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8639A - 자동차 운전석의 자동 조정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운전석의 자동 조정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8639A
KR19980078639A KR1019970016208A KR19970016208A KR19980078639A KR 19980078639 A KR19980078639 A KR 19980078639A KR 1019970016208 A KR1019970016208 A KR 1019970016208A KR 19970016208 A KR19970016208 A KR 19970016208A KR 19980078639 A KR19980078639 A KR 19980078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river
key
sea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6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정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16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8639A/ko
Publication of KR19980078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639A/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입력에 따라 운전석의 시트쿠션과 각종 페달간의 거리와 시트백 및 머리받이의 각도를 운전자의 신체적 조건에 적합하게 자동으로 조정해 주는 자동차 운전석의 자동 조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운전자가 임의로 운전환경을 조정하도록 이루어져 있었으므로 올바른 운전자세를 알지 못하여 바른 운전자세를 갖지 못하는 사람이 있었다.
본 발명은 키조작에 의거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대한 데이타를 입력시키는 키조작수단,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른 최적의 운전석 위치와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의 위치에 대한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수단, 상기 키조작수단의 입력데이타에 의거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되어 있던 최적 데이타를 독출하여 해당 액튜에이터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수단 및 운전환경의 자동설정을 위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수단으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시트쿠션높이조절수단, 시트쿠션전후거리조절수단, 등받이각도조절수단, 머리받이각도조절수단, 룸미러각도조절수단, 사이드미러각도조절수단 등으로 이루어진 발명임.

Description

자동차 운전석의 자동 조정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키입력에 따라 운전석의 시트쿠션과 각종 페달간의 거리와 시트백 및 머리받이의 각도를 운전자의 신체적 조건에 적합하게 자동으로 조정해 주는 자동차 운전석의 자동 조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자신의 키와 앉은 키 및 체중에 대한 정보를 입력시키면 그에 따라 최적 운전조건으로서 미리 설정해 놓은 기준값으로 시트쿠션과 시트백, 머리받이,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의 거리와 각도를 자동으로 조정해 주도록 하는 자동차 운전석의 자동 조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운전할 때 운전자는 손으로 조향핸들을 조작하게 되고 또한 발로써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 및 클러치페달을 조작하게 되며, 눈으로는 후방의 시야확보를 위하여 룸미러와 사이드미러를 보조수단으로 활용하게 된다. 이러한 기구 및 부속물들은 차량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운전하는 사람마다 신체조건이 다르므로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 및 클러치페달을 조작할 수 있는 위치가 달라져야 편안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되는바, 이를 위하여 운전석의 시트쿠션을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조정하도록 되어 있고, 시트백 즉 등받이는 그의 기울기를 일정 각도씩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후방으로 부터 충돌을 당할 때 머리가 뒤로 젖혀져 목에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머리받이도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룸미러와 사이드 미러 또한 전후좌우로 일정 각도씩 회전이 가능하여 반사각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운전자는 차량을 출발시키기 전에 반드시 편안하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운전자세를 취하기 위하여 운전석의 위치와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의 반사각도를 자신의 체위에 맞게 조정하게 된다.
그러나 성인의 경우 체위의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운전을 하기 전에 운전석의 위치와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의 반사각도를 자신에 맞게 조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바, 운전하고자 하는 차량이 자신 소유의 차량이라 할지라도 일일이 확인하여 조정하여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고, 타인이 운전하던 차량을 운전하려 하는 경우에는 위의 모든 부속물을 조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사람마다 운전자세에 대한 습관이 저마다 다르며, 처음 배울때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가 많은 바, 좋지 않은 운전자세를 가진 사람이라 하더라도 그 자세에 익숙해져 있으면 운전이 숙련되더라도 좋지 않은 운전자세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처음 운전을 배울때 부터 올바른 운전자세를 갖는 것이 중요하며, 설사 좋지 않은 운전자세를 가진 사람이라 하면 좋은 자세를 갖도록 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사람의 신체조건에 따라 가장 적합한 운전자세를 가질수 있는 조건 다시 말해서 가장 적합한 운전자세를 가질수 있게 하기 위한 운전석의 시트쿠션과 각종 페달간의 거리와 시트백 및 머리받이의 각도 그리고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운전자의 신체적 조건에 적합하게 자동으로 조정해 주도록 하는 자동차 운전석의 자동 조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키조작에 의거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대한 데이타를 입력시키는 키조작수단,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른 최적의 운전석 위치와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의 위치에 대한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수단, 상기 키조작수단의 입력데이타에 의거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되어 있던 최적 데이타를 독출하여 해당 액튜에이터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수단 및 운전환경의 자동설정을 위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수단으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시트쿠션높이조절수단, 시트쿠션전후거리조절수단, 등받이각도조절수단, 머리받이각도조절수단, 룸미러각도조절수단, 사이드미러각도조절수단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자동 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조작부, 12 - 메모리,
14 - 마이크로프로세서, 16 - 시트쿠션높이조절부,
18 - 시트쿠션전후거리조절부, 20 - 등받이각도조절부,
22 - 머리받이각도조절부, 24 - 룸미러각도조절부,
26 - 사이드미러각도조절부.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키와 앉은 키 및 체중에 대한 데이타를 입력시키는 키조작부(10)와 운전자의 키와 앉은 키 및 체중에 따른 최적의 운전석 위치와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의 위치에 대한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12)를 마이크로프로세서(14)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키조작부(10)의 입력데이타에 의거 상기 메모리(12)에 저장되어 있던 대응 데이타를 독출하여 그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시트쿠션높이조절부(16), 시트쿠션전후거리조절부(18), 등받이각도조절부(20), 머리받이각도조절부(22), 룸미러각도조절부(24), 사이드미러각도조절부(26)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운전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전석의 자동 조정방법은 운전자의 키와 앉은 키 및 체중에 대한 데이타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데이타가 제1 기준키데이타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판단결과 제1 기준키데이타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1 기준키데이타보다 한단계 낮은 크기로 설정된 제2 기준키데이타와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제2 기준키데이타와 비교결과 제2 기준키데이타보다도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2 기준키데이타보다 한단계 낮은 크기로 설정된 제3,제4,…,제n 기준키데이타와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입력된 키에 대한 기준키데이타를 결정하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 몸무게와 입력 앉은 키에 대해서도 제1 기준몸무게데이타 내지 제n 기준몸무게데이타와 제1 기준앉은키데이타 내지 제n 기준앉은키데이타와 비교하여 입력데이타에 따른 기준몸무게 데이타와 기준 앉은 키 데이타를 결정하며, 이로 부터 결정된 기준데이타에 의거 시트쿠션의 높이를 비롯하여 시트쿠션의 전후길이, 등받이의 각도, 머리받이의 각도, 룸미러의 각도,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키조작부(10)는 운전자가 그의 키와 앉은 키 및 체중에 대한 데이타를 제어수단인 마이크로프로세서(14)로 입력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시동키의 조작과 함께 작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메모리(12)에는 운전자의 키와 앉은 키 및 체중에 따른 최적의 운전자세 유지를 위한 운전좌석과 각종 페달간의 거리와 시트쿠션의 높이 그리고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에 의한 후방 투시각의 위치에 대한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키조작부(10)로 부터 키와 앉은 키 및 몸무게에 대한 데이타가 입력되면 그 입력데이타에 대해 대응되는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12)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타로 부터 독출하여 그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시트쿠션높이조절부(16), 시트쿠션전후거리조절부(18), 등받이각도조절부(20), 머리받이각도조절부(22), 룸미러각도조절부(24), 사이드미러각도조절부(26)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를 각 기능 조절부로 출력하여 운전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된 것이다.
시트쿠션높이조절부(16), 시트쿠션전후거리조절부(18), 등받이각도조절부(20), 머리받이각도조절부(22), 룸미러각도조절부(24), 사이드미러각도조절부(26)는 모터등의 액튜에이터로 구성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14)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시트쿠션의 높이와 시트쿠션의 전후거리, 등받이의 각도, 머리받이의 각도, 룸미러의 각도, 사이드미러의 각도 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자동 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운전자의 키조작부(10)의 조작에 의해 키데이타와 체중데이타 및 앉은 키데이타가 입력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입력된 데이타들로 부터 그에 대응되는 최적의 운전자세 유지를 위한 제어신호를 메모리(12)로 부터 독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먼저 키데이타에 대한 기준데이타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운전자의 키에 대한 데이타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데이타가 제1 기준키데이타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1 기준키데이타는 크기순으로 제1 기준키데이타로 부터 제n 기준키데이타로 설정된 기준키데이타중 가장 큰 기준키데이타이다.
상기 판단결과 입력된 키데이타가 제1 기준키데이타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1 기준키데이타보다 한단계 낮은 크기로 설정된 제2 기준키데이타와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2 기준키데이타와 비교결과 제2 기준키데이타보다도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2 기준키데이타보다 한단계 낮은 크기로 설정된 제3기준키데이타와 그리고 제3 기준키데이타보다도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4, 제5, 제6…제n 기준키데이타와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입력된 키에 대한 조건을 만족하는 기준키데이타를 결정한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 몸무게와 입력 앉은 키에 대해서도 제1 기준몸무게데이타 내지 제n 기준몸무게데이타와 제1 기준앉은키데이타 내지 제n 기준앉은키데이타와 비교하여 입력데이타에 따른 기준몸무게데이타와 기준앉은키데이타를 결정한다.
그리고 이로 부터 결정된 기준데이타에 의거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시트쿠션높이조절부(16), 시트쿠션전후거리조절부(18), 등받이각도조절부(20), 머리받이각도조절부(22), 룸미러각도조절부(24), 사이드미러각도조절부(26)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시트쿠션의 높이를 비롯하여 시트쿠션의 전후길이, 등받이의 각도, 머리받이의 각도, 룸미러의 각도,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의 키와 몸무게 및 앉은 키와 같은 신체적 조건에 따라 최적의 운전자세 유지에 필요한 시트쿠션의 높이를 비롯하여 시트쿠션의 전후거리, 등받이의 각도, 머리받이의 각도, 룸미러의 각도, 사이드 미러의 각도 등을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운전자는 자동으로 조정된 자리에 맞게 운전자세를 갖게 되면 올바를 운전자세를 갖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운전자의 키와 앉은 키 및 체중에 대한 데이타를 입력시키는 키조작부(10)와 운전자의 키와 앉은 키 및 체중에 따른 최적의 운전석 위치와 룸미러 및 사이드 미러의 위치에 대한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12)를 마이크로프로세서(14)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키조작부(10)의 입력데이타에 의거 상기 메모리(12)에 저장되어 있던 대응 데이타를 독출하여 그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시트쿠션높이조절부(16), 시트쿠션전후거리조절부(18), 등받이각도조절부(20), 머리받이각도조절부(22), 룸미러각도조절부(24), 사이드미러각도조절부(26)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운전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이루어진 자동차 운전석의 자동 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키와 앉은 키 및 체중에 대한 데이타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데이타가 제1 기준키데이타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판단결과 제1 기준키데이타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1 기준키데이타보다 한단계 낮은 크기로 설정된 제2 기준키데이타와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제2 기준키데이타와 비교결과 제2 기준키데이타보다도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2 기준키데이타보다 한단계 낮은 크기로 설정된 제3,제4,…,제n 기준키데이타와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입력된 키에 대한 기준키데이타를 결정하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 몸무게와 입력 앉은 키에 대해서도 제1 기준몸무게데이타 내지 제n 기준몸무게데이타와 제1 기준앉은키데이타 내지 제n 기준앉은키데이타와 비교하여 입력데이타에 따른 기준몸무게 데이타와 기준 앉은 키 데이타를 결정하며, 이로 부터 결정된 기준데이타에 의거 시트쿠션의 높이를 비롯하여 시트쿠션의 전후길이, 등받이의 각도, 머리받이의 각도, 룸미러의 각도,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자동차 운전석의 자동 조정방법.
KR1019970016208A 1997-04-29 1997-04-29 자동차 운전석의 자동 조정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78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208A KR19980078639A (ko) 1997-04-29 1997-04-29 자동차 운전석의 자동 조정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208A KR19980078639A (ko) 1997-04-29 1997-04-29 자동차 운전석의 자동 조정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639A true KR19980078639A (ko) 1998-11-16

Family

ID=65989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6208A KR19980078639A (ko) 1997-04-29 1997-04-29 자동차 운전석의 자동 조정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863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786A (ko) * 2001-12-17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운전자세 기억장치
US20120086249A1 (en) * 2010-10-07 2012-04-12 Faurecia Automotive Seating, Inc. System, Methodologies, and Components Acquiring, Analyzing, and Using Occupant Body Specifications for Improved Seating Structures and Environment Configuration
KR101241154B1 (ko) * 2010-03-15 2013-03-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운전 자세 제어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786A (ko) * 2001-12-17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운전자세 기억장치
KR101241154B1 (ko) * 2010-03-15 2013-03-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운전 자세 제어시스템
US20120086249A1 (en) * 2010-10-07 2012-04-12 Faurecia Automotive Seating, Inc. System, Methodologies, and Components Acquiring, Analyzing, and Using Occupant Body Specifications for Improved Seating Structures and Environment Configuration
WO2012048100A3 (en) * 2010-10-07 2012-07-05 Faurecia Automotive Seating, Inc. System, methodologies, and components acquiring, analyzing, and using occupant body specifications for improved seating structures and environment configuration
CN103221257A (zh) * 2010-10-07 2013-07-24 佛吉亚汽车座椅有限责任公司 用于改进座椅结构和环境配置的获取、分析和使用乘员身体规格的系统、方法和部件
US8958955B2 (en) 2010-10-07 2015-02-17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System, methodologies, and components acquiring, analyzing, and using occupant body specifications for improved seating structures and environment configuration
US9428082B2 (en) 2010-10-07 2016-08-30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System, methodologies, and components acquiring, analyzing, and using occupant body specifications for improved seating structures and environment configuration
US9688163B2 (en) 2010-10-07 2017-06-27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System, methodologies, and components acquiring, analyzing, and using occupant body specifications for improved seating structures and environment configuration
US9889770B2 (en) 2010-10-07 2018-02-13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System, methodologies, and components acquiring, analyzing, and using occupant body specifications for improved seating structures and environment configu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0530B1 (en) Seating system with optimum visibilty
JP6581128B2 (ja) 最適車両部品設定を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614344B1 (en) Optical sensor for an adjustable vehicle seating system
US5254924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motor in powered seat
US4698571A (en)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utomobile driver
US6042145A (en) Arrangement for adjusting the sitting position of a vehicle occupant
JP2006517490A (ja) 車両の乗員保護システムを事前設定する方法
US7437228B2 (en) Automatic adjusting apparatus for adjustable equipments
JP2010083297A (ja) シート制御システム
JP2010006163A (ja) ドライビングポジション推奨システム
KR20200051717A (ko) 특성 맵 제어가 행해지는 시트 조절기 및 시트 조절 방법
US20180105071A1 (en) Method for pre-adjusting vehicle seats
US5285139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motor in a powered seat
US78302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vehicle operator
KR19980078639A (ko) 자동차 운전석의 자동 조정장치 및 그 방법
JP4012574B2 (ja) 走行車座席構成要素の調整方法
US20040122575A1 (en) Device for detecting a seating position of a passenger in a motor vehicle
JP4341462B2 (ja) 自動車の運転姿勢調整装置
JP2006213150A (ja) 運転位置設定装置
WO2022030318A1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位置制御装置
JPH03189244A (ja) パワーシートのモータ制御方法およびモータ制御装置
JPH03271031A (ja) パワーシートのモータ制御方法およびモータ制御装置
JPH04166455A (ja) エアバッグ装着座席における位置制御装置
JPH05301551A (ja) 車両用シートの安全装置
JP2792305B2 (ja) シートのサイドサポート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