기능을구비한티브이의영상데이터저장/표시장치및그방법 KR100260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537A KR100260126B1 (ko) 1997-06-13 1997-06-13 시청자스크린디스플레이기능을구비한티브이의영상데이터저장/표시장치및그방법
US09/096,533 US6300981B1 (en) 1997-06-13 1998-06-12 Image data storage/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television receiver having viewer's screen display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537A KR100260126B1 (ko) 1997-06-13 1997-06-13 시청자스크린디스플레이기능을구비한티브이의영상데이터저장/표시장치및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279A true KR19990001279A (ko) 1999-01-15
KR100260126B1 KR100260126B1 (ko) 2000-07-01

Family

ID=1950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537A KR100260126B1 (ko) 1997-06-13 1997-06-13 시청자스크린디스플레이기능을구비한티브이의영상데이터저장/표시장치및그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00981B1 (ko)
KR (1) KR10026012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067A (ko) * 2000-08-05 2002-02-15 전주범 텔레비젼 수상기의 바탕화면 선택표시방법
KR20020015848A (ko) * 2000-08-23 2002-03-02 윤종용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한 텔레비젼 및 이 장치의 초기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370823B1 (ko) * 2000-08-05 2003-02-25 대우전자주식회사 무신호 구간에서의 저장 데이터 표시방법
KR100377247B1 (ko) * 2001-11-08 2003-03-26 (주)비젼컴 액자 기능을 가진 텔레비전
KR100488818B1 (ko) * 1997-10-17 2006-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방송을수신하는영상기기에서대기화면디스플레이방법
KR100672393B1 (ko) * 1999-08-19 200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변경시 정보 출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696B1 (ko) * 1998-06-29 2001-03-15 윤종용 Mpeg 복호 블럭에서의 수평/수직 주파수 변환장치
US7020892B2 (en) * 1999-09-03 2006-03-28 Lsi Logic Corporation Time-shifted video signal processing
KR100360881B1 (ko) * 2000-01-07 2002-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탈 티브이의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010083413A (ko) * 2000-02-12 2001-09-01 박종섭 모니터의 정상 동작 표시 회로
KR20020030304A (ko) * 2000-10-17 2002-04-25 정재용 텔레비전의 배경화면 표시시스템
KR20010079379A (ko) * 2001-07-10 2001-08-22 전혜순 벽걸이형 텔레비전
US6982765B2 (en) * 2001-09-14 2006-01-03 Thomson Licensing Minimizing video disturbance during switching transients and signal absence
US7245316B2 (en) * 2002-01-25 2007-07-17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even tube burn-in
KR100866869B1 (ko) * 2002-02-27 2008-11-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지털 티브이의 부가 서비스 시스템
CN1200556C (zh) * 2003-08-04 2005-05-04 上海源创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电视接收功能的电子相框
US20060044468A1 (en) * 2004-08-25 2006-03-02 Cirrus Logic, Inc. Single-chip analog to digital video decoder with on-chip vertical blanking interval data slicing during low-power operations
KR20060067694A (ko) * 2004-12-15 2006-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754877B1 (ko) * 2005-02-14 2007-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Tv 및 tv의 wpss 모드 설정방법
KR100710272B1 (ko) * 2006-07-20 200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예약방법
KR101314283B1 (ko) * 2010-12-08 2013-10-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JP6028936B2 (ja) * 2011-03-10 2016-11-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及びそれを含む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2208897A (ja) * 2011-03-30 2012-10-25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入出力回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3853A (ja) * 1991-12-28 1993-07-23 Motohiro Seisakusho:Kk 静止画像自動表示装置
JPH0686167A (ja) * 1992-09-07 1994-03-25 Sharp Corp テレビモニタ装置
JPH0787432A (ja) * 1993-06-29 1995-03-31 Canon Inc 電子アルバム装置
KR970010089B1 (en) * 1994-05-31 1997-06-21 Samsung Aerospace Ind Image input/output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for video signal
KR0160713B1 (ko) * 1995-08-05 1999-01-15 김광호 정지 화상 저장 및 이를 표시하는 텔레비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818B1 (ko) * 1997-10-17 2006-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방송을수신하는영상기기에서대기화면디스플레이방법
KR100672393B1 (ko) * 1999-08-19 200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변경시 정보 출력 방법
KR20020012067A (ko) * 2000-08-05 2002-02-15 전주범 텔레비젼 수상기의 바탕화면 선택표시방법
KR100370823B1 (ko) * 2000-08-05 2003-02-25 대우전자주식회사 무신호 구간에서의 저장 데이터 표시방법
KR20020015848A (ko) * 2000-08-23 2002-03-02 윤종용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한 텔레비젼 및 이 장치의 초기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377247B1 (ko) * 2001-11-08 2003-03-26 (주)비젼컴 액자 기능을 가진 텔레비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00981B1 (en) 2001-10-09
KR100260126B1 (ko)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0126B1 (ko) 시청자스크린디스플레이기능을구비한티브이의영상데이터저장/표시장치및그방법
KR100205158B1 (ko) 자동 채널 샘플링 픽쳐-인-픽쳐 회로
KR100523323B1 (ko) 동일한 채널 데지그네이터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신호 소스 중에서 하나의 신호 소스를 선택하는 방법
KR100518945B1 (ko) 전자식 텔레비전 스케줄 시스템을 위한 고선명/표준 선명 가이드 변환기
US7546627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nd recording apparatus
KR0160713B1 (ko) 정지 화상 저장 및 이를 표시하는 텔레비젼
KR101134753B1 (ko) 디지털 티브이 복합기의 서비스타입별 서비스 데이터기록방법
US63448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object in TV program
KR20080037819A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탐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30954B1 (ko) 다중화면 설정방법
KR20040098852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채널 전환시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0163135B1 (ko) 문자/수화처리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KR20010044861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전자 액자 기능 수행 방법
KR19990039297A (ko) Pip텔레비전에서 채널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970014204A (ko) 텔레비전의 배경화면처리장치와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background pictrue of television)
JP2000195243A (ja) 自動録画システム、自動録画システムに対応した映像音声記録装置及び映像音響機器
KR100200284B1 (ko) 타이틀곡비교에 의한 텔레비젼의 예약녹화방법
KR200155134Y1 (ko) 와이드 스크린 신호를 이용한 화면 자동 조정 장치
KR100252719B1 (ko) 텔레비전의 전문정보채널 출력장치
KR100327362B1 (ko) 디지털 티브이(Digital TV)의 출력 영상 변환장치
KR20020014555A (ko) 디지털 티브이의 정보 저장장치 및 방법
KR100698183B1 (ko) 선호 채널 저장을 위한 텔레비전 및 그를 이용한 선호 채널저장 방법
KR100193098B1 (ko) 더블 윈도우 화면을 이용한 자막위치 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75174A (ko) 변경된 텍스트 내용의 부화면 자동 출력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KR100242113B1 (ko) 텔레비젼수상기의 한글자막삭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