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3601A - 전원 절약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 절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3601A
KR19980083601A KR1019970018972A KR19970018972A KR19980083601A KR 19980083601 A KR19980083601 A KR 19980083601A KR 1019970018972 A KR1019970018972 A KR 1019970018972A KR 19970018972 A KR19970018972 A KR 19970018972A KR 19980083601 A KR19980083601 A KR 19980083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power saving
bios
application program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창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8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83601A/ko
Publication of KR19980083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3601A/ko

Links

Landscapes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 절약 모드가 가변되도록 운영 체제의 전원 관리 기능을 셋팅하는 단계와; 바이오스가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는 운영 체제의 전원 절약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바이오스가 지원하는 전원 절약 모드를 읽어오는 단계와; 바이오스가 지원하는 전원 절약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지원 가능한 전원 절약 모드를 표시하기 위해 바이오스 플래그를 셋팅하는 단계와;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 절약 방법을 위한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절약 방법은 운영 체제로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고,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 절약 모드의 동작 상태를 다르게 실행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절약하므로 프로그램 실행 속도의 저하없이 전원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 절약 방법
이 발명은 전원 절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 절약 모드의 동작 상태를 다르게 하여 배터리의 소모량을 효율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전원 절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4 는 일방적인 컴퓨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채용되고 있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로서, 시스템 내의 데이터와 명령, 인터럽트 등을 시스템의 각 회로부 또는 장치부에 서로 연결해 주는 시스템 버스(5)와;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시스템 버스(5)와 연결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CPU, 1)와; 상기 시스템 버스(5)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사용자 소프트웨어를 로드시킬 장소를 제공하는 기억 장치인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2)와; 상기 시스템 버스(5)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가 실행시킬 특정 프로그램이 이미 탑재되어 있는 기억 장치인 읽기전용 메모리(ROM, 3)와; 상기 시스템 버스(5)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비디오 신호를 제어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4)와;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4)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에 문자나 화상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41)와;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Floppy Disk Drive (FDD), 6), 직렬 포트(Serial Port, 7), 병렬 포트(Parallel Port, 8), 적외선 포트(Infrared Port (IR Port), 9)로부터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시스템 버스(5)와 연결되어 있는 입출력 컨트롤러(I/O Controller, 10)와;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의 일종으로, 드라이브 자체에 제어 장치의 전자회로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인터페이스용의 부가 보드가 불필요하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HDD), 11, 이하 HDD라 표기함),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Compact Disk Drive (CDD), 12, 이하 CDD라 표기함)의 입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시스템 버스(5)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통합 디바이스 일렉트로닉스 컨트롤러(Intergrated Device Electronics Controller(IDE), 13, 이하 IDE 컨트롤러라 표기함)와; 상기 IDE 컨트롤러(13)의 제어 명령에 의해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는 HDD(11)와; 상기 IDE 컨트롤러(13)의 제어 명령에 의해 오디오용 구동신호(Audio)를 출력하는 CDD(12)와; 상기 CDD(12)의 오디오용 구동신호(Audio)를 수신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시스템 버스(5)와 연결되어 있는 오디오 회로부(14)와; 상기 오디오 회로부(14)의 음성 출력을 수신하여 외부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스피커(15)와; 상기 시스템 버스(5)와 연결되어 있고, 키보드(KBD, 16) 마우스(Mouse, 17) 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여, 전원관리 시스템 제어신호(PMS-Control)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8)와; 상기 전원관리 시스템 제어신호(PMS-Control)와 전원 스위치(SW19)의 온에 의해 교류전원(AC)을 직류로 변환하여 주전원(Main-Power)을 시스템 전체에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전원 관리 기능은 주어진 배터리의 용량으로 최대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기본적으로 현재 사용하지 않는 부분의 전원을 자동으로 줄이고 사용하는 부분의 전원만을 공급하여 시스템 전체적으로 배터리를 사용하는 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동작 모드에는 워드 프로세서 모드, 멀티미디어 모드, 데이터 프로세싱 모드, 통신 모드등이 있다.
워드 프로세서 모드를 위한 전원 절약 모드는 하드 디스크의 스탠바이 타임아웃(standby timeout)은 최소로 하고 키보드나 마우스의입력이 있을 경우에만 중앙처리장치의 처리 속도를 최대로 해서 전원 소모량을 줄이고, 멀티미디어 모드를 위한 전원 절약 모든는 동영상이나 음을 재생하기 위해서 중앙처리장치의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중앙처리장치의 도우즈 타임아웃(doze timeout)의 값을 길게 하여 중앙처리장치의 수행능력을 높이고, 데이터 프로세싱 모드를 지원하는 전원 절약 모드는 하드 디스크나 시디-롬의 내용을 많이 읽어야 하므로 하드 디스크의 타임아웃을 길게 설정하여 원활한 프로세싱을 하도록 하고, 통신 모드를 지원하는 전원 절약 모드는 통신 처리되는 데이터의 병목 현상이 네트웍(network), 모뎀(modem), 직렬 포트, 병렬 포트의 낮은 속도로 인하여 발생되므로 각종 통신용 장치로부터 액티비티(activity)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중앙처리장치의 속도를 최대로 하여 전원 소모량을 절약한다.
종래에는 시스템에서 동작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와는 관계없이 전원을 절약하는 양에 따라 설정된 전원 절약 모드를 이용하여 사용중이 아닌 하드웨어 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줄이거나, 전원을 차단하여 배터리의 소모량을 절약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에 관계없이 전원 절약의 양에 따라 설정된 전원 절약 모드를 이용하여 전원을 관리하므로 전원 절약 모드의 종류에 따라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가 떨어지고, 전원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영 체제로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고,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 절약 모드의 동작 상태를 다르게 실행하여 전원 관리의 효율성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전원 절약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포스트 과정중에 전원 관리 기능을 설정하는 부분의 순선도.
도 2 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관리 기능을 초기화하는 순서도.
도 3 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을 절약하기 위한 동작의 순서도.
도 4 는 일반적인 컴퓨터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 절약 모드가 가변되도록 운영 체제의 전원 관리 기능을 셋팅하는 단계와; 바이오스가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운영 체제의 전원 절약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바이오스가 지원하는 전원 절약 모드를 읽어오는 단계와; 바이오스가 지원하는 전원 절약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지원 가능한 전원 절약 모드를 표시하기 위해 바이오스 플래그를 셋팅하는 단계와;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 절약을 위한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포스트 과정중에 전원 관리 기능을 설정하는 부분의 순선도이고, 도 2 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관리 기능을 초기화하는 순서도이고, 도 3 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을 절약하기 위한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2 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절약 방법의 구성은,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 절약 모드가 가변되도록 운영 체제의 전원 관리 기능을 셋팅하는 단계와; 바이오스가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는 운영 체제의 전원 절약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바이오스가 지원하는 전원 절약 모드를 읽어오는 단계와; 바이오스가 지원하는 전원 절약 모드가 워드 프로세서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워드 프로세서 모드가 지원 가능한 모드임을 표시하기 위해 해당 바이오스 플래그를 셋트시키는 단계와; 바이오스가 지원하는 전원 절약 모드가 멀티미디어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멀티미디어 모드가 지원 가능한 모드임을 표시하기 위해 바이오스 플래그를 셋트시키는 단계와;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 절약을 위한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과정중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 절약을 위한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실행하고자 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단계와;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를 판독하는 단계와;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가 워드 프로세서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바이오스 플래그의 상태를 판단하여 바이오스가 워드 프로세서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바이오스의 전원 절약 기능을 워드 프로세서 모드로 셋팅하는 단계와;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가 멀티미디어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바이오스 플래그의 상태를 판단하여 바이오스가 멀티미디어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바이오스의 전원 절약 기능을 멀티미디어 모드로 셋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절약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에 도시된 자체 검사(power on self test, 이하 POST라 표기함)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컴퓨터에 전원이 인가되면(S100), 중앙처리장치는 바이오스 부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드웨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검사하는 POST 과정을 실행한다(S101).
POST의 실행 과정중에 전원 관리 기능이 설정되고, 도시되지 않은 POST 과정이 모두 완료되면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이하 OS라 표기함)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이 부팅된다(S103~S107).
다음으로 도 2 를 참고로 하여 전원 관리 기능을 초기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과정(S100~S107)을 통해 부팅이 되면 사용자은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 절약 모드가 가변되도록 OS의 전원 관리 기능을 초기화하고, 상기 OS는 사용하는 바이오스가 OS의 전원 절약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바이오스의 전원 관리 선능을 판단한다(S200~S201).
상기 단계(S201)의 판단 결과 바이오스가 OS의 전원 절약 모드를 지원하면, 상기 OS는 바이오스가 지원하는 전원 절약 모드를 읽어오고, 바이오스가 지원하는 전원 절약 모드가 워드 프로세서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한다(S203~S205).
상기 단계(S205)의 판단 결과 바이오스가 워드 프로세서 모드를 지원하면, 워드 프로세서 모드가 지원 가능한 모드임을 표시하기 위해 해당 바이오스 플래그(flag)를 셋트시킨다(S207).
바이오스가 워드 프로세서 모드를 지원하지 않거나, 바이오스 플래그가 셋트되면, 상기 OS는 바이오스가 또 다른 전원 절약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한다(S208).
상기 단계(S209)의 판단 결과 바이오스가 멀티미디어 모드를 지원하면, 멀티미디어 모드가 지원 가능한 모드임을 표시하기 위해 해당 바이오스 플래그를 셋트시킨다(S211).
다음으로 상기 OS는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여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의 소모를 절약하기 위한 동작을 실행하고 종료한다(S213~V215).
상기 단계(S201)의 판단 결과 바이오스가 OS의 전원 절약 모드를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OS는 바이오스가 전원 절약이 양에 따라 설정되는 전원 절약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인식한다(S217).
또한, 바이오스가 다른 동작 모드를 더 지원하는지 파악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S209)의 판단 결과에 따라 다른 동작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추가할 수 있다.
도 3 을 참조로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전원 절약을 과정(S213~S215)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장에 의해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S300~S301), 상기 OS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고, 응용 프로그램은 OS의 요구에 따라 자신의 동작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S301).
그러면, 상기 OS는 동작 모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워드 프로세서 모드로 동작하는지, 멀티미디어 모드로 동작하는지, 데이터 프로세싱 모드로 동작하는지, 통신 모드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한다(S303).
상기 단계(S303)의 판단 결과 응용 프로그램이 워드 프로세서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OS는 바이오스 플래그의 상태를 판단하여 바이오스가 워드 프로세서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한다(S305).
상기 단계(S305)의 판단 결과 바이오스가 워드 프로세서 모드를 지원하면 상기 OS는 전원 절약 모드를 워드 프로세서 모드로 셋팅하도록 하는 명령을 바이오스로 출력한다.
그러면, 바이오스는 전원 절약 모드를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인 워드 프로세서 모드로 셋팅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절약한다(S307).
그러나, 상기 단계(S303)의 판단 결과 응용 프로그램이 워드 프로세서 모드로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OS는 동작 모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멀티미디어 모드로 동작하는지 판단한다(S309).
상기 단계(S309)의 판단 결과 응용 프로그램이 멀티미디어 모드로 동작하면 바이오스 플래그의 상태를 판단하여 바이오스가 멀티미디어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한다(S311).
상기 단계(S311)의 판단 결과 바이오스가 멀티미디어 모드를 지원하면 상기 OS는 전원 절약 모드를 멀티미디어 모드로 셋팅하도록 하는 명령을 바이오스로 출력한다.
그러면, 바이오스는 전원 절약 모드를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인 멀티미디어 모드로 셋팅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절약한다(S313~S315).
응용 프로그램이 다른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지 더 파악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S309)의 판단 결과에 따라 다른 동작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추가할 수 있다.
동작 모드가 워드 프로세서 모드, 멀티미디어 모드, 데이터 프로세싱 모드, 통신 모드로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전원 절약 모드도 워드 프로세서 모드, 멀티미디어 모드, 데이터 프로세싱 모드, 통신 모드를 지원하는 전원 절약 모드로 한정된 것은 아니다.
운영 체제로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고,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 절약 모드의 동작 상태를 다르게 실행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절약하므로 프로그램 실행 속도의 저하없이 전원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Claims (3)

  1.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 절약 모드가 가변되도록 운영 체제의 전원 관리 기능을 셋팅하는 단계와;
    바이오스가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는 운영 체제의 전원 절약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바이오스가 지원하는 전원 절약 모드를 읽어오는 단계와;
    바이오스가 지원하는 전원 절약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지원 가능한 전원 절약 모드를 표시하기 위해 바이오스 플래그를 셋팅하는 단계와;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 절약을 위한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절약 방법.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절약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는,
    바이오스가 지원하는 전원 절약 모드가 워드 프로세서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바이오스가 지원하는 전원 절약 모드가 멀티미디어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절약 방법.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 절약을 위한 동작을 싱행하는 단계는,
    실행하고자 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단계와;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를 판독하는 단계와;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가 워드 프로세서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바이오스 플래그의 상태를 판단하여 바이오스가 워드 프로세서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바이오스의 전원 절약 기능을 워드 프로세서 모드로 셋팅하는 단계와;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가 멀티미디어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바이오스 플래그의 상태를 판단하여 바이오스가 멀티미디어 모드를 지원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바이오스의 전원 절약 기능을 멀티미디어 모드로 셋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절약 방법.
KR1019970018972A 1997-05-16 1997-05-16 전원 절약 방법 KR19980083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972A KR19980083601A (ko) 1997-05-16 1997-05-16 전원 절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972A KR19980083601A (ko) 1997-05-16 1997-05-16 전원 절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601A true KR19980083601A (ko) 1998-12-05

Family

ID=6599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972A KR19980083601A (ko) 1997-05-16 1997-05-16 전원 절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836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6350B2 (en) 2007-02-07 2012-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ing computer system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whether program executing and/or webpage accessed is user select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6350B2 (en) 2007-02-07 2012-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ing computer system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whether program executing and/or webpage accessed is user select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0415B1 (ko) 씨디-롬(cd-rom) 드라이브의 동작상태 체크방법
US6920573B2 (en) Energy-conserving apparatus and operating system having multiple operating functions stored in keep-alive memory
JP326656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6360327B1 (en) System with control registers for managing computer legacy peripheral devices using an advanced configuration power interface software power management system
US59789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mputer power management function including selective sleep states
US5632037A (en) Microprocessor having power management circuitry with coprocessor support
JP2002533801A (ja) 自動cpu速度制御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03196096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その起動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86681A (ja) 省電力制御システム
JPH11161385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ステート制御方法
JPH1115548A (ja) コンピュータの電源管理方法
JP2003195989A (ja) コンピュータ装置、電源供給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789792B2 (ja) 携帯型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201624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music-related files
US6496888B1 (en) Incorporation of bus ratio strap options in chipset logic
JP2000010907A (ja) 情報処理装置
US62826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powering circuitry within a sound device to perform selected sound functions
US70962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system context information between mobile computer and base station
EP10371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ternation between instances of operating systems in computer systems
KR20060119181A (ko) 절전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시스템에서의 절전 모드 구현 방법
JP484686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省電力制御方法
EP0828212B1 (en) Microprocessor with hardware controlled power management and selectable input/output control pins and method therefor
JP2001265470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必要電池寿命に基づく電力管理
JPH11194847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初期化制御装置
US5375209A (en) Microprocessor for selectively configuring pinout by activating tri-state device to disable internal clock from external p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