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936A - 플러그 - Google Patents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9936A
KR19980079936A KR1019980007274A KR19980007274A KR19980079936A KR 19980079936 A KR19980079936 A KR 19980079936A KR 1019980007274 A KR1019980007274 A KR 1019980007274A KR 19980007274 A KR19980007274 A KR 19980007274A KR 19980079936 A KR19980079936 A KR 19980079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fall prevention
outlet
pair
drop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미 소노모토
Original Assignee
히토미 소노모토
니시무라 히로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080044A external-priority patent/JP2978817B2/ja
Application filed by 히토미 소노모토, 니시무라 히로키 filed Critical 히토미 소노모토
Publication of KR19980079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93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44Pivoting lever comprising gear tee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66Comprising two pivoting le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콘센트에 꽂는 플러그단자와, 이 플러그단자에 설치된 탈락방지부재와, 이 탈락방지부재가 상기 플러그단자의 내부에 수납되는 제1위치와 상기 플러그단자로부터 돌출하는 제2위치와의 사이를 전환하는 전환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Description

플러그
본 발명은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에 플러그를 접속하고 있을 때에, 코드에 발이 걸리거나, 부주의하게 플러그가 뽑혀 버리는 일이 있다. 이러한 것이 발생하면, 예컨대 텔레비전이나 오디오와 같이 타이머를 내장하고 있는 전기기기의 경우에는, 플러그가 빠져 버림으로써, 타이머의 시간설정이 잘못돼 버리거나, 열대어의 수조 온도조정기기의 경우에는, 온도관리를 할 수 없게 되어, 열대어를 죽게 하거나, 퍼스널 컴퓨터의 경우에는 메모리내의 데이터가 파괴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해서, 플러그가 뽑혀도, 전원이 갑자기 끊어지지 않도록, 백업용의 전원을 구비하는 등 정전대책을 행한 전기기기이다.
그렇지만, 정전대책을 행하기 위해서는 비용도 상당히 들기때문에, 실제로 행하고 있는 것은 비싼 전기기기에 한정되어 있고, 일상 자주 사용하는 전기기기에는 이러한 대책을 행하지 않는 것이 현재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콘센트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전체의 외관도((a)는 탈락방지레버가 수납된 상태를, (b)는 탈락방지레버가 돌출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2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전환기구의 평면도,
도 3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전환기구의 측면도,
도 4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단자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제2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의 외관도,
도 8은 제2실시형태에 관한 전환기구의 측면도,
도 9는 제2실시형태에 관한 전환기구의 평면도,
도 10는 제3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전체의 외관도((a)는 탈락방지레버가 수납된 상태를, (b)는 탈락방지레버가 돌출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1은 제3실시형태에 관한 전환기구의 단면도((a)는 누름버튼을 눌러 탈락방지레버가 수납된 상태를, (b)는 탈락방지레버가 돌출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2는 제3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단자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제3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를 콘센트에 집어넣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러그의 특징구성은,
콘센트에 집어넣는 플러그단자와,
이 플러그단자에 설치된 탈락방지부재와,
이 탈락방지부재가 상기 플러그단자의 내부에 수납되는 제1위치와 상기 플러그단자로부터 돌출하는 제2위치와의 사이를 전환하는 전환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통상은 탈락방지부재는 플러그단자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지만,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했을 때에, 전환기구에 의해 탈락방지부재를 플러그단자로부터 돌출하는 위치에 전환하도록 한다. 그렇게 하면,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뽑으려고 해도 탈락방지부재가 플러그단자로부터 돌출하고 있기 위해서, 쉽게 뽑을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위치를 복수부분 설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탈락방지부재를 상기 플러그단자에 회동가능하게 피벗지지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탈락방지부재의 돌출위치를 복수설치할 수 있기때문에, 여러가지 콘센트의 내부형상에 대응할 수 있기때문에 편리하다.
또한, 상기 플러그단자는 한쌍 설치됨과 동시에,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탈락방지부재도 한쌍 설치되고, 상기 전환기구는 상기 한쌍의 탈락방지부재를 동시에 전환하는 공통의 구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한쌍의 탈락방지부재를 공통의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각각 구동하는 것에 비교하면 부품점수도 적고, 또한, 비용도 적게 된다.
본 발명의 플러그는 모든 타입의 플러그에 응용할 수 있는 것이고, 특정한 전기기기의 플러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탈락방지부재를 상기 플러그단자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에 힘을 더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여,
플러그를 콘센트에 집어넣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탈락방지부재를 상기 돌출위치로부터 상기 수납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의한 안내부가 상기 탈락방지부재에 형성되어,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완료한 시점에서, 상기 탈락방지부재가 상기 돌출위치에 전환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탈락방지부재는 가압부재에 의해 상시 플러그단자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지만, 플러그를 콘센트에 집어넣으면, 안내부에 의해 탈락방지부재는 강제적으로 돌출위치로부터 수납위치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완료한 시점에서,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탈락방지부재는 수납위치로부터 돌출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탈락방지기능이 붙어 있지 않은 통상의 플러그와 같은 조작으로 콘센트에 집어넣을 수 있다. 그 결과, 사용하기 편리한 탈락방지기능 부착의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었다.
상기 가압부재로서는 여러가지가 생각되지만, 예컨대 선재(線材)를 들 수 있다. 선재이면, 가공도 간단하고, 특히 플러그단자같은 좁은 공간이더라도, 쉽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상기 플러그단자는 한쌍 설비됨과 동시에,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탈락방지부재도 한쌍 설비되고 있고, 상기 한쌍의 탈락방지부재의 돌출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센트 중에는, 플러그를 돌리면서 집어넣는 것 같은 것이 잘 알려져있고, 이러한 콘센트에 플러그를 집어넣을 때에, 탈락방지부재의 돌출방향이 같으면 , 부주의하게 플러그가 빠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렇지만, 탈락방지부재의 돌출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되도록 해 놓으면 확실하게 어느 쪽인가의 탈락방지부재가 걸리기때문에, 상술했던 것 같은 특수한 콘센트이더라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탈락방지부재의 실시형태로서는, 상기 플러그단자에 설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레버를 들 수 있다.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뺄 때에는 플러그의 커버부재에 설치된 조작부재를 조작하여 탈락방지부재를 돌출위치로부터 수납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지만, 이 경우에, 회동지점이 플러그단자에 있으면, 조작감촉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과 이점은, 아래의 도면을 사용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 질 것이다.
[제1실시형태]
본 발명이 바람직한 제1실시형태를 도1 내지 도4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1은, 플러그전체의 외관도로, (a)는 탈락방지레버가 수납된 상태를, (b)는 탈락방지레버가 돌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2는 전환기구의 평면도, 도3은 전환기구의 단면도, 도4 및 도5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플러그단자의 분해사시도이다.
플러그(1)는 한쌍의 플러그단자(2 a, 2 b)와, 커버부재(3,4)와, 커버부재(3, 4)를 결합하기 위한 비스(5)와, 코드선(6)을 구비하고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단자(2)는 외측부재(20,21)와, 이들 외측부재(20,21)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부재(22)로 구성되어, 중간부재(22)에는 절결부(22a)가 형성되어 있고, 탈락방지기구를 부착하기 위한 공간(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외측부재(20,21)와 중간부재(22)는 용접이나 접착 등 적당한 방법으로 결합된다.
공간(A)에는 탈락방지레버 (탈락방지부재)(11)가 축부재(12)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축부재(12)는 외측부재(20,21)에 대하여 용접, 코킹 등의 방법으로 부착할 수 있다. 탈락방지레버(11)는 콘센트의 내부와 접촉하여 플러그의 탈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산모양 톱니부(11 a)와, 구동부재(10)의 래크부(10 a)와 맞물리는 기어톱니부(11 b)를 구비하고 있다. 산모양 톱니부(11 a)의 형상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의 각도 θ= 45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재(3)에는, 탈락방지레버(11)를 구동부재(10)를 통해 작동시키기 의한 조작레버(8)가 도2의 Y - Y 축선에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비된다. 조작레버(8)는, 사람의 손가락에 의해서 조작되는 조작부(8 a)와, 구동부재(10)를 구동시키는 가압부(8 b)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9)은 조작레버(8)를 도2의 상방향으로 가압하고 있고, 그 일단부는 구동부재(10)의 연결부(10 b)에, 타단부는 커버부재(3)에 설비된 고정부(3 a)에 세트되어 있다.
구동부재(10)는 한쌍의 플러그단자(2 a, 2 b)에 대응하여 한쌍의 래크부(10 a)가 설치되어 있고, 이 래크부(10 a)를 연결하기 의한 연결부(10 b)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재(10)를 도2의 아래방향에 구동시킴으로써, 좌우한쌍의 탈락방지레버(11)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재(10)는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서 합성 수지 등의 절연체로 구성된다.
조작레버(8)는 도2의 Y - Y 축선 주위에 회동가능해지고 있고, 조작레버(8)를 조작할 때는, 조작부(8 a)를 손가락으로 올리도록 하여 회동시켜, 그 후 조작부(8 a)를 아래방향으로 눌러 가면 좋다. 커버부재(3)에는, 조작레버(8)를 가이드하기 위한 홈(7)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7)에는 조작부(8 a)가 유지되는 복수의 유지부(7 a, 7 b, 7 c)가 설치되어 있다. 어느 쪽의 유지부(7 a, 7 b, 7 c)에서 유지시키는지에 따라서, 탈락방지레버(11)의 회동량, 즉, 플러그단자(2)로부터의 돌출량이 변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부(8 a)가 유지부(7 a)에 유지되는 위치는 탈락방지레버(11)가 플러그단자(2)의 내부에 수납되는 제1위치에 해당하고, 조작부(8 a)가 유지부(7 b, 7 c)에 유지되는 위치는 탈락방지레버(11)가 플러그단자(2)로부터 돌출하는 제2위치에 해당하는 것이다.
[작동설명]
다음에, 제1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플러그(1)를 콘센트(13)에 집어넣는다. 다음에, 조작레버(8)를 조작하여 조작부(8 a)를, 유지부(7 b, 7 c) 중 어딘가에 유지시킨다.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는, 콘센트(13)의 내부 구조에 의존하는 것이고, 유지부(7 c)에 조작부(8 a)를 유지시킨 상태에서는, 도4와 같이, 탈락방지레버(11)는 거의 90도 회동하여, 플러그단자(2)와 이루는 각도는 거의 90도로 되어 있다.
플러그(1)를 콘센트(13)로부터 뺄 때에는, 탈락방지레버(11)를 도4에서 도3의 상태로 복귀시키고 나서 행한다. 즉, 조작레버(8)를 회동시켜, 그 조작부(8 a)를 유지부(7 c)에서 탈출시킨다. 그러면, 스프링(9)의 복원력에 의해, 조작부(8 a)의 위치가 유지부(7 a)의 위치에까지 오도록, 조작레버(8)가 복귀된다. 그리고, 조작부(8 a)를 유지부(7 a)에 수납시키도록, 조작레버(8)를 회동시켜 주면 된다.
[제2실시형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를 도7 내지 도9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7은 제2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의 외관도로, (a)는 플러그단자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b)는 케이스 부재의 상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8은 제2실시형태에 관한 전환기구의 측면도, 도9는 전환기구의 평면도이다. 제1실시형태와 같은 기능을 하는 부재에 있어서는 같은 도면번호를 붙이고 있다.
이 플러그(1)가 제1실시형태와 외관상 다른 것은 코드선(6)과 플러그단자(2)가 직교하고 있는 점이고, 이에 따라 커버부재(3, 4)의 형상도 다르다.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3)에는, 조작나사(14)가 관통하는 구멍(3 a)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나사(14)의 숫나사(14 b)는 구동부재(10)의 연결부(10 b)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하고 있다.
플러그(1)를 콘센트에 집어넣은 후, 조작나사(14)를 회전해 가면 나사의 작용에 의해 구동부재(10)를 도8의 왼쪽방향에 이동시켜, 탈락방지레버(11)를 플러그단자(2)로부터 돌출상태로 하게 한다. 플러그(1)를 콘센트로부터 뺄 때에는, 조작나사(14)를 늦춰 탈락방지레버(11)를 플러그단자(2)에 수납시키는 상태로 하면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홈(7)에 설치되는 유지부의 수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늘릴 수 있다.
탈락방지레버(11)의 콘센트(13)의 내부와 걸어맞춤하는 부분의 형상은 산모양 톱니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빠지기 어려운 기능을 가지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
[제3실시형태의 구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형태를 도1 내지 도5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10은, 플러그전체의 외관도로, (a)는 누름버튼(32)을 눌러 탈락방지레버가 수납된 상태를, (b)는 탈락방지레버가 돌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11은 전환기구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기 완료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b)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꼽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2는 플러그의 평면도, 도13은, 플러그단자의 분해사시도이다.
플러그(1)는 한쌍의 플러그단자(41,42)와, 커버부재(3,4)와, 커버부재(3,4)를 결합하기 위한 비스(5)와, 코드선(6)과, 탈락방지부재로서 기능하는 탈락방지레버(30,31)를 구비하고 있다.
탈락방지레버(30,31)는 한쌍의 플러그단자(41,42)각각에 설치되어 있고, 도10에서도 명백하듯이, 또한 탈락방지레버(30,31)의 플러그단자(41,42)의 단면으로부터의 돌출방향은 정반대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1 내지 도13은 본 발명의 특징인 전환기구의 상세한 도면이다. 또, 한쌍의 탈락방지레버(30,31)의 돌출방향은 반대이지만, 그 기본구성은 동일하기때문에, 한 쪽만을 설명하는 것에 그친다.
플러그단자(41)는 제1단자구성부재(43)와 제2단자구성부재(44)로 이루어지고, 양자는 용접 또는 접착 등의 적당한 방법으로 결합된다. 제1단자구성부재(43)에는 공간부(41 c)가 설치되어, 탈락방지레버(30) 및 가압부재로서 기능하는 선(線)스프링(35)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들 구성부재(43,44)에는 탈락방지레버(30)를 회동지지하기 의한 맞춤형상의 지축(41 a, 41 b)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단자구성부재(43)는 다이 캐스트로, 제2단자구성부재(44)는 프레스로 형성된다.
탈락방지레버(30)에 관하여 도11에 의해 상술하면, 탈락방지레버(30)는 지축(41 a, 41 b)이 끼워넣어지는 축구멍(30 a)과, 플러그(1)를 콘센트에 꽂을 때에 콘센트의 구멍부분에 눌러져서 탈락방지레버(30)를 지축(41 a, 41 b)의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안내부(30 b)와, 플러그(1)를 콘센트에 꽂기 완료했을 때에 플러그(1)의 탈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걸어멈춤면(30 c)과, 선 스프링(35)이 작용하는 작용면(30 d)과, 누름버튼(32)의 가압압작용을 받는 누름버튼작용면(30 e)을 구비하고 있다.
지축(41 a, 41 b)은 누름버튼(32)의 배치장소에서 떨어진 플러그단자(41,42)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누름버튼(32)을 가압할 때의 조작감촉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안내부(30 b)는 플러그단자(4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약 30。 ∼ 45。의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플러그(1)를 콘센트에 꽂을 때에 탈락방지레버(30)를 강제적으로 회동시킨다. 선 스프링 (35)은 바람직하게는 피아노선같은 선재를 절단하여 형성된다. 선재는 단면이 원형, 구형 등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누름버튼(32)은 손가락으로 가압되는 가압부(32 a)와, 탈락방지레버(30)의 버튼작용면(30 e)에 작용하는 가압시트(32 b)를 구비하고 있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32)의 중심과 탈락방지레버(30)는 어긋나 있기때문에, 가압시트(32 b)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락방지레버(30,31)의 돌출방향은 서로 반대이기때문에, 또 한 쪽의 누름버튼(33)도 반대측에 설치된다.
[제3실시형태의 작용]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1)를 콘센트에 꽂을 때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꽂을 때는 통상의 플러그와 같이 꽂아 가면 , 콘센트(11)의 구멍의 단면(11 a)에서 한쌍의 탈락방지레버(30,31)의 안내부(30 b)가 눌러져, 탈락방지레버(30,31)를 선 스프링 (3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회동시킨다. 결국, 탈락방지부재(30,31)를 돌출위치로부터 수납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꽂을 때는 누름버튼(32,33)을 누를 필요는 없다.
도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1)의 꽂음이 완료하면, 안내부(30 b)가 단면(11 a)에서 개방되어 선 스프링 (35)의 가압력에 의해, 탈락방지레버(30,31)는 돌출위치에 복귀하고, 이에 따라 걸어맞춤면(30 c)이 콘센트(11)의 이면(11 b)에 걸어맞춤된다. 그 결과, 플러그(1)는 콘센트(11)로부터 탈락해 버리는 일이 없어진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실시형태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각실시형태의 구조는 합리적인 범위에서 여러가지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러그단자는 한쌍 설치됨과 동시에,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탈락방지부재도 한쌍 설치되고, 상기 전환기구는 상기 한쌍의 탈락방지부재를 동시에 전환하는 공통의 구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한쌍의 탈락방지부재를 공통의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각각 구동하는 것에 비교하면 부품점수도 적고, 또한, 비용도 적게 된다.

Claims (8)

  1. 콘센트(11)에 꽂는 플러그단자(2 a, 2 b, 41, 42) ; 이 플러그단자(2 a, 2 b, 41, 42)에 설치된 탈락방지부재(11, 30, 31); 로 구성된 플러그에 있어서, 이 탈락방지부재(11, 30, 31)는 상기 플러그단자(2 a, 2 b, 41, 42)의 내부에 수납되는 제1위치와 상기 플러그단자(2 a, 2 b, 41, 42)로부터 돌출하는 제2위치와의 사이를 전환하는 전환기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를 복수개소에 설치비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단자(2 a, 2 b)는 한쌍 설치됨과 동시에,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탈락방지부재(11)도 한쌍 설치되어, 상기 전환기구는 상기 한쌍의 탈락방지부재(11)를 동시에 전환하는 공통의 구동부재(1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방지부재(11)는 상기 플러그단자(2 a, 2 b)에 회동가능하게 피벗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방지부재(30, 31)를 상기 플러그단자(41, 42)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에 가압하는 가압부재(35) ; 상기 탈락방지부재(30, 31)에 형성되고 플러그를 콘센트(11)에 꽂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부재(3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탈락방지부재(30, 31)를 상기 돌출위치로부터 상기 수납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안내부(30b)로 더 구성되고, 여기에서 플러그를 콘센트(11)에 꽂기 완료한 시점에서, 상기 탈락방지부재(30, 31)가 상기 돌출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35)는 선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단자(41, 42)는 한쌍 설치됨과 동시에,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탈락방지부재(30, 31)도 한쌍 설치되고 있고, 상기 한쌍의 탈락방지부재(30, 31)의 돌출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방지부재(30, 31)는 상기 플러그단자(41, 42)에 설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KR1019980007274A 1997-03-31 1998-03-05 플러그 KR199800799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80044A JP2978817B2 (ja) 1997-03-31 1997-03-31 プラグ
JP97-80044 1997-03-31
JP25299297 1997-09-18
JP97-252992 1997-09-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936A true KR19980079936A (ko) 1998-11-25

Family

ID=2642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274A KR19980079936A (ko) 1997-03-31 1998-03-05 플러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869582A3 (ko)
KR (1) KR19980079936A (ko)
CN (1) CN1195212A (ko)
CA (1) CA22274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5675B (zh) * 2017-03-09 2023-04-07 维尔斯电子(昆山)有限公司 一种自锁插头
CN111786206B (zh) * 2020-06-03 2021-10-22 阜宁隆德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避免脱落且方便收纳的插头使用装置及应用
CN111786196A (zh) * 2020-07-12 2020-10-16 羊云霞 插头插座组件
CN112003084B (zh) * 2020-09-14 2021-05-04 北京神州数码云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服务器接口的节能环保的防脱落自动紧固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4216A (en) * 1984-06-04 1985-10-01 Imhoff Robert W Automatically releasable locking electric plug
GB8504224D0 (en) * 1985-02-19 1985-03-20 Stewart A Electrical connection
GB2224892A (en) * 1988-09-05 1990-05-16 Martin Erdemir Sanford Electric plug with safety ca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5212A (zh) 1998-10-07
EP0869582A2 (en) 1998-10-07
CA2227455A1 (en) 1998-09-30
EP0869582A3 (en) 199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7167B1 (en) Key switch
US3978298A (en) Miniature switch having pivotal actuator with budging contact and position safety structure
JPH09274830A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JP2004022301A (ja) 一方向ロータリスイッチ
KR19980079936A (ko) 플러그
US6415898B1 (en) Winding box with an auxiliary receptacle
KR19990008017A (ko) 터미널 장치
JP2978817B2 (ja) プラグ
KR102420750B1 (ko) 전선의 정리 및 길이 조절이 용이한 멀티탭
US5516991A (en) Multiple position manual switch
KR100220332B1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JP4117344B1 (ja) 抜け止めコンセント
JP2001345129A (ja) 端子装置
JPH0743977B2 (ja) トリガースイッチ
JPH11154554A (ja) プラグ
KR200188883Y1 (ko) 절전기능을 갖는 전원스위치
JP7004157B2 (ja) スイッチ装置
KR0115267Y1 (ko) 전자제품의 기능스위치작동노브 체결구조
JP2005136275A (ja) 回転操作型電気部品
JP3063187B2 (ja) スナツプスイツチ
JP2004055434A (ja) 押ボタンスイッチ
JP3775948B2 (ja) 電気部品
JP2004206926A (ja) スイッチ装置
KR20050018328A (ko)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한 회전식 입력장치
KR100191171B1 (ko) 다기능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