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5333A -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5333A
KR19980075333A KR1019970011535A KR19970011535A KR19980075333A KR 19980075333 A KR19980075333 A KR 19980075333A KR 1019970011535 A KR1019970011535 A KR 1019970011535A KR 19970011535 A KR19970011535 A KR 19970011535A KR 19980075333 A KR19980075333 A KR 19980075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language
image
video
convers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준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11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5333A/ko
Publication of KR19980075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333A/ko

Links

Landscapes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상신호의 주화면영상신호에 다화면형태로 포함된 수화영상방송코드를 검출하는 수화영상수신검출부(18)와, 상기 수화영상의 위치를 변환하기 위한 명령의 투입이 가능한 리모콘(10)의 수화영상변환선택스위치(10A), 상기 수화영상의 방송코드가 검출된 상태에서 그 수화영상의 위치변환명령의 투입에 응답해서 수화영상의 위치변환을 제어하는 제어부(12), 그 제어부(12)의 제어하에 상기 영상신호중 수화영상과 주화면영상의 위치를 변환처리해서 영상처리부(16)에 인가하는 수화영상변환처리부(20)를 갖추어서 수화영상이 주화면영역에 위치변환되어 확장된 형태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예컨대 청각장애인의 텔레비전 시청효과가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
본 발명은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국에서 청각장애인을 위해 주화면상의 소정위치에 다화면형태(즉, 부화면)로 전송해주는 수화(手話)영상만을 발췌하여 화면확장처리해서 그 수화영상이 주화면영역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국에서는 음성신호를 청취하지 못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해 예컨대 뉴스프로그램의 방영시 주화면의 소정위치에 다화면형태의 부화면상에 수화통역자의 영상을 부가해서 전송하게 되고, 그에 따라 텔레비전에서는 CRT장치상에 주화면과 수화영상의 부화면이 다화면형태로 재생되어 표시됨과 더불어 정상적인 음성신호는 스피커장치를 통해 재생되게 된다. 따라서, 청각장애인은 주화면상에 재생되는 장면과 수화영상에 의해 방송국으로부터 방송중인 예컨대 뉴스프로그램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러한 수화영상을 전송하는 경우 방송국에서는 해당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련되는 영상과 수화통역자의 영상을 독립적으로 촬영해서 그 촬영된 방송프로그램의 영상과 수화통역자의 영상을 다화면형태의 영상신호로 편집하여 전송하게 되고, 텔레비전에서는 다화면형태로 편집된 수화영상을 포함하는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신호를 그대로 재생처리하여 CRT장치상에 표시하게 된다.
그런데,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다화면형태의 수화영상은 방송프로그램에 관련되는 주화면의 소정위치에 상대적으로 작은 치수의 부화면상에 편집되어 전송되고, 그에 따라 텔레비전의 CRT장치상에 재생되는 수화영상도 상대적으로 작은 화면영역을 갖게 된다. 따라서, 그 수화영상을 시청해야하는 청각장애인의 경우에는 그 부화면상에 표시되는 수화통역자의 동작을 수월하게 확인할 수 없게 되어 불편하게 되고, 그러한 연유로 수화통역자의 동작에 대한 이해의 곤란성에 의해 결국은 근접시청의 원인으로도 되는 실정이다.
더구나, 그 수화영상은 방송국에서 미리 위치가 정해진 상태로 편집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최근에 복수의 튜너를 갖추고서 각 튜너에 의해 선국된 채널의 영상을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상호 변경하면서 시청하도록 된 주/부화면전환기능에 의해서도 그 수화영상에 대한 주화면/부화면의 위치전환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영상신호에 수화영상을 포함하는 경우 수화영상의 위치제어모드하에서 그 수화영상을 주화면에 표시되도록 함과 더불어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이 부화면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여 청각장애인의 텔레비전 시청효과가 일층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튜너에 의해 선국된 채널의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CRT장치에 표시되도록 하는 영상처리부를 갖춘 텔레비전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주화면영상신호에 다화면형태로 포함된 수화영상방송코드를 검출하는 수화영상수신검출부와, 상기 수화영상의 위치를 변환하기 위한 명령의 투입이 가능한 리모콘, 상기 수화영상의 방송코드가 검출된 상태에서 그 수화영상의 위치변환명령의 투입에 응답해서 수화영상의 위치변환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영상신호중 수화영상과 주화면영상의 위치를 변환처리해서 상기 영상처리부에 인가하는 수화영상변환처리부를 갖추어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수화영상변환처리부는 상기 영상신호의 수평/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와, 상기 분리된 수평/수직동기신호를 카운트하여 수화영상영역의 위치판정신호를 발생하는 동기카운터, 상기 동기카운트결과를 기초로 상기 영상신호내의 수화영상영역을 판정하여 그 수화영상이 주화면영상과 위치변환되도록 제어하는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 상기 영상신호의 디지탈변환된 1프레임분량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프레임메모리,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수화영상의 확장기록 및 상기 주화면영상의 축소기록이 행해지는 수화영상/주화면영상변환메모리, 상기 수화영상/주화면영상변환메모리로부터 확장/축소된 수화영상데이터/주화면영상데이터를 합성처리하는 영상신호합성처리부를 포함해서 구성된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영상이 다화면형태로 방송되는 경우 리모콘으로부터의 위치변환명령에 응답해서 수화영상에 대해서는 확장처리를 수행하는 반면 주화면영상에 대해서는 축소처리를 수행해서 수화영상이 주화면영역에 표시되도록 하고 주화면영상이 다화면형태로 표시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화영상변환처리부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에 의해 위치변화된 수화영상과 주화면영상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리모콘, 10A: 수화영상변환선택스위치,
12: 제어부, 14: 튜너,
16: 영상처리부, 18: 수화영상수신검출부,
20: 영상처리부, 22: 동기분리부,
24: 동기카운터, 26: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
28: 데이터변환부(ADC), 30: 프레임메모리,
32: 수화영상변환메모리, 34: 주화면영상변환메모리,
36,38: 제 1 및 제 2스위칭부, 40: 영상신호합성처리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참조부호 10은 해당하는 텔레비전의 전체적인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키기 위한 리모콘을 나타내는 바, 그 리모콘(10)에는 본 발명에 따라 주화면영상의 소정위치에 삽입되어 표시되는 수화영상에 대한 위치를 주화면영상과 변환시켜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수화영상변환선택스위치(10A)를 갖추어 구성된다. 또, 참조부호 12는 상기 리모콘(10)에서 선택되는 특정한 기능에 응답하여 텔레비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나타내는 바, 그 제어부(12)는 본 발명에서 상기 리모콘(10)의 수화영상변환선택스위치(10A)가 조작되는 경우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방송영상신호의 소정위치(대개는 제 21H 수평블랭킹기간)에 포함된 수화영상방송코드의 검출시 그 수화영상이 주화면으로 변환되어 처리되도록 하는 제어도 실행하게 된다.
14는 상기 리모콘(10)에서 선택된 특정한 채널에 대해 상기 제어부(12)로부터 인가되는 선국데이터에 응답하여 그 채널의 선국을 실행하여 그 채널의 복합영상신호(RF)를 IF(Intermediate frequency)변환처리하는 튜너를 나타내고, 16은 상기 튜너(14)에서 인가되는 영상IF신호(PIF)를 R/G/B신호로 처리해서 CRT장치측으로 제공하는 영상처리부를 나타내며, 18은 방송국으로부터 수화영상이 부화면상태로 포함되어 전송되는 경우 그 수화영상의 방송을 나타내기 위해 방송영상신호의 제 21H 수평블랭킹기간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수화영상방송코드를 검출하기 위한 수화영상수신검출부를 나타내는 바, 바람직하게 그 수화영상수신검출부(18)는 21H의 카운트를 위한 21H카운터를 포함해서 그 21H카운터에서 카운트된 21H카운트결과를 기초로 수화영상방송코드데이터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2)에 수화영상의 방송상태를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20은 상기 수화영상수신검출부(18)에 의해 수화영상의 방송이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10)의 수화영상변환선택스위치(10A)에 의해 수화영상변환상태가 지정되면 상기 제어부(12)의 제어하에 상기 영상처리부(16)에서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수취해서 수화영상이 주화면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반면 주화면영상은 수화영상과 위치반전되어 부화면형태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수화영상변환처리부(20)를 나타낸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수화영상변환처리부(20)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 22는 상기 영상처리부(16)에서 처리될 영상신호(CV)에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sync/Vsync)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를 나타내고, 24는 상기 동기분리부(22)에서 분리된 수평/수직동기신호(Hsync/Vsync)를 카운트하여 그 동기카운트결과(H'/V')를 발생하는 동기카운터를 나타내고, 26은 상기 동기카운터(26)로부터의 동기카운트결과(H'/V')를 기초로 수화영상영역을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에 기초해서 화면변환제어를 실행하는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를 나타낸다. 즉, 그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는 상기 복합영상신호(CV)에서 수화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경계(대체로, 수화영상은 주화면상에 장방형 또는 원형상의 경계를 가짐)를 검출(예컨대, 그 경계부분의 화이트레벨을 검출)하게 되면 상기 동기카운터(24)의 동기카운트결과(H'/V')에 기초해서 그 수화영상영역을 판정하게 되고, 그 수화영역의 판정결과에 의거해서 수화영상과 주화면영상의 위치반전을 제어하게 된다.
또, 28은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의 제어하에 상기 복합영상신호(CV)를 1프레임단위로 디지탈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Analog to digital convertor)를 나타내고, 30은 상기 데이터변환부(28)에서 변환된 1프레임분량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의 제어하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프레임메모리를 나타내며, 32는 상기 프레임메모리(30)에 저장된 1프레임분량의 영상데이터중에서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로부터의 기록/독출제어신호(R/W1')에 의거하여 독출되는 수화영상데이터만을 수취해서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로부터의 기록/독출제어신호(R/W2')에 따라 저장하는 수화영상변환메모리를 나타내고, 34는 상기 프레임메모리(30)에 저장된 1프레임분량의 영상데이터중에서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로부터의 기록/독출제어신호(R/W1')에 의거하여 독출되는 주화면영상데이터만을 수취해서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로부터의 기록/독출제어신호(R/W3')에 따라 저장하는 주화면영상변환메모리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는 상기 제어부(12)로부터 수화영상변환제어신호(CS)가 인가되면 상기 프레임메모리(30)에 저장된 1프레임분량의 영상데이터중에서 수화영상데이터가 독취되도록 독출제어신호(W1')를 인가함과 더불어 상기 수화영상변환메모리(32)에 대해서는 그 수화영상데이터가 주화면영역에 확장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수화영상데이터의 하나의 화소데이터를 소정회수 반복기록되도록 기록제어신호(R2)를 인가하게 되고, 상기 프레임메모리(3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중 주화면영상데이터가 수화영상영역상에 축소된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화소누락방식으로 기록되도록 기록제어신호(R3)를 인가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서 참조부호 36은 일단이 상기 수화영상변환메모리(32)에 화면확장형태로 기록된 수화영상데이터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블랭킹신호에 접속되어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의 스위칭신호(SW1)에 의해 상기 수화영상데이터와 블랭킹신호의 사이에서 스위칭작용하는 제 1스위칭부를 나타내고, 38은 일단이 상기 주화면영상변환메모리(32)에 화면축소형태로 기록된 주화면영상데이터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블랭킹신호에 접속되어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의 스위칭신호(SW2)에 의해 상기 주화면영상데이터와 블랭킹신호의 사이에서 스위칭작용하는 제 2스위칭부를 나타낸다. 또, 40은 상기 제 1스위칭부(36)를 통해 인가되는 수화영상데이터 및 블랭킹신호와 상기 제 2스위칭부(38)를 통해 인가되는 주화면영상데이터 및 블랭킹신호를 수취해서 수화영상데이터가 주화면영역에 표시되도록 함과 더불어 주화면영상데이터가 수화영상영역에 표시되도록 합성처리하여 상기 영상처리부(16)에 인가하는 영상신호합성처리부를 나타낸다.
이어,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통상적인 텔레비전의 영상처리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리모콘(10)으로부터 소정의 채널에 대한 선택이 행해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12)는 튜너(14)에 대해 선국대상의 채널에 대한 선국데이터를 인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튜너(14)에서는 그 선국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을 선국해서 그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IF변환처리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 튜너(14)로부터의 음성IF신호는 음성처리계통(도시 생략)을 통해 재생처리되는 한편, 상기 튜너(24)로부터의 영상IF신호(PIF)는 상기 영상처리부(16)에서 재생처리(R/G/B)되어 CRT장치상에 표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튜너(14)에 의해 선국된 채널에 청각장애인을 위해 방송국에서 주화면영상에 부화면형태로 수화영상을 편집해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영상처리부(16)에서 처리된 주화면영상과 수화영상의 형태는 도 3(a)에 도시된 형태로 표시된다.
그러한 다화면형태의 수화영상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수화영상수신검출부(18)는 방송국으로부터 영상신호의 21H기간에 전송되는 수화영상방송코드를 검출해서 제어부(12)에 인가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10)의 수화영상변환선택스위치(10A)의 조작에 의해 위치변환신호가 투입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수화영상변환처리부(20)의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에 수화영상의 위치변환을 위한 제어신호(CS)를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의 동기분리부(22)에서는 상기 영상처리부(16)에서 처리될 복합영상신호(CV)에서 수평/수직동기신호(Hsync/Vsync)를 분리해서 상기 동기카운터(24)에 인가하게 되고, 그 동기카운터(24)에서는 상기 수평/수직동기신호(Hsync/Vsync)에 대한 카운트결과(H'/V')를 상기 수평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그 수평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는 상기 동기카운터(24)에서 제공되는 동기카운트결과(H'/V')를 기초로 상기 복합영상신호중 수화영상영역의 개시 및 종료위치에 대한 경계를 검출(즉, 에지검출식)하여 그 수화영상영역을 판정하게 된다.
그러한 수화영상영역판정의 과정을 실행하는 도중에도 상기 수평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는 상기 데이터변환부(28)에 대해 샘플링신호를 인가해서 1프레임분량의 단위로 복합영상신호의 디지탈변환이 행해지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메모리(30)에 대해 기록제어신호(R1)를 인가해서 상기 디지탈변환된 1프레임분량의 영상데이터가 상기 프레임메모리(30)에 순차적으로 기록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메모리(30)에 1프레임분량의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경우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는 상기 프레임메모리(30)에 독출제어신호(W1')를 인가하여 1프레임분량의 영상데이터가 수화영상데이터 및 주화면영상데이터가 분리적으로 독취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는 상기 동기카운터(24)에서 제공되는 동기카운트결과(H'/V')에 의해 주화면영상에 포함된 수화영상의 표시위치를 인지하게 되므로, 상기 프레임메모리(30)에 기록된 수화영상데이터의 위치(즉, 어드레스)를 판단해서 상기 프레임메모리(30)에 대한 독출제어신호(R1')를 인가하면서 상기 수화영상변환메모리(32)와 주화면영상변환메모리(34)에 대해 기록제어신호(W2'/W3')를 인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는 상기 프레임메모리(30)에서 독출되는 주화면영상데이터가 상기 주화면영상변환메모리(34)에 기록되도록 하는 경우 그 주화면영상변환메모리(34)에 대해 소정수의 화소데이터마다 기록(즉, 화소누락기록)이 행해지도록 기록제어신호(W3')를 인가해서 주화면영상을 축소변환시키게 되는 반면, 상기 수화영상데이터에 대해서는 수화영상변환메모리(32)에 하나의 화소에 대해 소정회수의 반복적인 기록(즉, 화면확장기록)이 행해지도록 기록제어신호(W2')를 인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수화영상변환메모리(32)에는 1프레임의 영상데이터중 수화영상데이터가 주화면영역에 표시가능하게 확장된 형태로 기록되는 반면, 상기 주화면영상변환메모리(34)에는 1프레임의 영상데이터중 주화면영상데이터가 부화면형태로 축소되어 기록되게 된다.
이어,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는 상기 수화영상변환메모리(32)와 상기 주화면영상변환메모리(34)에 대해 1프레임의 영상의 재현을 위한 타이밍으로 상기 수화영상변환메모리(32)에 독출제어신호(R2')를 인가함과 더불어 상기 제 1스위칭부(36)에 스위칭신호(SW1)를 인가하여 그 제 1스위칭부(36)를 통해 상기 확장변환처리된 수화영상데이터가 상기 영상신호합성처리부(40)에 인가되도록 함에 이어, 상기 축소된 주화면영상이 표시될 위치에서는 상기 제 1스위칭부(SW1)가 외부적인 블랭킹신호에 접속되도록 제어하게 된다(도 3(b)의 화면형태 참조).
그와 더불어, 상기 확장된 수화영상데이터가 상기 제 1스위칭부(36)를 통해 상기 영상신호합성처리부(40)에 인가되는 도중에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는 상기 제 2스위칭부(38)에 대해 외부적인 블랭킹신호가 상기 영상신호합성처리부(40)측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함에 이어, 상기 축소된 주화면영상데이터가 삽입될 위치에서 상기 주화면영상변환메모리(34)에 독출제어신호(R3')를 인가함과 더불어 상기 제 2스위칭부(38)를 스위칭제어하여 그 주화면영상데이터가 상기 제 2스위칭부(38)를 통해 상기 영상신호합성처리부(40)에 인가되도록 하게 된다(도 3(c)의 화면형태 참조).
이어, 상기 수화영상변환메모리(32)와 주화면영상변환메모리(34)에 기록된 영상데이터가 상기 영상신호합성처리부(40)에 인가되는 상태에서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는 상기 동기카운터(24)의 동기카운트결과(H'/V')를 기초로 상기 영상신호합성처리부(40)에 수평/수직동기신호(Hsync/Vsync)를 인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합성처리부(40)에서는 그 수평/수직동기신호(Hsync/Vsync)에 기초해서 상기 제 1 및 제 2스위칭부(36,38)를 통해 인가되는 확장된 수화영상데이터와 축소된 주화면영상데이터로부터 블랭킹신호를 제거해서 합성처리하게 되고, 그 합성된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처리하여 상기 영상처리부(16)에 인가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부(16)에서는 수화영상영역이 CRT장치의 주화면영역에 표시됨과 더불어 주화면영상이 부화면영역에 표시되도록 재생한 신호(R/G/B)를 CRT장치에 출력하게 되고, 그에 따라 CRT장치에는 도 3(d)에 도시된 화면형태가 표시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함없이 다양한 형태로 변경실시가 가능한 바, 예컨대 상기 제 1 및 제 2스위칭부(36,38)를 배제하는 대신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가 상기 수화영상변환메모리(32)와 주화면영상변환메모리(34)를 타이밍제어해서 영상신호합성처리부(40)에 독출되도록 하는 방식도 가능하게 되고, 또한 상기 프레임메모리(30)에 대해서도 FIFO방식을 도입해서 1프레임분량의 영상데이터를 라인단위로 기록/독출처리해서 수화영상의 변환처리가 행해지도록 하는 방식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에 의하면, 청각장애인을 위해 주화면 영상에 다화면형태로 표시되는 수화영상에 대해 위치변환요구가 발생되면 그 수화영상의 영역을 판정해서 확장처리하여 주화면영역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예컨대 청각장애인의 텔레비전의 시청효과가 일층 강화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튜너(14)에 의해 선국된 채널의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CRT장치에 표시되도록 하는 영상처리부(16)를 갖춘 텔레비전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주화면영상신호에 다화면형태로 포함된 수화영상방송코드를 검출하는 수화영상수신검출부(18)와,
    상기 수화영상의 위치를 변환하기 위한 명령의 투입이 가능한 리모콘(10),
    상기 수화영상의 방송코드가 검출된 상태에서 그 수화영상의 위치변환명령의 투입에 응답해서 수화영상의 위치변환을 제어하는 제어부(12),
    상기 제어부(12)의 제어하에 상기 영상신호중 수화영상과 주화면영상의 위치를 변환처리해서 상기 영상처리부(16)에 인가하는 수화영상변환처리부(20)를 갖추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영상변환처리부(20)는 상기 영상신호의 수평/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22)와, 상기 분리된 수평/수직동기신호를 카운트하여 수화영상영역의 위치판정신호를 발생하는 동기카운터(24), 상기 동기카운트결과를 기초로 상기 영상신호내의 수화영상영역을 판정하여 그 수화영상이 주화면영상과 위치변환되도록 제어하는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 상기 영상신호의 디지탈변환된 1프레임분량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프레임메모리(30), 상기 수화영상영역판정/화면변환제어부(26)의 제어하에 상기 수화영상의 확장기록 및 상기 주화면영상의 축소기록이 행해지는 수화영상/주화면영상변환메모리(32,34), 상기 수화영상/주화면영상변환메모리(32,34)로부터 확장/축소된 수화영상데이터/주화면영상데이터를 합성처리하는 영상신호합성처리부(40)를 포함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
KR1019970011535A 1997-03-31 1997-03-31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 KR19980075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535A KR19980075333A (ko) 1997-03-31 1997-03-31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535A KR19980075333A (ko) 1997-03-31 1997-03-31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333A true KR19980075333A (ko) 1998-11-16

Family

ID=65950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535A KR19980075333A (ko) 1997-03-31 1997-03-31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53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7030A (en) Electronic program guide device
US6373527B1 (en) High definition television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plural images contained in broadcasting signals of mutually different broadcasting systems
EP0660602A2 (en) Character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JPS63185173A (ja) テレビジヨン受信装置
JPH07274140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041147B2 (ja) マルチ画面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7173667B2 (en) Digital TV receiver for processing teletext information
USRE37501E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aption broadcast and teletext on the screen of a double-wide television
KR19980075333A (ko) 텔레비전의 수화영상 위치제어장치
JP2002300492A (ja) 放送受信装置及び番組表示方法
JP2003209761A (ja) 緊急報知メッセージ自動表示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10285522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000051765A (ko) 티브이 프로그램(TV program)에서의 오브젝트 캡쳐장치
JP3570436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の放送システム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KR970009458B1 (ko) 단일 튜너를 가지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자 화면 표시방법 및 장치
KR19980029620A (ko) 줌 기능을 이용한 tv 특정화면 확대장치 및 그 방법
KR100271196B1 (ko) 다화면텔레비전의자막신호osd표시제어장치
JPH0638650B2 (ja) カラ−テレビジヨン受信機
KR0163135B1 (ko) 문자/수화처리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KR19990050606A (ko) 다화면 텔레비전의 광고방송 검출에 따른 부화면재생방법
JP4006764B2 (ja) 画像受信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KR100682759B1 (ko) 다 채널 영상 합성 방송수신기 및 그 합성 방법
KR100203921B1 (ko) 디지탈 처리에 의한 동화상의 영상감도 증폭장치 및 그 방법
JP4006714B2 (ja) テレビジヨン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KR19990050596A (ko) 다화면 텔레비전의 광고방송 회피시청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