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7491A - 점화기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점화기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7491A
KR19980087491A KR1019980019682A KR19980019682A KR19980087491A KR 19980087491 A KR19980087491 A KR 19980087491A KR 1019980019682 A KR1019980019682 A KR 1019980019682A KR 19980019682 A KR19980019682 A KR 19980019682A KR 19980087491 A KR19980087491 A KR 19980087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assembly
sealed
insulating
v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 티포드 리차드
Original Assignee
그린 데니스 제이
에머슨 일렉트릭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 데니스 제이, 에머슨 일렉트릭 컴패니 filed Critical 그린 데니스 제이
Publication of KR19980087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49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42B3/18Safety initiators resistant to premature firing by static electricity or stray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Bag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장치 및 방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전기 전도성 시스템에 있어서, 전류는 두 개 이상의 이격된 절연 상태의 밀봉된 영역(9,11)을 통해 밀봉 상태로 도통되며, 상기 영역 사이에 제공되는 절연 상태의 밀봉된 비어있는 공간(12)은 진공 상태에 있으며,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우발적으로 발생되는 있을 수 있는 돌발적인 조기 점화를 대비한 방전 영역으로서 작용한다.

Description

점화기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점화기 조립체 및, 발화성 추진제 점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그 용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개인용 보호 에어백을 적시에 팽창시키기 위해 충돌 순간에 가스를 방출하는 에어백 팽창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는 보호용 에어백을 신속하게 팽창시키기 위해 수천분의 일초간에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변환시키도록 채용된 다양한 방식의 에어백 점화기 장치가 다수 개발된 바 있다. 이들 종래의 장치 대부분에 포함된 기구들은 비교적 복잡하면서도, 조발성의 바람직하지 않은 점화를 방지하는데 그다지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었다. 우발적인 에너지 방출과 관련된 초기의 점화기 조립체 장치는 1976년 7월 27일자로 제이.티.엠 리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71,320 호에 개시된 바 있으며, 그 특허에서는 돌발적인 점화 방지를 위해 동축 도선으로부터 점화기 하우징으로 이어지는 접지 분로를 채용하고 있다. 정전하, 방사, 전자기 에너지, 또는 고주파와 같은 외부 인자의 변화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그러한 우발적인 점화는 점화기 제조 공정 중에 있는 작업자, 또는 그렇지 않으면 에어백 장비에 의해 보호되어질 사람에 대해 큰 해를 입힐 수 있다. 추가의 우발적인 점화 방지를 위해, 비교적 복잡하고, 고비용의 기타 장치들이 채용된 바 있으나, 그 장치들이 언제나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점에서, 제이. 에이치 에반스를 발명자로 하여 1995년 6월 21일자로 발행된 유럽 특허 공개 제0658739A2호와 디.디 한센을 발명자로 하여 1996년 12월 9일자로 발행된 유럽 특허 공개 제 745519A1호 등 2개의 유럽 특허 공개 공보를 참조할 수 있으며, 그 중 유럽 특허 공개 제0658739A2호는 일측면상에 제2의 발화성 컵을 갖는 유리-금속간의 밀봉부의 타측면상에 위치되는 발화성 컵의 외부로 2개의 이격된 전극에 대한 정전 스파크 갭 방출 장치를 교시하고 있으며, 유럽 특허 공개 제 745519A1호는 조기 점화로부터 점화기를 보호하기 위한, 압밀체 분말로 된 금속 산화물 배리스터(varistor)를 교시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점화기 조립체의 조기 점화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보호용 장치는 제조 및 조립이 비교적 복잡하였고, 고가일 뿐 아니라, 작동이 언제나 효율적인 것은 아니었으므로, 비교적 복잡한 제조 단계와 부가적인 조립 부품을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은 제조와 조립이 용이하고, 최소의 부품 및 공간을 필요로 하며, 정상적인 점화 작용에 필요한 여러 부품의 사용을 최적화함과 동시에, 외부적인 인자로부터 유발된 정전하에 의해 종래 발생되기도 했던 우발적인 에너지 방출을 방지하는 새롭고도 유용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내용의 숙독을 통해 당업자들에게는 분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익한 일실시예가 구체화된 점화기 헤더 또는 칼라(collar)에 대한 횡단면도로, 화살표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도성 유동 통로를 지시한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 도 1에 도시된 헤더에 절연층을 배치한 변형예가 구체화된 점화기 헤더 또는 칼라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점화기 조립체
3: 하우징 셸(또는 칼라)
4: 상류 챔버
6: 하류 챔버
7,8: 주변 벽부
9,11: 전기 절연 밀봉재
12: 보이드 챔버
13: 터미날 핀
16: 폭발성 장약
상술하면, 본 발명은 전기 전도성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립체는 상류와 하류에 2개 이상의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미리 선택된 재료로 된 하우징 셸(shell)과, 전기 전도체를 구비하며, 각각의 챔버는 주변 벽부를 포함하며, 미리 선택된 전기적 절연 밀봉재가 상기 챔버 형성 주변 벽부와 밀봉된 관계로 상기 주변 벽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하며, 하나의 챔버중의 절연 밀봉재는 다른 챔버의 절연 밀봉재로부터 미리 선택된 정도로 이격되어, 그들 밀봉재 사이에 절연 상태로 밀봉된 비어있는 챔버, 즉 보이드(void)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전기 전도체는 돌출형의 상류 및 하류 단부를 사이에 각기 구비하는 상기 밀봉된 보이드 챔버와 각 챔버의 전기 절연성의 밀봉재를 통해 밀봉된 관계로 연장하는 섹션을 구비한다. 절연성의 밀봉된 보이드 챔버는 있을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조기 점화 스파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전도성의 도관 조립체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때 그 전기 전도성의 도관 조립체는 이격된 제1 및 제2의 전기 절연성의 밀봉된 영역을 통해 방전 영역으로 밀봉 상태로 연장하며, 제1 및 제2의 전기 절연성의 밀봉된 영역 사이의 공간은 절연된 고전압의 정전하 방전량을 수용하는 밀봉된 보이드 챔버로서 작용함으로써, 있을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조기 점화 스파크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내용 또는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새로운 발명에 있어서의 여러 부품중 하나 이상과 여러 단계중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업자들에게 있어 분명하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이 구체적으로 에어백 팽창용의 점화기 구조체에 유용할지라도,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들은 전기 스위치와 같은 수많은 기타 전류 전송 기구, 기타 폭발성 점화기 및 전기 모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익한 일실시예 및 그 변형예를 담고 있는 도면을 참조하면, 특히 도 1은 본 발명의 새로운 특징을 담고 있는 점화기 조립체(2)를 도시하고 있다. 그 점화기 조립체는 폭발성 장약, 즉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 안전 기구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바와 같은 보호용 에어백을 팽창시키는데 사용되는 그러한 장약의 점화에 특히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새로운 시스템의 진보적 특징은 주변 또는 주위의 요인에 의해 인가될 수 있는 원치않는 고전압의 전하를 방산시키는데 주로 유용하며, 에어백 점화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전도성 시스템내에서 돌발적인 전하를 방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어떠한 전하 운반 위치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개시된 점화기 조립체(2)는 수많은 적정 소재중의 하나로 구성될 수 있는 하우징 셸 또는 칼라(3)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칼라는 하우징(3)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에 대해 축선 정렬된 3개의 내부의 인접한 원통형 챔버를 포함하는 미리 선택된 냉간 압연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류 챔버(4)와 하류 챔버(6)를 지칭하는 두 개의 제1 챔버는 주변 벽부(7,8)를 각기 포함하며, 그 각각의 벽부는 미리 선택된 전기 절연성의 밀봉재(9,11)를 각기 포함하며, 이들 밀봉재(9,11)는 상기 챔버 형성 주변 벽부(7,8) 각각에 대해 밀봉된 관계로 하우징 셸(3)의 종방향 중심축에 거의 수직하게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밀봉재(9)는 도시된 형태로 미리 형성되고 상보적인 형태의 카본 컵내에 용화(鎔化)된 T형 밀봉재이다. 상기 밀봉재(9)는 상부면(18), 하부면(19) 및, 밀봉재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를 구비하며, 그 통로는 밀봉재(9)가 용화되는 터미날 핀을 수용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밀봉재(11)도 상부면(21), 하부면(22) 및 횡방향 통로를 갖는 원통형의 펠릿으로 미리 형성되며, 상기 통로는 밀봉재(11)가 용화되는 터미날 핀을 수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류 챔버(4)를 위한 상류 밀봉재(9)는 예컨대, 코발트 산화물을 함유하고 세라믹 충전된 용화 유리질일 수 있으며, 그에 인접하는 하류 챔버(6)의 밀봉재(11)는 예컨대, 알루미늄 산화물을 함유하고, 냉동 컴프레서와 결합되는 밀봉성의 터미날 조립체의 유리-대-금속간의 밀봉에 보통 사용되는 공지된 유리질의 화학 조성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는 미리 선택된 용화된 유리질 재료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류 챔버(4)의 전기 절연성의 밀봉재(9)의 하류면(19)은 하류 챔버(6)의 전기 절연 밀봉재(11)의 상류면(2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서, 그 상류면과 하류면 사이에 미리 선택된 용적의 새로운 절연성의 밀봉된 보이드 챔버(12)가 형성된다. 밀봉된 보이드 챔버(12)의 용적과 상류 및 하류의 절연성 밀봉재(9,11)의 용적 및 화학적 작용은 특정 용례에 대한 필요 조건과, 상기 밀봉된 보이드 챔버(12)를 형성하는 새로운 이격 구조로부터 요구되는 바람직한 결과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을 에어백 점화기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밀봉된 보이드 챔버는 약 0.00265 입방 인치의 용적과 약 0.260 인치의 직경과 약 0.050 인치의 두께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봉된 보이드 챔버(12)가 부여된 확정 정상 전압에서 절연체로서 작용하고, 또 정전하, 방사 에너지 변화, 전자기 에너지 변화 또는 고주파 변화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주변의 전압 발생 인자에 의해 유발되기도 하는 우발적으로 부여되는 높은 전압에서 상기 챔버(12)가 표면 전도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한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의 전류는 상류 및 하류의 밀봉재(9,11) 모두의 표면(19,21)을 따라 상기 밀봉된 보이드 챔버(12)를 통해 강재(鋼材) 셸(3)로 이동하면서 별탈없이 방산된다. 밀봉된 보이드 챔버(12)는 주변의 바람직하지 않은 어떠한 불필요한 높은 전압의 방산에도 유익하도록 부분 진공 상태로 존재한다. 밀봉된 보이드 챔버(12)에 있어서의 이와 같은 바람직한 진공 또는 부분 압력은 상류 및 하류 밀봉재(9,11)를 용융 온도로 일차적으로 가열하였다가 냉각시킴으로써 그들 밀봉재 사이에 포획된 가스의 수축을 통해 부분적 진공이 형성될 때 발생된다. 상기 가스는 용화(fusing)가 발생하는 로 또는 오븐 내의 분위기 가스를 말하며, 설령 환원 가스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특히 표면(18,19)상에 얇은 전도성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밀봉 유리질의 표면 환원 천이 금속 산화물이 요구되는 경우, 질소가 바람직하다. 환원 가스가 사용되는 경우, 아크 방전(arcing)은 보이드 공간(12)의 외부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폭발성 챔버로부터 격리된 위치에서 발생한다. 펠릿화된 밀봉재의 잔류 결합제로부터의 일산화 탄소의 흔적(trace)은 로내의 분위기로서 천연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메탄, 수소 및 이산화 탄소과 함께 역시 잔류할 수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개시된 바의 전기 전도성 조립체는 상류 및 하류의 인접 절연 챔버(4,6)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중심축에 대해 미리 선택된 정도의 이격된 관계로 배치된 두 개 이상의 전기 전도성 터미날 핀(13)을 포함한다. 이들 전기 전도성 핀(13)은 니켈 도금강의 52합금인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핀의 간격, 화학적 작용, 개수는 원하는 용도 및 결과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이격된 핀(13)은 챔버 형성 주변 벽부(7,8)로부터 각기 이격된 관계를 가지며, 각 핀 부재(13)의 중심부는 상류 및 하류 챔버(4,6) 각각의 유리질 절연 밀봉재(9,11)와 그들 밀봉재 사이의 밀봉된 부분 압력 또는 진공의 챔버(12)를 통해 유리질 밀봉된 관계로 연장한다. 전기 전도성 핀(13)의 돌출 단부는 각기 충전 및 방전 영역으로 작용하며, 전술한 바의 절연성의 밀봉된 부분 압력 챔버(12)는 핀(13)과 폭발성 장약(16)으로부터 격리된 강재 셸(3) 사이에 아크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핀(13) 사이에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조기 점화를 방지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리 선택된 세라믹 전기 절연 밀봉재(14)는 절연 밀봉재(11)의 하류측 면(22)에 맞닿도록 제공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이격된 전기 전도성 핀(13)이 그 밀봉재(14) 사이를 관통 연장한다. 역시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핀(13)의 하류측 극단은 제3의 내부의 인접하는 축방향 배열 챔버(16)에서 종결하며, 그 챔버(16)는 개시된 실시예에서 폭발성 장약 에어백 점화 챔버로서 작용할 수 있다. 핀의 하류측 극단은 그곳에 전기적으로 결선된 브릿지 와이어 또는 점화기 회로(17)(개략 도시됨)를 구비할 수 있어서, 폭발 챔버(16)에 장입된 폭발성 장약이 점화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챔버(16)가 그 상단부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립을 구비한다면, 그 립의 축방향 두께는 보이드(12)의 축방향 높이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펠릿화된 밀봉부(11)의 위치는 그 밀봉부를 이동시켜 립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점화기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 대부분의 부품이 도 1의 구조체의 부품과 유사하며, 미리 선택된 세라믹 절연재(14)는 선택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류 챔버(6)가 아닌, 상류 챔버(4)내의 상류측 절연 밀봉재(9)의 하류면(19)의 하류측에 위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류의 충전 및 방전에 대한 새로운 방법에 따르면, 전류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전류 공급원의 전기 충전 영역으로부터 전기 전도성 도관 조립체를 통해 통전되며, 그 조립체는 이격된 제1 및 제2의 밀봉된 절연 영역을 통해 밀봉된 관계로 연장하며, 그 영역들 사이의 공간은 전기 전도성 도관 조립체에서의 있을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조기 점화 스파크를 수용하기 위한 밀봉된 보이드 챔버로서 작용한다.
정상적인 점화 전압은 직류 9~12V이며, 발화 전류치는 통상 1.2A이다.
과도 정전압은 약 1,000 내지 25,000V 정도로 높고, 점화에 요구되는 0.003 초 동안 1.2A 이상의 전류치를 가진다.
밀봉재(11)에 알루미나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그 밀봉재는 보이드 챔버(12)의 크기가 그대로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게, 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한다. 상기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유동적인 것으로, 중요한 것은 한정적이면서도 부분적으로 진공화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밀봉부와 포획된 가스의 화학적 작용은 3,000 내지 4,000V에서 약 2,000V의 항복(brake down) 전압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격된 밀봉부(9,11)는 그 이격된 표면을 가로질러 아크 방전될 것이다. 점화선을 이들 전압으로부터 절연하기 위해서는 보이드(12)의 조합 이외에도, 아크 방전이 표면(22)에서가 아닌 다른 표면(19,21)에서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밀봉재(9)내의 천이 금속 산화물이 표면의 전도성 조절에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금속 산화물로서 코발트가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조와 조립이 용이하고, 최소의 부품 및 공간을 필요로 하며, 정상적인 점화 작용에 필요한 여러 부품의 사용을 최적화함과 동시에, 외부적인 인자로부터 유발된 정전하에 의해 종래 발생되기도 했던 우발적인 에너지 방출을 방지하는 새롭고도 유용한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18)

  1. 두 개 이상의 상류 및 하류 내부 챔버를 형성하며, 그 각각의 내부 챔버는 전기적 절연 밀봉재를 갖는 주변 벽부를 포함하며, 그 전기적 절연 밀봉재는 상기 챔버의 상기 챔버 형성 주변 벽부와 밀봉된 관계로 상기 주변 벽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하며, 하나의 챔버의 절연 밀봉재는 다른 챔버의 절연 밀봉재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그들 밀봉재 사이에 절연 상태로 밀봉된 보이드(void) 챔버를 형성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된 하우징 셸(shell)과;
    상기 각 챔버의 상기 절연 밀봉재와 상기 밀봉된 보이드 챔버와의 사이를 통해 밀봉된 관계로 연장하는 부분을 구비하며, 그 상류 및 하류측 부분이 각기 충전 및 방전부로서 작용하는 전기 전도성 조립체와;
    상기 절연 상태로 밀봉된 보이드 챔버에 위치되어, 상기 방전부를 통해 있을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과도 고전압을 방산시키는 방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셸은 미리 선택된 냉간 압연된 강재와 점화기 조립체로 된 상기 내부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챔버에서 상기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절연 밀봉재는 상기 절연 상태로 밀봉된 보이드 챔버와의 사이를 가로질러 전도성 브릿지를 형성할 수 있는 미리 선택된 절연부이며, 상기 미리 선택된 절연 밀봉재는 확정된 정상 작동 전압에서 절연체로서 작용하며 보다 높은 전압에서는 표면 전도성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절연재중 하나 이상은 미리 선택된 유리질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절연 밀봉재 모두는 미리 선택된 유리질 재료이며, 그중 하나는 세라믹 충전된 유리질 재료이며, 다른 하나는 다른 종류의 미리 선택된 유리질 재료이며, 상기 유리질 재료는 상기 챔버 형성 벽부와 상기 전기 전도성 조립체에 용화(鎔化)되며, 그러한 용화 과정 이후의 냉각 과정을 통해, 상기 밀봉재 사이에 상기 절연 상태로 밀봉된 보이드 챔버내의 가스가 수축되면서, 상기 절연 상태로 밀봉된 보이드 챔버내에 부분적인 진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셸은 종방향 연장의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두 개의 챔버는 상기 하우징 셸의 상기 중심축을 따라 연속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두 개 이상의 전기 전도성 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핀 부재는 상기 두 개의 내부 챔버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에 대해 미리 선택된 이격 관계로, 그리고 상기 챔버 형성 주변 벽부로부터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핀 부재의 일부는 각 챔버의 상기 절연 밀봉재와 상기 밀봉된 보이드 챔버와의 사이를 통해 밀봉된 관계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핀 부재 각각은 니켈 도금강의 52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된 보이드 챔버는 약 0.00265 입방 인치의 용적과, 약 0.260 인치의 직경과, 약 0.05 인치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내부 챔버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절연 밀봉재의 하류측 면에 맞닿는 연속적인 미리 선택된 세라믹 절연 밀봉재를 구비하며, 그 서로 맞닿는 재료는 상기 챔버와의 사이를 밀봉된 관계로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맞닿는 절연재는 적어도 상기 하류 챔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셸은 점화 챔버를 포함하며, 그 챔버 안으로 상기 전기 전도성 조립체의 하류측 극단이 연장하며, 상기 전기 전도성 조립체의 상기 하류측 극단은 상기 점화 챔버내에 장입된 장약을 점화시킬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결선되는 점화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3. 에어백 점화기 조립체로서,
    3개의 내부의 인접하는 챔버를 구비하는 냉간 압연된 강재로 된 하우징 셸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들은 상기 하우징 셸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에 대해 축방향으로 정렬되며, 그 각각의 정렬된 챔버는 주변 벽부를 포함하며, 챔버들중 두 개의 제1 챔버는 각기 상류 및 하류측 절연 챔버로서 작용하며, 상류 및 하류측 챔버 각각은 상기 각각의 챔버의 챔버 형성 주변 벽부와 밀봉된 관계로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하는 미리 선택된 유리질의 전기 절연 밀봉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류 챔버의 상기 밀봉재는 세라믹 충전된 용화된 밀봉 유리질이고, 또 상기 상류 챔버에 인접하는 하류 챔버의 상기 밀봉재는 미리 선택된 용화 유리질로서 상기 상류 챔버의 상기 세라믹 충전된 유리질 절연 밀봉재로부터 이격되어 있어서, 상기 상류 및 하류 챔버 사이에 절연 상태로 밀봉된 보이드 챔버를 형성하며, 그 보이드 챔버는 약 0.00265 입방 인치의 용적과, 약 0.260 인치의 직경과, 약 0.05 인치의 두께로 미리 선택되어, 그 보이드 챔버를 가로질러 전도성 브릿지를 형성할 수 있으며,그 밀봉된 보이드 챔버의 임의의 측면상의 상기 절연 밀봉 유리질은 부여된 확정 정상 작동 전압에서 전기적 절연체로서 작용하며, 주변의 전압 발생 요인에 의해 우발적으로 유발될 수 있는 보다 높은 전압이 부여된 경우에는 표면 전도성을 나타내며, 상기 절연 상태의 밀봉 보이드 챔버내의 가스는 상기 유리질 밀봉재의 밀봉 작업중에 냉각이 이루어지는 동안 절연 상태의 밀봉 수축을 야기하여 상기 절연 상태의 밀봉된 보이드 챔버에 부분적인 진공을 형성하며, 니켈 도금강의 52합금으로 된 두 개 이상의 전기 전도성 핀 부재는 상기 상류 및 하류의 유리질의 절연 상태로 밀봉된 챔버의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에 대해 미리 선택된 이격 관계로, 그리고 상기 챔버 형성 주변 벽부로부터 미리 선택된 이격 관계로 배치되며, 각각의 핀 부재의 중앙부는 각각의 상류 및 하류 챔버의 상기 유리질의 절연 밀봉재와 그들 밀봉재 사이의 밀봉된 보이드 챔버를 통해 유리질 밀봉된 관계로 연장하며, 상기 핀의 극단은 각기 충전 및 방전부로서 작용하며, 상기 절연 상태의 밀봉된 보이드 챔버는 핀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조기 점화 스파크를 수용하며, 상기 하류 챔버의 상기 유리질 절연재의 하류측 면은 그 면과 맞닿는 미리 선택된 세라믹 절연 밀봉재를 구비하며, 상기 이격된 전기 전도성 핀의 본체는 상기 제3의 내부의 인접하는 정렬 챔버에서 종결하는 상기 핀의 극단과의 사이를 통해 연장하며, 상기 제3의 챔버는 폭발성 장약의 에어백 점화 챔버로서 작용하며, 상기 핀의 극단 사이에는 상기 폭발성 장약을 점화할 수 있도록 점화기 회로가 전기적으로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점화기 조립체.
  14. 전류 공급원으로부터 전기 전도성 도관 조립체를 통해 전류를 도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전도성 도관 조립체는 이격된 제1 및 제2 절연 영역을 통해 밀봉된 관계로 방전 영역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절연 영역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전기 전도성 도관 조립체에 있어서의 있을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조기 점화 스파크를 수용하기 위한 밀봉된 보이드 챔버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충전 및 방전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된 제1 및 제2의 절연 영역을 밀봉하는 동안 그 절연 영역 사이의 상기 밀봉된 보이드 챔버에 가스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가스의 수축을 통해, 상기 밀봉된 보이드 챔버내에 부분적인 진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영역은 서로 이질적인 밀봉 유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영역내에 장입된 폭발성 장약을 점화시키기 위해, 그 방전 영역에 집중된 점화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전도성 재료로 된 셸을 형성하여, 그 셸의 벽에 의해 축방향 정렬된 원통형 챔버가 형성되며, 그 챔버중 제1 챔버는 제2 챔버 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있어서, 그들 챔버 사이에 스텝을 형성하도록, 전도성 재료로 된 셸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챔버안으로는, 외측을 향하는 스템과 그 스템상에 주변부가 안치되는 내부면의 헤드를 구비한, 역전된 T형 단면을 갖는 예비 성형된 유리질 밀봉재를 삽입하고, 상기 제2 챔버안으로는 제2의 예비 성형된 유리질 펠릿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T형 및 제2 펠릿의 정렬된 구멍을 통해 터미날 핀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T형 및 제2 펠릿의 마주하는 표면이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펠릿 사이의 공간 안으로 가스를 도입하고, 상기 펠릿을 상기 셸과 상기 터미날 핀에 용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기 조립체 제조 방법.
KR1019980019682A 1997-05-30 1998-05-29 점화기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99800874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65,668 US5920029A (en) 1997-05-30 1997-05-30 Igniter assembly and method
US865,668 1997-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491A true KR19980087491A (ko) 1998-12-05

Family

ID=25345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682A KR19980087491A (ko) 1997-05-30 1998-05-29 점화기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920029A (ko)
EP (1) EP0881457A3 (ko)
JP (1) JPH10332300A (ko)
KR (1) KR19980087491A (ko)
CN (1) CN1201137A (ko)
AR (1) AR012884A1 (ko)
AU (1) AU6905798A (ko)
BR (1) BR9801723A (ko)
CA (1) CA2236725A1 (ko)
IL (1) IL1246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47485A (en) * 1999-03-05 2000-09-06 Breed Automotive Tech Pretensioner
US6555754B2 (en) * 2001-01-18 2003-04-29 Walbro Corporation Automotive fuel tank electrical fitting
FR2893871B1 (fr) * 2005-11-29 2008-10-31 Railtech Internat Sa Procede et dispositif d'allumage d'une composition aluminothermique et creuset de soudure aluminothermique comportant le dispositif.
US7571679B2 (en) * 2006-09-29 2009-08-11 Reynolds Systems, Inc. Energetic material initiation device having integrated low-energy exploding foil initiator header
US8408131B1 (en) 2006-09-29 2013-04-02 Reynolds Systems, Inc. Energetic material initiation device
US8276516B1 (en) 2008-10-30 2012-10-02 Reynolds Systems, Inc. Apparatus for detonating a triaminotrinitrobenzene charge
DE102012010608A1 (de) * 2012-05-16 2013-11-21 Trw Airbag Systems Gmbh Anzünd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nzünders für einen Gasgenerator
US9939235B2 (en) 2013-10-09 2018-04-10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Initiation devices, initiation systems including initiatio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11239038B2 (en) * 2015-05-18 2022-02-01 Gigavac, Llc Mechanical fuse device
US10566160B2 (en) 2015-05-18 2020-02-18 Gigavac, Llc Passive triggering mechanisms for use with switching devices incorporating pyrotechnic features
US11443910B2 (en) 2019-09-27 2022-09-13 Gigavac, Llc Contact levitation triggering mechanisms for use with switching devices incorporating pyrotechnic features
EP4015979A1 (de) * 2019-12-19 2022-06-22 Schott Ag Metall-fixiermaterial-durchführ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en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7804A (en) * 1943-05-29 1945-06-05 Oliver S Petty Blasting cap
US2878752A (en) * 1956-12-05 1959-03-24 Du Pont Blasting initiator
US3181464A (en) * 1961-06-21 1965-05-04 Gen Precision Inc Low conductance exploding bridge
US3117519A (en) * 1962-01-31 1964-01-14 Charles R Hamilton Electric initiators for explosives, pyrotechnics and propellants
US3274937A (en) * 1963-04-11 1966-09-27 Physical Sciences Corp Detonation squib
US3169482A (en) * 1963-08-14 1965-02-16 Eitelmccullough Inc Electro explosive device having a surface spark gap
US3288068A (en) * 1964-04-30 1966-11-29 Donald E Jefferson Triggered exploding wire device
US3333538A (en) * 1966-06-09 1967-08-01 Hercules Inc Electric initiator structure
US3804018A (en) * 1970-06-04 1974-04-16 Ici America Inc Initiator and blasting cap
US3702420A (en) * 1971-12-21 1972-11-07 Atomic Energy Commission Electrical surge diverting connector
US3900767A (en) * 1973-04-26 1975-08-19 Dale Electronics Surge arrestor
US3971320A (en) * 1974-04-05 1976-07-27 Ici United States Inc. Electric initiator
US3992652A (en) * 1974-09-09 1976-11-16 Gte Sylvania Incorporated Bulk electrical surge arrester
US4040356A (en) * 1976-07-06 1977-08-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Converging wave detonator
US4210799A (en) * 1978-10-04 1980-07-01 Emerson Electric Co. Electric heating units
US4422381A (en) * 1979-11-20 1983-12-27 Ici Americas Inc. Igniter with static discharge element and ferrite sleeve
US4307663A (en) * 1979-11-20 1981-12-29 Ici Americas Inc. Static discharge disc
EP0033814A3 (en) * 1979-12-17 1981-09-09 The Bendix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surge protection for a plurality of circuits and method of making same
GB2122807B (en) * 1982-06-24 1986-01-29 English Electric Valve Co Ltd Impulse protection device
FR2549650B1 (fr) * 1983-07-18 1986-04-11 Tubes Lampes Electriq Cie Indl Eclateur destine a la protection de cables conducteurs coaxiaux,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4696231A (en) * 1986-02-25 1987-09-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hock-resistant delay detonator
US4745858A (en) * 1986-09-26 1988-05-24 Ireco Incorporated Electric detonator with static electricity suppression
DE8905896U1 (ko) * 1989-05-11 1989-08-17 Bayern-Chemie Gesellschaft Fuer Flugchemische Antriebe Mbh, 8261 Aschau, De
DE4236538A1 (de) * 1992-10-22 1994-04-28 Siemens Ag Gekapselte Funkenstrecke
US5596163A (en) * 1993-08-25 1997-01-21 Ems-Patvag Ag Gas generator igniting capsule
ZA948566B (en) * 1993-11-18 1995-05-18 Ici America Inc Airbag ignit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616881A (en) * 1995-05-30 1997-04-01 Morton International, Inc. Inflator socket pin collar for integrated circuit initaitor with integral metal oxide varistor f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s
US5672841A (en) * 1995-12-15 1997-09-30 Morton International, Inc. Inflator initiator with zener diode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US5768083A (en) * 1996-10-30 1998-06-16 Tekna Seal, Inc. Method of suppressing electrostatic energy in glass-to-metal hermetic seal devices
US5726854A (en) * 1996-10-30 1998-03-10 Tekna Seal, Inc. Voltage arrestor for use with delicate electronic components
US5821446A (en) * 1997-05-27 1998-10-13 Trw Inc. Inflator for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24667A (en) 2000-08-31
EP0881457A3 (en) 1999-07-28
US5920029A (en) 1999-07-06
JPH10332300A (ja) 1998-12-15
CA2236725A1 (en) 1998-11-30
IL124667A0 (en) 1998-12-06
AR012884A1 (es) 2000-11-22
EP0881457A2 (en) 1998-12-02
BR9801723A (pt) 1999-10-26
AU6905798A (en) 1998-12-03
CN1201137A (zh) 1998-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2865B2 (en) Electrical interruption switch, in particular for interrupting high currents at high voltages
KR19980087491A (ko) 점화기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0417437B1 (ko) 고 전류 세기용 전기 회로의 분리 장치
JPH09317621A (ja) プラズマ点火装置
US20200373110A1 (en) Electrical interrupter switching element having passive interruption tripping, in particular for interrupting high currents at high voltages
CN1269007A (zh) 用于机动车乘客保护设备的发火装置
US2265352A (en) Spark plug
KR20170063890A (ko) 고전압에서 고전류인 직류 또는 교류용 차단 스위치
TW200822168A (en) Gas-discharge lamp
US3175492A (en) Electrical safety detonator
US5695215A (en) Fill tube for air bag inflator
US5446436A (en) High voltage high power arc suppressing fuse
US3906273A (en) Two electrode spark gap apparatus
JP6254172B2 (ja) 気密性hfプラグコネクタ付きのコロナ点火装置
EP1836719B1 (en) Gas discharge lamp for vehicle headlight
JP2001241896A (ja) チタン半導体ブリッジの点火装置
JP5567080B2 (ja) 薄型イグナイ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H1598H (en) Liquid propellant igniter
CN216487950U (zh) 一种柔性软包熔断器
KR102262199B1 (ko) 소형 착화기 및 착화기 제조방법
US6720858B2 (en) Fuse
US3715614A (en) Three electrode spark gap apparatus
MXPA98004312A (en) Set and method of ignic
JP2005069666A (ja) イニシエータ及びガス発生器
JPS6024179B2 (ja) 線爆溶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