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3849A -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 Google Patents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3849A
KR19980083849A KR1019970019324A KR19970019324A KR19980083849A KR 19980083849 A KR19980083849 A KR 19980083849A KR 1019970019324 A KR1019970019324 A KR 1019970019324A KR 19970019324 A KR19970019324 A KR 19970019324A KR 19980083849 A KR19980083849 A KR 19980083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still
still camera
lens
subjec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9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5309B1 (ko
Inventor
김정오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1019970019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309B1/ko
Publication of KR19980083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3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Abstract

이 발명은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렌즈 수단과, 상기 렌즈 수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전화내용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폰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주변기기와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 2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가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상호 접을 수 있도록 한 연동부재와, 상기 제 1 몸체의 일부에 구성되어 영상 정보 및 송수신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 수단과, 상기 제 1 몸체의 일부에 구성되어 전화번호 및 송수신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정보 입력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렌즈부가 360°조정이 가능하므로 피사체를 사용자 본인으로 할 경우, 렌즈와 액정 표시부를 한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프레임 윤곽을 맞출 수 있고, 피사체가 본인이 아닌 경우, 렌즈부를 회전시켜 렌즈와 액정 표시부가 다른 방향이 되도록 하여 사용함으로써, 피사체의 위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주변 기기와의 연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이 발명은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전화내용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폰 기능과, 피사체를 촬상하여 메모리에 저장한 후 각종 주변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피사체의 이미지를 편집, 전송 등을 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을 해당 부분에 렌즈를 위치시켜 피사체의 상을 결상시켰다.
상기 렌즈가 위치하는 해당 부분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기능과 휴대폰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각종의 장치 즉, 칩들을 내장하는 몸체이다.
상기와 같이 몸체에 형성된 렌즈는 고정 부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촬영자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형성된 렌즈를 피사체측으로 향하도록 한 다음, 몸체에 부착된 뷰파인더의 기능을 하는 장치를 통해 피사체를 확인하는 과정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피사체측으로 렌즈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피사체가 촬영자 본인인 경우에는 촬영을 위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촬영자는 촬영시마다 피사체측으로 렌지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촬영자의 동선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사체가 촬영자 본인이라도 촬영이 용이하고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촬영자가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제공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정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후면과 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제 1 몸체와 제 2 몸체가 접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컴퓨터에 장착한 상태도이고,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렌즈부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렌즈부의 상세도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이 발명은;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고,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렌즈 수단과;
상기 렌즈 수단이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전화내용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폰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주변기기와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제 2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가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상호 접을 수 있도록 한 연동부재와;
상기 제 1 몸체의 일부에 구성되어 영상 정보 및 송수신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 수단과;
상기 제 1 몸체의 일부에 구성되어 전화번호 및 송수신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정보 입력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블록 구성도이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고, 내장된 촬상소자에 의해 결상된 상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며, 해당하는 통신 전파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파가 해당하는 음성으로 출력되는 렌즈부(1)와;
상기 렌즈부(1)에서 출력하는 피사체의 상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피사체의 상이 나타나도록 하고,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전반적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렌즈부(1)에서 수신한 전파를 해당하는 음향으로 변조시키고, 휴대폰의 전반적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 1 몸체(2)와;
주변 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몸체(2)에서 출력하는 정보를 상기 주변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주변 기기에서 출력하는 정보를 상기 제 1 몸체(2)로 전송하는 PCMCIA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2 몸체(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정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360°회전이 가능하며, 수화기능으로서의 스피커(11)가 부착되어 있고, 휴대폰 기능시 수신되는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2)가 일측 모서리에 부착되어 있는 렌즈부(1)와;
상기 렌즈부(1)와 연결되어 있으며, 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렌즈부(1)에 의해 결상된 상을 이용하여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기능과 전화내용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폰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측면 일측에 카메라 촬영시 사용하는 이미지(image) 저장용 메모리 카드(memory card)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롯(slot)(21)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몸체(2)와;
상기 제 1 몸체(2)와 연결되어 있으며, PC(personal computer)등과 같은 주변기기에 삽입되어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통신이 가능한 제 2 몸체(3)와;
상기 제 1 몸체(2)와 제 2 몸체(3)가 일정각도 회전하며 상호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몸체(2)와 제 2 몸체(3)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4)와;
상기 제 1 몸체(2)의 앞면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렌즈부(1)를 이용하여 촬상된 영상정보나 상기 제 1 몸체(2)가 가지는 휴대폰 기능의 영상 정보 및 모듈(module)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5)와;
상기 제 1 몸체(2)의 앞면 타측에 위치하여 휴대폰 기능시 해당하는 전화번호가 선택되도록 하거나 송수신 모드의 각종 기능입력이 선택되도록 하는 키이 패드(key pad)(6)와;
상기 액정 표시부(5)의 아래측의 상기 제 1 몸체(2)의 일부에 송화 기능으로서의 마이크(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배면과 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배면은;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스트로보(13)와, 피사체의 상이 결상되도록 하는 렌즈(14)와 피사체와 카메라간의 거리를 측거하기 위한 AF(auto focus) 센서(16)와 상기 렌즈부(1)에 형성되어 있고, 배터리(battery)를 교환할 수 있도록 배터리 커버(cover)(23)가 상기 제 1 몸체(2)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 측면에는 상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2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측면은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는 촬영 버튼(22)이 있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제 1 몸체와 제 2 몸체가 접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상기 제 1 몸체(2)와 연결된 면의 반대 면에 PCMCIA 포트(port)(31)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2 몸체(3)가 연결부재(4)에 의해 접히게 되고, 180°로 펴지게 된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컴퓨터에 장착한 상태도이다.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노트북(notebook) 컴퓨터의 일측 면에 형성되어 있는 PCMCIA 슬롯에 상기 제 2 몸체(3)를 삽입하고, 상기 제 2 몸체(3)에 형성된 PCMCIA의 포트(31)를 노트북 컴퓨터에 형성된 PCMCIA 슬롯의 도시하지 않은 포트와 연결시켜 상기 노트북 컴퓨터와 정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렌즈부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첨부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렌즈부(1)는 상기 제 1 몸체(2)와 연결된 회전부(15)에 의해 상기 제 1 몸체(2)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15)의 360°회전에 연동하여 360°회전된다.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렌즈부의 상세도이다.
첨부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렌즈부(1)는 상기 제 1 몸체(2)와 반대인 면에 상기 안테나(12)가 있고, 안면에 상기 스피커(11), 배면에 상기 스트로보(13)와 상기 렌즈(14)와 AF 센서(16)가 있으며, 상기 제 1 몸체(2)와 연결되어 360°회전 가능하도록 한 회전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설명한다.
이 발명의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촬영이나 전화를 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휴대하기 쉬운 제 1 몸체(2)와 제 2 몸체(3)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1 몸체(2)와 상기 제 2 몸체(3)가 힌지 결합된 상태는 상기 제 2 몸체(3)가 상기 제 1 몸체(2)의 앞측 전면을 덮고 있는 상태이고, 렌즈부(1)는 상기 제 2 몸체(3)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힌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몸체(3)는 촬영이나 전화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 1 몸체(2)와 상기 제 2 몸체(3)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4)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몸체(2)와 이루는 각이 최대 180°가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몸체(3)가 상기 제 1 몸체(2)에서 이탈되면, 상기 제 2 몸체(3)에 의해 가려진 상기 제 1 몸체(2)의 앞측은 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몸체(2)가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휴대폰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제 1 몸체(2)의 앞면의 일측에 형성된 키이 패드(6)를 조작한다.
상기 키이 패드(6)는 카메라 기능을 위한 모드와 휴대폰 기능을 위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버튼이 있고,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해당 버튼과 휴대폰 기능을 위한 송수신을 설정할 수 있는 각종 기능 입력 버튼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키이 패드(6)에 형성된 각종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통화가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상기 제 1 몸체(2)의 앞면 일측에 형성된 마이크(7)를 통해 통화자에게 대화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몸체(2)와 회전부(15)에 의해 연결된 상기 렌즈부(1)의 앞면 일측에 형성된 스피커(11)를 통해 사용자는 통화자의 대화 내용을 수신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통화자가 용이하게 알아들을 수 있도록 상기 마이크(7)는 액정 표시부(5)의 아래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안테나(12)는 전화 내용을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부(1)의 상측 면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이 발명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키이 패드(6)에 형성된 카메라 기능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버튼을 조작한다.
상기 카메라 기능 모드가 설정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 1 몸체(2)와 상기 회전부(15)에 의해 연결된 상기 렌즈부(1)를 피사체쪽을 향하도록 회전시킨다.
상기 렌즈부(1)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회전부(15)의 360°회전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렌즈부(1)의 배면에는 렌즈(14)와 AF센서(16)와 스트로보(1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14)는 피사체의 상이 결상되도록 하고, 상기 스트로보(13)는 저휘도 영역에서도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발광하며, 상기 AF 센서(16)는 피사체와 카메라간의 거리를 측거할 수 있도록 피사체를 반사한 광을 입사받는다.
상기 렌즈부(1)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상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액정 표시부(5)에 나타난다.
상기 액정 표시부(5)는 상기 제 1 몸체(2)의 앞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몸체(2)의 일측 측면에는 촬영 버튼(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액정 표시부(5)를 통해 피사체를 확인한 사용에 의해 온되어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촬영된 피사체의 상은 메모리 카드에 이미지화되어 저장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제 1 몸체(2)의 타측 측면에는 상기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고 추출될 수 있도록 슬롯(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몸체(3)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연결부재(4)의 반대편 면에 PCMCIA 포트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상기 제 2 몸체(3)는 노트북 컴퓨터에 형성되어 있는 PCMCIA 슬롯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몸체(3)의 PCMCIA 포트(31)가 상기 노트북 컴퓨터의 PCMCIA 슬롯내에 형성되어 있는 포트와 연결되어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몸체(3)의 배면에는 배터리를 용이하게 추출하고, 장착할 수 있도록 배터리 커버(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발명은 렌즈부가 360°조정이 가능하므로 피사체를 사용자 본인으로 할 경우, 렌즈와 액정 표시부를 한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프레임 윤곽을 맞출 수 있고, 피사체가 본인이 아닌 경우, 렌즈부를 회전시켜 렌즈와 액정 표시부가 다른 방향이 되도록 하여 사용함으로써, 피사체의 위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주변 기기와의 연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고, 설정각도 만큼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렌즈 수단과;
    상기 렌즈 수단이 설정각도 만큼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전화내용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폰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주변기기와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제 2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가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상호 접을 수 있도록 한 연동부재와;
    상기 제 1 몸체의 일부에 구성되어 영상 정보 및 송수신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 수단과;
    상기 제 1 몸체의 일부에 구성되어 전화번호 및 송수신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정보 입력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렌즈 수단은
    상측 면에 안테나(12)가 설치되어 있고, 일측면에 피사체의 상을 결상시키도록 하는 렌즈(14)와 저휘도 영역에서도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발광하는 스트로보(13)와 타측면에 음성 수신용 스피커(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한 렌즈 수단은
    안테나(12)가 설치된 면과 반대되는 면에 위치한 회전부(15)에 의해 상기 제 1 몸체와 연결되고, 설정각도 만큼 회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렌즈수단은
    360°회전가능한 것이 특징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몸체는
    일측 측면에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는 촬영 버튼이 있고, 타측 측면에 PCMCIA 메모리 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액정 표시 수단의 밑에 음성 송신용 마이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제 2 몸체는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몸체와 힌지 결합되고, 최대 180°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제 1 몸체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한 제 2 몸체는
    연결 부재의 반대편 면에 PCMCIA 통신이 가능하도록 PCMCIA 포트가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KR1019970019324A 1997-05-19 1997-05-19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KR100215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9324A KR100215309B1 (ko) 1997-05-19 1997-05-19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9324A KR100215309B1 (ko) 1997-05-19 1997-05-19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849A true KR19980083849A (ko) 1998-12-05
KR100215309B1 KR100215309B1 (ko) 1999-08-16

Family

ID=1950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9324A KR100215309B1 (ko) 1997-05-19 1997-05-19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30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292A (ko) * 1999-02-03 1999-07-05 오병호 사진촬영이가능한휴대폰
KR100368572B1 (ko) * 2000-08-16 2003-01-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통신용 단말기의 촬상각 변환장치
KR100429186B1 (ko) * 1998-12-14 2004-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단말기에서의 화상 저장 시스템 및 화상 저장 방법
KR100506267B1 (ko) * 2002-09-26 2005-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 장치및 방법
KR100547791B1 (ko) * 1999-10-25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가 실장된 휴대폰의 화상/문서 편집방법
KR100601274B1 (ko) * 2004-08-03 2006-07-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절전형 영상재생기기
KR100643447B1 (ko) * 1999-12-07 2006-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휴대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945B1 (ko) * 2000-08-21 2005-09-27 이재학 카메라 기능을 갖는 피디에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186B1 (ko) * 1998-12-14 2004-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단말기에서의 화상 저장 시스템 및 화상 저장 방법
KR19990046292A (ko) * 1999-02-03 1999-07-05 오병호 사진촬영이가능한휴대폰
KR100547791B1 (ko) * 1999-10-25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가 실장된 휴대폰의 화상/문서 편집방법
KR100643447B1 (ko) * 1999-12-07 2006-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휴대 단말기
KR100368572B1 (ko) * 2000-08-16 2003-01-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통신용 단말기의 촬상각 변환장치
KR100506267B1 (ko) * 2002-09-26 2005-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 장치및 방법
KR100601274B1 (ko) * 2004-08-03 2006-07-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절전형 영상재생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5309B1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9074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KR100703904B1 (ko) 휴대 가능한 다기능 전자 기기
JP3882687B2 (ja) 携帯型通信装置
KR100703402B1 (ko) 다방향으로 촬영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JP2002290793A (ja) 撮像装置付携帯電話器
US20040209645A1 (en) Portable terminal
KR100215309B1 (ko)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JP3751197B2 (ja) 移動体電話機
JP2002325127A (ja) 携帯電話機
JP3738195B2 (ja) 携帯電話端末
JP2003018261A (ja) 携帯型端末機
JP2004274777A (ja)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KR20050068127A (ko) 입체사진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JP3074054U (ja) 携帯情報端末及び携帯情報端末接続ディジタルカメラ装置
KR20080113838A (ko)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KR20080113827A (ko) 휴대폰 겸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JP4239441B2 (ja) 電子機器
KR1009415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97466B1 (ko) 듀얼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
JP2002237880A (ja) 携帯電話機
KR100474037B1 (ko)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AU200720132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KR10098091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100664157B1 (ko) 회동가능한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JP2003101619A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