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950A -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9950A
KR19980079950A KR1019980007368A KR19980007368A KR19980079950A KR 19980079950 A KR19980079950 A KR 19980079950A KR 1019980007368 A KR1019980007368 A KR 1019980007368A KR 19980007368 A KR19980007368 A KR 19980007368A KR 19980079950 A KR19980079950 A KR 19980079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stations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지로 이시즈까
마사또시 고제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브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브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브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79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95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기지국은 각 이동국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그 거리를 송신하고, 제어국은 다수의 기지국과 각 이동국 사이의 거리에 기초해서 각 이동국의 위치를 측정한다. 제어국은, 특정의 다수 이동국에 대해 동일한 식별코드를 미리 기억하고 있으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하나에 의해 지정된 거리범위 내에 동일한 식별코드를 갖는 다른 이동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사한 후, 그 탐색결과를 기지국을 거쳐서 상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하나에 통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장치
본 발명은 코드분할 다원접속(CDMA) 방식에 있어서의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에 적합하게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은 하나의 이동단말장치와 다수의 기지국으로 이루어져서, 소위 광역 통신시스템을 구성한다. 이동단말장치는 다수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행함으로써, 기지국에 접속된 유선회선이나 무선회선을 경유하여, 음성 등의 형태로 공중전화나 다른 이동전화와 통신을 행하게 된다.
다수의 기지국은 소정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파를 송수신하고, 이동단말장치로부터의 발호와 이동단말장치로의 착호 사이에서 중개한다. 또한, 기지국은 이동단말장치가 그 기지국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자신의 식별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며, 또한 인접 기지국의 식별신호인 인접국 신호도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따라서, 이동단말장치는, 이동하는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그 기지국의 식별신호와 함께 인접국 신호를 수신한다. 이동단말장치가 기지국의 서비스영역에서 벗어남에 따라 전파 수신감도가 저하되므로, 이동단말장치는 핸드오프(hand-off)를 대비해서, 인접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인접 기지국의 전파 수신감도를 조사한다. 그 결과, 인접 기지국의 전파가 수신할 정도로 충분히 강하게 되면, 이동단말장치는 인접 기지국 쪽으로 핸드오프를 행하여서, 이동하면서도 계속 통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성을 갖춘 이동단말장치는, 이동하면서 다수의 기지국 사이에서 핸드오프를 수행하게 되면, 고속으로 이동하면서도 통화를 계속할 수 있다. 인공위성에서 발사된 전파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얻는 네비게이션 방식 중 하나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그때 이동단말장치의 절대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써 이용된다. 이 경우, GPS와 이동단말장치를 결합하면, 이동단말장치의 절대위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안테나와 수신기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므로, 시스템의 전체 크기가 커지고 휴대성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퍼스널 핸디폰 시스템(PHS)이라 불리는 간이형 이동전화 시스템의 경우는, 이동전화 시스템의 서비스영역이 약 1.5km 내지 수 킬로미터인 것에 비해서 약 100m 내지 300m정도의 좁은 서비스영역을 가지므로, 만일 PHS기지국 측에서 이동단말장치와 통신하고 있는 PHS기지국의 위치정보를 통지하면, 이동단말장치 측은, 그것이 어느 PHS기지국과 접속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그 이동단말장치가 PHS기지국의 좁은 서비스영역 내에 머물러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기는 하지만, 그러한 인식은 약 100m 내지 300m의 오차를 갖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동단말장치는, 다수의 이동단말장치 사이에서 문자정보 등의 송신 및 문자정보를 수신한 측으로부터의 응답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는 리얼타임 페이징(real-time paging) 기능을 갖추고 있지 못하여, 쌍방향 통신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단말장치의 현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기지국의 섹터 내에 있는 이동단말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전파의 송신시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이동단말장치의 절대위치 측정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이동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기지국과 통괄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단말장치, 기지국 및 통괄기지국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지정거리의 반경을 갖는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이동단말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단말장치의 절대위치정보를 통지하는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10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파의 송신시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BS1∼BS7. 기지국 MS1,MS2,MS3. 이동단말장치
TBS. 통괄기지국 C1∼C7. 셀
21. 송수신기 22. 회선제어부
23. 송수신회로 24. 안테나
25. 키보드 26. 표시부
27. 기억회로 31. 안테나
32. 송수신회로 33. 회선제어부
34. 지상회선 인터페이스 35. 거리측정회로
40. 측위회로 41. 제어회로
42. 기억회로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그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서로 동기화된 다수의 기지국과, 상기 다수 기지국의 통괄관리를 행하기 위한 제어국과, 다수의 이동국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다수 기지국의 각각은 다수 이동국의 각각과 통신함으로써 얻어지는 신호송신속도와 신호송신시간에 기초해서 기지국과 각 다수 이동국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수단을 갖추어 구성되며, 상기 제어국은,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얻어지는 각 기지국과 각 이동국 사이의 거리에 기초해서 각 이동국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수단과, 다수의 이동국 중에서 특정의 다수 이동국에 대해 동일한 식별코드를 기억시키는 기억수단과, 상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하나에 의해 지정된 거리범위 내에 동일한 식별코드를 갖는 다른 이동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그 탐색결과를 기지국을 거쳐서 상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하나에 통지하는 통지수단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이동국은 상기 탐색결과에 기초해서, 동일한 식별코드를 갖는 다른 이동국의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에 의해 지정된 거리범위 내에 동일한 식별코드를 갖는 다른 이동국이 존재하는 경우에, 통지수단은 다른 이동국의 전화번호를 탐색결과로써 통지하고, 따라서 사용자는 그 전화번호의 소유자가 지정된 거리범위 내에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통지수단은, 이동국으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해서, 그 이동국의 절대위치를 동일한 식별코드를 갖는 다른 이동국에 통지함으로써, 그 이동국의 절대위치를 다른 이동국에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 및 문자로 표시되는 첨부도면과 함께 읽는다면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특성, 원리 및 유용성은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에서, 도면부호(1)는 본 발명에 따른 CDMA방식의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며, 다수의 기지국(BS1∼BS7)과, 이동단말장치(MS1) 및 통괄기지국(TBS)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시스템(1)에 있어서, 다수의 기지국(BS1∼BS7)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배치되며, 이동통신 영역은 각 기지국(BS1∼BS7)의 셀(서비스영역)(C1∼C7)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며, 따라서 해당 영역 내에 존재하는 이동단말장치(MS1)와 광역통신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단말장치(MS1)가 각 기지국(BS1∼BS7)의 셀(C1∼C7) 내에 있다면 이동단말장치(MS1)는 핸드오버(hand over)될 수 있기 때문에, 전파의 수신상태가 [권외]로 되지 않으며, 따라서 항시 이동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통괄기지국(TBS)은 교환센터의 기능을 하며, 다수의 기지국(BS1∼BS7)의 통괄관리를 행하며, 또한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정보를 기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1)에 있어서, 이동단말장치(MS1)는 자국의 현재위치 정보를 통괄기지국(TBS)으로부터 기지국(BS1)이나 기지국(BS2)을 거쳐 얻을 수 있다. 사실상, 기지국(BS1, BS2)은 이들 기지국에서부터 이동단말장치(MS1)까지의 각 거리(r1, r2)를 측정하고, 그 거리정보(r1, r2)를 통괄기지국(TBS)으로 보낸다. 통괄기지국(TBS)은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를 특정하고, 그 절대위치정보를 이동단말장치(MS1)에 통지한다.
이하에는, 기지국(BS1, BS2)으로부터 이동단말장치(MS1)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각 기지국(BS1∼BS7)은 GPS에 의해 서로 동기로 되며, 그들의 서비스영역은 반경이 약 1.5km이며, 각각 120°의 3개 섹터로 분할된다. 예를들어, 도 2는, 이동단말장치(MS1)가 기지국(BS1)의 SECT2와 기지국(BS2)의 SECT3의 서비스영역 내에 머물러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기지국(BS1)에서 이동단말장치(MS1)까지의 거리(r1)는, 기지국(BS1)→이동단말장치(MS1)→기지국(BS1)의 순서로 송신되는 버스트(burst)신호의 송신시간 및 송신속도에 기초해서 산출된다.
즉, 도 3에서,
TAA: 기지국(BS1)이 버스트신호를 이동단말장치(MS1)로 송신하는 때부터 기지국(BS1)이 이동단말장치(MS1)로부터의 응답 버스트신호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
TAK: 기지국(BS1)이 버스트신호를 송신할때부터 이동단말장치(MS1)가 버스트신호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
TKK: 이동단말장치(MS1)에서 요구되는 처리시간 및 타이밍 동기를 위한 시간
TKA: 이동단말장치(MS1)가 버스트신호를 송신하는 때부터 기지국(BS1)이 그 버스트신호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이라고 가정하면, 시간(TAA)은 다음의 수학식 1로 표시된다.
이 경우, TAK= TKA이며, 이것은, 이동단말장치(MS1)가 기지국(BS1)으로부터 송신된 버스트신호를 수신하기까지 경과된 송신시간(TAK)이, 이동단말장치(MS1)가 버스트신호를 송신하는 시점과 기지국(BS1)이 버스트신호를 수신하는 시점과의 사이에 경과된 송신시간(TKA)과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학식 1은 다음의 수학식 2로 변형될 수 있다.
더욱이, 수학식 2는 다음의 수학식 3으로 표시할 수 있다.
수학식 3에서, 시간(TKK)은 이미 알려져 있으며(상수이며), 시간(TAA)은 기지국(BS1)에 의해 측정되며, 따라서 기지국(BS1)은 수학식 3에 기초해서 송신시간(TAK)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TAB: 기지국(BS1)이 버스트신호를 송신하는 때부터 기지국(BS2)이 그 버스트신호를 수신하는 때까지의 시간
TXAK: 기지국(BS2)이 기지국(BS1)으로부터 송신된 버스트신호를 수신하는 때부터 기지국(BS2)이 이동단말장치(MS1)로부터 송신된 버스트신호를 수신하는 때까지의 시간
TKB: 이동단말장치(MS1)가 버스트신호를 송신하는 때부터 기지국(BS2)이 버스트신호를 수신하는 때까지의 시간이라고 가정할 때, 다음의 수학식 4가 세워진다.
더욱이, 수학식 4는 다음의 수학식 5로 변형될 수 있다.
수학식 5에서, 시간(TAB, TKK)은 이미 알려져 있으며(상수이며), 시간(TAK)은 기지국(BS1)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더욱이, 시간(TXAK)은 기지국(BS2)에 의해 측정된다. 그러므로, 기지국(BS2)은 수학식 5에 기초해서, 이동단말장치(MS1)까지 송신하는데 필요한 송신시간(TKB)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BS1)과 기지국(BS2)에서의 송신시간(TAK, TKB)을 계산함으로써, 기지국(BS1, BS2)에서부터 이동단말장치(MS1)까지의 거리를 각각 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버스트신호의 송신속도와 송신시간을 각각 V 및 TAK라고 가정하면, 기지국(BS1)에서 이동단말장치(MS1)까지의 거리(r1)는 다음의 수학식 6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V=3×108[m], TAK=3[μs]라고 가정하면, 수학식 6에서 거리(r1)는 900[m]가 된다. 또한, 버스트신호의 송신속도와 송신시간을 각각 V 및 TKB라고 가정하면, 기지국(BS2)에서 이동단말장치(MS1)까지의 거리(r2)는 다음의 수학식 7로 표현된다.
여기서, V=3×108[m]이고 시간 TKB=2[μs]라고 가정하면, 수학식 7에서 거리(r2)는 600[m]가 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통신시스템(1)에서, 기지국(BS1)에서 이동단말장치(MS1)까지의 거리(r1)와 기지국(BS2)에서 이동단말장치(MS1)까지의 거리(r2)는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두 거리가 산출되면, 통괄기지국(TBS)은 기지국(BS1)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r1) 900[m]의 원을 그리고 기지국(BS2)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r2) 600[m]의 원을 그리고, 그 결과의 교점을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로 특정한다. 이때, 반경(r1)과 반경(r2)의 두 원에 의해 두 개의 교점을 얻는다. 그러나, 도 4에서는, 기지국(BS1)의 SECT2와 기지국(BS2)의 SECT3의 서비스영역에 존재하는 교점이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로써 특정된다. 각 기지국의 섹터의 수를 증가시키면, 두 개의 교점이 동일한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게 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이동단말장치(MS1)의 회로구성을 나타낸다. 송신시에, 이동단말장치(MS1)는 송수신기(21)에 의해 얻어지는 음성신호를, 회선제어부(22)를 거쳐 송수신회로(23)에 공급하고, 그 음성신호를 안테나(24)를 거쳐 기지국(BS1)에 상승의 송신신호로써 공급한다. 또한, 수신시에, 이동단말장치(MS1)는, 기지국(BS1)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하강의 송신신호를 안테나(24)를 거쳐 수신하고, 상대방으로부터 송신받아서 송수신회로(23)에 의해 취출되는 음성신호를, 회선제어부(22)를 거쳐 송수신기(21)로 공급한다.
또한, 이동단말장치(MS1)는 입력수단으로써의 키보드(25)와,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부(26)와, 메모리를 갖추어 구성되는 기억회로(27)와를 갖추어 구성되며, 상기 키보드(25)는 발호할 때와 다른 이동단말장치(MS2, MS3)에 일괄로 통지할때 이용되는 통지버튼(도시생략됨)을 갖춘 다이얼키 등으로 구성되며, 표시부(26)는 문자 및/또는 도표로 절대위치정보를 표시하며, 기억회로(27)는 전화번호 등의 사용자 정보와, 절대위치정보를 특정하기 위한 주소정보와 지도정보, 통괄기지국(TBS)에 등록할 때 이용되는 그룹ID 등을 기억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기지국(BS1)과 통괄기지국(TBS)의 회로구성을 나타낸다. 이와 관련해서, 기지국(BS2∼BS7)은 기지국(BS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생략한다. 기지국(BS1)은 이동단말장치(MS1)으로부터 송신된 상승의 송신신호를 안테나(31)를 거쳐 수신하고, 송수신회로(32)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취출하고, 그것을 회선제어부(33)를 거쳐 지상회선 인터페이스(34)로 공급한다. 지상회선 인터페이스(34)는 음성신호를 소정의 방식으로 통괄기지국(TBS)으로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BS1)은, 통괄기지국(TBS)으로부터 지상회선 인터페이스(34)와 회선제어부(33)를 거쳐서 입력된 통화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송수신회로(32)에 공급하고, 그것을 하강의 송신신호로써 안테나(31)를 거쳐 이동단말장치(MS1)로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BS1)은, 거리산출수단으로써의 거리측정회로(35)를 갖추어 구성되어서, 이동단말장치(MS1)와 기지국(BS1)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버스트신호의 송신속도(V)와 송신시간(TAK)에 기초해서, 기지국(BS1)에서 이동단말장치(MS1)까지의 거리(r1)를 산출하고, 그것을 통괄기지국(TBS)으로 보낸다.
통괄기지국(TBS)이 기지국(BS2∼BS7) 중 2개 이상의 기지국에서 이동단말장치(MS1)까지의 거리정보(r1, r2)를 수신하게 되면, 통괄기지국(TBS)은, 위치측정수단으로써 기능하는 측위(測位)회로(40)를 이용하여 거리정보에 기초해서 그려지는 2개 원의 교점을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로써 특정하고, 그것을 제어회로(41)를 거쳐서 기억회로(42)에 기억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괄기지국(TBS)은, 각 기지국(BS2∼BS7)의 셀 내에 존재하는 모든 이동단말장치(MS1∼MS3)의 절대위치정보를 기억회로(42)에 유지할 수 있다.
사실상,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지국(BS1, BS2)은, 각 거리측정회로(35)를 이용하여, 그들 기지국에서 그들 셀(C1, C2) 내에 존재하는 이동단말장치(MS1)까지의 각 거리(r1, r2)를 산출하고, 그후 그 결과를 통괄기지국(TBS)으로 송신한다. 통괄기지국(TBS)은, 기지국(BS1, BS2)에서 이동단말장치(MS1)까지의 각 거리(r1, r2)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곧바로 측위회로(40)에 의해 거리(r1, r2)에 기초하여 그려지는 두 원의 교점을 산출하여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를 특정하고, 그것을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며 기억수단으로써 이용되는 기억회로(42)에 기억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괄기지국(TBS)은 다른 이동단말장치(MS2, MS3)에 대한 절대위치정보도 기억한다.
여기서, 이동단말장치(MS1)는 기지국(BS1, BS2)을 거쳐서 통괄기지국(TBS)에 대해 그룹ID를 등록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통괄기지국(TBS)은 이동단말장치(MS1)의 그룹ID를 등록하고, 그것을 예를들어 기억회로(42) 내에 기억시킨다. 이 경우, 그룹ID는 이동단말장치(MS1)의 회계정보(accounting information)에 부가되고, 회계정보의 최대 비트길이의 범위 내에서 최초의 수비트에 할당된다. 그 원 내에 속한 다른 이동단말장치(MS2, MS3)에 대해서는, 이동단말장치(MS1)와 공통인 그룹ID를 통괄기지국(TBS)에 등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특정 원 내에 속한 이동단말장치(MS1∼MS3)의 모든 단말장치는 공통의 그룹ID를 가지며, 통괄기지국(TBS) 내에 등록된다. 한편, 그룹ID가 불필요하게 될 경우, 통괄기지국(TBS)에 대해 등록을 취소시키도록 요구함으로써, 등록이 즉시로 취소될 수 있으며, 그룹ID는 등록된 동안에만 이동단말장치(MS1∼MS3) 사이에서 이용될 수 있다.
사실상,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단말장치(MS1)는 자신의 절대위위치에 대한 정보를 통괄기지국(TBS)으로부터 기지국(BS1)을 거쳐서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그룹ID를 갖는 다른 이동국(MS2, MS3)이 기지국(BS1)의 셀(C1)의 범위 내에, 예를들어 기지국(BS1)으로부터 반경 500[m]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탐색요구를 기지국(BS1)을 거쳐 통괄기지국(TBS)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통괄기지국(TBS)은 당연히 다른 이동단말장치(MS2, MS3)에 대한 절대위치정보을 보유하기 때문에, 통괄기지국(TBS)은, 제어회로(41)를 이용하여 이동단말장치(MS2, MS3)가 이동단말장치(MS1)와 동일한 그룹ID를 갖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그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즉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장치(MS1)와 동일한 그룹ID를 갖는 이동단말장치(MS2, MS3)가 기지국(BS1)의 반경 500[m]의 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판별된 경우에, 통괄기지국(TBS)은 기억회로(42)에서 이동단말장치(MS2, MS3)의 전화번호를 취출하고, 통지수단으로써 기능하는 제어회로(41)를 이용하여 기지국(BS1)을 거쳐 이동단말장치(MS1)의 표시부(26)에 상기 전화번호를 통지하며, 만일 존재하지 않는다면, 통괄기지국(TBS)은 메시지로써 부재를 통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이동단말장치(MS1)의 표시부(26)를 확인함으로써, 다른 이동단말장치(MS2, MS3)가 지정된 거리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는, 도 9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해서, 통신시스템(1)에서, 이동단말장치(MS1)가 통괄기지국(TBS)으로부터 기지국(BS1)을 거쳐서, 지정된 거리범위 내에 다른 이동단말장치(MS2, MS3)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통지받을 때까지의 처리순서를 설명한다.
즉, 통신시스템(1)에 있어서, 처리순서는 스텝(RT1)에서 시작해서 스텝(SP1)으로 진행한다. 스텝(SP1)에서, 기지국(BS1, BS2)은 자신의 셀 내에 존재하는 이동단말장치(MS1)와 그들 사이의 거리(r1, r2)를 각각 산출한 후, 스텝(SP2)으로 진행한다. 스텝(SP2)에서, 기지국(BS1, BS2)은 결과의 거리정보(r1, r2)를 통괄기지국(TBS)으로 보낸 후에, 스텝(SP3)으로 진행한다.
스텝(SP3)에서, 통괄기지국(TBS)은, 하나의 이동단말장치(MS1)에 대해 적어도 2종류의 거리정보를 (2개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받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만일 부정의 결과를 얻었다면, 그것은 하나의 이동단말장치(MS1)에 대해 두 종류 이상의 거리정보가 수신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가 특정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통괄기지국(TBS)은 스텝(SP3)으로 되돌아가서 2종류 이상의 거리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기다린다. 반면, 스텝(SP3)에서 긍정의 결과를 얻었다면, 그것은 하나의 이동단말장치(MS1)에 대해 적어도 2종류 이상의 거리정보를 수신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통괄기지국(TBS)은 스텝(SP4)으로 진행한다.
스텝(SP4)에서, 하나의 이동단말장치(MS1)에 대한 2종류 이상의 거리정보(r1, r2)에 기초해서, 통괄기지국(TBS)은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를 특정하여 기억한다. 스텝(SP5)에서, 통괄기지국(TBS)은, 기지국(BS1)이나 기지국(BS2)을 거쳐서, 이동단말장치(MS1)로부터 절대위치정보를 통지하도록 하는 통지요구를 받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부정의 결과를 얻었다면, 그것은 통괄기지국(TBS)이 이동단말장치(MS1)로부터 통지요구를 받지 않았음을 의미하므로, 통신시스템(1)은 스텝(SP6)으로 진행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반면, 스텝(SP5)에서 긍정의 결과를 얻었다면, 그것은 통괄기지국(TBS)이 기지국(BS1 또는 BS2)(이 경우 기지국(BS1)임)을 거쳐서 이동단말장치(MS1)로부터 통지요구를 받았음을 의미하므로, 처리순서는 스텝(SP7)으로 진행한다.
스텝(SP7)에서, 통괄기지국(TBS)은, 기지국(BS1)을 거쳐서 이동단말장치(MS1)의 표시부(26)에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정보를 통지하고, 그후 스텝(SP8)으로 진행한다. 스텝(SP8)에서, 통괄기지국(TBS)은, 동일한 그룹ID를 갖는 다른 이동단말장치(MS2, MS3)가 기지국(BS1)을 중심으로 하여 지정된 반경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도록 하는 탐색요구를 받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만일, 부정의 결과를 얻었다면, 그것은 통괄기지국(TBS)이 이동단말장치(MS1)로부터 탐색요구를 받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통신시스템(1)은 스텝(SP6)으로 진행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반면, 스텝(SP8)에서 긍정의 결과를 얻었다면, 그것은 이동단말장치(MS1)로부터 탐색요구를 받았음을 의미하므로, 스텝(SP9)으로 진행한다.
스텝(SP9)에서, 통괄기지국(TBS)은 지정된 거리의 반경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른 이동단말장치 모두의 그룹ID를 체크하고, 만일 동일한 그룹ID를 갖는 다른 이동단말장치(MS2, MS3)가 존재한다고 판별되면, 통괄기지국(TBS)은, 이동단말장치(MS1)의 표시부(26)에 이동단말장치(MS2, MS3)의 전화번호를 표시하고, 스텝(SP10)으로 진행하여 처리절차를 종료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통신시스템(1)에서, 기지국(BS1, BS2)은 버스트신호의 송신속도(V)와 송신시간(TAK또는 TKB)에 기초해서 자신의 셀(C1, C2) 내에 존재하는 이동단말장치(MS1)와 자신과의 거리정보(r1, r2)를 각각 산출하고, 그것을 통괄기지국(TBS)으로 송신하고, 그후, 통괄기지국(TBS)의 측위회로(40)는 거리정보에 기초해서 두 개의 원을 그리고, 두 개 원의 교점을 산출하여,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통괄기지국(TBS)은 이동단말장치(MS1)의 특정된 절대위치정보를 기억할 뿐만 아니라, 다른 이동단말장치(MS2, MS3)의 절대위치정보도 기억하므로, 통괄기지국(TBS)은 항상 이동단말장치(MS1, MS3)의 절대위치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통신시스템(1)에 있어서, 통괄기지국(TBS)이 자국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정보를 통지하도록 하는 통지요구를 이동단말장치(MS1)로부터 받을 경우, 통괄기지국(TBS)은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정보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통괄기지국(TBS)은, 절대위치를 기지국(BS1)을 거쳐서 이동단말장치(MS1)에, 주소 등을 표시하는 문자정보의 형태로 통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이동단말장치(MS1)를 소지한 사용자는 자신이 있는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통신시스템(1)에 있어서, 이동단말장치(MS1∼MS3)가 동일한 그룹ID로 등록되므로,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에 의해 운반되는 이동단말장치(MS1)와 다른 이동단말장치(MS2, MS3) 사이의 위치관계를 알 수 있다. 즉, 통신시스템(1)에 있어서, 이동단말장치(MS1)를 소지한 사용자는,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이동단말장치(MS2, MS3)가 기지국(BS1)의 반경 500m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도록 하는 탐색요구를, 기지국(BS1)을 거쳐서 통괄기지국(TBS)에 보낸다.
통괄기지국(TBS)은 기지국(BS1)의 반경 500m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모든 이동단말장치의 절대위치정보를 당연히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통괄기지국(TBS)은, 어떤 이동단말장치가 이동단말장치(MS1)와 동일한 그룹ID를 갖는지를 체크하고, 이동단말장치(MS2, MS3)가 동일한 그룹ID를 가질 경우에는, 이동단말장치(MS2, MS3)의 전화번호를 이동단말장치(MS1)의 표시부(26)에 통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단말장치(MS1)의 표시부(26)에 주어진 전화번호를 확인함으로써, 다른 이동단말장치(MS2, MS3)를 소지한 사람이 기지국(BS1)의 반경 500m 범위 내의 어딘가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통신시스템(1)에 있어서, 서로 동기화된 각 기지국(BS1∼BS7)과 각 이동단말장치(MS1∼MS3) 사이의 각 거리는 버스트신호의 송신속도(V)와 송신시간(TAK또는 TKB)에 기초해서 산출되며, 통괄기지국(TBS)은 각 이동단말장치(MS1∼MS3)의 절대위치정보를 특정하여 기억한다. 따라서, 이동단말장치(MS1∼MS3)는 어느 때에라도 기지국(BS1∼BS7)을 거쳐서 통괄기지국(TBS)으로부터 절대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통신시스템은 GPS와 결합된 측위시스템과 비교할때 그 크기가 크지 않으며, 따라서 휴대전화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의 특징을 잃지 않는다.
또한, 위치측정정보가 절대위치에 대해 약 100m∼300m의 오차를 갖게 되는 간이형 이동전화시스템에 비해서, 통신시스템(1)은 이동단말장치(MS1)와 통신할 수 있는 기지국(BS1)을 중심으로 하여 지정된 거리의 반경을 갖는 원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른 이동단말장치(MS2, MS3)를 탐색할 수 있으며, 따라서 통신시스템(1)은, 지정거리를 좁히기만 하며, 오차가 적은 고정밀의 위치측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통괄기지국(TBS)은 각 기지국(BS1, BS2)과 이동단말장치(MS1) 사이의 각 거리정보에 기초해서 절대위치정보를 특정하여 기억하기 때문에, 통신시스템(1)은 이동단말장치(MS1)로부터 보내진 통지요구에 대응해서, 정확한 위치정보를 이동단말장치(MS1)에 즉시로 통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통신시스템(1)의 경우, 기지국(BS1)과 이동단말장치(MS1)사이의 거리가, 기지국(BS1)의 거리측정회로(35)에 의해 산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단말장치(MS1)가 거리측정회로(35)와 측위회로(40)를 갖추어 구성되어서, 이 거리측정회로(35)와 측위회로(40)가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정보를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기지국(BS1)을 거쳐서 통괄기지국(TBS)에 송신하여, 그것을 통괄기지국(TBS)에 기억시킬 수도 있다. 즉, 도 10에서,
TMM: 이동단말장치(MS1)가 버스트신호를 기지국(BS1)에 송신한때부터, 이동단말장치(MS1)가 기지국(BS1)으로부터 응답의 버스트신호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
TML: 이동단말장치(MS1)가 버스트신호를 송신한때부터, 기지국(BS1)이 버스트신호를 수신한때까지의 시간
TLL: 기지국(BS1)의 처리시간
TLM: 기지국(BS1)이 버스트신호를 송신한 때부터, 이동단말장치(MS1)가 버스트신호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이라고 가정하면,
시간(TMM)은 다음의 수학식 8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TML=TLM이며, 이것은 송신시간(TML)이 송신시간(TLM)과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학식 8은 다음의 수학식 9로 변형될 수 있다.
더욱이, 수학식 9는 다음의 수학식 10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0에서, 시간(TMM)은 상수이며, 시간(TLL)은 기지국(BS1)에 의해 측정되며, 따라서 이동단말장치(MS1)는 수학식 10에 기초해서 송신시간(TML)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버스트신호의 송신속도와 송신시간을 각각 V 및 TML라고 가정하면, 이동단말장치(MS1)와 기지국(BS1) 사이의 거리(R1)는 다음의 수학식 11로 표시된다.
이동단말장치(MS1)과 기지국(BS2) 사이의 거리(R2)는 동일한 방식으로 산출되며, 두 개의 거리(R1, R2)를 반경으로 하여 그린 두 원의 교점이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로써 특정된다.
즉, 통신시스템(1)은, 이동단말장치(MS1) 자체에 의해 측정된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정보를, 기지국(BS1)을 거쳐서 통괄기지국(TBS)에 송신하여, 그것을 통괄기지국(TBS)에 기억시킨다. 그에 의해, 통괄기지국(TBS)은,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정보 뿐만 아니라, 서비스영역 내에 존재하는 모든 이동단말장치의 절대위치정보도 항상 보유할 수 있다. 따라서, 통괄기지국(TBS)은, 이동단말장치(MS1)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해서, 지정된 거리의 반경을 갖는 원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른 이동단말장치에 대한 존재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자국의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정보를 일괄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 통괄기지국(TBS)은, 동일한 그룹ID를 갖는 다른 이동단말장치(MS2, MS3)가 기지국(BS1)(또는 BS2)을 중심으로하여 지정된 거리의 반경을 갖는 원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그 탐색결과를 이동단말장치(MS1)에 통지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즉 기지국(BS1)을 중심으로 하는 원이 아니라 이동단말장치(MS1) 자신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범위를 적용할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이동단말장치(MS1)가 기지국(BS1)의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하더라도, 지정된 거리를 짧게 하면, 이동단말장치 자체를 중심으로 하는 원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른 이동단말장치의 위치를 더욱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단말장치(MS1)가, 동일한 그룹ID를 갖는 다른 이동단말장치(MS2, MS3)가 기지국(BS1)의 반경 500m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에 대해 통괄기지국(TBS)으로부터 통지받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부(26)에 표시된 다른 이동단말장치(MS2, MS3)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에, 원하는 상대방(예를들어 이동단말장치(MS2)에만)에게, 제어수단으로써의 회선제어부(22)를 거쳐서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정보를 통지하기 위해서, 통괄기지국(TBS)에 일괄통지요구가 송신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동단말장치(MS2)의 표시부에 대해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사실상, 이동단말장치(MS1)를 소지한 사용자는, 상대편의 전화번호를 지정하고, 키보드(25) 상에 설치된 일괄통지버튼(도시생략됨)을 누름으로써, 동일한 그룹ID를 갖는 다른 이동단말장치(MS2)에 대하여 자국 이동단말장치의 절대위치정보를 일괄통지하기 위해 일괄통지요구를 통괄기지국(TBS)에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통괄기지국(TBS)은, 이동단말장치(MS1)로부터의 일괄통지요구에 대응해서,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정보를, 주소 등의 문자정보 형태로 기지국(BS1)을 거쳐서 동일한 그룹ID를 갖는 이동단말장치(MS2)의 표시부(26)에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26)에 표시된 문자정보(주소 또는 상점 명칭 등의 고유명사)를 확인함으로써, 이동단말장치(MS2)의 소지자는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그후, 이동단말장치(MS2)의 소지자는, 송신된 문자정보가 확인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신호를 송신하도록 기지국(BS1)을 거쳐서 통괄기지국(TBS)에 요구한다. 이 요구에 기초해서, 통괄기지국(TBS)은 이동단말장치(MS2)로부터 송신된 응답신호를, 기지국(BS1)을 거쳐서 이동단말장치(MS1)에 송신한다.
따라서, 이동단말장치(MS1)가 이동단말장치(MS2)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는, 다른 이동단말장치(MS2)가 자신 단말장치의 절대위치정보를 확실히 수신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후, 사용자에 의해 일괄적으로 송신된 절대위치정보의 위치에 이동단말장치(MS2)의 소지자가 도착하는 것을 기다리는 것만이 필요하며, 만나기로 약속한 장소에 대한 오해로 인해 발생되는 시간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통신시스템(1)은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정보를 동일한 그룹ID를 갖는 다른 이동단말장치(MS2 및/또는 MS3)에 리얼타임으로 일괄적으로 통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단말장치(MS2 및/또는 MS3)로부터 송신된 응답신호를 받아서 쌍방향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정보통신을 확실히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구급환자, 화재 및 범죄 등의 위급상황이어서 통화가 불가능한 상태라 하더라도,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정보의 통지를 수신한 측에서는 그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 이동단말장치(MS1)의 절대위치정보는 주소 등의 문자정보 형태로 표시부(26) 상에 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도 등의 차트를 미리 기억회로(27)에 기억시킴으로써, 이들 지도 등의 차트를 표시부(26)에 표시하여서, 표시하는 동안 이동단말장치(MS1)의 현재위치를 표시하거나 점멸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식별코드인 그룹ID를, 최대비트길이의 범위내에서 회계정보에 부가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룹ID를, 확장비트를 이용하는 가변길이 구조를 갖는 이동유닛 식별자 등의 다른 종류의 신호에 부가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버스트신호가 송신신호로써 이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송신속도가 항상 일정하여 이동단말장치(MS1)까지의 거리(r1, r2)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면, 확산스펙트럼신호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신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1)은 CDMA 방식의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신시스템은, 시분할 다원접속(TDMA)방식 등의 다른 시스템에 따른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동기화된 적어도 두 개의 기지국과, 기지국의 통괄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국과, 이동국을 갖추어 구성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은,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송신신호의 송신속도 및 송신시간에 기초해서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거리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국은, 2개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얻은 제 1 및 제 2거리에 기초해서, 이동국의 절대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측정수단과, 이동국에 의해 지정된 거리범위 내에 동일한 식별코드를 갖는 다른 이동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그 탐색결과를 기지국을 거쳐 이동국에 통지하기 위한 통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탐색결과에 기초해서, 이동국이 동일한 식별코드를 갖는 다른 이동국의 존재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있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은 의도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 내라면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보호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0)

  1. 서로 동기화된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의 통괄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국과, 다수의 이동국을 갖추어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지국 각각은, 상기 각 이동국과 통신함으로써 얻어지는 신호송신속도와 신호송신시간에 기초해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각 이동국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거리산출수단을 갖추어 구성되며, 상기 제어국은, 상기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각 기지국과 상기 각 이동국 사이의 거리에 기초해서, 상기 각 이동국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측정수단과, 상기 다수의 이동국 중 특정의 다수 이동국에 대해서 동일한 식별코드를 기억시키기 위한 기억수단과, 상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하나에 의해 지정된 거리범위 내에, 상기 동일한 식별코드를 갖는 다른 이동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그 탐색결과를 상기 기지국을 거쳐서 상기 다수의 이동국 중 상기 하나의 이동국에 통지하기 위한 통지수단을 갖추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하나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거리범위는, 상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하나를 중심으로 하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하나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거리범위는, 상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하나와 통신하는 기지국을 중심으로 하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동일한 식별코드를 갖는 다른 이동국들이 상기 거리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다른 이동국들의 전화번호를 상기 탐색결과로써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동일한 식별코드를 갖는 다른 이동국들이 상기 거리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하나의 위치정보를, 상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나머지 이동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6. 서로 동기화된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의 통괄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국과, 다수의 이동국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 이동국의 각각은, 상기 다수 기지국 각각과 통신함으로써 얻어지는 신호송신속도와 신호송신시간에 기초해서, 상기 이동국과 상기 각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거리산출수단과, 상기 각 이동국과 상기 각 기지국 사이의 산출거리에 기초해서, 상기 각 이동국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측정수단을 갖추어 구성되며, 상기 제어국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각 이동국의 절대위치를 기억하기 위한 제 1기억수단과, 상기 다수의 이동국 중 특정의 다수 이동국에 대해 동일한 식별코드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과, 상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하나에 의해 지정된 거리범위 내에 상기 동일한 식별코드를 갖는 다른 이동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그 탐색결과를 상기 기지국을 거쳐서 상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하나에 통지하기 위한 통지수단을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하나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거리범위는, 상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하나를 중심으로 하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하나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거리범위는, 상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하나와 통신하는 기지국을 중심으로 하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동일한 식별코드를 갖는 다른 이동국이 상기 거리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다른 이동국의 전화번호를 상기 탐색결과로써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동일한 식별코드를 갖는 다른 이동국이 상기 거리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하나의 위치정보를 상기 특정의 다수 이동국 중 나머지 이동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1. 서로 동기로 되며 각 이동단말장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기지국과, 다수의 기지국을 통괄관리하고, 다수의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각 이동단말장치까지의 거리에 기초해서 각 이동단말장치의 위치를 측정하고, 특정의 다수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동일한 식별코드를 기억시키는 제어국과 함께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동단말장치는, 기지국과 통신하는 송수신 수단과, 희망하는 거리범위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을 거쳐서 상기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상기 희망하는 거리범위 내에 존재하는 상기 동일한 식별코드를 갖는 다른 이동단말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과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거리범위는, 상기 이동단말장치를 중심으로 하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거리범위는, 상기 이동단말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을 중심으로 하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동단말장치에 대한 정보가 전화번호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동단말장치에 대한 정보가 위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6. 서로 동기로 되며 각 이동단말장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기지국과, 다수의 기지국을 통괄관리하고, 다수의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각 이동단말장치까지의 거리 기초해서 각 이동단말장치의 위치를 측정하고, 특정의 다수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동일한 식별코드를 기억시키는 제어국과 함께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동단말장치는,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수단과, 상기 다수 기지국 각각과 통신함으로써 얻어지는 신호송신속도와 신호송신시간에 기초해서, 상기 각 이동국과 상기 각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거리산출수단과, 상기 각 이동국과 상기 각 기지국 사이의 산출거리에 기초해서, 상기 각 이동국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측정수단과, 희망하는 거리범위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을 거쳐서 상기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상기 희망하는 거리범위 내에 존재하는 상기 동일한 식별코드를 갖는 다른 이동단말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거리범위는, 상기 이동단말장치를 중심으로 하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거리범위는, 상기 이동단말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을 중심으로 하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동단말장치에 대한 정보는 전화번호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동단말장치에 대한 정보는 위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KR1019980007368A 1997-03-11 1998-03-05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장치 KR199800799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55717A JPH10257545A (ja) 1997-03-11 1997-03-11 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
JP97-055717 1997-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950A true KR19980079950A (ko) 1998-11-25

Family

ID=1300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368A KR19980079950A (ko) 1997-03-11 1998-03-05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01391A (ko)
JP (1) JPH10257545A (ko)
KR (1) KR19980079950A (ko)
CN (1) CN110482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4778B2 (en) 1997-08-20 2010-05-11 Tracbeam Llc Wireless location gateway and applications therefor
US6249252B1 (en) 1996-09-09 2001-06-19 Tracbeam Llc Wireless location using multiple location estimators
US7764231B1 (en) 1996-09-09 2010-07-27 Tracbeam Llc Wireless location using multiple mobile station location techniques
US9134398B2 (en) 1996-09-09 2015-09-15 Tracbeam Llc Wireless location using network centric location estimators
US6236365B1 (en) 1996-09-09 2001-05-22 Tracbeam, Llc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using a plurality of commercial wireless infrastructures
US7903029B2 (en) 1996-09-09 2011-03-08 Tracbeam Llc Wireless location routing applications and architecture therefor
US8135413B2 (en) 1998-11-24 2012-03-13 Tracbeam Llc Platform and applications for wireless location and other complex services
JP3860935B2 (ja) * 1999-05-31 2006-12-20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
US6647270B1 (en) 1999-09-10 2003-11-11 Richard B. Himmelstein Vehicletalk
JP3750438B2 (ja) * 1999-09-16 2006-03-01 三菱電機株式会社 位置情報システム
EP1286735A1 (en) 1999-09-24 2003-03-05 Dennis Jay Dupray Geographically constrained network services
JP3512090B2 (ja) * 2000-05-31 2004-03-29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の受信基地局切替システム及び方法
US9875492B2 (en) 2001-05-22 2018-01-23 Dennis J. Dupray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US10641861B2 (en) 2000-06-02 2020-05-05 Dennis J. Dupray Services and applications for a communications network
US10684350B2 (en) 2000-06-02 2020-06-16 Tracbeam Llc Services and applications for a communications network
SE523564C2 (sv) * 2000-09-20 2004-04-27 Mahmood Valadi Matchning av användarprofiler och positionering av mobiltelefoner i ett mobilt kommunikationsnät
JP2002152799A (ja) * 2000-11-09 2002-05-24 Uniden Corp 構内位置検出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端末
US20030013462A1 (en) * 2000-12-28 2003-01-16 Yasuhiro Adachi Position information notifying system and method
US7529537B2 (en) * 2001-05-14 2009-05-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and emergency service hailing in wireless network
US8082096B2 (en) 2001-05-22 2011-12-20 Tracbeam Llc Wireless location routing applications and architecture therefor
KR100469416B1 (ko) 2002-03-27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WO2003086005A1 (de) * 2002-04-09 2003-10-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nordnung sowie computerprogramm mit programmcode-mitteln und computerprogramm-produkt zur ermittlung einer position einer mobilen kommunikationseinrichtung in einem kommunikationsnetz
JP4147906B2 (ja) * 2002-11-08 2008-09-10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移動無線通信方法
JP4220230B2 (ja) 2002-12-18 2009-02-04 株式会社東芝 サービスエリア推定装置
EP1655619A1 (en) * 2003-07-31 2006-05-10 NEC Corporation Terminal position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GB2406753B (en) * 2003-10-03 2007-11-14 Ibm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the proximity of a moveable device
TWI225374B (en) * 2003-11-12 2004-12-11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Digital cellular phone system and cellular phone applied thereto
US20050124293A1 (en) * 2003-12-04 2005-06-09 Alicherry Mansoor A.K.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lephone locatability
KR100917940B1 (ko) 2004-02-17 2009-09-21 자디 인코포레이티드 목표물 위치 판정 방법 및 수신기 위치 판정 시스템
US7908041B2 (en) * 2004-04-29 2011-03-15 Munro & Associates, Inc. Self-leveling laser horizon for navigation guidance
JP4994379B2 (ja) * 2005-09-01 2012-08-08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カンパニー 血管内皮成長因子受容体−2モジュレーターに対する感受性を決定するためのバイオマーカーおよび方法
US20080262669A1 (en) * 2006-09-22 2008-10-23 Jadi, Inc. Autonomous vehicle controller
WO2008116168A1 (en) * 2007-03-21 2008-09-25 Jadi, Inc. Navigation unit and base station
US8103228B2 (en) * 2007-07-12 2012-01-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determining line-of-sight (LOS) distance between remote communications devices
US8417262B2 (en) 2009-03-13 2013-04-09 Tti Inventions D Llc System and method for privacy-enabled mobile locator services with dynamic encounter horizon
US9538493B2 (en) 2010-08-23 2017-01-03 Finetrak, Llc Locating a mobile station and applications therefor
US20130211780A1 (en) * 2012-02-10 2013-08-15 Qualcomm Incorporated Inferred time of flight ranging
US9678194B2 (en) 2012-08-14 2017-06-13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using observer-based time-of-arrival measurements
JP6101473B2 (ja) * 2012-11-22 2017-03-22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US9913089B2 (en) * 2015-08-25 2018-03-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sponding to a status for a user based on nearby electronic devices
US10993200B1 (en) * 2020-04-22 2021-04-27 T-Mobile Usa, Inc. 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data storage in cellular network regist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5426A (en) * 1994-02-28 1996-05-07 Executone Information Systems, Inc.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locator
JP2586347B2 (ja) * 1994-11-15 1997-02-26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無線電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828C (zh) 2003-04-02
US6101391A (en) 2000-08-08
JPH10257545A (ja) 1998-09-25
CN1199315A (zh) 1998-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9950A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장치
EP1251709B1 (en) Estimating the posi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by combining measurements of signals exchanged between the mobile teminal and base stations
US79914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altitude of a mobile wireless device
KR100553305B1 (ko) 이동국 위치 픽스를 유효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6169902B1 (en) Information terminal, processing method by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network system
KR100466470B1 (ko) 단말장치,위치정보표시방법,위치정보제공장치및위치정보제공방법
US7263437B2 (en) Vehicle dispatching system and management server for the same
US6314295B1 (en) Terminal unit, position display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0695208B1 (ko) 이기종 ap를 이용한 실내에서의 위치 정보 확인 방법
EP0810571A1 (en) Navigation system using portable phone and navig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H098917A (ja) 移動通信端末を用いた情報提供方式
KR20040033067A (ko) 무선 차량 위치결정 방법 및 장치
JPH1094028A (ja) 移動端末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H05102906A (ja) 移動通信方式
JPH11178045A (ja) 位置検出システム
JP2008244942A (ja) 携帯端末及びその電波状況確認方法
JP2003047045A (ja) 測位方法、測位システム、測位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移動通信端末
JPH08126060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H08221697A (ja) 移動体通信網を利用した道案内システム
JP3670197B2 (ja) 顧客管理システム
JP3157792B2 (ja) 移動局現在位置算出方法及び基地局航行システム
JPH10145869A (ja) Phsを用いた位置評定および地域情報伝達装置
JP3458824B2 (ja) 位置算出方法、位置算出装置及び携帯端末
JP3458827B2 (ja) 位置算出方法、位置算出装置及び携帯端末
CN110839276A (zh) 一种定位方法、装置和通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