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5047A - 열풍 순환식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열풍 순환식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5047A
KR19980085047A KR1019970020995A KR19970020995A KR19980085047A KR 19980085047 A KR19980085047 A KR 19980085047A KR 1019970020995 A KR1019970020995 A KR 1019970020995A KR 19970020995 A KR19970020995 A KR 19970020995A KR 19980085047 A KR19980085047 A KR 19980085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pot
air
diaphragm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두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20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85047A/ko
Publication of KR19980085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047A/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솥 하단에 팬을 설치하고 내솥과 외솥 사이 공간에 격판을 설치하여 팬을 이용하여 열풍을 격판을 따라 내솥 주위로 강제로 순환되도록 함으로서 내솥의 위치별 온도편차와 히터에서 발생한 열의 열전달 시간을 줄여 취사 성능을 높인 열풍 순환식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로 개구되어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내솥(4)과, 상기 내솥(4)이 안착되는 외솥(6)과, 상기 외솥(6)의 일단에 설치되어 내솥(4)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7,8)와, 상기 내솥(4)과 외솥(6) 사이의 공간에 공기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상기 공간에는 공기 순환수단을 설치한 전기밥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열풍 순환식 전기밥솥
본 발명은 열풍 순환식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솥 하단에 팬을 설치하고 내솥과 외솥 사이 공간에 격판을 설치하여 팬을 이용하여 열풍을 격판을 따라 내솥 주위로 강제로 순환되도록 함으로서 내솥의 위치별 온도편차와 히터에서 발생한 열의 열전달 시간을 줄여 취사 성능을 높인 열풍 순환식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은 전기를 이용하여 밥이나 음식 등을 하거나 보온하기 위한 기구로 전기보온밥솥, 전기압력밥솥 등의 종류가 있다.
그중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을 도시한 것으로,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기압력밥솥은 내부에 쌀을 퍼담을 수 있도록 상부로 개구되어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내솥(101)과, 상기 내솥(101)이 안착되는 외솥(108)과, 외솥(108)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쌀이 담긴 내솥(101)을 가열하기 위한 취사히터(102)와, 상기 취사히터(102)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09)와, 외솥(108)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내솥(101) 내부의 보온을 유지시키도록 가열하는 보온히터(103)와, 내솥(101)의 상단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덮게(106)와, 이것들을 내부로 고정 안착하고 감싼 단열케이스(104)와, 상기 단열케이스(104)의 상부에는 내솥(101)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안전밸브(107)가 구비된 단열케이스(104) 상부를 개폐시키는 뚜껑(105)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기압력밥솥의 좀 더 상세한 내부 구성과 내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밥을 하기 위해 내부에 쌀을 앉힌 내솥(101)은 외솥(108)에 삽입이 되어 안착되는데 외솥(108)의 형태는 내솥(101)의 외부 형태와 유사하며 외솥(108)의 하단부에는 내솥(101)의 하단부와 접촉이 되어 내솥(101)을 가열 취사하기 위한 취사히터(102)가 둥근 형태로 위치해 있고 취사히터(102)의 중앙부에는 내솥(101) 외부의 중앙 하단부와 접촉되어 내솥(101)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09)가 취사히터(102)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외솥(108)의 측면 중상단부에는 내솥(101) 내부의 보온을 유지시키기 위한 보온 히터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외솥(108)의 내측에 삽입 안착된 내솥(101)의 삽입 구조에서 내솥(101)의 외측면과 외솥(108)과는 약간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내솥(101)의 하단은 외솥(108)의 취사히터(102)와 접촉되어 있어 외솥(108)의 히터(102,103)에서 발생한 열은 내솥(101)과 외솥(108)의 접촉 부위에서는 전도로, 접촉되지 않은 곳에서는 대류로 내솥(101)에 열전달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열전달 경로를 갖는 전기압력밥솥에서 취사히터(102)에 의하여 내솥(101)이 가열되어 내솥(101) 내부에 있던 쌀이 밥이 되는데, 내솥(101)의 상부는 덮게(106)로 덮어지고 내솥(101)내에서 발생한 증기는 내솥(101) 상단부에 설치된 안전밸브(10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고온이 발생되는 전기압력밥솥의 외부는 단열케이스(104)로 감싸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에서는 히터에 의하여 가열되는 내솥(101)의 특성상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외솥(108)의 하단부에만 취사히터(102)가 있기 때문에 취사시 취사히터(102)가 내솥(101)의 하단부만 가열하게 되고 이와 같이 내솥(101)의 하단부만 가열함으로서 내솥(101)이 위치에 따라 균일하게 가열되지 못하는 원인이 되며 이는 내솥(101) 안에 있는 밥을 골고루 익히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 타게 만들었다.
또한 취사히터(102)와 보온히터(103)에서 발생한 열의 대류에 의하여 내솥(101)을 가열시, 외솥(108)과 내솥(101) 사이 간격 내에 위치한 공기의 대류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아 열전달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데, 이 또한 내솥(101)을 균일하게 가열하게 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었다.
전기밥솥의 취사시와 보온시 취사히터와 보온히터에서 발생한 열을 팬을 이용하여 강제로 순환 대류시켜 내솥의 전 부위를 전면적을 가열함으로서 내솥이 위치별로 온도가 불균일 하게 가열되는 것을 막고 열전달 시간을 최소화하여 취사 성능을 높인 전기밥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압력밥솥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보인 일측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보인 일측 단면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이 형성된 취사히터를 설치한 전기 압력밥솥의 내부 구성을 보인 일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배출구 2 : 순환통로
3 : 격판 4 : 내솥
5 : 단열케이스 6 : 외솥
7 : 취사히터 8 : 보온히터
9 : 팬 10 : 유입구
11 : 안전밸브 12 : 뚜껑
13 : 덮게 14 : 가열통로
16 : 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부로 개구되어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내솥과 상기 내솥이 안착되는 외솥과 상기 외솥의 일단에 위치되어 내솥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상기 내솥과 접촉되게 설치되어 내솥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내솥의 상단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덮게와 이것들을 내부로 고정 안착하고 감싼 단열케이스와 내솥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된 단열케이스 상부를 개폐시키는 뚜껑으로 구성된 전기밥솥에서, 내솥 하단부 내솥과 외솥 사이의 공간에 팬을 설치하고 내솥과 외솥의 사이의 공간에는 격판을 설치해 히터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팬으로 격판을 따라 강제 대류시켜 내솥을 가열하도록 한 전기밥솥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 순환식 전기밥솥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밥솥은 내부에 쌀을 퍼담을 수 있도록 상부로 개구되어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내솥(4)과 탈착 가능한 상기 내솥(4)이 안착되는 고정 설치되는 외솥(6)이 있다.
내솥(4)의 하단부에는 상기 내솥(4)과 접촉되어 쌀이 담긴 내솥(4)을 가열하기 위한 취사히터(7)가 설치되며 취사히터(7)가 접촉되지 않는 내솥(4)의 중앙 하단부에는 취사히터에 의해 가열된 내솥(4)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15)가 내솥(4)과 접촉되게 설치된다.
내솥(4)의 하단부 내솥(4)과 외솥(6) 사이의 공간에는 팬(9)과 보온히터(8)가 설치되는데, 상기 팬(9)과 보온히터(8)는 내솥(4)과 외솥(6)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격판(3)의 유입구(10)에 위치되며 팬(9)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보온히터(8)를 거치며 가열되도록 팬(9)의 전방에 보온히터(8)가 설치된다.
여기서 내솥(4)과 외솥(6)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상기 격판(3)은 팬(9)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가이드 되어 흐르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하단부에는 팬(9)이 설치된 유입구(10)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상기 팬(9)에 의하여 상기 유입구(1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팬(9)의 전방에 설치된 보온 히터와 내솥(4)의 하단에 접촉되어 설치되어 있는 취사히터(7)를 거치면서 가열된 후 상승하며 내솥(4)을 가열한 후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출구(1)가 형성되어 있다.
팬(9)에 의하여 순환되는 열풍과 접촉된 취사히터(7)에 의하여 내솥(4)이 가열되고 내솥(4)의 내부에서는 증기가 발생하는데, 내솥(4)의 상부는 덮게(13)로 덮어지고 상단부에는 내솥(4)내에서 발생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안전밸브(11)가 설치되며 고온이 발생되는 전기밥솥의 외부는 단열케이스(5)로 감싸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솥(4) 하단부 격판(3)의 유입구(10)에 설치된 팬(9)이 가동하기 시작하면 전기밥솥 내 내솥(4)과 외솥(6) 사이에 활발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팬(9)이 일으킨 바람은 팬(9) 전방에 설치된 보온히터(8)와 취사히터(7)를 거치는 동안 가열이 되고 이렇게 가열되어 열풍으로 변한 공기는 내솥(4)과 격판(3) 사이의 공간인 가열통로(14)를 통하여 상승하면서 내솥(4)을 가열하며 내솥(4)을 가열한 후 냉각이 된 공기는 격판(3) 상단부의 배출구(1)를 통하여 배출된다.
배출된 공기는 격판(3)과 외솥(6) 사이의 공간인 순환통로(2)로 하강하여 팬(9)이 설치된 유입구(10)로 유입되는데, 유입된 공기는 다시 보온히터(8)와 취사히터(7)를 거치는 동안 가열이 되고 가열된 공기는 가열통로(14)를 이동하면서 내솥(4)을 가열한다.
이러한 과정은 계속 반복이 되며, 이와 같이 열풍을 이용하여 내솥(4)의 전면적을 가열하는 것은 아궁이에 불을 때면 불이 솥 주위를 타고 올라오면서 솥 전면을 가열하는 재래식 방법으로 밥을 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어 전기밥솥으로 밥을 할 때 내솥(4)이 위치별로 불균일하게 가열되어 밥이 골고루 익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 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는 내솥(4)과 외솥(6) 사이의 공간에 격판(3)을 두고 상기 격판(3)을 따라 가열된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히터(7,8)에서 발생한 열이 내솥(4)에 전달되는 시간을 최소화했는데, 격판(3)을 설치하지 않고 내솥(4) 하단부 내솥(4)과 외솥(6) 사이의 공간에 팬(9)을 설치하고 팬(9)을 회전시켜 내솥(4)과 외솥(6)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를 내솥(4) 주위로 회전시켜 내솥(4)을 가열할 수도 있다.
팬(9)의 전방에 설치된 보온히터(8)는 보온시 보온히터(8) 역할 뿐 아니라 취사시에는 내솥(4) 주위로 흐르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취사히터(7)가 될 수도 있으며 내솥(4)을 보온할 수 있는 보온히터(8)는 도 2에 도시된 유입구(10)에 설치된 팬(9)의 전방에 위치되지 않고 내솥(4)을 보온할 수 있는 곳이면 어느 곳이나 가능하며, 공기가 순환하거나 회전하는 내솥(4)과 외솥(6) 사이의 공간의 크기는 공기의 흐름이 효율적이도록 형성시킨다.
도 3은 취사히터(7)의 다른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솥(4)의 하단과 접촉되게 설치되어 내솥(4)의 하단부를 집중적으로 가열하는 취사히터(7)의 상단부에 골(16)을 형성시켜 팬(9)에 의하여 순환되는 공기가 취사히터(7)에 설치된 골(16)을 통과하면서 더 쉽게 가열이 되고 더 고온이 되어 내솥(4)을 가열한다.
이는 취사히터(7)에 골(16)을 형성하고 공기가 골(16)을 통해 지나가므로서 뜨거운 취사히터(7)를 지나가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고, 취사히터(7)를 지나가는 공기가 많아질수록 취사히터(7)의 열을 빼앗아 가는 공기의 양도 증가하며, 이것은 내솥(4)과 외솥(6) 사이를 순환하는 전체 공기의 온도가 더 상승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더 고온으로 가열된 공기가 내솥(4)을 지나면서 내솥(4)을 가열함으로서, 단순히 팬(9)을 이용하여 공기를 순환시켜 내솥(4)을 가열할 때보다 내솥(4)의 취사히터(7) 접촉부와 비접촉 부위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고 온도차를 줄일수 있음으로 인해서 내솥(4)의 전면을 더욱 균일한 온도편차를 가지도록 하며 가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밥솥의 내솥 하단부 내솥과 외솥 사이의 공간에 팬을 설치하고 내솥과 외솥 사이의 공간에는 격판을 설치하여 팬에 의하여 격판 하단부의 유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히터를 거치는 동안 열풍으로 변하고 상기 열풍이 내솥과 격판 사이의 가열통로를 거치는 동안 내솥을 가열하며 다시 순환통로를 거쳐 유입구로 순환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내솥을 전면적으로 가열함으로서, 내솥의 열전달 시간을 줄이고 내솥이 위치별로 불균일하게 가열되는 것을 막아 밥이 골고루 익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 타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 설명했지만,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상부로 개구되어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내솥(4)과, 상기 내솥(4)이 안착되는 외솥(6)과, 상기 외솥(6)의 일단에 설치되어 내솥(4)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7,8)와, 상기 내솥(4)과 외솥(6) 사이의 공간에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상기 공간에는 공간 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 순환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순환수단은 팬(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7,8)중 취사히터(7)는 내솥(4)과의 접촉 부위에 골(16)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4)과 외솥(6) 사이의 공간에 격판(3)을 설치하고 상기 격판(3)의 상단부에는 배출구(1)를 하단부에는 유입구(10)를 형성하여, 팬(9)을 이용하여 유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격판(3)과 내솥(4) 사이의 통로인 가열통로(14)를 지나 배출구(1)로 빠져나가게 만들고 배출구(1)를 빠져 나온 공기는 외솥(6)과 격판(3) 사이의 통로인 순환통로(2)를 거쳐 다시 유입구(10)로 순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4)과 외솥(6) 사이의 공간에 격판(3)을 설치하고 상기 격판(3)의 상단부에는 배출구(1)를 하단부에는 유입구(10)를 형성하여, 팬(9)을 이용하여 유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격판(3)과 내솥(4) 사이의 통로인 가열통로(14)를 지나 배출구(1)로 빠져나가게 만들고 배출구(1)를 빠져 나온 공기는 외솥(6)과 격판(3) 사이의 통로인 순환통로(2)를 거쳐 다시 유입구(10)로 순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6. 상부로 개구되어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내솥(4)과, 상기 내솥(4)이 안착되는 외솥(6)과, 상기 외솥(6)의 일단에 설치되어 내솥(4)을 가열하기 위한 취사히터(7)와, 상기 내솥(4)과 외솥(6) 사이의 공간에 상단부에는 배출구(1)를 하단부에는 유입구(10)를 형성한 격판(3)과, 상기 유입구(1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격판(3)과 내솥(4) 사이의 통로인 가열통로(14)를 지나 배출구(1)로 빠져나가게 만들고 배출구(1)를 빠져 나온 공기는 외솥(6)과 격판(3) 사이의 통로인 순환통로(2)를 거쳐 다시 유입구(10)로 강제 순환시키기는 역할을 하는 유입구(10)에 설치된 팬(9)과, 상기 팬(9)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팬(9)에 의하여 유입구(10)로 흡입된 공기를 열풍이 되도록 가열하기 위한 보온히터(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히터(7)는 골(1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KR1019970020995A 1997-05-27 1997-05-27 열풍 순환식 전기밥솥 KR19980085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995A KR19980085047A (ko) 1997-05-27 1997-05-27 열풍 순환식 전기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995A KR19980085047A (ko) 1997-05-27 1997-05-27 열풍 순환식 전기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047A true KR19980085047A (ko) 1998-12-05

Family

ID=6599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995A KR19980085047A (ko) 1997-05-27 1997-05-27 열풍 순환식 전기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850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907B1 (ko) * 2002-09-25 2009-07-30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 압력밥솥의 구동 방법
CN109506256A (zh) * 2018-12-20 2019-03-22 曹江涛 一种空气热流加热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907B1 (ko) * 2002-09-25 2009-07-30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 압력밥솥의 구동 방법
CN109506256A (zh) * 2018-12-20 2019-03-22 曹江涛 一种空气热流加热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70902C (zh) 电烤炉
US7049550B2 (en) Overheated steam oven
KR100735183B1 (ko) 전기 오븐
WO2010024381A1 (ja) 加熱調理器
KR20050056056A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US6911626B2 (en) Overheated steam oven
KR100820734B1 (ko) 증기조리장치
KR101394013B1 (ko) 상부 커버 조립체 및 이를 갖춘 전기 밥솥
KR20100119128A (ko) 공기 순환 수단을 포함한 오븐 레인지
US20130008426A1 (en) Convection cooking using bake element heater
KR100634795B1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KR101993792B1 (ko) 열순환 및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19980085047A (ko) 열풍 순환식 전기밥솥
CN110652226B (zh) 烘焙器具
KR200389074Y1 (ko) 가스레인지의 폐열을 이용한 온수장치
CN211795998U (zh) 利用热风进行烹饪的烹饪器具
WO2012062875A1 (en) An oven with heat pipes
KR100667203B1 (ko) 증기조리장치 및 그 히터 제어 방법
CN113143039A (zh) 利用热风进行烹饪的烹饪器具
KR100735697B1 (ko)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CN217488352U (zh) 一种烹饪器具及灶具
JPH0313732A (ja) 加熱装置
KR100186537B1 (ko) 유도가열방식 튀김기
KR100193092B1 (ko) 물맺힘 방지장치가 설치된 전기보온밥솥
CN218246895U (zh) 一种侧向进风式空气炸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