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2622A - 디지탈 휴대전화기의 밧데리 절약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 휴대전화기의 밧데리 절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2622A
KR19980082622A KR1019970017631A KR19970017631A KR19980082622A KR 19980082622 A KR19980082622 A KR 19980082622A KR 1019970017631 A KR1019970017631 A KR 1019970017631A KR 19970017631 A KR19970017631 A KR 19970017631A KR 19980082622 A KR19980082622 A KR 19980082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entr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mobile phone
sleep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7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0290B1 (ko
Inventor
임선배
Original Assignee
송재인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인,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재인
Priority to KR1019970017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290B1/ko
Publication of KR1998008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2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휴대전화기의 사용중 대기상태에서 CDMA신호나 AMPS신호의 수신여부와 키작동 여부에 따라 중앙처리장치 또는 무선회로부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여 휴대전화기의 소비전력을 감소시켜 밧데리를 절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전화기의 대기상태에서 CDMA신호나 AMPS신호가 수신되고 또한 키패드상의 키작동이 있으나 일정시간동안 사용자가 휴대전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중앙처리장치의 클럭발생을 반복적으로 소정시간동안 중지시키는 대기슬립모드와, 휴대전화기의 대기상태에서 CDMA신호나 AMPS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키패드상의 키작동이 없는 경우 소정시간동안 반복적으로 무선회로부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중앙처리장치의 클럭발생을 중지시키는 딥슬립모드의 이중방식으로 휴대전화기의 소비전력을 줄이는 방법이다.

Description

디지탈 휴대전화기의 밧데리 절약방법
본 발명은 디지탈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휴대전화기의 사용중 대기상태에서 CDMA신호나 AMPS신호의 수신여부와 키작동 여부에 따라 중앙처리장치나 무선회로부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여 휴대전화기의 소비전력을 감소시켜 밧데리를 절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지탈 이동무선 통신시스템의 하나로서 셀룰라방식의 휴대 무선전화시스템이 있으며, 도 1에 그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었다. 이 시스템은 유선전화망(110)에 접속된 제어국(120)과, 이 제어국(120)에 대해서 각각 유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된 복수의 기지국(130)과, 복수의 이동국(이동통신단말기 ; 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기지국(130)은 각각 상이한 영역(점선으로 표시된 원)의 무선존(zone)을 형성한다. 상기 이동국(140)은 자기국이 위치하고 있는 무선존의 기지국에 대해서 무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되고, 또 상기 기지국(130)으로 부터 제어국(120)을 거쳐서 유선전화망(110)에 접속된다.
또, 상기 시스템은 각 기지국(130) 및 이동국(140)이 복수의 무선주파수를 공용하여 발호 또는 착호시에 이들의 무선주파수를 선택하여 무선기지국(130)과의 사이를 무선접속되게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동국(140)에서 발호를 행하기 위하여 후크스위치(hook switch)가 온(on)되었다고 하면, 이 이동국(140)은 우선 제어용 무선주파수를 선택하고, 또 자기국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발신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발신신호를 상기 제어용 무선주파수에 의해서 확립된 제어채널을 거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130)을 향하여 송신한다. 이때, 무선기지국(130)은 수신 대기시에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서 발호의 발생을 감시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국(140)으로 부터 발신신호가 도래하면 당해 이동국 및 자기국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발호신호를 발생하여 제어국(120)으로 송출한다.
상기 제어국(120)은 상기 발호신호에 포함되는 식별코드로 이 발호가 자기시스템의 것인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자기시스템의 것이면 자기시스템이 보유하는 복수의 통화용 무선주파수 중에서 비어있는 무선주파수를 선택하고, 이 무선주파수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통화채널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발호응답신호를 기지국(130)으로 반송한다. 상기 기지국(130)은 제어국으로 부터 상기 발호응답신호가 반송되면 통화채널 지정정보 및 발호원의 이동국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발신응답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를 제어채널을 사용하여 이동국(140)으로 송신한다.
이때, 이동국(140)이 상기 발신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이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통화채널 지정정보에 따라서 기지국(130)과의 사이에서 상기 무선주파수에 의한 통화채널을 확립하기 위한 트레이닝(training)을 행한다. 그리고, 이 트레이닝에 의해서 통화채널이 확립되면 제어국(120)으로 부터 유선전화망(110)으로 발호신호가 보내진다.
이와 같이 유선전화망(110)의 발호신호가 보내지면, 유선전화망(110)은 제어국(120) 및 기지국(130)을 거쳐서 발호원의 이동국(140)으로 다이얼신호의 송출을 요하는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이동국(140)에서는 다이얼신호의 송출요구가 도래하면 다이얼 조작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취지가 표시된다.
이 표시를 확인한 통화자가 다이얼키에 의해서 통화 상대방의 다이얼번호를 입력하면 이동국(140)은 상기 다이얼번호에 대응한 다이얼신호를 무선통화채널을 통해 기지국(130)으로 송신한다. 상기 무선기지국(130)에서 상기 다이얼신호를 수신하면 이 다이얼신호를 제어국(120)을 통해 유선전화망(110)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유선전화망(110)에서는 교환동작이 행해져서 이것에 의해 통화를 희망하는 상대방 전화기가 호출된다. 그리고, 이 호출에 대하여 상대방 통화자가 오프(off) 후크하여 응답하면 상대방 전화기와 발호원의 이동국(140)과의 사이에 통화로가 형성되고, 이후 이 통화로를 통해서 상대방 전화기와 이동국(140)과의 사이에 통화가 가능해 진다.
이와 같은 작동과정을 수행하는 시스템중 상기 이동국(140)의 하나인 종래 휴대무선전화기의 회로구성요소를 그 일반적인 블럭회로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중앙처리장치(CPU : 301))와, CDMA(코드분할 다원접속)처리부(304)와, 시간을 계수하기 위한 타이머(302)와, 상기 타이머(302)의 정확한 시간계수를 위하여 진동자의 온도특성에 대응하여 회로에 온도보상기능을 추가한 온도보상발진기(TCOX)와, 무선(RF)회로부(303)와, 송수신부(UART : 305))와, 음성부호기(VOCODER : 306))와, 입출력부(GPIO : 307))와, 메모리부(308,309)가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종류의 휴대무선전화기에 있어서 밧데리의 사용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사용중 대기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무선(RF)회로부의 전원을 주기적으로 차단하거나 복귀하도록 회로를 구성하여 밧데리의 소모를 줄이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중 대기상태에서 무선회로의 전원을 주기적으로 차단하거나 복귀하도록 회로를 구성하면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무선회로부의 전원이 반복해서 차단됨으로 인하여, 무선회로부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는 동안에 휴대전화기의 발호신호의 수신율이 감소할 뿐아니라 휴대전화기의 전체회로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디지탈 휴대전화기의 사용중 대기상태에서 CDMA신호나 AMPS신호의 수신여부와 키작동 여부에 따라 중앙처리장치 또는 무선회로부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여 휴대전화기의 소비전력을 감소시켜 밧데리를 절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탈 휴대전화기의 밧데리 절약방법은, 휴대전화기의 대기상태에서 CDMA신호나 AMPS신호가 수신되고 또한 키패드상의 키작동이 있으나 일정시간동안 사용자가 휴대전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중앙처리장치의 클럭발생을 반복적으로 소정시간동안 중지시키는 대기슬립모드(IDLE SLEEP MODE)와, 휴대전화기의 대기상태에서 CDMA신호나 AMPS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키패드상의 키작동이 없는 경우 소정시간동안 반복적으로 무선회로부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중앙처리장치의 클럭발생을 중지시키는 딥슬립모드(DEEP SLEEP MODE)의 이중모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대기슬립모드는 휴대전화기의 대기상태에서 CDMA신호나 AMPS신호가 수신되고 또한 키패드상의 키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일정시간동안 휴대전화기를 사용하고 있는 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휴대전화기가 일정시간동안 사용되지 않은 경우 타이머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중앙처리장치의 클럭발생을 중지시키는 단계와, 경과시간을 계수하여 기설정된 소정시간에 도달하면 중앙처리장치의 클럭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딥슬립모드는 휴대전화기의 대기상태에서 CDMA신호나 AMPS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키패드상의 키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무선회로부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중앙처리장치의 클럭을 차단하는 단계와, 경과시간을 계수하여 기설정된 소정시간에 도달하거나 키작동이 되면 무선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중앙처리장치의 클럭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이동무선 통신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휴대전화기의 블럭회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휴대전화기의 밧데리 절약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유선전화망 120 : 제어국
130 : 무선기지국 140 : 이동국(이동통신단말기)
301 : 중앙처리장치 302 : 타이머
303 : 무선회로부 304 : CDMA처리부
305 : 송수신부 306 : 음성부호기
307 : 입출력부 308, 309 : 메모리부
310 : 데이타선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휴대전화기의 밧데리 절약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휴대전화기의 밧데리 절약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순차흐름도인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먼저, 휴대전화기가 대기상태에서 CDMA신호나 AMPS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지를 판정하고 또한 키패드상의 키작동이 있는 지를 판정(401)하여, CDMA신호나 AMPS신호가 수신되고 키패드상의 키작동이 있으면서 일정시간동안 사용자의 휴대전화기 사용여부를 판정한다(402). 사용자가 휴대전화기를 일정시간동안 사용하지 않고 있다면 타이머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중앙처리장치의 클럭발생을 중지시킨다(403). 이어서, 중앙처리장치의 클럭발생이 중지후 타이머에서 경과시간을 계수하여(404) 기설정된 소정시간(60초 정도)에 도달하면(405) 다시 중앙처리장치의 클럭을 발생시키는 단계(406)를 통해 대기상태(400)로 전환하여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중앙처리장치의 클럭발생을 반복적으로 제어하여 휴대전화기의 소비전력을 줄이게 된다.
또, 휴대전화기가 대기상태에서 CDMA신호나 AMPS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지를 판정하고 또한 키패드상의 키작동이 있는 지를 판정(401)하여, CDMA신호나 AMPS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키패드상의 키작동이 없으면,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무선회로부의 전원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중앙처리장치의 클럭발생을 중지시킨다(411). 그 다음, 타이머에서 경과시간을 계수하여(413) 기설정된 소정시간(30분 정도)에 도달하거나(414) 키작동이 이루어지면(412), 다시 무선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중앙처리장치의 클럭을 발생시키는 단계(414)를 통해 대기상태(400)로 전환되어 장시간 휴대전화기가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놓여 있는 경우에 무선회로부의 전원공급과 중앙처리장치의 클럭발생을 반복적으로 제어하여 휴대전화기의 소비전력을 줄이는 것이다.
상술한 바의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휴대전화기의 사용중 대기상태에서 CDMA신호나 AMPS신호의 수신여부와 키작동 여부에 따라 중앙처리장치 또는 무선회로부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여 휴대전화기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휴대전화기의 호신호의 수신율 감소없이 휴대전화기의 밧데리 사용시간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휴대전화기의 대기상태에서 CDMA신호나 AMPS신호가 수신되고 또한 키패드상의 키작동이 있으나 일정시간동안 사용자가 휴대전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중앙처리장치의 클럭발생을 반복적으로 소정시간동안 중지시키는 대기슬립모드와, 휴대전화기의 대기상태에서 CDMA신호나 AMPS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키패드상의 키작동이 없는 경우 소정시간동안 반복적으로 무선회로부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중앙처리장치의 클럭발생을 중지시키는 딥슬립모드의 이중방식으로 휴대전화기의 소비전력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휴대전화기의 밧데리 절약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슬립모드는 휴대전화기의 대기상태에서 CDMA신호나 AMPS신호가 수신되고 또한 키패드상의 키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일정시간동안 휴대전화기를 사용하고 있는 지를 판정하는 제1단계와, 휴대전화기가 일정시간동안 사용되지 않은 경우 타이머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중앙처리장치의 클럭발생을 중지시키는 제2단계와, 경과시간을 계수하여 기설정된 소정시간에 도달하면 중앙처리장치의 클럭을 발생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중앙처리장치의 소비전력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휴대전화기의 밧데리 절약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딥슬립모드는 휴대전화기의 대기상태에서 CDMA신호나 AMPS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키패드상의 키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무선회로부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중앙처리장치의 클럭을 차단하는 제1단계와, 경과시간을 계수하여 기설정된 소정시간에 도달하거나 키작동이 되면 무선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중앙처리장치의 클럭을 발생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무선회로부 및 중앙처리장치의 소비전력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휴대전화기의 밧데리 절약방법.
KR1019970017631A 1997-05-08 1997-05-08 디지탈휴대전화기의밧데리절약방법 KR100240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631A KR100240290B1 (ko) 1997-05-08 1997-05-08 디지탈휴대전화기의밧데리절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631A KR100240290B1 (ko) 1997-05-08 1997-05-08 디지탈휴대전화기의밧데리절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622A true KR19980082622A (ko) 1998-12-05
KR100240290B1 KR100240290B1 (ko) 2000-01-15

Family

ID=1950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7631A KR100240290B1 (ko) 1997-05-08 1997-05-08 디지탈휴대전화기의밧데리절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2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813B1 (ko) * 2008-01-11 201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813B1 (ko) * 2008-01-11 201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0290B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1097B1 (en) Radio system and mobile station with user-selectable operating mode
US20040204183A1 (en) Power management profile on a mobile device
JPH10209953A (ja) 携帯無線電話装置の省電力制御方式
US200500852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dicated paging channels for walkie-talkie services
KR100240290B1 (ko) 디지탈휴대전화기의밧데리절약방법
KR2005002382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저전력모드 수행 방법
JPH10290195A (ja) 携帯無線通信装置
US6658266B1 (en) Mobile radio apparatus and control circuit thereof
JPS5847345A (ja) 間欠受信方式及び間欠受信移動局装置
JPH098879A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5253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전원 제어 방법
JPH08116301A (ja) パーソナル・ハンディ・フォン・システム
KR20040041278A (ko) 휴대단말기의 음영지역 동작전원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JPS5912055B2 (ja) 移動通信方式
JP3328220B2 (ja) 複合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方法
KR940011750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 제어 방법
KR1006574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JP2002368671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H05227263A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表示方式
JP3474935B2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2002005720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온/오프 예약 방법
JPH0556119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の基地局と移動局との間の表示信号の伝送方式
JP2004241868A (ja) 無線電話装置及びそのバッテリの消費電力低減方法
JPH06252798A (ja) 携帯無線電話
JPH0425232A (ja) 無線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