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3211A -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 Google Patents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3211A
KR19980083211A KR1019970018411A KR19970018411A KR19980083211A KR 19980083211 A KR19980083211 A KR 19980083211A KR 1019970018411 A KR1019970018411 A KR 1019970018411A KR 19970018411 A KR19970018411 A KR 19970018411A KR 19980083211 A KR19980083211 A KR 19980083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portable terminal
type portable
cov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9870B1 (ko
Inventor
류관우
김병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8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9870B1/ko
Priority to DE19815630A priority patent/DE19815630C2/de
Priority to CN98106224A priority patent/CN1096814C/zh
Priority to FR9804550A priority patent/FR2763456B1/fr
Priority to US09/063,744 priority patent/US6091815A/en
Priority to GB9810166A priority patent/GB2325372B/en
Publication of KR19980083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3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를 이단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사용자가 송수화시 송화음의 분산 및 잡음을 방지할 수 있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본체와 개폐장치에 의해 결합된 플립커버를 이단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내측플립을 슬라이드 방식 또는 절첩식으로 설치하여 사용자가 송수화시 송화음의 분산 및 잡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

Description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본 발명은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휴대폰 및 무선전화기의 핸드셋의 플립을 이단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송수화시 송화음의 분산 및 잡음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플립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무선전화기의 핸드셋, 카폰등의 휴대장치를 칭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통신기능을 수행하고, 무선전화기는 휴대장치가 고정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통신기능을 수행한다.
현재 상기 무선전화기는 전자부품의 고감도 소형화추세에 따라 소형화되는 추세이며, 이로인해 음의 감도가 뛰어난 플립형 무선전화기가 일반화되는 추세이다. 이는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는 플립커버가 다수개의 버튼들을 보호하고, 더욱이 음의 반사판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립형 무선전화기는 플립커버(20)와 본체(10)를 연결하는 개폐장치(플립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플립커버(20)의 개폐여부에 따라 통화모드로 자동전환이 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스피커(11)가 위치하며, 상기 플립커버(20)의 힌지부에는 마이크로폰(21)이 위치되게 설치한다.
상기 플립형 무선전화기는 본체(10)로부터 플립커버(20)가 개폐되므로 통화시 플립커버(20)를 소정의 각도로 개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플립형 무선전화기는 소형화되는 추세이지만, 무선전화기의 사용자의 귀와 입간의 거리확보를 위해 무선전화기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즉, 전화기의 경우, 송화부와 수화부사이의 거리가 14cm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무선전화기의 크기도 이런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무선전화기는 플립형 무선전화기의 플립커버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하여 위와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며, 무선전화기의 소형화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플립형 무선전화기는 플립커버의 길이가 작아 인체의 귀와 입부분을 충분히 감싸주지 못하므로 송수화시 송화음의 분산 및 잡음을 방지할 수 없어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안겨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을 이단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하여 송수화시 송화음의 분산 및 잡음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플립커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본체와 결합된 플립커버에 내측플립을 슬라이드 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여 이단으로 플립커버를 확장하여 송수화시 송화음의 분산 및 잡음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플립커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본체와 결합된 플립커버에 내측 플립을 절첩되도록 설치하여 이단으로 플립커버를 확장하여 송수화시 송화음의 분산 및 잡음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플립커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본체와 개폐장치에 의해 결합된 플립커버를 이단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사용자가 송수화시 송화음의 분산 및 잡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가 닫힌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가 열린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 플립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부 플립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내측 플립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가 닫힌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가 열린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의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상부 플립의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하부 플립의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내측 플립의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가 닫힌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가 열린 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 플립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하부 플립의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내측 플립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가 닫힌 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가 열린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10)에 연결되어 개폐장치에 의해 개페되는 플립커버(20)를 설치한다.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스피커(11)와 하측에는 버튼들이 설치되며. 상기 플립커버(20)에는 마이크로폰(21)이 위치되게 설치한다.
상기 플립커버(20)는 플립모듈을 본체(10)의 수납부에 각각 대칭으로 장착하면,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 일측이 탄지된 힌지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된 연결캡이 수납부의 바깥으로 노출된다. 이어서 상기 연결캡에 플립커버(20)의 네크부를 걸어서 플립커버(20)를 조립한다.
상기와 같은 플립커버(2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플립(22)과 결합되는 하부플립(25)을 이루며, 상기 상부플립(22)의 내측에 하부플립(25)을 고정한다. 상기 상부플립(22)의 양측 가이드리브(23)와 하부플립(25)의 슬라이드홈(26)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슬라이드되며 확장되도록 내측플립(28)을 설치한다.
상기 상부플립(22)은 양측 내벽에 가이드리브(23)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플립(22)의 내측에 고정되게 조립되는 하부플립(23)은 중앙 양측으로 슬라이드홈(26)과 상측에 고정돌기(27)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플립(22)의 가이드리브(23)와 하부플립(25)의 슬라이드홈(26)에 의해 슬라이드 되는 내측플립(28)은 하단에 상기 고정돌기(27)에 끼워져 고정되게 상,하측에 고정홈(29a,29b)을 이루며, 내부 중앙에 마이크로폰(21)을 설치하고. 내측 선단부 하단 양측에 상기 하부플립(23)의 슬라이드홈(26)에 끼워져 가이드되도록 가이드돌기(30)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내측플립(28)에 설치된 마이크로폰(21)은 본체(10)로부터 하부플립(23)을 통하여 유연성 케이블로 연결된 것이다. 또한 마이크로폰(21)이 설치된 내측플립(28)에 접속단자를 형성하고 본체(10)와 케이블로 연결된 하부플립(23)에 접속단자를 형성하여 상기 내측플립(28)에 설치된 접속단자와 하부플립(23)에 설치된 접속단자가 접속되어 마이크로폰(21)이 동작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플립커버(20)가 본체(10)에 설치된 도 9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송수화시 본체(10)로부터 플립커버(20)를 개방하고 나서 도 10과 같이 내측플립(28)을 외측으로 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내측플립(28)의 양측은 상부플립(22)의 가이드리브(23)에 가이드되고 가이드돌기(30)는 하부플립(25)의 슬라이드홈(26)에 가이드되며 내측플립(28)이 외측으로 확장된다. 상기 하부플립(25)의 고정돌기(27)에 내측플립(28)의 하측 고정홈(29b)이 끼워져 내측플립(28)이 확장된 상태로 고정이 된다. 상기와 같이 플립커버(20)를 이단으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통화를 하게 되면 마이크로폰(21)이 설치된 내측플립(28)에 의해 송화음의 분산 및 잡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통화가 끝나면 내측플립(28)을 상부플립(22)내측으로 밀게되면 내측플립(28)의 하측 고정홈(29b)이 하부플립(25)의 고정돌기(27)에서 벗어나 가이드돌기(30)가 슬라이드홈(26)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어 내측플립(28)이 상부플립(22)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내측플립(28)의 상측 고정홈(29a)이 하부플립(25)의 고정돌기(27)에 끼워져 고정이된다. 이후 본체(10)로부터 플립커버(20)를 회전시켜 도 9와 같이 닫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본체와 개폐장치에 의해 결합된 플립커버를 이단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사용자가 송수화시 송화음의 분산 및 잡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며.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의 구성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상부 플립의 구성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하부 플립의 구성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내측 플립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가 닫힌 상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가 열린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10)에 연결되어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되는 플립커버(20)를 설치한다.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스피커(11)와 하측에는 버튼들이 설치되며. 상기 플립커버(20)에는 마이크로폰(21)이 위치되게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플립커버(20)는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플립(22)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부플립(25)을 이루며, 상기 하부플립(25)상에 위치되고 상부플립(22)의 양측 힌지홈(22a)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확장되게 절첩되도록 내측플립(28)을 설치한다.
상기 상부플립(22)은 내부 상측 양쪽에 힌지홈(22a)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플립(25)은 상부플립(22)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플립(25)의 상측에는 상기 내측플립(28)의 힌지가 결합되게 힌지부(25b)를 형성한다. 상기 하부플립(25)의 힌지부(25b)와 내측플립(28)의 힌지는 비틀림 스프링(32)으로 연결하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은 내측플립(28)에 고정하고 타측단은 하부플립(25)에 고정한다.
상기 내측플립(28)의 힌지부 양측에는 힌지핀(31)을 형성하여 상부플립(22)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홈(22a)에 끼워 내측플립(28)이 회전되며 절첩되도록 결합한다. 상기 내측플립(28)의 하측에는 로킹홀(33)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플립(22)과 하부플립(25)사이의 일측에는 내측플립(28)을 로킹될수 있도록 로커(34)를 설치한다. 상기 로커(34)의 중심축에는 토션스프링(35)을 설치하여 로커(34)의 일측 누름부(34a)가 상부플립(2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로커(34)는 타측 끝단이 돌출된 걸림턱(34b)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34b)이 하부플립(25)의 홀(25a)을 통하여 돌출되며, 상기 걸림턱(34b)에 내측플립(28)의 로킹홀(33)이 끼워져 로킹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플립(22)의 로커(34)를 누르면 내측플립(28)이 힌지부에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플립(22)으로부터 회전되며 이단으로 개방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내측플립(28)은 중앙부에 마이크로폰(21)과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홈(28a)을 이루며, 상기 홈(28a)에 마이크로폰(21)을 설치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덮개(36)를 조립한다. 상기 마이크로폰(21)의 케이블은 하부플립(25)의 힌지부를 통하여 상부플립(22)과 하부플립(25)사이를 통과하여 본체(10)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플립커버(20)는 사용자가 송수화시 본체(10)로부터 플립커버(20)를 개방하고 나서 상부플립(22)에 설치된 로커(34)의 누름부(34a)를 누르게 되면 로커(34)의 걸림턱(34b)이 내측플립(28)의 로킹홀(33)에서 해제되어 힌지부에 설치된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플립(28)이 양측 힌지핀(31)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전되며 상부플립(22)으로부터 이단으로 확장이 된다.
상기와 같이 플립커버(20)가 도 17과 같이 이단으로 확장된 상태에서 통화를 하게 되면 마이크로폰(21)이 설치된 내측플립(28)에 의해 송화음의 분산 및 잡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통화가 끝나면 사용자는 내측플립(28)을 상부플립(22)내측으로 회전시켜 로킹홀(33)이 로커(34)의 걸림턱(34b)에 끼워져 로킹이 되도록 한다. 이때 마이크로폰(21)이 설치된 부분은 돌출되어 있어 하부플립(25)에 형성된 홈(37)으로 삽입이 된다. 이후 본체(10)로부터 플립커버(20)를 회전시켜 도 16과 같이 닫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본체와 개폐장치에 의해 결합된 플립커버를 이단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내측플립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하여 송수화부 거리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송수화시 송화음의 분산 및 잡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본체와 개폐장치에 의해 결합된 플립커버를 이단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송수화부의 거리를 유지하며, 사용자가 송수화시 송화음의 분산 및 잡음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0)

  1.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에 있어서,
    상기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본체와 개폐장치에 의해 결합된 플립커버를 이단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사용자가 송수화시 송화음의 분산 및 잡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2.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에 있어서,
    본체와 개폐장치에 의해 결합된 플립커버는 상부플립과 결합되는 하부플립을 이루며, 상기 상부플립의 내측에 하부플립을 고정하며, 상기 상부플립의 양측 내벽에 가이드리브와 하부플립의 중앙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슬라이드되며 확장되도록 내측플립을 설치하며, 상기 하부플립은 슬라이드홈을 이룬 상측에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플립의 가이드리브와 하부플립의 슬라이드홈에 의해 슬라이드 되는 내측플립은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단 상,하측에 고정홈을 이루며, 상기 내측플립의 내측 선단부 하단 양측에는 상기 하부플립의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가이드되도록 가이드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내측플립이 슬라이드되며 이단으로 확장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립의 고정돌기에 내측플립의 상,하측 고정홈이 선택적으로 끼워져 내측플립이 확장된 상태로 이탈을 방지하며 고정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플립에는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폰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플립(28)에 설치된 마이크로폰(21)은 본체로부터 하부플립을 통하여 유연성 케이블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6.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에 있어서,
    상기 플립커버는 상부플립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부플립을 이루며, 상기 하부플립 상에 위치되고 상부플립의 양측 힌지홈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확장되게 절첩되도록 내측플립을 설치하며, 상기 하부플립의 상측에는 상기 내측플립의 힌지가 결합되게 힌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플립의 힌지부와 내측플립의 힌지부에는 스프링으로 연결하며, 상기 내측플립의 힌지부 양측에는 힌지핀을 형성하여 상부플립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홈에 끼워 내측플립이 회전되며 절첩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하부플립솨 상부플립사이에 내측플립이 로킹될수 있도록 로커를 설치하며, 상기 로커의 중심축에는 토션스프링을 설치하여 로커의 일측단이 상부플립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로커는 타측단이 내측플립에 로킹되고 상기 로커를 누르면 상부플립으로 부터 내측플립이 로킹이 해제되어 개방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립의 힌지부와 내측플립의 힌지에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연결하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은 내측플립에 고정하고 타단은 하부플립에 고정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일측에 누름부를 형성하여 상부플립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타측 끝단이 돌출된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이 하부플립의 홀을 통하여 돌출되며, 상기 걸림턱에 내측플립의 로킹홀이 끼워져 로킹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플립은 중앙부에 마이크로폰과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홈을 이루며, 상기 홈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덮개를 구비하여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플립에 설치된 마이크로폰의 케이블은 하부플립의 힌지부를 통하여 상부플립과 하부플립사이를 통과하여 본체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KR1019970018411A 1997-05-13 1997-05-13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KR100229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411A KR100229870B1 (ko) 1997-05-13 1997-05-13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DE19815630A DE19815630C2 (de) 1997-05-13 1998-04-07 Klappdeckel für tragbaren Klappen-Telephonapparat
CN98106224A CN1096814C (zh) 1997-05-13 1998-04-08 翻盖式便携电话装置上的翻盖
FR9804550A FR2763456B1 (fr) 1997-05-13 1998-04-10 Couvercle rabattable pour telephone portable de type a rabat
US09/063,744 US6091815A (en) 1997-05-13 1998-04-21 Flip cover in flip type of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GB9810166A GB2325372B (en) 1997-05-13 1998-05-13 Flip cover for portable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411A KR100229870B1 (ko) 1997-05-13 1997-05-13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211A true KR19980083211A (ko) 1998-12-05
KR100229870B1 KR100229870B1 (ko) 1999-11-15

Family

ID=1950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411A KR100229870B1 (ko) 1997-05-13 1997-05-13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91815A (ko)
KR (1) KR100229870B1 (ko)
CN (1) CN1096814C (ko)
DE (1) DE19815630C2 (ko)
FR (1) FR2763456B1 (ko)
GB (1) GB23253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400A (ja) * 2000-03-03 2001-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
TW587845U (en) * 2003-05-09 2004-05-1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cover for a communication unit
TW570314U (en) * 2003-05-16 2004-01-0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cover for a communication unit
US7099702B1 (en) 2003-10-16 2006-08-29 Sprint Spectrum L.P. Portable phone having transformable components
US20060046792A1 (en) * 2004-08-31 2006-03-02 Hassemer Brian J Hinge apparatus and methods therefor
US7522945B2 (en) * 2005-06-28 2009-04-21 Noki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812425Y (zh) * 2005-07-27 2006-08-30 上海甲秀工业设计有限公司 滑翻板手机
DE102007060614A1 (de) * 2007-12-13 2009-06-18 HELIKA GbR (vertretungsberechtigter Gesellschafter Herr Karl Weinmann, Blumenstr. 9, 72813 St. Johann) Plattenförmiges Bauelement
US10142103B2 (en) 2015-12-07 2018-11-27 The Boeing Company Hardware assisted fast pseudorandom number gen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0723A (ja) * 1984-04-27 1985-11-16 エルヴイン・ブランデンシユタイン 無線電話幾
JPH04117849A (ja) * 1990-09-07 1992-04-17 Fujitsu Ltd カード式電話機
JPH0514463A (ja) * 1991-07-01 1993-01-22 Toshiba Corp 携帯電話機
JP3268467B2 (ja) * 1992-09-08 2002-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機
JP3255995B2 (ja) * 1992-10-23 2002-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電話装置
US5907615A (en) * 1992-12-02 1999-05-25 Motorola, Inc. Miniatur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5628089A (en) * 1995-05-18 1997-05-13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aving a self contained hinge
GB2320148A (en) * 1996-12-06 1998-06-10 King S Manufacturing Company L A pivotable arrangement for a radio etc which may act as a cover or a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814C (zh) 2002-12-18
DE19815630C2 (de) 2000-08-17
US6091815A (en) 2000-07-18
DE19815630A1 (de) 1998-11-19
FR2763456A1 (fr) 1998-11-20
GB2325372A (en) 1998-11-18
GB2325372B (en) 1999-07-21
KR100229870B1 (ko) 1999-11-15
GB9810166D0 (en) 1998-07-08
CN1202787A (zh) 1998-12-23
FR2763456B1 (fr)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082B1 (ko) 폴더 타입 휴대폰에서 메인 보드와 엘씨디 모듈간의연결장치
KR100313144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0228315B1 (ko)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 장치
KR100313145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057599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AU655027B2 (en) Hinge apparatus for foldable radiotelephones
KR19990000037A (ko) 양방향으로 플립커버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KR100283185B1 (ko) 출몰식 스피커 장치
KR100229870B1 (ko)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KR100663486B1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개폐장치
KR100312546B1 (ko) 외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덮개가 슬라이딩개폐되는 폴더형휴대폰
KR100429979B1 (ko) 휴대용 영상단말기
KR200184077Y1 (ko) 휴대폰의 힌지장치
KR100298355B1 (ko) 플립형 휴대폰의 힌지 장치
KR100247023B1 (ko) 플립형휴대용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221349Y1 (ko) 플립 업 타입 휴대폰의 플립 커버 멈춤 장치
KR200184578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플립 커버 개폐에 따른 모드 변환장치
KR20020065718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KR100325246B1 (ko) 플립형 휴대폰에서 힌지 장치에 구비된 자동절환 스위칭 장치
KR200230329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KR20010103976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348925Y1 (ko) 플립업타입휴대폰의힌지장치
KR100598043B1 (ko) 회전형 배음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43875A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KR20000014209U (ko) 휴대폰의 송화음 전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