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605A - 수도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하는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수도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하는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605A
KR19980080605A KR1019980010136A KR19980010136A KR19980080605A KR 19980080605 A KR19980080605 A KR 19980080605A KR 1019980010136 A KR1019980010136 A KR 1019980010136A KR 19980010136 A KR19980010136 A KR 19980010136A KR 19980080605 A KR19980080605 A KR 19980080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pesticide
composition
methyl grou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우찌세이고
오까다쇼지
Original Assignee
고오사이아끼오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오사이아끼오,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오사이아끼오
Publication of KR19980080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605A/ko

Links

Abstract

농약성분으로서의 하기 화학식
(식중, R1은 메틸기, 에틸기 또는 트리플오로메틸기를 나타내며, R2는 메틸기, 할로겐원자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내며, R3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피라졸계 식물병해 방제화합물과, 비료성분을 함유하는 수도병해 방제용 농약함유 비료조성물 및 상기 농약함유 비료조성물을 모종의 이식시 또는 벼의 파종시에 논에 측조시용하는 수도병해 방제방법.

Description

수도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하는 방제방법
본 발명은 수도 (水稻) 병해 방제용 농약함유 비료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하는 수도병해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도병해중, 방제해야 할 중요한 병해로서, 문고병 (紋枯病), 갈색균핵병, 적색균핵병 및 갈색문고병 등의 균핵을 형성하는 병해 (이하「균핵병」이라 총칭한다) 를 들 수 있다. 균핵병의 병원균은, 지름 2 ∼ 3 mm 의 균사의 덩어리로 이루어지는 내구체 (균핵) 을 형성하여 월동한다. 균핵은 써레질에 의해 수면에 부상하여, 모내기 후의 벼의 밑동 (plant foot) 에 부착한다. 균핵으로부터 발아한 균사는 하위 잎자루에 침입하여, 점차로 상위 잎자루로 진전한다. 피해는 7 월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8 월중순 ∼ 9 월상순에 걸쳐서 급속히 진전한다. 조기재배 (early-planting) 로서는, 7 월하순 ∼ 9 월상순이 벼의 출수기 (出穗期) 에서 등숙기 (登熟期) 가 되어, 지엽 (止葉) 입자루나 이삭에도 피해가 미치는 일이 있어, 이 피해가 현저한 경우는 15 ∼ 30 % 정도의 감수 (減收) 를 야기하는 경우도 있다.
종래의 이러한 균핵병의 방제방법으로서는, 병해발생 초기부터 후기에 걸쳐서, 균핵병 방제용의 분제를 수회에 걸쳐 경엽 살포하거나 또는 입제 (粒濟) 를 수회에 걸쳐 수면시용 (水面施用) 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회에 걸친 약제처리작업은, 농가에게 중노동이고, 특히 성하기의 논에서의 이러한 작업은 지극히 가혹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약제처리작업은, 균핵병의 발생상황에 즉시 대응해서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시기의 확인 및 시기에 적당한 처리를 하는 것이 어려워, 종래 방법으로는, 그 방제효과가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한 결과, 어떤 특정한 화학구조를 갖는 식물병해 방제화합물을 함유하는 농약함유 비료조성물을, 모종의 이식때 또는 벼의 파종시에 논에 측조시용 (側條施用) 함으로써, 벼농사기간 전반에 걸쳐 문제가 되는 균핵병의 피해를 효율적으로 방제할 수 있고, 따라서, 수도병해를 방제하여 대폭적인 절력화를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다 확실한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농약성분으로서의 피라졸계 식물병해 방제화합물과 비료를 함유하는 수도병해 방제용 농약함유 비료조성물 (이하, 본 발명 조성물이라고 한다) 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본 발명 조성물을, 모종의 이식때 또는 벼의 파종시에 논에 측조시용함에 의한 수도병해 방제방법 (이하, 본 발명 방법이라고 한다) 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조성물중에 함유되는 비료란, 비료성분, 예를 들면 질소, 인, 칼륨, 규소, 마그네슘, 칼슘, 망간, 붕소, 철 등의 수도가 요구하는 여러 가지의 원소를 함유하는 것이고, 구체예로서는, 요소, 질산암모늄, 질산고토암모늄, 염화암모늄, 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질산암모늄, 질산소다, 질산칼슘, 질산칼륨, 석회질소, 포름알데히드 가공요소비료 (UF), 아세트알데히드 가공요소비료 (CDU), 이소부틸알데히드 가공요소비료 (IBDU), 구아닐요소 (GU) 등의 질소질비료, 과인산석회, 중과인산석회, 용성인비 (熔成燐肥), 부식산인비, 소성인비, 중소인 (重燒燐), 고토과인산, 인산암모늄, 폴리인산암모늄, 메타인산칼륨, 메타인산칼슘, 황인안, 인질안칼륨, 염인안 등의 인산질비료, 염화칼륨, 황산칼륨, 황산칼리소다, 황산칼리고토, 중탄산칼륨, 인산칼륨 등의 칼륨질비료, 규산칼슘 등의 규산질비료, 황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질비료, 생석회, 소석회, 탄산칼슘 등의 칼슘질비료, 황산망간, 황산고토망간, 슬래그망간 등의 망간질비료, 붕산, 붕산염 등의 붕소질비료, 철강슬래그 등의 철함유비료 등의 비료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질소 (N), 인 (P) 및 칼륨 (K)에서 선택되는 비료성분의 1 종 이상, 특히 이들 3 종 모든 비료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구체예 로서는 NPK 성분형(N-P2O5-K2O) 비료를 들 수 있고, 이러한 비료로서는, 예컨대, 5-5-7, 12-12-16 등의 1 형 수평상승형, 5-5-5, 14-14-14 등의 2 형 수평형, 6-6-5, 8-8-5 등의 3 형 수평하강형, 4-7-9, 6-8-11 등의 4 형 상승형, 4-7-7, 10-20-20 등의 5 형 상승수평형, 4-7-4, 6-9-6 등의 6 형 산형, 6-4-5, 14-10-13 등의 7 형 골짜기형, 6-5-5, 18-11-11 등의 8 형 하강수평형, 7-6-5, 14-12-9 등의 9 형 하강형, 3-20-0, 18-35-0 등의 10 형 NP 형, 16-0-12, 18-0-16 등의 11 형 NK 형, 0-3-14, 0-15-15 등의 12 형 PK 형 등을 들 수 있다.
사용하는 비료의 형태는, 입상, 분상, 덩어리상, 액상 등 중에서 어떠한 것이라도 좋으며, 여러 가지 형태의 비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서방성이 부여된 비료를 원료로서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방성의 부여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을 인산칼슘의 형태로 함유시키거나, 피치, 유황, 수지 등을 첨가하는 등의 방법이나, 피복자재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등의 수지) 를 용매 (예를 들면, 톨루엔) 에 용해 혹은 분산하여, 이 용액 또는 분산액을 비료성분의 표면에 피복하여, 건조함으로써 용매를 제거하는 것으로 피복비료로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피복자재의 피복비료에 대한 중량비율, 즉 피복율은, 예를 들면 약 2 부터 30 중량% 의 범위이다.
본 발명 조성물은, 농약성분으로서의 피라졸계 식물병해 방제화합물과 비료 외에, 적당한 보조성분을 함유해도 좋다. 그 보조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탈크, 납석, 실리카 등의 수불용성 무기물질 등의 보조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본 발명 조성물을 제조할 때의 고결방지 (固結防止) 를 도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쓰이는 피라졸계 식물병해 방제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화학식 1]
(식중, R1은 메틸기, 에틸기 또는 트리플오로메틸기를 나타내며, R2는 메틸기, 할로겐원자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내며, R3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이것들의 화합물을 단독으로도,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한편, R3가 메틸기인 경우는, 상기 화합물에는, 이소벤조푸란의 3 위의 탄소에 유래하는 광학이성체가 존재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화합물에는, 이것들의 이성체 및 그 혼합물도 포함된다. 상기 화합물로서는, 상기 화학식 1 에 있어서, R1이 메틸기이고, R2가 염소원자이고, R3가 메틸기인 화합물 (이하, 화합물 A 라고 한다) 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학식 1 로 나타내는 피라졸계 식물병해 방제화합물은, 예를 들면, 특개평 2-131481호 공보 등에 기재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상기 피라졸계 식물병해 방제화합물은, 다른 아무런 성분도 첨가하지 않고, 그대로 본 발명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체담체, 액체담체 등의 각종담체와 혼합하여, 필요하면 그 위에 첨가제로서 계면활성제, 그 밖의 제제용 보조제를 첨가하여, 유제, 수화제, 수중현탁제, 수중유탁제, 입제, 분제 등으로 제제하여, 본 발명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제제는,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통상, 중량비로 0.001 % ∼ 95 % 함유한다.
이러한 제제화시에 사용되는 고체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점토류 (카올린점토, 벤토나이트, 프바사미클레이, 산성백토 등, 탈크류, 규조토, 합성함수산화규소, 세라믹, 그 밖의 무기광물 (견운모 (sericite), 석영, 유황, 활성탄, 수화실리카 등) 등의 미분말 혹은 입상물 등을 들 수 있고, 액체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물, 알콜류 (메탄올, 에탄올 등), 케톤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방향족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메틸나프탈렌 등), 지방족탄화수소류 (헥산, 시클로헥산, 등유, 경유 등), 에스테르류 (초산에틸, 초산부틸 등), 니트릴류 (아세트니트릴, 이소부틸로니트릴 등), 에테르류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옥산 등), 산아미드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 아세토아미드 등), 할로겐화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등), 디메틸술폭시드, 대두유, 면실유 등의 식물유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황산 에스테르류, 알킬술폰산염, 알킬아릴술폰산염, 알킬아릴에테르류 및 그 폴리옥시에틸렌화물,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류, 다가알콜에스테르류, 당알콜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고착제나 분산제 등의 제제용 보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제인, 젤라틴, 다당류 (전분, 아라비아검, 셀룰로오스유도체, 알긴산 등), 리그닌유도체, 벤토나이트, 당류, 합성수용성고분자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류 등) 등을 들 수 있고, 안정제로서는, 예들 들면 PAP (산성인산이소프로필), BHT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BHA (2-tert-부틸-4-메톡시페놀과 3-tert-부틸-4-메톡시페놀과의 혼합물), 식물유, 광물유, 계면활성제, 지방산 또는 그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유동성제 (수중현탁제 또는 수중유탁제) 의 제제는, 일반적으로 1 ∼ 75 %의 화합물을 0.5 ∼ 15 % 의 분산제, 0.1 ∼ 10 % 의 현탁조제 (예를 들면, 보호콜로이드나 틱소트로피성을 부여하는 화합물), 0 ∼ 10 % 의 적당한 보조제 (예를 들면, 소포제 (消泡劑), 방청제, 안정화제, 전착제, 침투조제, 동결방지제, 방균제 (防菌劑), 방미제 (防黴濟) 등) 를 포함하는 수중에서 미소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물 대신에 화합물이 거의 용해되지 않는 오일을 사용하여 오일 중 현탁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호콜로이드로서는, 예를 들면 젤라틴, 카제인, 검류, 셀룰로오스에테르, 폴리비닐 알콜 등이 사용된다. 틱소토로피성을 부여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합성함수산화규소, 벤토나이트,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등의 무기미분말이나 크산탄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등의 수용성고분자를 들 수 있다.
상기 비료와 피라졸계 식물병해 방제화합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 조성물은,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1. 입상 또는 덩어리상의 비료 (약 50 ∼ 99.9 중량부) 를 유성운동형 (遊星運動型) 혼합기 등의 분쇄요소가 없는 혼합기 중에 넣고,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의 점착제 (약 0.1 ∼ 5 중량부) 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혼합조작과정에서 스프레이한다.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의 점착제의 용액을 비료의 표면상에 균일히 분포시킨 후, 상기 혼합기에 분말상으로 제제된 피라졸계 식물병해 방제화합물 (약 1 ∼ 50 중량 % 의 유효성분을 함유) 을 넣어, 약 10 ∼ 30 분간 경과한 후, 혼합기를 운전하면서, 약 50 부터 150 ℃ 에서 건조함으로써 입상 또는 덩어리상의 본 발명 조성물을 얻는다.
2. 아세톤, 크실렌 등의 용제에 피라졸계 식물병해 방제화합물 (약 0.01 ∼ 20 중량 % 의 유효성분을 함유) 을 용해시킨 액을 유동 코팅장치나 분쇄요소가 없는 혼합기를 사용하여, 입상 또는 덩어리상의 비료에 코팅 또는 함침시킨 후, 바람건조 또는 약 50 ∼ 150 ℃ 에서 가열건조함으로써, 본 발명 조성물을 얻는다.
3. 피라졸계 식물병해 방제화합물 또는 그 수화제 또는 분제 (약 0.01 ∼ 5 중량 % 의 유효성분을 함유) 와 분상의 비료를 혼합한 후, 접시형 조립기 (造粒機) 등의 조립기를 사용하여 조립함으로써 본 발명 조성물을 얻는다.
4. 수중현탁제 또는 수중유탁제로 제제된 피라졸계 식물병해 방제화합물 (약 1 ∼ 75 중량 % 의 유효성분을 함유) 과 액상의 비료를 교반기가 부착된 혼합조에 넣고, 균일해지도록 혼합하여 본 발명 조성물을 얻는다.
한편 본 발명 조성물이 입상 또는 덩어리상인 경우, 그 입경은, 취급의 면에서 약 1 ∼ 1O mm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 비료함유량은, 통상 99.999 ∼ 약 75 중량 %, 바람직하게는 99.999 ∼ 약 95 중량% 이고, 또한, 피라졸계 식물병해 방제화합물의 함유량은, 유효성분량으로서, 통상 약 25 ∼ 0.001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 ∼ 0.01 중량% 이다.
이렇게하여 제조된 본 발명 조성물을, 모종의 이식때 또는 벼의 파종시에 논에 측조시용함으로써, 벼농사기간 전반에 걸쳐 균핵병의 피해를 방제할 수 있고, 종래의 방제방법과 비교하여, 대폭으로 절력화를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다 확실한 방제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고, 게다가 시비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방제가능한 균핵병의 예를 표 1 에 나타낸다.
병 명 병 원 균 명
문고병 (紋枯病)갈색문고병 (褐色紋枯病)갈색균핵병 (褐色菌核病)적색균핵병 (赤色菌核病)갈색소립균핵병소구균핵병소흑균핵병구상균핵병회색균핵병흑립균핵병 타나토포러스 큐큐메리스 (Thanatephorus cucumeris)(Rhizoctonia solani)타나토포러스 큐큐메리스 (Thanatephorus cucumeris)(Rhizoctonia solani)세라토바시듐 세타리아에 (Ceratobasidium setariae)와이테아 시르시나타 (Waitea circinata)와이테아 시르시나타 (Waitea circinata)마그나포르테 살비니이 (Magnaporthe salvinii)마그나포르테 살비니이 (Magnaporthe salvinii)스클레로튬 히드로필룸 (Sclerotium hydrophilum)스클레로튬 푸미가툼 (Sclerotium fumigatum)헬리코세라스 오리자에 (Helicoceras oryzae)
본 발명 조성물은, 모종의 이식때 또는 벼의 파종시에 논에 측조시용된다. 여기서 말하는 측조시용이란, 일반적으로 「측조시용 (側條施用)」이라 불리는 시비방법과 같은 방법이며, 본 발명 조성물은 토양의 하층부에 측조로서 시용된다. 그 일례로서는, 열 (列) 모양으로 이식되는 벼의 밑동과 밑동 또는 열모양으로 파종되는 벼와 벼를 맺어 이어 얻어지는 선에 거의 평행하고, 또한 그 선보다 수평방향으로 약 2 ∼ 15 cm 떨어진 선상의 깊이 3 ∼ 15 cm 의 논토양중에 본 발명 조성물을 시용하는 방법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시용량 (施用量), 시용농도는, 기상조건 등에 의해 변할 수 있지만, 통상, 본 발명 조성물의 시용량으로서는, 비료의 양, 약 1 ∼ 20000 g/a, 바람직하게는 약 10 ∼ 2000 g/a, 유효성분인 피라졸계 식물병해 방제화합물의 양으로 약 0.1 ∼ 100 g/a, 바람직하게는 약 0.5 ∼ 10 g/a 이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다른 식물병해방제제, 살충제, 진드기살충제, 살선충제 (殺線蟲劑), 제초제, 식물생장조절제, 비료 및 토양개량제로 이루어지는 1 종 이상과 혼합하여 시용하거나, 또는 동시에 시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시험예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입상비료 (스미또모화학공업 주식회사제, N-P2O5-K2O = 6%-20%-20%, 입도 1.4 mm ∼ 2.6 mm) 999.11 부를 분쇄요소가 없는 혼합기중에 넣고, 화합물 A 를 0.89 부 포함하는 아세톤액 50 부를, 혼합기를 회전시키면서 입상비료에 함침시킨 후, 바람건조에 의해 아세톤을 제거함으로써, 농약함유 비료조성물 (농약유효성분량: 0.089 중량 %) 을 얻는다.
시험예 1
제조예 1 에 의해서 제조된 농약함유 비료조성물 75 부와 우레탄수지 피복요소 25 부 (스미또모화학공업 주식회사제 : N 성분량 40 %, 입도 1.4 ∼ 2.6 mm) 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도 (품종 : 일본청) 의 모종을 논에 이식할 때, 측조시비 모내기기를 사용하여 벼그루의 가로 3 cm, 깊이 5 cm 의 논토양에 줄기모양으로, 6 kg/a (농약유효성분량으로서 4 g/a, N 성분량으로서 840 g/a, P 성분량으로서 840 g/a, K 성분량으로서 840 g/a) 상당의 상기 혼합물을 처리하였다. 또한, 수지피복요소는, 25 ℃ 의 수중에서 질소성분의 80 % 가 용출하는 기간이 20 일, 100일, 140 일의 것을 각 20 부 : 40 부 : 40 부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 대조구에는, 상기 농약함유 비료조성물 75 부와 우레탄수지 피복요소 25 부의 혼합물의 대신에, 농약을 함유하지 않는 비료조성물 75부와 우레탄수지피복요소 25 부의 혼합물 6 kg/a (N 성분량으로서 840 g/a, P 성분량으로서 840 g/a, K 성분량으로서 840 g/a) 상당을, 상기와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이식후 32 일째에, 포장면적 (圃場面積) 12 ㎡ 당 10 g 의 문고병균의 균핵을 벼의 밑동에 접종하여, 이식후 60, 80, 93 일째에 시험구내의 100 그루에 관하여 문고병의 피해도를 조사하였다. 피해도는 피해주의 최고병반고 (mm) 와 풀길이 (mm) 를 측정하여, 하시바식 (羽柴式) 피해도조사법(하시바, 일본 식물병리학회보 제 51 권, 제 252 - 254 페이지, 1984 년) 에 따라서, 다음식으로 구하였다.
피해도 = 1.62 × ((최고병반고/풀길이)× 100 - 20)
단, 피해도의 계산치가 0 이하인 경우는 0 으로 하고, 100 이상의 경우는 100 으로 한다.
시험은 1 구 163 ㎡ 의 2 개소로 하여,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 조성물로 처리된 구에서는, 모종이식 93 일경과후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비교하여, 문고병의 현저한 억제가 확인되었다.
이식후 일수 본 발명 조성물 처리구 대조구
608093 02.64.1 0.550.753.1
본 발명 조성물을, 모종의 이식때 또는 벼의 파종시에 논에 측조시용함으로써, 벼농사기간 전반에 걸쳐 균핵병의 피해를 방제할 수 있고, 종래의 방제방법과 비교하여, 대폭으로 절력화를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더욱 확실한 방제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고, 게다가 시비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Claims (6)

  1. 농약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화학식 1]
    (식중, R1은 메틸기, 에틸기 또는 트리플오로메틸기를 나타내며, R2는 메틸기, 할로겐원자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내며, R3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피라졸계 식물병해 방제화합물과 비료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병해 방제용 농약함유 비료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피라졸계 식물병해 방제화합물이, R1이 메틸기이고, R2가 염소원자이고, R3가 메틸기인 화합물인 농약함유 비료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도병해가 균핵병인 농약함유 비료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수도병해 방제용 농약함유 비료조성물을 모종의 이식때 또는 벼의 파종시에 논에 측조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병해 방제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수도병해가 균핵병인 방제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수도병해가 문고병, 갈색균핵병, 적색균핵병 및 갈색문고병의 1 종 이상인 방제방법.
KR1019980010136A 1997-04-09 1998-03-24 수도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하는 방제방법 KR199800806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90773 1997-04-09
JP9077397 1997-04-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605A true KR19980080605A (ko) 1998-11-25

Family

ID=6586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136A KR19980080605A (ko) 1997-04-09 1998-03-24 수도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하는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806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6203B2 (ja) イネの病害防除方法
CN112204000A (zh) 新型作物营养与强化组合物
JPWO2010119791A1 (ja) 除草農薬含有粒状肥料
JPH10120513A (ja) 種籾を処理する組成物
CN111868012A (zh) 硝化抑制剂的延迟释放配制剂
CN104363759A (zh) 作物增强
JPH08245314A (ja) 水田における半翅目害虫の防除方法
JP2000313686A (ja) 水稲用殺菌剤含有肥料組成物
JP5128087B2 (ja) 混合粒状農薬組成物
KR19980080605A (ko) 수도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하는 방제방법
JP2005120109A (ja) 水田における半翅目害虫の防除方法
KR101380775B1 (ko) 혼합 입상 농약 조성물
JP6893450B2 (ja) 徐放性農薬粒状組成物
JPH01157492A (ja) 安定な粒状農薬肥料
JPH10338604A (ja) 水稲病害防除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る防除方法
JP2000095613A (ja) 水稲病害防除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る防除方法
JPS5828841B2 (ja) 水面施用用農薬粒剤
JPH1025202A (ja) 稲病害虫の防除方法
HU197171B (en) Composition of improved residual herbicide activity
JPH10338589A (ja) 水稲病害防除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る防除方法
JP3475504B2 (ja) 園芸用培土
JP2007153911A (ja) 水田における半翅目害虫の防除方法
JP2000095610A (ja) 水稲病害防除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る防除方法
JP2000095614A (ja) 水稲病害防除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る防除方法
KR19980081244A (ko) 벼 병해 방제용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벼 병해 방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