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1647A - 전원공급장치의 초기기동회로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장치의 초기기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1647A
KR19980081647A KR1019980014453A KR19980014453A KR19980081647A KR 19980081647 A KR19980081647 A KR 19980081647A KR 1019980014453 A KR1019980014453 A KR 1019980014453A KR 19980014453 A KR19980014453 A KR 19980014453A KR 19980081647 A KR19980081647 A KR 19980081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sistor
unit
outpu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안국
김효영
박철완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ublication of KR19980081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64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전류에 안정적으로 동작되도록 입력전압이 정류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 출력이 인가되어 스위칭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서 스위칭된 전압을 유기시키는 변압부와,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변압부 사이에서 구성되고, 상기 변압부 주권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압이 분배되는 분배수단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부를 기동시키는 기동회로와, 상기 변압부 보조권선으로부터의 전압이 입력되고,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구동부와, 상기 변압부의 2차권선에서의 출력이 정류되고 평활되어 출력전압으로 발생되며, 상기 출력전압이 감지되는 출력부 그리고 상기 출력부에서 감지된 신호가 입력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스위치부가 스위칭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무부하 또는 경부하시에 소비전력이 저감되고, 상기 기동회로의 분배수단에 의하여 과전류가 억제됨으로써 과전류에 안정적으로 동작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원공급장치의 초기기동회로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의 초기기동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부하시 또는 경부하(Stand-by)시에 소비전력이 저감되고, 과전압 또는 과전류에 안정적으로 동작되어 전원공급장치의 효율이 증대되는 전원공급장치의 초기기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이 인가되고 출력에서부터 궤환되는 신호에 의하여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로 스위칭되는 주스위치와 상기 주스위치에서 스위칭된 전압이 출력으로 유기되도록 1차권선과 2차권선으로 구성되는 변압부 그리고 상기 변압부 2차권선에서의 출력이 정류되고 평활되어서 출력전압으로 발생되며, 상기 출력전압으로부터 과전류 및 과전압 등을 감지하여 입력으로 궤환시켜서 장치에서 요구되는 전압을 안정적으로 출력하는 절환모드 전원공급장치(SMPS; Switch Mode Power Supply; 이하 전원공급장치라고 한다.)에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집적회로(IC)로서 주스위치가 구성되고, 출력으로부터 궤환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펄스폭 변조되도록 제어되는 상기 주스위치는 전원공급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 기동기간의 짧은 시간동안 즉, 출력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정상적으로 발생되어 상기 주스위치를 구성하는 소자에 전원으로서 인가되기 전에는 상기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주스위치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주스위치의 정상적인 동작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원이 전원공급장치로 인가되는 초기 기동기간에 상기 전원공급장치 입력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주스위치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전원공급장치를 초기 기동시키기 위한 초기기동회로가 사용된다.
제 1 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제어집적회로에 의한 전원공급장치 회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제어집적회로에 의한 전원공급장치는, 입력전압(Vi)이 인가되고 출력부에서부터 궤환되는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며 입력전압(Vi)이 스위칭되는 입력부(100)와, 상기 입력부(100)에서 스위칭된 입력전압(Vi)이 출력부(500)로 유기되도록 1차권선과 2차권선으로 구성되는 변압부(T) 및 상기 변압부(T) 2차권선(T2)에서의 출력이 정류되고 평활되어서 발생되는 출력전압(Vo)으로부터 과전류 및 과전압 등을 감지하여 입력부(100)로 궤환시키고 장치에서 요구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부(500)로 구성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00)는 입력전압(Vi)이 정류되는 브리지 다이오드(Bridge Diode)인 정류부(15)와, 상기 정류부(15)의 출력과 변압부(T) 1차권선의 주권선(T1a)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정류부(15)의 출력이 스위칭되는 스위치부(Q)와, 출력부(500)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Vo)으로부터의 과전압이 감지된 감지신호가 궤환되고, 상기 출력전압(Vo)으로부터 궤환된 감지신호에 의한 펄스폭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된 출력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부(Q)를 제어하는 집적회로(11)와, 상기 정류부(15)의 출력이 저항(R1)과 커패시턴스(C1)에 의하여 분배되어 상기 집적회로(11)의 전원단(Vcc)으로 인가되고, 상기 변압부(T) 1차권선의 보조권선(T1b)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다이오드(D1)와 커패시턴스(C1)를 통하여 인가되는 기동회로(1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제어집적회로에 의한 전원공급장치는 펄스폭변조에 의하여 스위치가 제어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펄스폭 변조되는 스위치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입력전압이 변압부로 인가되도록 동작되는 전원공급장치로서, 전원공급장치가 턴온되어 초기 기동되는 경우에는 출력부(500)에서 발생되는 정상적인 출력전압(Vo)이 발생되기 위하여, 먼저 집적회로(11)에 의하여 스위치부(Q)가 턴온되어야 변압부(T)를 통하여 출력부(500)로 전압이 유기되어 출력전압(Vo)이 발생된다.
따라서, 입력부(100)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i)이 정류부(15)의 브리지 다이오드(15)에서 정류되고, 상기 정류된 전압이 집적회로(11)를 초기동작 시키기 위한 기동회로(10)로 인가된다. 상기 기동회로(10)로 인가된 전압은 저항(R1)과 커패시턴스(C1)에 의하여 분배되어 집적회로(11)의 전원단(Vcc)으로 인가됨으로써, 집적회로(11)에 전원이 공급되어서 상기 집적회로(11)가 동작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원단(Vcc)에 전원이 공급된 집적회로(11)는 출력부(500)로부터 궤환되는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출력부(500)에서 발생되는 출력전압(Vo)을 제어하기 위하여 게이트가 연결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인 스위치부(Q)를 온/오프하여 입력된 전압이 펄스폭 변조되도록 스위칭 제어된다. 따라서, 스위치부(Q)를 구성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온/오프로 동작되어 변압부(T)를 통하여 스위칭된 전압이 출력부(500)로 유기되고 정류 및 평활되어서 출력전압(Vo)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출력전압(Vo)이 발생되면, 상기 출력전압(Vo)에서 감지된 신호가 입력부(100)의 집적회로(11)로 궤환되어서 스위치부(Q)가 제어되어 안정된 출력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제어집적회로에 의한 전원공급장치는 무부하이거나 원격 제어되기 위하여 원격제어부만이 동작되는 경부하인 경우에, 초기기동회로 및 집적회로로 구성되는 회로에서 사용되는 소비전력이 부하(Load)에서 사용되는 소비전력보다 크게 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소비전력이 증대되고,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입력부로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저항(R1)을 통하여 집적회로(11)로 직접 인가되기 때문에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집적회로가 손상을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 2 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알씨씨 방식에 의한 전원공급장치 회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알씨씨(RCC; Ringing Choke Converter) 방식에 의한 전원공급장치는, 입력부(200), 변압부(T) 및 출력부(500)로 구성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200)는 입력전압(Vi)이 정류되는 브리지 다이오드인 정류부(15)와, 출력부(500)에서의 과전류 및 과전압 등의 감지신호가 궤환되어 입력되는 제어부(21)와, 변압부(T) 1차권선의 보조권선(T1b)에서의 전압이 저항(R4)과 커패시턴스(C4)를 통하여 스위치부(Q)의 게이트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21)의 출력이 게이트에 연결되어 오프되는 시간이 제어되는 스위치부(Q)와, 상기 정류부(15)의 출력이 저항(R1b)(R2b)에 의하여 분배되어 상기 스위치부(Q)의 게이트로 연결되는 기동회로(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알씨씨 방식에 의한 전원공급장치는 알씨씨 방식으로 구성되는 회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회로로서, 전원공급장치가 초기 동작되는 경우에 정류부(15)의 출력이 저항(R1b)(R2b)에 의하여 분배되어 상기 스위치부(Q)의 게이트로 연결되기 때문에 출력부(500)에서 출력전압(Vo)이 발생되기 전에 상기 기동회로(20)에 의하여 스위치부(Q)의 게이트에 동작전압이 인가되어서 전원공급장치가 안정적으로 초기 기동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인 스위치부(Q)는 턴온 조건인 약 3.7볼트 이상의 전압이 게이트에 공급되는 동안에 상기 스위치부(Q)의 턴온 시간이 유지되는데, 상기와 같이 턴온 시간이 유지되는 스위치부(Q)는 출력부(500)에서 회로단락 및 과부하 등과 같은 임의의 장애에 의하여 변압부(T)의 2차권선(T2)에서 1차 주권선(T1a)으로 발생되는 역기전압에 의하여 역기전류(Ir)가 발생되는 경우에, 저항(R1b)을 통하여 스위치부(Q)의 게이트로 과다한 전압 및 전류가 인가되기 때문에, 드레인(Drain)과 소스(Source) 사이에 과다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스위치부(Q)가 손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다.
제 3 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과전압검출 방식에 의한 전원공급장치 회로도이다.
제 3 도의 과전압검출 방식에 의한 전원공급장치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 나타낸 종래기술의 제어집적회로에 의한 전원공급장치와, 알씨씨 방식에 의한 전원공급장치의 문제점인 과전압과 과전류로부터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회로로서, 기동회로(30)를 제외하고 제 1 도 및 제 2 도의 제어집적회로에 의한 전원공급장치 및 알씨씨 방식의 전원공급장치의 회로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과전압검출 방식에 의한 전원공급장치는 입력부(300), 변압부(T) 및 출력부(500)로 구성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300)는 입력전압(Vi)이 정류되는 브리지 다이오드인 정류부(15)와, 출력부(500)에서 과전류 및 과전압 등의 감지신호가 궤환되어 입력되는 제어부(21)와, 변압부(T) 1차권선의 보조권선(T1b)으로부터의 전압이 저항(R4)과 커패시턴스(C4)를 통하여 스위치부(Q)의 게이트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21)의 출력이 게이트에 연결되어서 제어되는 스위치부(Q)와, 상기 정류부(15)의 출력이 저항(R1c)과 제너다이오드(Dz)에 의하여 분배되고, 상기 분배된 제너다이오드(Dz)의 양단 전압이 다시 저항(R2c)(R3c)에 의하여 분배되어 상기 스위치부(Q)의 게이트로 연결되는 기동회로(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과전압검출 방식에 의한 전원공급장치는 출력부(500)에서 회로단락 및 과부하 등과 같은 임의의 장애에 의하여 변압부(T)의 2차권선(T2)에서 1차 주권선(T1a)으로 역기전압에 의한 역기전류(Ir)가 발생되는 경우에, 저항(R1c)을 통하여 제너다이오드(Dz)에서 소정전위로 제한되어서, 상기 제너다이오드(Dz)에 의하여 설정된 전압 이상의 과전압은 접지단인 정류부(15)의 -단으로 흐르기 때문에 차단되며, 상기 저항(R1c)과 제너다이오드(Dz)에 의하여 분배된 전압은 다시 저항(R2c)(R3c)에 의하여 분배되어 상기 스위치부(Q)의 게이트로 인가된다.
또한, 상기 역기전압(Vl)에 의하여 발생되는 역기전류(Ir)는 저항(R1c)(R2c)에 의하여 낮아져서 스위치부(Q)의 게이트로 인가되기 때문에 스위치부(Q)를 구성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턴온 전압에 상응하는 게이트 전압으로 되어서 상기 스위치부(Q)는 안정적으로 동작된다.
그러나, 저항(R1c)(R2c)(R3c) 및 제너다이오드(Dz)로 되는 기동회로(30)를 포함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과전압검출 방식에 의한 전원공급장치는 원격 제어되도록 원격제어장치만 턴온되어 대기되거나, 전원공급장치의 소비전력이 적은 경부하시에, 출력부에서의 단락 등에 의한 과전류 및 과전압이 변압부를 통하여 입력부로 궤환되어 스위치부에 역기전압에 의한 역기전류가 게이트로 인가되면, 이미 상기 과전류 및 과전압이 감지되어 제어부에 의하여 오프로 제어된 스위치부는 상기 게이트로 인가되는 역기전류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스위치부에 과도한 전압이 걸리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상기의 과도한 전압에 의한 스위치부의 영향이 저감되도록 회로가 설계를 하기에는 회로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역기전류가 스위치부를 통하여 기동회로로 인가되도록 스위치부의 출력과 변압부의 마이너스단에 기동회로를 구비함으로써 무부하 또는 경부하시에 소비전력이 저감되고, 과전압 또는 과전류에 안정적으로 동작되어 전원공급장치의 효율이 증대되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제어집적회로에 의한 전원공급장치 회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알씨씨 방식에 의한 전원공급장치 회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과전압 검출방식에 의한 전원공급장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기동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기동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30,40,50,60 : 기동회로 11 : 직접회로
15 : 정류부 21 : 제어부
100,200,300,400 : 입력부 500 : 출력부
T : 변압부 Q : 스위칭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입력전압이 정류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 출력이 인가되어 스위칭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서 스위칭된 전압을 주권선에서 보조권선과 2차권선으로 유기시키는 변압부와,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변압부 사이에서 구성되고, 상기 변압부 주권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압이 분배되는 분배수단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부를 기동시키는 기동회로와, 상기 변압부 보조권선으로부터의 전압이 입력되고,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구동부와, 상기 변압부의 2차권선에서의 출력이 정류되고 평활되어 출력전압으로 발생되며, 상기 출력전압이 감지되는 출력부 그리고 상기 출력부에서 감지된 신호가 입력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스위치부가 스위칭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초기기동회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입력전압(Vi)이 정류되는 브리지 다이오드인 정류부(15)와, 상기 정류부(15) 출력이 인가되어 스위칭되는 스위치부(Q)와, 상기 스위치부(Q)에서 스위칭된 전압을 1차권선의 주권선(T1a)에서 1차권선의 보조권선(T1b)과 2차권선(T2)으로 유기시키는 변압부(T)와, 상기 스위치부(Q)와 상기 변압부(T) 사이에서 구성되고, 상기 변압부(T) 1차권선의 주권선(T1a)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부(Q)를 기동시키는 기동회로(40)와, 상기 변압부 1차권선의 보조권선(T1b)으로부터의 전압이 입력되고, 상기 스위치부(Q)를 제어하는 구동부(45)와, 변압부(T)의 2차권선(T2)에서의 출력이 정류되고 평활되어 출력전압(Vo)으로 발생되며, 상기 출력전압(Vo)이 감지되어 제어부(21)로 궤환시키는 출력부(500) 그리고 상기 출력부(500)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스위치부(Q)가 스위칭되는 제어부(21)로 구성된다.
상기 기동회로(40)는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인 스위치부(Q)의 변압부(T) 주권선(T1a)의 마이너스 측에 연결되는 드레인과 게이트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저항(Rdg)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Q)의 소스와 게이트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저항(Rsg)으로 구성된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기동회로도이다.
다른 실시예의 기동회로(50)는 상기 변압부(T) 주권선(T1a)의 마이너스 측에 연결되는 스위치부(Q)의 드레인과 소스사이에서 드레인 전압을 분배하도록 직렬로 연결되는 제 3 저항(Rdg1) 및 제 5 저항(Rsg)과, 상기 제 3 저항(Rdg1) 및 제 5 저항(Rsg)에 의하여 분배된 전압을 게이트로 인가시키는 제 4 저항(Rdg2)으로 구성된다.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기동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기동회로(60)는 상기 변압부(T) 주권선(T1a)의 마이너스 측에 연결되는 스위치부(Q)의 드레인과 소스사이에서 전압을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이 게이트로 인가되도록 직렬로 구비되는 제 3 저항(Rdg1), 제 4 저항(Rdg2) 및 제 5 저항(Rsg)과, 상기 제 3 저항(Rdg1)과 제 4 저항(Rdg2)에 의하여 분배된 전압이 소정전위이상 유지되도록 상기 직렬로 연결되는 제 4 저항(Rdg2)과 제 5 저항(Rsg)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너다이오드(Dz1)로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4 도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이 턴온되고, 입력전압(Vi)이 정류부(15)를 통하여 인가되면, 기동회로(40)의 제 1 저항(Rdg)을 통하여 스위치부(Q)의 게이트로 변압부(T)의 제 1 권선(T1a)을 경유한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치부(Q)가 턴온되어서 변압부(T)를 통하여 출력부(500)로 전압이 인가된다.
그래서, 상기의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출력부(500)를 구성하는 정류부와 평활부를 통하여 장치에서 요구되는 출력전압(Vo)이 발생되어 출력되고, 전원공급장치 및 외부조건에 의하여 과전압 및 과전류가 발생되면, 출력부(500)의 출력전압(Vo)을 도시되지 않은 감지회로를 통하여 과전압 및 과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과전압 및 과전류를 제어부(21)를 통하여 스위치부(Q)로 궤환시켜서 스위치부(Q)가 오프로 제어되어서 과전압 및 과전류로부터 전원공급장치가 보호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출력부(500)에서 전원공급장치 및 외부조건에 의하여 과전압 및 과전류가 발생되면, 상기 출력부(500)에서부터 변압부(T)의 2차권선(T2)과 1차권선의 주권선(T1a)을 통하여 역유기전압이 발생되는데, 상기 역유기전압에 의한 역유기전류(Ir)가 스위치부(Q)의 소스단으로 인가된다. 이때는 이미 제어부(21)를 통하여 스위치부(Q)가 오프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역유기전압에 의한 역유기전류(Ir)는 상기 오프된 스위치부(Q)에 의하여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오프되어 역유기전류(Ir)가 차단된 상기 스위치부(Q)의 드레인단과 변압부(T) 1차권선의 주권선(T1a) 마이너스 단의 사이에 연결된 기동회로(40)의 제 1 저항(Rdg)에 상기 역유기전류(Ir)에 의한 영향이 차단되어 스위치부(Q)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보호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의 초기기동회로는 과전압 및 과전류에 대한 보호회로 기능도 구비되는 효과도 갖게 된다.
한편, 전원공급장치가 초기 기동될 때, 스위치부(Q)의 드레인전압은 변압부(T)의 1차권선(T1a)을 통하여 인가되는 정류부(15) 출력전압과 거의 동일하며, 스위치부(Q)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기동되도록 게이트에 인가되는 기동전압(Vgth; Gate Threshold Voltage)이 스위치부(Q)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임계전압(Threshold Voltage)보다 크면, 스위치부(Q)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는 턴온되어 입력전압(Vi)이 변압부(T)로 인가된다. 일단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기동되면, 제 1 저항(Rdg) 및 제 2 저항(Rsg)으로 구성되는 기동회로(40)의 임피던스(Impedance)가 변압부(T)의 임피던스보다 매우 크게 되기 때문에, 스위치부(Q)의 스위칭시에 정류부(15)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커패시턴스(C1)에 충전된 직류전압은 기동회로(40)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즉, 기동회로(40)를 커패시턴스(C1)에서 멀리하고,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인 스위치부(Q)의 드레인에 연결함으로써 기동회로(40)의 임피던스가 보다 높아진다. 이에 따라서 변압부(T)에서부터의 역유기전압에 의한 역유기전류(Ir)에 의한 영향도 저감된다.
또한, 전원공급장치의 보호기능, 효율 및 안정화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 5 도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변압부(T) 주권선(T1a)을 통하여 스위치부(Q)의 드레인으로 인가되는 전압은 제 3 저항(Rdg1)과 제 5 저항(Rsg)에 의하여 분배되고, 상기 분배된 전압은 제 4 저항(Rdg2)을 통하여 스위치부(Q)의 게이트로 인가되어 초기 기동되도록 동작되는 기동회로(50)는, 상기 제 3 저항(Rdg1)과 제 5 저항(Rsg) 사이에서 스위치부(Q)의 게이트로 연결되는 제 4 저항(Rdg2)이 더 구비되기 때문에, 출력부에서 발생되는 과전류 및 과전압에 의한 역유기전압이 인가되어도 제 5 저항(Rsg)과 제 4 저항(Rdg2)을 통하여 스위치부(Q)의 게이트로 인가되어서 과전압의 양이 조절되기 때문에 전원공급장치가 안정적으로 동작된다.
또, 전원공급장치의 보호기능, 효율 및 안정화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 5 도와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 6 도의 기동회로도(60)는 변압부(T) 주권선(T1a)을 통하여 스위치부(Q)의 드레인으로 인가되는 전압은 직렬로 연결되는 제 3 저항(Rdg1)과 제 4 저항(Rdg2)에서 분배되고, 상기 분배된 전압이 병렬로 연결되는 제너다이오드(Dz1)에 의하여 소정전위 이하로 되며, 상기 소정전위 이하로 된 전압은 다시 제 4 저항(Rdg2)과 제 5 저항(Rsg)에 의하여 분배되어 스위치부(Q)의 게이트에 안정적으로 인가된다.
또한, 상기 제 4 저항(Rdg2)과 제 5 저항(Rsg)에서 분배된 전압이, 상기 제 5 저항(Rsg)에 병렬로 구성되는 제너다이오드(Dz1)에 의하여 소정전위 이하로 되도록 구성되어도, 상기 제 4 저항(Rdg2)과 제 5 저항(Rsg)에서 전압이 분배되고, 제너다이오드(Dz1)에 의하여 소정전위 이하로 되어서 스위치부(Q)의 게이트에 안정적인 전압으로 인가되기 때문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인 스위치부(Q)가 보호되도록 동작된다.
따라서, 출력부에서 발생되는 과전류 및 과전압에 의한 역유기전압이 인가되어도 제 3 저항(Rdg1), 제 4 저항(Rdg2), 제 5 저항(Rsg) 그리고 제너다이오드(Dz1)로 구성되는 기동회로(60)에 의하여 스위치부(Q)의 게이트로 상기 역유기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억제되기 때문에 전원공급장치가 안정적으로 동작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초기기동회로는 무부하 및 경부하시에 스위치부의 게이트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게되어 스위치부가 보호되기 때문에 전원공급장치의 특성이 향상되어 효율이 증대되고 소비전력이 감소되며, 과전류 및 과전압 방지되는 방지회로로 동작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5)

  1. 입력전압이 정류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 출력이 인가되어 스위칭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에서 스위칭된 전압을 주권선에서 보조권선과 2차권선으로 유기시키는 변압부;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변압부 사이에서 구성되고, 상기 변압부 주권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압이 분배되는 분배수단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부를 기동시키는 기동회로; 상기 변압부 보조권선으로부터의 전압이 입력되고,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구동부; 상기 변압부의 2차권선에서의 출력이 정류되고 평활되어 출력전압으로 발생되며, 상기 출력전압이 감지되는 출력부; 그리고 상기 출력부에서 감지된 신호가 입력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스위치부가 스위칭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서 소비전력이 저감되고, 과전압 또는 과전류에 안정적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초기기동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회로의 분배수단은 상기 스위치부의 드레인과 게이트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저항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의 소스와 게이트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저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초기기동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회로의 분배수단은 상기 변압부 주권선의 마이너스측에 연결되는 스위치부의 드레인과 소스사이에서 드레인 전압을 분배하도록 직렬로 연결되는 제 3 저항, 제 5 저항 그리고 상기 제 3 저항 및 제 5 저항에 의하여 분배된 전압을 스위치부의 게이트로 인가시키는 제 4 저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초기기동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회로의 분배수단은 상기 변압부 주권선의 마이너스 측에 연결되는 스위치부의 드레인과 소스사이에서 드레인 전압을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이 게이트로 인가되도록 직렬로 구비되는 제 3 저항, 제 4 저항, 제 5 저항 그리고 상기 제 3 저항과 제 4 저항에 의하여 분배된 전압이 소정전위로 유지되도록 상기 직렬로 연결되는 제 4 저항, 제 5 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너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초기기동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너다이오드는 제 5 저항에 병렬로 연결되어서 제 4 저항과 제 5 저항에서 분배된 전압이 소정전위 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초기기동회로.
KR1019980014453A 1997-04-30 1998-04-23 전원공급장치의 초기기동회로 KR199800816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7-17417 1997-04-30
KR19970017417 1997-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647A true KR19980081647A (ko) 1998-11-25

Family

ID=1950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453A KR19980081647A (ko) 1997-04-30 1998-04-23 전원공급장치의 초기기동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323030A (ko)
KR (1) KR199800816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3781B2 (ja) 2017-04-07 2021-01-13 富士通株式会社 ゲート駆動回路及び電源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23030A (ja) 199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0782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5986902A (en) Integrated protection circuit, method of providing current-limiting and short-circuit protection and converter employing the same
US7430131B2 (en) Start-up circuit for providing a start-up voltage to an application circuit
KR100296635B1 (ko) 저전압보호회로를갖는스위칭모드전원공급장치
EP1706941B1 (en) Dv/dt-detecting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for power supply
US7161783B2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for switching power supply
KR19980081647A (ko) 전원공급장치의 초기기동회로
JP2005341695A (ja) フライバック型電源回路
KR940006978Y1 (ko) 펄스폭 제어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의 과전류 보호회로
KR100258374B1 (ko) 전원공급장치의 과전류 보호회로
JP3027718B2 (ja) アクティブフィルタ
JP2002165445A (ja) 電源装置
JPH06276734A (ja) 過電流保護回路
EP1130751B1 (en) Switched mode power supply with protection circuit against overvoltage
KR100296577B1 (ko) 전원공급장치의 출력전압 안정화회로
JP2600224Y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EP1130750A1 (en) Protection circuit for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KR200145144Y1 (ko) 전원장치의 과도상태 안정화회로
KR200247524Y1 (ko) 과전압 보호회로용 전원공급장치
JP3198347B2 (ja) 過電流保護回路
KR19990053450A (ko) 전원공급장치의 과전압 및 과전류 보호회로
KR100513416B1 (ko) 개선된시동회로를가진스위칭모드전원공급기
KR19990070322A (ko) 전원공급장치의 전류제한회로
KR19990004632A (ko) 전원공급장치의 과전압 제어회로
KR940005123Y1 (ko) 부하단 쇼트시 스위칭치 소자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