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7268A - 단열 이중벽 용기 - Google Patents

단열 이중벽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7268A
KR19980087268A KR1019980018408A KR19980018408A KR19980087268A KR 19980087268 A KR19980087268 A KR 19980087268A KR 1019980018408 A KR1019980018408 A KR 1019980018408A KR 19980018408 A KR19980018408 A KR 19980018408A KR 19980087268 A KR19980087268 A KR 19980087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pper
inner container
double wall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수히코 코미야
타케시 쿠와나
마사시 야마다
쿠니오 마쯔다
켄지 시게타
노리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츠치야 히로오
니폰 산소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055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9281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055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9281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055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9282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7005569U external-priority patent/JP3044866U/ja
Application filed by 츠치야 히로오, 니폰 산소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츠치야 히로오
Publication of KR19980087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26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A47J41/0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vacuum space
    • A47J41/028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vacuum space made of metal

Abstract

내용기 및 외용기 사이에 단열층을 설치한 단열 이중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와 내용기의 적어도 하나에 항균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벽 용기는, 표면에 잡균이 부착하여도 번식하는 일이 없이 위생적으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단열 이중벽 용기
본 발명은 항균성의 단열 이중벽 용기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내용기 및 외용기의 입구부를 서로 접합하여 이들 내용기 및 외용기 사이에 진공 단열층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입구부에 마개체를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여 내용기에 음료 등을 단열 상태로 수용할 수 있는 구성의 휴대형 보온병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보온병은 사용후 내용기 내를 물 등으로 세정한 후 자연 건조하여 보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세정후 자연 건조를 행하여도, 보온병은 입구부가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기의 내표면에 부착된 수분은 건조되기 어려워 젖은 상태인 채로 보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젖은 상태로 보관되면, 내용기의 내표면에 잡균이 부착하여 번식할 우려가 있다. 특히 높은 단열성능을 갖는 보온병 등의 진공 단열 이중용기에서는, 식기 건조기등에서 강제 건조를 행하여도 내용기에 열이 전달되지 않아 건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진공 단열용기의 재료로서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SUS304 등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은 강한 소성 변형을 가하면 가공 유발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변형이 일어나 가공 경화가 발생하는데, 이 특성을 이용하여 스테인레스강의 재료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마르텐사이트 변형에 의해 다음과 같은 불리한 점도 발생한다.
먼저 가공 경화에 의해 강도는 상승하지만, 마르텐사이트 변형의 발생이라든가 잔류 응력이 커지는 것에 기인하여 내부식성이 저하한다. 따라서, 내용기와 외용기 성형시 특히 높은 소성 변형을 받는 부분에 응력 부식 파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과도한 소성 변형을 행하지 않고 동체부를 둥글게 가공하고 용접하여 통 형상체로 성형한 후 이것과 별도로 저부를 성형하고, 이들 동체부와 저부를 용접하여 용기 전체를 성형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따라서, 용접 공정이 필요하게 될 뿐 아니라, 이들 용접 부분에서 과포화 탄소가 Cr탄화물로서 결정립계로 석출하여, 입계 근방의 Cr 함유량이 감소하여 내식성이 저하하고 입계 부식이 발생된다는 별도의 문제가 생긴다.
이와 같은 가공 유발 마르텐사이트 변형을 야기한 상태의 스테인레스강에 대하여, 소둔(燒鈍) 온도 870 ℃ 이상에서의 소둔 처리를 실시하여 Cr 탄화물 또는 첨화상을 고용시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서 표준적인 기계적 성질 및 내부식성을 얻고, 가공 경화 왜곡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소둔에 의해 재료 강도의 저하가 야기되고 좌굴, 변형 등을 일으키는 일이 있다.
이들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를 제작하는 경우, 성형된 내용기와 외용기를 공극을 두고 입구부에서 접합 일체화하여 이중벽 구조로 한 후, 가열 진공 배기 처리를 행하여 진공 단열층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오스테나이트중 Cr 탄화물의 입계 석출을 야기하기 쉬운 온도 범위인 600 ∼ 800 ℃에서 이 가열 진공 처리를 행하면 입계 부식을 야기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통상 가열 진공 처리는 적어도 이 온도 이상에서 행할 필요가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고온에서의 가열처리는 재료 강도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즉, 진공 이중벽 용기의 제조에 있어서 필수 공정인 진공 배기를 위한 가열 처리를 고온에서 행하면, 강도를 저하시켜 내용기 및 외용기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경량화를 저해하게 되고, 진공 배기를 위한 가열처리를 저온에서 행하여도 파열이라든가 내부식성 열화의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복사(輻射)대책으로서 내용기 단열층측의 면(내용기 외면)의 적어도 동체부에 금속 도금 등의 복사 방지재를 도포하는 경우, 특히 높은 소성 변형을 받아 왜곡이 발생한 부분에서 도금 두께라든가 광택에 불균일이 생겨 복사 방지 효과가 불충분한 도금으로 될 수가 있다.
이들 진공 단열 용기는 일반적으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등을 사용하여 내용기와 외용기를 성형하고, 이들 내용기와 외용기를 공극을 두고 입구부에서 접합 일체화하여 이중벽 구조로 하고, 상기 공극을 진공 배기하여 단열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작되는데, 통상 진공 배기 처리 공정은 400 ∼ 1200 ℃의 조전에서 행하여 진다.
한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항균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동을 함유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는 동이온이 갖는 항균작용을 이용한 것으로, 스테인레스강 자체가 갖는 방청효과를 함께 가지므로 조리·음식·저장·의료 용도로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진공 이중벽 용기를 제작하면, 상기 가열 진공 배기 처리 사이에 동이 재료 내부로 확산, 고용되어 내외용기 표면이 변질하여 동의 농도가 감소하는 동 결핍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동에 의한 항균작용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내외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구부림 가공이라든가 심교(深絞) 가공에 의해서도 표면이 변화하여 항균성이 저하하는 일이 있다.
더욱이, 동을 함유한 스테인레스강에 전해 연마를 실시할 때에는, 표면의 동이 우선적으로 용출하기 때문에 동의 항균작용이 저하 또는 소실되는 일도 있다.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에 있어서 저하된 항균작용을 회복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을 산성 용액에 침적하여 표면 변질층을 파괴시켜 Cu가 풍부한 표면부를 노출시키는 방법이 있다(일본 특허공개 평8-229107호 공보). 이 방법은 황산, 불질산, 수산 등의 비산화성 또는 환원성의 산을 함유하는, 바람직하게는 pH 2.5 이하의 산성 용액에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을 침적시켜, 표층부를 0.10 원자% 이상의 Cu 농도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는 진공 이중벽 용기의 경우에는, 이 항균 작용 회복 처리를 실시하여도 항균성이 충분히 회복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 진공 배기 처리 사이에 형성된 표면 변질층(동결핍층)이 상기 회복처리만으로는 충분히 파괴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내용기의 내표면에 잡균이 부착하여도 번식하는 일이 없이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보온병 등의 단열 이중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소둔 공정이 불필요하고 강도 및 내부식성이 높은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스테인레스강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에 있어서, 도금막의 균일성이 높고 복사 방지 효과가 우수한 도금이 안정하게 형성된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의 항균성이 확실히 유지되는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와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태양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태양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의 제 3 태양의 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의 제 4 태양의 일례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의 제조방법에 사용된 블러스트 연마의 예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열 이중 용기는, 내용기 및 외용기 사이에 단열층을 설치한 단열 이중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 또는 외용기의 적어도 하나에 항균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 태양은, 금속제의 내용기 및 외용기 사이에 진공 단열층을 설치한 금속제의 단열 이중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 또는 외용기의 하나를 항균재를 함유하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2 태양은, 금속제의 내용기 및 외용기 사이에 진공 단열층을 설치한 금속제의 단열 이중 용기에 있어서, 항균재를 함유하는 합성수지로 되는 항균층을 상기 내용기의 내표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 용기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3 태양은, 금속제의 내용기 및 외용기를 구비하고, 당해 내용기와 외용기 사이에 형성된 밀폐 공간을 진공 단열층으로 하고, 상기 내용기와 외용기의 적어도 하나가 동을 1.5 ∼ 5 % 함유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된 단열 이중벽 용기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내용기 또는 외용기가 동함유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강한 소성 변형을 가하여도 마르텐사이트 변형이라든가 그에 기인한 파열, 부식의 발생이 억제되어 내부식성이 높은 내용기 또는 외용기로 된다. 따라서, 소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진공 배기 처리의 실시 온도도 낮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식성과 강도가 높은 고품질의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이와 같이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기 때문에, 내용기 및 외용기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용기 전체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강한 소성 변형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동체부와 저부로 나누어 성형한 것을 용접하는 것이 필수적인 깊은 용기를 심교 가공 만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공정수가 감소되고 내부식성이 낮은 용접부의 형성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소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진공 배기 처리의 실시 온도도 낮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일손도 줄어 들고 제조 비용도 저감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4 태양은, 금속제의 내용기와 외용기를 구비하고, 당해 내용기와 외용기 사이에 형성된 밀폐 공간을 진공 단열층으로 하고, 상기 내용기와 외용기의 적어도 하나가 동을 1.5 ∼ 5 % 함유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 성형되고, 상기 내용기와 외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단열층측의 동 함유면에 금속 도금층이 형성된 단열 이중벽 용기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내용기 또는 외용기가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여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도전성에 의해 도금 효율이 좋은 도금이 박막화되고 생산 비용이 저감화된다. 또한, 성형 가공에 의한 성형 왜곡이 억제되기 때문에, 도금 두께라든가 광택 불균일이 적게 되고 복사 방지 효과가 우수한 도금이 형성되고 단열성능이 우수한 단열 이중벽 용기로 된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5 태양은, 금속제의 내용기와 외용기를 구비하고, 당해 내용기와 외용기 사이에 형성된 밀폐 공간을 진공 단열층으로 하고, 상기 내용기와 외용기의 적어도 하나가 동을 1.5 ∼ 5 % 함유하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성형되고, 내용기 내면과 외용기 외면의 적어도 하나의 동 함유면이 연마재에 의해 표면 연마된 단열 이중벽 용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 이중벽 용기의 제조 방법은, 내용기와 외용기의 적어도 하나를 동을 1.5 ∼ 5 % 함유하는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여 성형하고, 이들 내용기와 외용기를 공극을 두어 접합 일체화하여 이중벽 구조로 하고, 상기 공극을 진공 배기하여 단열층을 형성하고, 내용기 내면과 외용기 외면 중 적어도 하나의 동 함유면에 대하여 연마재를 사용한 표면 연마를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을 재료로 하는 진공 이중벽 용기의 제조 공정에서 표면에 발생한 동 결핍층을 연마재를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파괴한다는 간편하고 값싼 방법에 의해, 항균성이 높은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마후 표면적이 넓게 되기 때문에, 동과 균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동의 항균작용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다.
특히, 표면 연마를 블러스트 연마로 행하면, 내용기의 표면 형상이 복잡하게 되어도 연마재가 표면에 잔류하는 일이 없고 미세한 형상의 부분까지 연마가 가능하다.
더욱이, 연마재에 의한 연마 후 산성 용액에 침적을 행함으로써, 항균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열 진공 배기 처리의 경우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의 표면층에 생성되는 산화 생성물을 연마재에 의한 표면 연마에 의해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얻어진 용기의 내부식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태양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바닥이 있는 내용기 1의 외측에 진공 단열층 2를 개재하여 바닥이 있는 외용기 3을 설치하는 동시에, 각각 직경이 작게 형성된 짧은 통 형상의 내용기 1의 입구부 4와 외용기 3의 입구부 5를 접합하여 진공 단열 이중 용기 6을 형성한다. 상기 입구부 4에 마개체 7을 탈착 자유롭게 설치하고, 당해 마개체 7의 외측에 컵 형상의 캡 8을 배치하는 동시에, 당해 컵 형상의 캡 8을 외용기 3의 견부 9에 탈착 자유롭게 설치한다.
상기 내용기 1은 항균재인 동을 3 ∼ 4 %(중량비) 함유하는 스테인레스강의 박판, 예를 들어 상품명 일신제강(주)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동 NSSXM7로 되어, 함유된 항균재의 일부가 내표면 1A에 나타나 항균층 10이 형성되어 있다. 외용기 3은 스테인레스강의 박판,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SUS304로 된다. 그리고, 입구부 4, 5를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한다. 외용기 3의 저부 중앙에 진공 배기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진공 배기공에 납재 등의 봉지재(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한 상태에서 입구부 4, 5를 접합한 상태의 이중 용기를 진공 가열로 내에 넣고, 약 500 ℃에서 진공 배기를 행하면서 내용기 1과 외용기 3 사이를 진공 배기하고 봉지재를 용융시켜 진공 봉지를 행하여, 상기 진공 단열 이중용기 6을 형성한다. 11은 외용기 3의 저부에 장착한 합성수지제의 저부재이다.
내용기 1에 음료 등을 수용하는 등 후에 보관을 할 경우, 먼저 캡 8, 마개체 7을 벗긴 후에 내용기 1의 내부를 물로 세정한 후 이중 용기 6을 자연 건조 또는 식기 건조기에 의한 강제 건조를 행한다. 이 경우에는 입구부 4가 다른 내용기 1의 통부분 보다 직경이 작기 때문에 내표면 1A는 건조되기 어렵고, 그대로 내표면 1A가 젖은 상태로 보관되는 경우 잡균이 부착, 번식할 우려가 있지만, 내표면 1A에 항균층 1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항균층 10의 항균 작용에 의해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므로, 보관시에 내표면 1A가 젖어 있어도 잡균이 번식할 우려는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서는 내용기 및 외용기 3 사이에 진공 단열층 2를 설치하고, 상기 내용기 1의 적어도 내표면 1A에 항균층 10을 형성함으로써, 항균층 10에 의해 내표면 1A에 잡균이 부착, 번식할 우려를 일소할 수 있어 내표면 1A를 항상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스테인레스강제의 내용기 1 및 외용기 3 사이에 진공 단열층 2를 설치하고 상기 내용기 1을 항균재를 함유한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하고 당해 내용기 1의 적어도 내표면 1A에 항균층 10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내표면 1A에 잡균이 부착, 번식할 우려를 일소할 수 있어 내표면 1A를 항상 위생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데, 또한 내용기 1 자체를 항균재를 함유한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스테인레스강의 박판을 프레스 가공 등으로 형성하는 것 만으로 항균층 10을 내표면 1A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상기 입구부 4가 상기 내용기 1의 그밖의 장소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어 내용기 1의 내부로의 통기성이 저하되어 내표면 1A에 잡균이 부착, 번식하기 쉽게 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내표면 1A에 항균층 10을 설치함으로써 이와 같이 입구부 4가 직경이 작은 단열 이중용기 6이어도 내부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내용기 1, 외용기 3을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함으로써, 부식의 우려가 없는 한층 위생적인 단열 이중용기 6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태양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 1 태양의 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진공 단열 이중용기 6은 바닥이 있는 내용기 1의 외측에 진공 단열층 2를 개재하여 바닥이 있는 외용기 3을 설치하는 동시에, 직경이 작게 형성된 내용기 1의 입구부 4와 외용기 3의 입구부 5를 접합한 것으로, 상기 내용기 1, 외용기 3은 스테인레스강의 박판,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SUS304로 된다. 그리고, 내용기 1의 내표면 1A에 항균재 12를 함유하는 합성수지로 되는 항균층 13을 설치한다. 상기 항균재 12는 동계, 은계, 아연계 등으로, 당해 항균재 12를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합성수지에 함유시켜, 이를 내표면 1A에 코팅하여 상기 항균층 13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항균재 12를 함유하는 항균층 1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입구부 4, 5를 접합한 후에 진공 가열로 내에 넣고 진공 배기공으로 진공 배기를 행하는 동시에 봉지재를 용융시켜 진공 단열층 2를 형성한 후, 내표면 1A에 코팅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진공 배기공에 의한 진공에 더하여, 외용기 3의 저부 중앙에 칩관(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고 약 400 ℃로 가열 진공 배기를 행하면서 내용기 1, 외용기 3 사이를 진공배기하고, 칩관을 가압 압착하여 진공 봉지하여 진공 단열층 2를 형성한 후에 항균재 13을 설치하여도 좋다.
다음에, 사용후 보관하기 위하여 내용기 1의 내부를 물로 세정한 후 이중용기 6을 자연 건조 또는 식기 건조기에 의한 강제 건조를 행한다. 이후 내표면 1A가 젖은 상태로 보관되면 잡균이 부착, 번식할 우려가 있지만, 내표면 1A에 항균층 1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항균층 13의 항균 작용에 의해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내표면 1A가 젖어 있어도 잡균이 번식할 우려는 없다.
이상과 같이,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술한 도 1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로, 내용기 1의 적어도 내표면 1A에 항균층 13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항균층 13의 항균재 12에 의해 내표면 1A에 잡균이 부착, 번식할 우려를 일소할 수 있어 내표면 1A를 항상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또한 입구부 4가 상기 내용기 1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통기성이 저하되어도 내용기 1의 내표면 1A를 위생적으로 보존할 수 있으며, 동시에 내용기 1, 외용기 3이 스테인레스강에 의해 형성되므로 부식의 우려가 없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스테인레스강제의 내용기 1 및 외용기 3 사이에 진공 단열층 2를 설치하고 항균재 12를 함유하는 합성수지를 코팅하여 항균층 13을 상기 내용기 1의 내표면 1A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이중 용기를 제조한 후, 즉 스테인레스강제의 내용기 1, 외용기의 입구부를 접합하는 동시에 내용기, 외용기 사이에 진공 단열층을 설치하여 이중용기를 제조한 후, 별도로 상기 항균층 13을 설치하면 되고, 다수의 공정을 추가하는 일 없이 비교적 간단히 항균층 13을 설치할 수 있다.
제 2 태양에 있어서, 항균층 13은 코팅 이외의 방법으로 설치되어도 좋은데, 항균재 12를 함유하는 합성수지를 성형한 성형품을 내용기 1에 끼워맞추거나, 또는 시트, 필름 상으로 형성한 것을 접착하는 등으로 항균층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휴대용 보온병을 나타내었지만, 휴대용 보온병 이외에 탁상 보온병, 밥이라든가 스프 등의 식품 용기를 수용하는 식품 보온용의 이중 용기, 조리 냄비를 수용하여 보온 상태로 조리를 행하는 단열 조리기, 또는 커피 등을 수용하는 컵 등에도 이용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낸 용기는 본 발명의 용기의 제 3 태양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금속제의 내용기 21과 외용기 22를 공극을 두고 입구부 21a, 22a에서 접합 일체화하여 이중벽 구조로 하고, 이 공극을 진공 단열층 23으로 한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이다.
상기 내용기 21 및 외용기 22의 적어도 한쪽, 바람직하게는 양쪽이 동을 1.5 ∼ 5 % 함유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하 간단히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이라 한다), 바람직하게는 1.5 ∼ 3 % 함유하는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여 성형되어 있다.
여기에서 내용기 21 또는 외용기 22를 구성하는 스테인레스 중의 동 함유량이 1.5 % 보다 작으면 마르텐사이트 변형과 이에 기인하는 가공 경화를 억제할 수 없어, 충분한 내부식성이 발휘되지 못하여 심교 등의 가공을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역으로 동 함유량이 5 %를 초과하면 고온에서 입계첨화를 촉진하여 열간 가공성이 저해되고 고온 파열에 민감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동 함유량 3 % 이하의 스테인레스강은, 스테인레스강 모재에 대한 동 고용의 균일성이 높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동함유 스테인레스로 형성된 내용기 21 또는 외용기 22는 내용기 21의 내방 돌출부 21b, 돌출부 21c, 내통 저부 26a, 외용기 22의 나사부 22b, 돌출부 22c, 외용기 저부 22d 등의 강한 변형을 받는 부분의 마르텐사이트 변형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식성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고 소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강도 저하의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3에 나타낸 내용기 1 및 외용기 2는 1 매의 동함유 스테인레스강판으로 가공 성형된 것으로, 종래형의 용기와 같은 용접이 불필요하게 되어 용접 장소에 있어서 부식의 우려가 없다.
상기 구성의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는 내용기 21과 외용기 22의 적어도 한쪽을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여 성형하고, 이들 내용기 21과 외용기 22를 공극을 두고 입구부 21a, 22a에서 접합 일체화하여 이중벽 구조로 하고, 공극을 진공 배기하여 진공 단열층 23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작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용기 21 및 외용기 22의 성형 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둥글림 가공, 조임 가공, 돌출 가공, 용접 가공 등의 가공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의 경우는 1 매의 동판으로부터 심교 성형이 가능하므로 통부와 저부를 나투어 성형한 경우에 필요한 용접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마르텐사이트 변형이 억제되기 때문에, 성형에 있어서 표면의 성형 왜곡이라든가 파열이 방지될 수 있어 성형후의 소둔 공정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용기 21의 입구부 21a와 외용기 22의 입구부 22a를 합하여 접합 일체화한 후, 진공 가열로에 넣어 400 ∼ 1200 ℃, 바람직하게는 400 ∼ 600 ℃에서 진공 배기를 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에 있어서는 내식성이 높으므로, 가열 진공 처리를 소둔 온도 (870 ℃) 이하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를 제작하는 경우에 비하여 전력의 절약, 설비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진공 배기후 단열층의 봉지 수단으로서는, 외용기 저부 중앙 등에 취부된 칩관을 개재하여 소정의 진공도로 배기한 후 칩관을 압접하여 봉지하는 방법이라든가, 고형 납재의 용융 고화 등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의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에서는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으로 성형된 용기에 금속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함유에 의한 도전성 향상에 더하여, 강한 소성 변형을 받는 장소에서의 마르텐사이트 변형이라든가 성형 왜곡이 억제되어 도금의 수율이 향상되고 도금 두께의 불균일이라든가 광택 불균일이 작게 되어 복사 방지 효과가 우수한 도금층을 얻을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용기는 본 발명 용기의 제 4 태양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에 나타낸 용기중 내용기 21의 적어도 동체부의 외면(단열층측의 면)에 금속 도금층 28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 도금층은 외용기 22의 단열층측의 동함유면, 또는 내용기와 외용기 양쪽 단열층측의 동함유면에 형성되어도 좋지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내용기 단열층측의 동함유면에 금속 도금층 2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금속 도금층 28은 동, 은, 금 등으로 된다.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여 성형한 용기는 스테인레스 변형이 억제되고 표면에 성형 왜곡이 없고, 또한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기 때문에 도전성이 커서, 효율적으로 도금 두께의 불균일이라든가 광택의 불균일이 없고 복사 방지 효과가 우수한 금속 도금층 38로 되어 높은 단열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의 용기는 내용기 21과 외용기 22의 적어도 한쪽을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여 성형하고, 이들 내용기 21 외면과 외용기 22 내면의 적어도 한쪽의 동함유면에 도금을 실시하고, 이들 내용기 21과 외용기 22를 공극을 두고 입구부 21a, 22a에서 접합 일체화하여 이중벽 구조로 하고, 공극을 진공 배기하여 진공 단열층 23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작된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은 내용기와 외용기의 적어도 하나가 동을 1.5 ∼ 5 % 함유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 성형되고, 내용기 내면(내용물에 접하는 쪽)과 외용기 외면(외부에 면하는 쪽)의 적어도 하나의 동함유면이 연마재에 의해 표면 연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이중벽 용기로,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을 재료로 하는 진공 이중벽 용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표면에 발생한 동결핍층을 연마재를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파괴하여 동함유 스테인레스층을 노출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마재는 통상의 스테인레스강 등의 연마에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코란담, 탄화규소, 알루미나, 지르코니아-알루미나, 글라스 피스 등을 들 수 있다.
연마재의 입경은 50 ∼ 200 ㎛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재를 사용한 연마 방법으로서는 블러스트 연마, 버프 연마, 스코치 연마 등을 들 수 있는데, 이중에서도 블러스트 연마는 연마재가 표면에 부착하여 잔류되는 일이 없이 용이하게 회수될 수 있고 용기 내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확실히 연마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하,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구성의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를 예로 하여 이 용기에 블러스트 연마를 실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내용기 21과 외용기 22의 적어도 한쪽, 바람직하게는 양쪽을, 동을 1.5 ∼ 5 % 함유하는 동함유 스테인레스강, 바람직하게는 1.5 ∼ 3 % 함유하는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여 성형한다. 이 성형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는 않고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면 좋은데, 내용기 21 또는 외용기 22를 구성하는 스테인레스 중의 동 함유량이 1.5 % 보다 낮으면 항균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뿐 아니라 가공성이 불충분하여 심교가공을 행할 수 없다. 반대로 동 함유량이 5 %를 초과하면 고온에서 입계첨화를 촉진하여 열간 가공성이 저해되고 고온 파열에 민감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동 함유량 3 % 이하의 스테인레스강은 스테인레스강 모재에 대한 동의 고용 균일성이 높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용기 21 또는 외용기 22의 적어도 하나의 단열층측의 면, 바람직하게는 내용기 21 외면(단열층측으로 되는 면)의 적어도 동체부에 동, 은, 금 등을 사용하여 금속 도금층 28을 형성하여도 좋다.
상술한 방법으로 내용기 21의 입구부 21a와 외용기 22의 입구부 22a를 합하여 접합 일체화한 후, 진공 배기로에 넣어 진공 배기를 행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이중벽 용기의 내용기 내면과 외용기 외면의 적어도 한쪽에 블러스트 연마를 시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블러스트 연마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내용기의 내면을 연마하는 양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 블러스트 연마기 31은 연마재 32를 넣은 탱크, 컴프레서(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여 압축공기를 취입하기 위한 공기 취입구, 연마재 32와 고속기류를 동반하는 송출관 35, 및 연마재를 고속기류와 함께 분출하는 노즐 36, 용기 37을 회전시키는 회전대(도시하지 않음)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노즐 36은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노즐 36 선단에는 다수의 분사공이 천설된 칩(도시하지 않음)이 취부되어 있다. 칩으로서는, 노즐 중심축에 대한 분사공의 형성 각도가 다른 복수의 칩을 마련하여 필요에 따라 칩을 교환하여 연마재의 분사 각도를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연마재 32로서는, 코란덤, 탄화 규소, 알루미나, 지르코니아-알루미나, 글라스 피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연마기 31을 사용하여 내용기 내면을 연마하기 위해서는, 용기 37을 도립시켜 회전대에 고정하고 이 용기 37 내부에 노즐 36을 아래로부터 삽입한다. 이어서, 회전대를 작동시켜 용기 37을 도립 상태에서 회전시키면서 컴프레서를 작동시켜 공기 취입구 34로부터 압축 공기를 송입한다. 이 압축 공기는 고속 기류로 되어 탱크 33으로부터 낙하하는 연마재 32를 동반하면서 송출관 35를 통하여 노즐 36 선단에서 분출된다. 분출 압력은 2 ∼ 5 kg/cm2G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노즐 36을 상하 이동시켜 내용기 내면 전체를 연마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노즐 선단의 칩을 교환하여 연마재의 분사 각도를 변화시켜 연마를 행한다. 이 사이에 고속 기류와 함께 분출되는 연마재 32는 내용기 하방에 설치된 회수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모여 탱크 33으로 되돌려져 재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연마재에 의한 표면 연마 후 산성 용액에 침적하는 회복 처리를 거듭 행하면 항균성이 더욱 높아져서 바람직하다. 이 회복 처리는 일본 특허공개 평8-229107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비산화성 또는 환원성의 산을 함유하는 산성 용액, 특히 바람직하게는 pH 2.5 이하, 50 ∼ 80 ℃의 묽은 황산 수용액, 불질산 수용액, 또는 수산 수용액 중에서 목적하는 표면을 침적시킨다.
이상, 금속제의 내용기와 외용기가 공극을 두고 입구부에서 접합 일체화되어 이중벽 구조로 되고 상기 공극을 진공 단열층으로 한 진공 이중벽 용기의 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진공 단열층을 구비한 이중벽 용기라면 좋다. 특히 본 발명의 금속제 진공 이중벽 용기는 성형성이 높은 동함유 스테인레스강이 사용되므로, 동을 함유하지 않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성형 부재의 형상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내용기와 외용기 통 형상부 까지를 평판으로부터 심교 성형 및 역재교(逆再絞) 성형 등의 방법으로 1 점 부재로 하고 이 부재와 외용기 저면 부재를 접합 일체화하여 이중벽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은 보온병 외에 단열 조리 냄비, 머그 컵, 식부(食缶), 점심 도시락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에 나타낸 구조의 진공 단열 보온병을 제조하였다. 내용기와 외용기의 양쪽을 동 함유량 3 ∼ 4 %인 일신제강(주)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NSSXM7 (전기저항은 종 40 mm X 횡 10 mm X 두께 0.2 mm의 크기에서 0.8 Ω)을 사용하여 가공 성형하였다.
외용기 저부 중앙에는 진공 배기를 위한 배기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내용기와 외용기의 입구부를 합하여 용접하여 이중벽 용기로 한 후, 배기공에 납재를 배치하여 진공 가열로에 넣어 500 ℃에서 진공 배기를 행하면서 내외용기 사이의 공극을 진공 배기하고 납재로 된 봉지재의 용융에 의해 진공 봉지하여 진공 단열 보온병으로 하였다.
이 진공 단열 보온병을 주위 온도 35 ℃에서 5 중량% 식염수를 분무하는 시험을 72 시간 행하였지만 녹의 발생은 없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내용기와 외용기의 입구부를 합하여 용접하여 이중벽 용기로 한 후, 외용기 저부 중앙에 칩 관을 설치하여 400 ℃에서 가열 진공 배기를 행하면서 내외용기 사이의 공극을 진공 배기하고, 칩관을 가압 압착하여 진공 봉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진공 단열 보온병을 제작하여, 식염 분무 시험을 행하였다.
(비교예 1)
내외용기를 동을 함유하지 않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SUS304(전기저항은 종 40 mm X 횡 10 mm X 두께 0.2 mm의 크기에서 1 Ω)로 성형하고 용접 가공을 행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진공 단열 보온병을 제작하여, 식염 분무 시험을 행하였다.
(비교예 2)
내외용기를 동을 함유하지 않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SUS304로 성형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진공 단열 보온병을 제작하여, 식염 분무 시험을 행하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하여 표 1에 나타낸다.
재질 진공 봉지 방법 진공 가열 온도 부식 발생
실시예 1 NSSXM7 진공로 방식 500 ℃ 없음
실시예 2 NSSXM7 칩관 방식 400 ℃ 없음
비교예 1 SUS304 진공로 방식 500 ℃ 발생
비교예 2 SUS304 칩관 방식 400 ℃ 발생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2의 보온병은 강한 소성 변형을 받아 내용기의 내방 돌출부, 돌출부, 내통 저부, 외용기의 나사부, 돌출부, 외통 저부에 부식이 확인되었지만, 실시예 1 및 2의 보온병에서는 부식이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3)
도 4에 나타낸 구조의 진공 단열 보온병을 제조하였다. 내용기와 외용기의 양쪽을 동 함유량 3 ∼ 4 %인 일신제강(주)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NSSXM7 (전기저항은 종 40 mm X 횡 10 mm X 두께 0.2 mm의 크기에서 0.8 Ω)을 사용하여 가공 성형하였다. 외용기 저부 중앙에는 진공 배기를 위한 배기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내용기 외면에 동체부 중간에서의 설정 막두께를 2.0 ㎛로 하여 동도금을 실시한 후, 동체부 상부, 동체부 중간, 동체부 하부의 도금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동체부 상부 3.2 ㎛ ∼ 2.2 ㎛
동체부 중간 2.8 ㎛ ∼ 2.2 ㎛
동체부 하부 3.1 ㎛
로, 도금의 가장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의 차이는 1.0 ㎛이었다. 또한, 도금의 광택은 양호하였다.
다음에 내용기와 외용기의 입구부를 합하여 용접하여 이중벽 용기로 한 후, 배기공에 납재를 배치하여 진공 가열로에 넣어 500 ℃에서 진공 배기를 행하면서 내외용기 사이의 공극을 진공 배기하고 납재로 된 봉지재의 용융에 의해 진공 봉지하여 진공 단열 보온병으로 하였다.
(비교예 3)
내외용기를 동을 함유하지 않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SUS304(전기저항은 종 40 mm X 횡 10 mm X 두께 0.2 mm의 크기에서 1 Ω)로 성형하였다.
다음에 내용기 외면에,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에서 동도금을 실시하여, 동체부 상부, 동체부 중간, 동체부 하부의 도금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동체부 상부 3.5 ㎛ ∼ 1.8 ㎛
동체부 중간 3.2 ㎛ ∼ 1.7 ㎛
동체부 하부 3.6 ㎛
로, 도금의 가장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의 차이는 1.9 ㎛이었다. 또한, 특히 과도한 소성 변형을 받은 부분에서 도금 광택의 저하가 발견되었다. 더욱이, 평균 도금 두께는 실시예 3에 비하여 두껍게 되었다.
이어서,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전공 단열 보온병을 제작하였다.
(보온 성능의 비교)
실시예 3(NSSXM7)과 비교예 3(SUS304)의 각 내용기를 사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공 단열 보온병을 5 개씩 제작한 후, 95 ℃의 열탕으로 채워 뚜껑을 닫고 24 시간 후의 탕 온도를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구한 결과, 실시예 3(NSSXM7)에서는 54.9 ℃, 비교예 3(SUS304)에서는 52.1 ℃로, 단열 성능에 있어서도 실시예의 경우가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1]
도 4에 나타낸 구조의 진공 단열층 보온병을 제작하였다. 내용기와 외용기의 양쪽을 동함유량 3 ∼ 4 %인 일신제강(주)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NSSXM7을 사용하여 가공 성형하였다. 다음에 내용기와 외용기의 입구부를 합하여 용접하여 이중벽 용기로 한 후, 약 1000 ℃의 진공 배기 처리를 행하였다.
얻어진 이중벽 용기의 내용기 내면 및 외용기 외면을 연마재를 사용하여 블러스터 연마(글라스 피스를 5 kg/cm2G로 취부)한 것, 스코치 연마한 것, 전해 연마한 것에 더하여, 표면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도 준비하였다. 이들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항균성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항균성 시험)
보통 부이용 배지에서 배양한 대장균을 인산 완충액으로 1 ㎖당 생균수 1.4 X 105의 균액을 조제하였다. 이 액 1 ㎖를 블러스터 연마, 스코치 연마, 전해 연마, 표면처리를 행하지 않은 것 4 종류의 표면에 적하하고 25 ℃, 24 시간 정치한 후 생균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러스터 연마, 스코치 연마에서는 항균성이 현자한 회복을 보여 본 발명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한편, 전해 연마를 실시한 것은 항균성 작용이 소실되어, 전해 연마 처리에서 동 성분이 선택적으로 용출되어 버리는 것으로 추정된다.
검체 초기 균액 농도 발생 집락수
처리하지 않은 것 1.4 X 105 2.7 X 104
블러스터 연마 1.4 X 105 10
스코치 연마 1.4 X 105 27
전해 연마 1.4 X 105 4.7 X 105
[시험예 2]
시험예 1에서의 3 종류의 연마를 행한 보온병을 pH 0,2, 70 ℃의 황산 수용액에 60 초 침적하고 순수로 세정하는 회복 처리를 행한 후 동일한 항균성 시험을 행하였다. 다음에 비교하기 위하여 표면 연마를 행하지 않은 보온병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회복 처리를 행하고 항균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검체 초기 균액 농도 발생 집락수
회복처리만 행한 것 1.4 X 105 2.7 X 10³
블러스터 연마 + 회복처리 1.4 X 105 0 (검출 안됨)
스코치 연마 + 회복처리 1.4 X 105 10
전해 연마 + 회복처리 1.4 X 105 2.0 X 105
표 3의 결과로부터, 회복처리 단독에 비하여 연마재에 의한 연마를 병용하면 회복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블러스터 연마와 회복처리를 병용하는 것은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내용기 및 외용기 사이에 단열층을 설치한 단열 이중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와 내용기의 적어도 하나에 항균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단열 이중벽 용기는, 표면에 잡균이 부착하여도 번식하는 일이 없이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Claims (14)

  1. 내용기 및 외용기 사이에 단열층을 설치한 단열 이중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와 내용기의 적어도 하나에 항균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벽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내용기의 내표면에 항균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벽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제의 내용기 및 외용기 사이에 진공 단열층을 설치한 금속제의 단열 이중 용기로서, 상기 내용기와 외용기의 하나를 항균재를 함유하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벽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내용기를 항균제를 함유하는 금속 재료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당해 내용기의 적어도 내표면에 항균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벽 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와 외용기의 적어도 하나가 동을 1.5 ∼ 5 % 함유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벽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가 동을 1.5 ∼ 5 % 함유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벽 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와 외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단열층측의 동함유면에 금속 도금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벽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가 동을 1.5 ∼ 5 % 함유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으로 성형되고, 상기 내용기의 단열층측의 면에 금속 도금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벽 용기.
  9. 제 5 항에 있어서, 내용기 내면과 외용기 외면의 적어도 한쪽의 동함유면이 연마재에 의해 표면 연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벽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제의 내용기 및 외용기 사이에 진공 단열층을 설치한 금속제의 단열 이중 용기로서, 항균재를 함유하는 합성수지로 되는 항균층을 상기 내용기의 내표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벽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의 입구부가 당해 내용기의 그 밖의 장소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벽 용기.
  12. 내용기와 외용기의 적어도 하나를, 동을 1.5 ∼ 5 % 함유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여 성형하고, 이들 내용기와 외용기를 공극을 두어 접합 일체화하여 이중벽 구조로 하고, 상기 공극을 진공 배기하여 단열층을 형성하고, 내용기 내면과 외용기 외면 중 적어도 하나의 동 함유면에 대하여 연마재를 사용한 표면 연마를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벽 용기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연마후 표면 연마를 시행한 표면을 산성 용액에 침적하는 항균성 회복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벽 용기의 제조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연마를 블러스터 연마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이중벽 용기의 제조 방법.
KR1019980018408A 1997-05-29 1998-05-21 단열 이중벽 용기 KR199800872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05569 1997-01-16
JP14055397A JP2928198B2 (ja) 1997-05-29 1997-05-29 金属製真空二重壁容器
JP9-140554 1997-05-29
JP9-140553 1997-05-29
JP14055497A JP2928199B2 (ja) 1997-05-29 1997-05-29 金属製真空二重壁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14055697A JP2928200B2 (ja) 1997-05-29 1997-05-29 金属製真空二重壁容器
JP9-140556 1997-05-29
JP1997005569U JP3044866U (ja) 1997-06-27 1997-06-27 断熱二重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268A true KR19980087268A (ko) 1998-12-05

Family

ID=27454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408A KR19980087268A (ko) 1997-05-29 1998-05-21 단열 이중벽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80929A2 (ko)
KR (1) KR19980087268A (ko)
CN (1) CN1203058A (ko)
CA (1) CA2238779A1 (ko)
TW (1) TW350768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468B1 (ko) * 1999-04-23 2006-09-1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항습기의 고내 하우징
KR101478060B1 (ko) * 2011-10-20 2015-01-02 한신전기주식회사 수배전반용 블랙박스
KR101633723B1 (ko) * 2015-04-28 2016-06-27 원시연 보냉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02580U (ko) * 2015-01-15 2016-07-25 (주)신영화학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8586C1 (de) * 2001-03-19 2002-12-05 Hans Zucker Gmbh & Co Kg Wechselbar temperierfähiges Behältnis
CN2730266Y (zh) * 2004-06-25 2005-10-05 快达实业有限公司 电热开水保温水壶
JP5227346B2 (ja) * 2009-01-30 2013-07-03 株式会社 資生堂 二重容器
CN103479240B (zh) * 2012-06-12 2016-03-30 三恵技研工业株式会社 真空双层容器以及其制造方法
US9555948B2 (en) * 2013-12-09 2017-01-31 Rubbermaid Incorporated Double-walled, vacuum-insulated container having inner coating cured at high temperature
JP5837958B2 (ja) * 2014-03-24 2015-12-24 サーモス株式会社 金属製真空断熱容器
FR3028392B1 (fr) * 2014-11-18 2016-11-11 Seb Sa Appareil de coiffure avec moyen d'isolation thermique integre
CN104828391A (zh) * 2015-03-30 2015-08-12 袁永杨 一种以干冰作为冷源的肉类食品冷藏罐
WO2017136747A1 (en) * 2016-02-05 2017-08-10 Yeti Coolers, Llc Insulating container and method of forming such a container
CN108082744B (zh) * 2017-12-23 2019-05-21 湖南中科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岩土工程用岩石检测采样瓶
WO2019138419A1 (en) * 2018-01-15 2019-07-18 Harleen CHATHA A container
JP7290658B2 (ja) 2018-03-19 2023-06-13 プラスチック・オムニウム・アドヴァンスド・イノベーション・アンド・リサーチ 内燃機関の燃焼室に水溶液を噴射するための車両システム及び内燃機関の燃焼室に水溶液を噴射する方法
US20230363586A1 (en) * 2022-05-12 2023-11-16 Jestin Allen Insulated Water Bottl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1470B2 (ja) 1995-02-24 2003-12-02 日新製鋼株式会社 Cu含有ステンレス鋼の抗菌性改善方法
JPH095569A (ja) 1995-06-23 1997-01-10 Hitachi Cable Ltd 導波路型光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導波路
JPH09140553A (ja) 1995-11-17 1997-06-03 Yoshida Denki:Kk 仏 壇
JPH09140556A (ja) 1995-11-24 1997-06-03 Tokyo Seat Kk 車両用カーテン装置
JPH09140554A (ja) 1995-11-24 1997-06-03 Yoshida Denki:Kk 仏 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468B1 (ko) * 1999-04-23 2006-09-1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항습기의 고내 하우징
KR101478060B1 (ko) * 2011-10-20 2015-01-02 한신전기주식회사 수배전반용 블랙박스
KR20160002580U (ko) * 2015-01-15 2016-07-25 (주)신영화학 화장품 용기
KR101633723B1 (ko) * 2015-04-28 2016-06-27 원시연 보냉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38779A1 (en) 1998-11-29
EP0880929A2 (en) 1998-12-02
CN1203058A (zh) 1998-12-30
TW350768B (en) 199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7268A (ko) 단열 이중벽 용기
CN100420412C (zh) 隔热容器
KR100639132B1 (ko) 경질 장식 피막을 갖는 기재 및 그 제조 방법
US7942288B2 (en) Cooking utensils with metallic non-stick coating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WO2018209844A1 (zh) 一种不粘锅的制备方法
CN105779932B (zh) 用于处理腔室的工艺内衬和物理气相沉积设备
KR102009409B1 (ko) 티타늄 버퍼 층을 갖는 dlc 코팅 사이징 롤러
CA2056943C (en) Substrate of improved plasma sprayed surface morphology
CN101879675A (zh) 旋压锅的制造方法
CN112545298B (zh) 一种轻量化不锈铁锅及其制备方法
CN113455912B (zh) 锅具和烹饪器具
CA1285782C (en) Cylindrical freezing drum for slice ice making machines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drum
KR100911788B1 (ko) 금속 비점착 코팅을 갖는 요리 식기 및 이의 제조 방법
JP2928199B2 (ja) 金属製真空二重壁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413918B (zh) 一种钛金属真空保温杯及其制备方法
US20210088140A1 (en) Sealing device and machine using same
CN114657503B (zh) 一种镀膜材料及其制备方法、电子产品壳体
CN115261948B (zh) 一种镀膜件及其制备方法、壳体及电子产品
JPH08134621A (ja) 耐食被覆部品
JPH10324368A (ja) 高純度イソプロピルアルコール収納容器
JPS62165067A (ja) 耐食性を具えた圧力容器の製造方法
CN114645304A (zh) 一种铝合金型材表面木纹图案成型方法及铝合金型材
JP3058432U (ja) 電磁誘導加熱式炊飯器の内鍋
CN112551870A (zh) 一种不锈钢壳体内玻璃体烧结方法
JP2928198B2 (ja) 金属製真空二重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