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247B1 - 액자 기능을 가진 텔레비전 - Google Patents

액자 기능을 가진 텔레비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247B1
KR100377247B1 KR10-2001-0069346A KR20010069346A KR100377247B1 KR 100377247 B1 KR100377247 B1 KR 100377247B1 KR 20010069346 A KR20010069346 A KR 20010069346A KR 100377247 B1 KR100377247 B1 KR 100377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levision
audio
stored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5516A (ko
Inventor
이광진
Original Assignee
(주)비젼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젼컴 filed Critical (주)비젼컴
Priority to KR10-2001-0069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247B1/ko
Publication of KR20020045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2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283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 H04N1/0029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with a television signal recorder, e.g. for recording facsimile images on a VC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텔레비전을 보지 않을 때에는 저장되어 있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자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텔레비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텔레비전은 외부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표시부에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오디오부에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디코더를 더 포함한다. 텔레비전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리모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리모콘으로부터 모드 변경 신호가 수신되면 텔레비전 방송을 표시부 및 오디오부를 통해 출력하는 TV 모드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을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액자 모드가 번갈아 선택된다.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은 제어부가 텔레비전 모드에서 방송되는 텔레비전 화면을 캡처하여 저장부에 저장한 것일 수도 있으며, 제어부가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한 것일 수도 있다.

Description

액자 기능을 가진 텔레비전 {Television with framed picture feature}
본 발명은 액자기능을 가진 텔레비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텔레비전을 보지 않을 때에는 저장되어 있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자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텔레비전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은 가정, 사무실, 역대합실, 음식점 등 매우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고 있지만, 텔레비전 방송을 보지 않는 동안에는 꺼놓게 된다. 이와 같이 텔레비전방송을 보지 않는 동안에는 텔레비전은 자리만 차지하고 있을 뿐 아무런 용도가 없었다.
한편, 종래에는 텔레비전의 표시소자로서 브라운관이 사용되었지만 표시소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TFT LCD(Thin-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나 PDP(Plasma Display Panel) 등와 같이 박형(薄形) 디스플레이 소자가 텔레비전의 표시소자로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박형 디스플레이 소자는 그 두께가 수 센티미터에 불과하여 벽에 걸거나 심지어는 천장에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제 텔레비전은 자리를 차지하는 덩치 큰 전자제품이 아니라 벽이나 천장에 걸 수 있는 장식용 전자제품으로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텔레비전 방송을 보고 있지 않는 동안에도 장식용품으로서 또는 광고용품으로서 사용이 가능한 텔레비전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텔레비전 방송을 보고 있지 않은 동안에 액자와 같이 장식용품으로서 사용이 가능한 텔레비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텔레비전 방송을 보고 있지 않은 동안에 동화상이나 정지화상으로 된 광고물을 송출할 수 있는 텔레비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액자 기능을 가진 텔레비전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도 1a는 아날로그 텔레비전의 내부 구성을, 도 1b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액자 기능을 가진 텔레비전에서 TV 모드와 액자 모드를 선택하는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액자 기능을 가진 텔레비전에서 파일의 관리 및 기능 설정시의 TV 화면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액자 기능을 가진 텔레비전에서 사용되는 리모콘의 일예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은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부와, 튜너부로부터의 변조 신호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추출해내기 위한 복조부와, 비디오 신호를 빛으로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와, 오디오 신호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부와,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콘 인터페이스와,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외부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표시부에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오디오부에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디코더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텔레비전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리모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리모콘으로부터 모드 변경 신호가 수신되면 텔레비전 방송을 표시부 및 오디오부를 통해 출력하는 TV 모드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을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액자 모드를 번갈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모드 변경 신호가 수신될 때 텔레비전 방송을 표시부 및 오디오부를 통해 출력하는 TV 모드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파일을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오디오부를 통해 출력하는 동화상 액자 모드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지화상 파일을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정지화상 액자 모드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은 제어부가 텔레비전 모드에서 방송되는 텔레비전 화면을 캡처하여 저장부에 저장한 것일 수도 있으며, 제어부가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이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파일인 경우에는 액자모드에서 해당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부를 통하여 송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에 다수의 정지화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이들 정지화상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표시부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액자 기능을 가진 텔레비전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도 1a는 아날로그 텔레비전의 내부 구성을, 도 1b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서 디지털 텔레비전인 경우에는 메모리나 디코더를 공용할 수도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아날로그 텔레비전과 디지털 텔레비전 간의 차이는 없다.
일반적인 아날로그 텔레비전은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부(130)와, 튜너부(130)로부터의 변조 신호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추출해내기 위한 복조부(150)와, 비디오 신호를 빛으로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170)와, 오디오 신호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부(180)와,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콘 인터페이스(120)와,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텔레비전은 여기에 외부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와,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40)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표시부에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오디오부에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 디코더(160)를 더 포함한다.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RS-232C, USB, RS-422 등과 같은 유선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IrDA와 같은 적외선 인터페이스, 블루투쓰(Blue Tooth)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특정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140)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일 수도 있고, 하드디스크 등의 광(光) 또는 자기(磁氣) 저장장치일 수도 있다.
오디오 및 비디오 디코더(160)는 MPEG, JPEG, H.261, H.263, GIF 등 다양한 형태의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형태에 대한 디코더일 수 있다.
제어부(100)는 일반적인 텔레비전의 기능 이외에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을 표시부(170)에 표시하는 액자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즉, 텔레비전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리모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리모콘으로부터 모드 변경 신호가 수신되면 일반적인 TV 모드에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을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액자 모드로 변경한다. 액자 모드에서는 제어부(100)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파일을 오디오 및 비디오 디코더(160)으로 보내어 표시부(170)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 다음에 표시부(170)를 통해 내보낸다. 또한,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이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파일인 경우에는 액자모드에서 해당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부를 통하여 송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텔레비전의 경우에는 복조부(150)에서 복조되어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표시부(170)에 표시할 수 있는 신호로 복호화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디코더(160)가 기본적으로 장착되므로, 동일한 디코더를 액자 모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표준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이외의 형식을 지원하기 위해서 해당 형식의 디코더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텔레비전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저장부(140)가 제공되므로 이를 공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텔레비전은 텔레비전 방송으로부터의 신호를 저장부에 저장하기에 적합한 신호로 변경하기 위한 인코더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같은 경우에는 텔레비전 방송으로 수신되는 화면을 인코더를 사용하여 부호화한 다음에 저장부(140)에 저장하여 두고, 액자모드에서 이 화면을 내보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액자 모드와 TV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a는 텔레비전 방송을 보기 위한 TV 모드와, 저장부에 저장된 화상을 보기 위한 액자 모드를 두고 있는 경우이고, 도 2b는 텔레비전 방송을 보기 위한 TV 모드와, 저장부에 저장된 정지화상(still image)을 보기 위한 정지화상 액자 모드와, 저장부에 저장된 동화상(motion picture)을 보기 위한 동화상 액자 모드를를 두고 있는 경우의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용의 리모콘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모드 버튼(402)을 더 구비하고 있다. 물론 텔레비전 본체에도 모드 버튼을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모드 버튼(402)이 눌려지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200). 모드 버튼(402)이 눌려지면, TV 모드로 설정한다(단계 S210). 이 상태에서 다시 모드 버튼(420)이 눌려지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220). 모드 버튼(402)이 눌려지면, 이번에는 액자 모드로 설정한다(단계 S230). 이상의 단계를 계속 반복함으로써 모드 버튼(402)이 눌려질 때마다 모드가 바뀌게 된다.
또한, 도 2b에 도시한 것처럼 TV 모드와 정지화상 액자모드와 동화상 액자모드 사이에서 모드가 바뀌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TV 모드에서 모드 버튼이 눌려지면 정지화상 액자모드로(단계 S240), 정지화상 액자모드에서 모드 버튼이 눌려지면(단계 S250의 '예') 동화상 액자모드로(단계 S260) 바뀌게 된다.
TV 모드에서 제어부(100)는 튜너부(130)를 거쳐서 들어오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 또는 비디오 재생기로부터의 신호를 표시부(170) 및 오디오부(180)를 통해 내보내게 된다. 한편, 외부 입력을 사용할 수 있는 텔레비전의 경우에는 외부 입력으로부터의 신호가 표시부(170) 및 오디오부(180)를 통해 나올 수도 있다.
액자 모드에서 제어부(100)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파일을 읽어내어 오디오 및 비디오 디코더(160)를 거쳐서 표시부(170)로 내보낸다. 화상 파일이 오디오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도 오디오부(180)를 통해서 나오도록 할 수도 있다.
동화상 액자모드와 정지화상 액자모드가 구분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화상과 정지화상이 구분되어 저장되고, 제어부(100)는 각 모드에 맞는 화상을 읽어내어 표시부를 통해 내보낸다.
다음으로 액자 모드에서 사용할 화상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삭제하거나 설정을 변경하는 절차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리모콘의 설정 버튼(403)을 누르면 표시부(170)에는 도 3a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파일을 텔레비전으로 업로드하기 위한 파일 업로드(301)를 선택하거나, 액자 모드에서 표시될 이미지 파일을 지정하기 위한 이미지 선택(302)를 선택하거나, 파일의 삭제, 파일명의 변경 등을 할 수 있는 파일 관리(303)를 선택하거나, 여러 가지 기능의 선택사양을 설정할 수 있는 옵션 설정(304)을 선택할 수 있다. 각 기능의 선택은 리모콘의 커서 버튼(405)을 이용하여 원하는 기능 위에 커서가 위치하게 한 다음에 선택 버튼(404)을 눌러서 해당 기능을 선택하게 된다. 기능 설정 화면에서 빠져나오려면 설정 버튼(403)을 다시 누르면 된다. 물론, 이러한 용도로 별도의 버튼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파일 업로드(301)를 선택하면,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화상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다. 업로드된 화상 데이터는 그 순서에 따라 파일1, 파일2, ... 와 같이 일률적으로 파일명이 지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파일명을 정할 수도 있다. 업로드된 파일은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사용자는 이미지 선택(302)을 선택한 다음에 원하는 화상 파일을 액자 모드에서 표시될 화상으로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미지 선택(302)를 눌렀을 때의화면이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커서 버튼(405)을 이용하여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면 된다. 이때, 선택된 파일의 이미지 내용을 표시부(170)에 조그맣게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파일관리(303)를 선택하였을 때의 화면이 도 3c에 나타나 있다. 사용자는 이 화면에서 파일을 삭제하거나(321) 각 파일의 이미지를 보거나(322) 파일명을 변경할 수 있다(323).
사용자가 옵션 설정(304)을 선택하였을 때의 화면이 도 3d에 나타나 있다. 사용자는 이 화면에서 슬라이드 기능을 온 또는 오프 시키거나(331), 여러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경우에 각 이미지를 보여주는 시간 가격을 설정하거나(332), 이미지가 나타날 때의 효과를 설정할 수 있다(333).
슬라이드 기능이란 마치 슬라이드를 보여주듯이 여러 이미지를 일정한 시간마다 교체해 가면서 표시하는 기능이다. 슬라이드 기능이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여러 이미지 파일들을 일정한 시간마다 순차적으로 보여주게 된다. 이때 각 파일을 보여주는 시간은 이미지 변경 시간 설정(332)에서 설정한다.
슬라이드 효과란 이미지가 나타날 때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미끄러지듯이 나타나거나, 화면 중앙에서 이미지가 줌인(zoom-in)되면서 나타나거나 하는 등 이미지가 바뀔 때의 효과를 말한다. 제어부(100)는 설정된 내용에 따라서 이미지를 변경할 때 해당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리모콘은 화면캡처 버튼을 더 구비할 수있다. TV 모드에서 화면캡처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100)는 현재의 TV 화면을 인코더를 사용하여 인코딩한 다음에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저장된 화면은 액자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사용자는 텔레비전 방송을 볼 수 있는 TV 모드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을 볼 수 있는 액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텔레비전 방송을 보고 있지 않은 동안에도 액자와 같이 장식용품으로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자모드에서 표시되는 화상을 광고를 위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사용함으로써 텔레비전 방송을 보고 있지 않은 동안에 광고물을 송출할 수 있으므로 상점, 식당, 고속도로 휴게소, 터미널 등에서 텔레비전을 이용하여 광고효과를 올릴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부와, 튜너부로부터의 변조 신호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추출해내기 위한 복조부와, 비디오 신호를 빛으로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와, 오디오 신호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부와,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콘 인터페이스와,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외부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표시부에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오디오부에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디코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텔레비전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리모콘으로부터 모드 변경 신호가 수신되면 텔레비전 방송을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오디오부를 통해 출력하는 TV 모드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액자 모드를 번갈아 선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자모드에서 상기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이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파일인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부를 통하여 송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액자모드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정지화상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표시부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2.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부와, 튜너부로부터의 변조 신호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추출해내기 위한 복조부와, 복조부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빛으로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와, 복조부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부와,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콘 인터페이스와,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외부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을 디코딩하여 표시부에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오디오부에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디코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텔레비전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리모콘으로부터 모드 변경 신호가 수신되면 텔레비전 방송을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오디오부를 통해 출력하는 TV 모드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파일을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오디오부를 통해 출력하는 동화상 액자 모드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지화상 파일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정지화상 액자 모드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자모드에서 상기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이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파일인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부를 통하여 송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액자모드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정지화상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표시부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은 텔레비전 방송으로부터의 신호를 저장부에 저장하기에 적합한 신호로 변경하기 위한 인코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은 상기 제어부가 텔레비전 모드에서 방송되는 텔레비전 화면을 캡처하여 상기 인코더를 사용하여 부호화한 다음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파일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5. 삭제
  6. 삭제
KR10-2001-0069346A 2001-11-08 2001-11-08 액자 기능을 가진 텔레비전 KR100377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346A KR100377247B1 (ko) 2001-11-08 2001-11-08 액자 기능을 가진 텔레비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346A KR100377247B1 (ko) 2001-11-08 2001-11-08 액자 기능을 가진 텔레비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516A KR20020045516A (ko) 2002-06-19
KR100377247B1 true KR100377247B1 (ko) 2003-03-26

Family

ID=2772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346A KR100377247B1 (ko) 2001-11-08 2001-11-08 액자 기능을 가진 텔레비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2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3599A (ja) * 2005-08-02 2009-01-2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ディスプレイ装置
US7506144B2 (en) * 2005-11-21 2009-03-17 Intel Corporation Dynamic pre-operating system billboard ser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279A (ko) * 1997-06-13 1999-01-15 구자홍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44861A (ko) * 1999-11-01 2001-06-05 윤종용 디지털 텔레비전의 전자 액자 기능 수행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279A (ko) * 1997-06-13 1999-01-15 구자홍 시청자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티브이의 영상 데이터 저장/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44861A (ko) * 1999-11-01 2001-06-05 윤종용 디지털 텔레비전의 전자 액자 기능 수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516A (ko) 200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869B1 (ko) 디지털 티브이의 부가 서비스 시스템
KR1006854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출력 이미지 데이터를 캡쳐, 저장 및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60001742A1 (en) System keyboard and remotely controlled surveillance system using the system keyboard
US20070008329A1 (en) Video overlay devic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N103916699A (zh) 用于使用mvc产生360度视频记录的系统及方法
CN102598655A (zh) 图像显示装置、照相机及其控制方法
US20100157167A1 (en) Display system and remote control for use therewith
CN101742079A (zh) 调整视频设置的方法和相应设备
KR20020041825A (ko) 부가적인 기능들을 갖는 텔레비전 세트
US7432990B2 (en) Open aquos remote control unique buttons/features
CN100466699C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20060256223A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data in portable terminal
US6784918B1 (en) System for obtaining state information from consumer electronic devices
KR100377247B1 (ko) 액자 기능을 가진 텔레비전
KR100710264B1 (ko) 피아이피 기능을 이용한 화면 캡쳐 장치
KR100672295B1 (ko) 디지털 티브이의 화면 캡쳐 장치
JPH10276378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6957446B2 (en) Multi-function television
JP2006352515A (ja) テレビドアホンシステム
KR100617876B1 (ko) 멀티룸 개인 영상저장장치
KR100697410B1 (ko) 전자앨범의 이미지 탐색방법
TWM328056U (en) Digital television box with photo display
CN201430663Y (zh) 具视频串流功能的无线数字相框
KR200325362Y1 (ko) 다기능 영상표시장치
US20040257332A1 (en) Personal computer and television displ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