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1607A - 압연기 및 압연 방법 - Google Patents

압연기 및 압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1607A
KR19980071607A KR1019980005573A KR19980005573A KR19980071607A KR 19980071607 A KR19980071607 A KR 19980071607A KR 1019980005573 A KR1019980005573 A KR 1019980005573A KR 19980005573 A KR19980005573 A KR 19980005573A KR 19980071607 A KR19980071607 A KR 19980071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olling
static pressure
rolling mill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이찌 야스다
유끼오 히라마
요시오 다까꾸라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도무
Publication of KR19980071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60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21B31/32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by liquid pressure, e.g. hydromechanical adju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21B13/145Lateral support devices for rolls acting main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ement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21B37/3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using roll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21B2031/206Horizontal offset of work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24Hydrostatic bearings 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 Bearings And Hydrostatic Bearing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정압 베어링에 의해 작업 롤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한 압연기로 압연을 행할 때, 과대한 수평력에 의해서도 롤과 정압 베어링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항상 손상이 없는 표면 품질이 우수한 판재 제품을 압연할 수 있도록 한다.
작업 롤(2, 3)은 아이들 롤(8, 9, 10, 11)을 거쳐서 정압 베어링(12, 13, 14, 1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 롤(2, 3)은 이동 장치(20, 21)에 의해 정압 베어링(14, 15)을 거쳐서 그 오프셋량이 변경된다. 게다가, 압박 실린더(22, 23)는 정압 베어링(12, 13)을 거쳐서 어떤 일정한 힘을 압박하고, 이동 장치(20, 21)로부터의 힘을 받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압연기 및 압연 방법
본 발명은 판재를 압연하는 압연기 및 압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직경 작업 롤을 사용한 경질재나 극히 얇은 판재의 압연에 적절한 압연기 및 압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스테인레스강 등의 경질재나 극히 얇은 판재의 압연에는 소직경의 작업 롤이 이용되어 왔다. 작업 롤 직경이 작아지면 당연히 롤의 굴곡 강성이 작아지며, 특히 수평면 내에서의 휨이 문제되기 시작했다. 이 수평 휨은 판재의 형상(평탄도)이 불균일해지는 것을 크게 하는데, 이 수평 휨이 커지면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작업 롤 벤더 등의 형상 수정 장치의 수정 능력 범위를 초과해 버리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롤이 상하로 역방향으로 휘면 상하 작업 롤의 중앙부가 서로 이반하는 방향의 힘을 받고, 이 힘은 가속도적으로 상하 역 방향의 휨을 조장한다. 이 경우, 압연 하중을 크게 하면 롤이 절손할 우려도 있으며, 그와 같은 결점을 피하기 위해서는 큰 하중은 가할 수 없다.
상기의 경우를 고려하여 센지머 밀을 기초로 한 크라이스터 밀 타입의 압연기나, 일본 특허 공개 소60-1820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작업 롤 몸통부를 수평 방향으로부터 지지 롤로 지지하는 수평 휨 방지 기구를 구비한 압연기 등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압연기에 있어서는 롤 몸통 길이 방향으로 분할된 지지 롤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그 분할된 지지 롤에 의한 마크 전사에 의해 재료 표면의 성질과 상태가 악화된다.
이에 대해서는 재료 표면 성질과 상태의 악화 방지를 도모하고, 또 소직경의 작업 롤을 사용할 수 있는 압연기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5-50109호 공보에 기재된 압연기가 있다. 이 압연기는 수평 방향 지지 롤을 판재의 최대 판폭이 통과하는 영역의 외측에 설치하고, 롤의 수평 휨을 검출하여 그 수평 휨이 0이 되도록 롤의 수평 굴곡력을 제어하고, 그와 동시에 수평 휨의 원인이 되는 수평력이 0이 되는 위치에 작업 롤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판재가 통과하는 영역에는 판재의 수평 지지 장치가 없으므로, 그에 기인하는 표면 성질과 상태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5-50109호 공보에 기재된 압연기에서는 작업 롤의 소직경화에 한계가 있었다. 즉, 작업 롤 직경을 어느 정도 이하로 하면 굴곡 강성이 극단적으로 작아지며, 수평 휨 제어의 응답성에도 한계가 있으므로 수평 휨을 0으로 할 수 없게 된다. 실제로, 이 방식의 압연기에서는 최대 판폭의 10 % 정도의 롤 직경이 작업 롤 소직경화의 한계가 되며, 그 이하로 하는 것은 곤란했다.
또, 압연 설비의 간략화와 작업 롤의 소형화를 위해 작업 롤의 입구측에서 작업 롤의 휨을 방지하는 지지 기구를 구비한 압연기가 일본 특허 공개 소59-9450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지 기구는 지지에 의한 마찰 방지 및 액압 조정에 의한 냉각 수단을 구비하고, 작업 롤에는 압연 조건(압연 재료 등)의 변화에 적합하도록 시프팅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에서는 작업 롤의 휨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지만, 수평력의 저감이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고 시프팅 기구가 작업 롤 자체에 구비되어 있으며, 시프팅에 의해 작업 롤의 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작업 롤의 휨을 최소한으로 하여 시프팅하는 것이 곤란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재료 표면 성질과 상태의 악화를 방지하고, 게다가 작업 롤의 소직경화를 도모하기에 적절한 압연기로서, 정압 베어링을 이용한 작업 롤의 수평 방향 지지 기구를 구비하는 압연기가 일본 특허 공고 평8-1336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압연기의 개략 구성은 예를 들면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판재(101)를 압연하는 작업 롤(102, 103)이 중간 롤(104, 105) 및 보강 롤(106, 107)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게다가 작업 롤(102, 103)의 수평 방향은 각각 아이들 롤(108, 109, 110, 111)을 거쳐서 정압 베어링(112, 113, 114, 11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17에 일예를 도시한 바와 같은, 정압 베어링(112, 113, 114, 115)에 의해 작업 롤(102, 103)의 수평 방향 지지를 행하는 일본 특허 공고 평8-13366호에 기재된 압연기에는 다음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더욱 개선해야 할 점이 있었다.
도17에 도시한 압연기에서는 작업 롤(102, 103)은 압연기의 중심에 설치되어 있었다. 한편, 작업 롤 직경을 작게 하는 경우, 그 구동축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작업 롤은 직접 구동은 할 수 없으며, 보강 롤 또는 중간 롤에 의한 간접 구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로 인해, 작업 롤에 보강 롤이나 중간 롤로부터의 압연 토오크를 부여할 때 수평 방향의 접선력이 발생한다. 토오크가 큰 압연 조건에서는 이 구동 접선력(수평력)도 커지며, 그 힘을 지지하는 정압 베어링에도 과대한 부하를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정압 베어링에 공급되는 유체 압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상기 수평력을 지지할 수 없으며, 롤과 정압 베어링의 베어링 패드가 접촉해 버려 쌍방에 손상이 발생한다. 작업 롤에 발생한 손상은 당연히 판재에도 전사되고 판재의 품질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베어링 패드에 입힌 손상을 그대로 해 두면, 작업 롤을 새로운 롤로 교환한 때도 손상을 발생시켜 버리므로, 베어링 패드 자체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이 교환 작업에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생산성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베어링 패드에는 높은 제작 정밀도가 필요해 지고 있으므로, 그 보수에는 많은 비용이 든다. 이와 같이, 과대한 수평력에 의한 작업 롤과 정압 베어링의 베어링 패드의 접촉은 많은 피해를 초래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결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압 베어링에 공급하는 유압에 여유를 갖게 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며, 그로 인해 대규모의 유압 공급 장치, 즉 펌프나 탱크 등을 구비해야 해서 설비비나 동력비의 증대를 초래하는 일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압 베어링에 의해 작업 롤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한 압연기로 압연을 행할 때 과대한 수평력에 의해서도 롤과 정압 베어링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항상 손상되지 않은 표면 품질이 우수한 판재 제품을 압연하는 것이 가능한 압연기 및 압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압연기의 정면도.
도2는 작업 롤의 오프셋량의 도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3은 도1의 정압 베어링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정압 베어링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4는 정압 베어링 급유 구멍의 위치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5는 정압 베어링의 갭 측정기의 위치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6은 판재의 폭 방향 위치에 따라서 급유 구멍의 구멍 직경을 변경한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압연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압연기의 상반부 부분의 정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압연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압연기의 상반부 부분의 정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압연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압연기의 상반부 부분의 정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압연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압연기의 상반부 부분의 정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의한 압연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압연기의 상반부 부분의 정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의한 압연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압연기의 상반부 부분의 정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의한 압연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압연기의 상반부 부분을 향해 좌측 사분면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의한 압연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압연기의 상반부 부분을 향해 좌측 사분면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의한 압연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압연기의 상반부 부분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16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의한 압연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압연기의 상반부 부분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17은 정압 베어링에 의해 작업 롤을 지지하는 압연기의 종래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연재
2, 3 : 작업 롤
4, 5 : 중간 롤
6, 7 : 보강 롤
8 내지 11 : 아이들 롤
12 내지 15 : 정압 베어링
16 내지 19 : 빔
20, 21 : 이동 장치
22, 23 : 압박 실린더
24, 25 : 로드 셀
26 : (주) 급유 구멍
27 내지 32 : (가는 직경) 급유 구멍
33 내지 35 : 오일 저장 포켓
36 내지 38 : 갭 검출기
39 내지 41 : 앰프
42 : 계산기
43 : 압력 검출기
44 : 제어기
45 : 계산기
46, 47 : 압력 조정기
48 : 계산기
49 : 압력 조정기
50 : 갭 검출기
51 : 앰프
52 : 계산기
53 : 제어기
54, 55, 56 : 계산기
57 내지 59 : 오일 저장 포켓
60 내지 62 : 압력 조정기
63, 64 : 설정기
65 내지 67 : 갭 검출기
68 내지 70 : 앰프
71, 72 : 계산기
71, 74 : 압력 조정기
75 : 계산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판재를 압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작업 롤과 그 작업 롤을 구동하는 적어도 한 쌍의 보강 롤을 구비하고, 또 상기 판재의 최대 판폭 이상의 범위에서 상기 작업 롤의 측면을 유체 압력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정압 베어링을 작업 롤의 입구측 및 출구측의 쌍방에 구비한 압연기에 있어서, 상기 정압 베어링에 작업 롤을 입구측 및 출구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압 베어링에 이동 수단을 부착하고, 작업 롤을 입구측 및 출구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도록 하고, 작업 롤의 오프셋량을 변화시킨다. 이로써, 압연 하중의 분력과 구동 접선력 및 판재에 가해지는 전후 장력에 균형을 꾀하여 작업 롤에 가해지는 수평력의 합계를 항상 허용치(즉, 정압 베어링의 베어링 패드가 접촉하는 한계치) 이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과대한 수평력에 의해 정압 베어링의 베어링 패드에 롤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정압 베어링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수평력 측정 수단을 입구측 및 출구측 중 적어도 한 쪽의 정압 베어링에 설치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동 수단은 입구측 및 출구측 중 어느 한 쪽의 정압 베어링에 구비하도록 하고, 또 그 이동 수단에 의한 힘에 저항하는 압박력을 발생시키는 압박력 발생 수단을 다른 쪽의 정압 베어링에 구비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압 베어링으로 지지되는 롤의 정압 베어링에 대한 부상량을 측정하는 부상량 측정 수단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력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수평력에 따라서 정압 베어링에 공급하는 유체 압력을 제어하는 공급 압력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력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수평력이 소정치 이하가 되는 위치에 정압 베어링을 이동시키는 정압 베어링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력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수평력이 소정치 이하가 되는 위치에 작업 롤을 이동시키도록 그 작업 롤 이동용의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이동 수단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평력 측정 수단에 의해 정압 베어링에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는 수평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평력에 따라서 상기 압박력 발생 수단으로 발생시키는 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방법이 제공된다.
게다가, 부상량 측정 수단에 의해 정압 베어링에 대한 롤의 부상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부상량에 따라서 작업 롤의 입구측 및 출구측 방향의 위치, 혹은 압박력 발생 수단으로 발생시키는 힘, 혹은 정압 베어링에 공급하는 유체 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수평력 측정 수단으로 정압 베어링에 가해지는 수평력을 측정하고, 예를 들어 측정치가 허용치에 가까워지면 압박력 발생 수단에 의한 압박력을 작게 하면 된다. 또한, 수평력 측정 수단으로 정압 베어링에 가해지는 수평력을 측정하고, 예를 들어 그 값이 정압 베어링에 대한 허용치에 가까워지면 정압 베어링에 공급하는 유체 압력을 증대시키고 허용치 자체를 크게 하면 된다.
게다가 수평력을 측정하는 대신에, 정압 베어링에 대한 롤의 부상량, 즉 롤과 베어링 패드 사이의 거리를 부상량 측정 수단으로 측정하고, 예를 들어 그 부상량이 어떤 값 이하가 된 시점에서 작업 롤의 입구측 및 출구측 방향의 위치(오프셋량)를 변경하거나, 압박력 발생 수단으로 발생시키는 힘을 저감시키거나, 혹은 정압 베어링에 공급하는 유체 압력을 증대시키면 된다.
이상과 같은 압연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작업 롤과 정압 베어링 사이에 아이들 롤을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작업 롤의 직경이 온라인 연삭으로 변하는 경우 등이 있어도 정압 베어링에 의한 롤의 부상량이나 압박력의 정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고, 게다가 작업 롤의 교환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정압 베어링에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 구멍을 판폭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하고, 또 상기 공급 구멍의 직경을 판폭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롤의 열 팽창에 의해 중앙부가 팽창한 때에 판폭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의 부상량을 크게 할 수 있고, 롤을 일정하게 또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압연기를 이용한 압연 방법에 있어서, 수평력 측정 수단에 의해 정압 베어링에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는 수평력을 조작측 및 구동측의 쌍방에서 측정하고, 조작측 및 구동측의 수평력 차에 따라서 정압 베어링에 공급하는 유체 압력의 조작측과 구동측의 차, 혹은 압박력 발생 수단으로 발생시키는 힘의 조작측과 구동측의 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방법이 제공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압연기를 이용한 압연 방법에 있어서, 부상량 측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정압 베어링에 대한 상기 롤의 부상량을 판폭 방향의 적어도 2 지점에서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부상량의 조작측 및 구동측의 차에 따라서 정압 베어링에 공급하는 유체 압력의 조작측과 구동측의 차, 혹은 압박력 발생 수단으로 발생시키는 힘의 조작측과 구동측의 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정압 베어링에 공급하는 유체 압력의 조작측과 구동측의 차, 혹은 압박력 발생 수단으로 발생시키는 힘의 조작측과 구동측의 차를 제어함으로써, 판폭 방향의 어느 곳에 과대한 힘이 가해진 때는 그 수평력이 큰 부위의 유체 압력을 크게 하거나, 혹은 수평력이 큰 부위의 압박력 발생 수단에 의한 압박력을 감소시켜서 정압 베어링에 가해지는 총 수평력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롤과 정압 베어링의 접촉을 막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압연기에 있어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1)를 압연하는 작업 롤(2, 3)이 중간 롤(4, 5) 및 보강 롤(6, 7)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또 중간 롤(4, 5)에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연결되고, 그 중간 롤(4, 5)에 의해 작업 롤(2, 3)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작업롤(2, 3)의 수평 방향은 아이들 롤(8, 9, 10, 11)을 거쳐서 정압 베어링(12, 13, 14, 1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들 정압 베어링(12 내지 15)은 충분한 강성을 갖는 빔(16, 17, 18, 19)에 부착되어 있으며, 입구측과 출구측 중 어느 한 쪽의 빔[본 실시 형태에서는 빔(18, 19)]에는 입구측과 출구측 방향으로의 이동 장치(20, 21)(이동 수단)가 구비되어 있다. 이 이동 장치는 압연기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다. 이동 장치(20, 21)는 나사를 구동함으로써 빔(18, 19)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로써 작업 롤(2, 3)의 중간 롤(4, 5)의 축에 대한 입구측 및 출구측 방향 위치, 이른바 오프셋량(y)(도2 참조)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아이들 롤(8, 9, 10, 11)을 설치함으로써, 작업 롤(2, 3)의 직경이 온라인 연삭으로 변하는 경우 등이 있어도 정압 베어링(12 내지 15)에 의한 롤의 부상량이나 압박력의 정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고, 게다가 작업 롤(2, 3)의 교환이 용이해진다.
이동 장치(20, 21)를 접속하고 있지 않은 측의 빔(16, 17)에는 압박 실린더(22, 23)(압박력 발생 수단)가 부착되어 있으며, 어떤 일정한 힘으로 작업 롤(2, 3)을 수평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되어 있다. 작업 롤(2, 3)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의 힘은 로드 셀(24, 25)(수평력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다. 그리고, 작업 롤(2, 3)의 오프셋량(y)을 압연 하중, 압연 토오크, 전후 장력 등에 의해 정해지는 적당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작업 롤(2, 3)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의 힘(의 합계)을 0(또는 0에 가까운 허용치 이하)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 롤(2, 3)에 가해지는 수평력을 0(또는 그에 가까운 허용치 이하)으로 하기 위한 오프셋량(y)의 도출 방법을 도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작업 롤(2)(또는 3)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의 힘(S)은 다음 식이 된다
S = FT - FP + (Tb - Tf)/2 (1)
여기에, Tb는 판재(1)에 가해지는 입구측의 장력, Tf는 출구측의 장력이다. 그리고, FT는 중간 롤(4)(또는 5)의 토오크(T)에 의한 구동 접선력, FP는 압연 하중(P)의 수평 분력으로서, 각각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FT = T/RI (2)
FP = P·y/(RI + RW) (3)
여기에, RI는 중간 롤(4)(또는 5)의 반경, RW는 작업 롤(2)(또는 3)의 반경이다.
그래서, 상기 식(1)에 있어서 수평력(S)을 0으로 해두면 그 때의 오프셋량(y)은 다음 식이 된다.
y = (T/RI + (Tb - Tf)/2)·(RI + RW)/P (4)
상기 식(4) 중 압연 하중(P), 토오크(T), 장력(Tb, Tf)은 압연 조건이 정해지면 계산이 가능하며, 롤 직경(RI, RW)도 당연히 알고 있으므로, 압연 개시전에 식(4)에 의해 최적의 오프셋량(y)을 미리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y만큼 출구측으로 오프셋시킨 위치에 작업 롤(2, 3)을 셋팅한 후에 압연을 행하면 압연에 의한 과대한 수평력이 작업 롤(2, 3)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정압 베어링(12 내지 15)에 과대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압연에 의해 발생하는 식(1)의 수평력(S) 이외에, 정압 베어링(12, 13)에는 압박 실린더(22, 23)에 의한 압박력(Q)이 가해지고 있지만, 이것은 작업 롤(2, 3)이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시키는 것으로, 정압 베어링(12, 13)에 지장을 주지 않는 작은 힘이다.
도3에 정압 베어링(12)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을 도시한다. 유압원(도시 생략)으로부터 공급된 부상용 오일은 주 급유 구멍(26)으로부터 가는 직경 급유 구멍(27 내지 32)을 통해 오일 저장 포켓(33, 34, 35)으로 흐르고, 롤(아이들 롤)(8)을 부상시킨다. 롤(8)의 부상량은 갭 측정기(36, 37, 38)에 의해 측정되고 각각 앰프(39, 40, 41)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갭 측정기(36, 37, 38)는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중앙부, 조작측의 부상량 검출에 이용된다.
도4에 급유 구멍(27)의 주변 부분, 도5에 갭 측정기(36)의 주변 부분의 세로 방향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다른 급유 구멍 및 갭 측정기의 구성도 거의 마찬가지이다. 급유 구멍(27 내지 32)의 직경이 굵으면 유량과 롤(8)의 부상량은 커지는 반면, 롤(8)에 외력이 가해진 때의 변위량도 커진다. 환언하면, 정압 베어링(12 내지 15)의 스프링 정수가 작아진다. 반대로 급유 구멍(27 내지 32)의 직경이 가늘면, 롤(8)의 부상량은 작아지지만 정압 베어링(12 내지 15)의 스프링 정수는 커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감안하여 급유 구멍(27 내지 32)의 직경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판재(1)의 폭 방향 위치에 따라서 급유 구멍(27 내지 32)의 구멍 직경을 변경함으로써, 정압 베어링(12 내지 15)의 특성을 의도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도6은 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양단부의 급유 구멍(27a, 28a, 31a, 32a)의 구멍 직경이 중앙부 급유 구멍(29a, 30a)의 구멍 직경에 비해 굵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롤[작업 롤(2, 3)이나 아이들 롤(8 내지 11)]의 열 팽창에 의해 중앙부가 팽창한 때에 그 팽창에 따라서 판폭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의 롤의 부상량을 크게 할 수 있고, 롤을 일정하게 그리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4 내지 도6에서 서술한 정압 베어링(12)에 관한 구조는 정압 베어링(13 내지 15)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공통이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정압 베어링(14, 15)에 이동 수단(20, 21)을 부착하고, 작업 롤(2, 3)을 입구측과 출구측으로 이동시키고 오프셋량(y)을 조정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압연 하중(P)의 분력(FP)과 구동 접선력(FT) 및 판재(1)에 가해지는 전후 장력(Tf, Tb)에 균형을 꾀할 수 있고, 수평력의 합계(S)를 항상 0 또는 0에 가까운 허용치 이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과대한 수평력에 의해 정압 베어링(12 내지 15)의 베어링 패드에 아이들 롤(8 내지 11)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항상 손상되지 않은 표면 품질이 우수한 판재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7에 의해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압연기의 상반부 부분에만 대해서 설명하지만, 물론 하반부 부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게다가 제3 이후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도7에 있어서, 이제까지의 도면과 동등한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7에 있어서는 압연시에 작업 롤(2)에 발생하는 수평력이 로드 셀(24)로 측정된다. 로드 셀(24)에서 검출되는 힘(S0)은 압연에 의해 발생하는 식(1)의 S와 압박 실린더(22)에 의한 압박력(Q)을 더한 것이다. 즉 다음 식이 성립한다.
S0= S + Q (5)
그래서, 로드 셀(24)에서 검출된 힘(SO)은 계산기(42)에 출력되고, 계산기(42)에서 상기 식(5)에 따라서 압박력(Q)을 빼고, 압연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력(S)을 계산한다. 상기 압박력(Q)은 압력 검출기(43)에 의해 검출되고 계산기(42)로 출력되지만, 통상 Q의 값은 일정치이므로, 별도 설정기에 의해 계산기(42)에 정수로서 부여해도 좋다. 제어기(44)에서는 계산기(42)에서 구해진 S를 입력하고, S가 정일 때는 작업 롤(2)의 오프셋량(y)을 정 방향(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미소량 Δy만큼 이동시키는 신호를, 반대로 S가 부일 때는 부 방향(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Δy만큼 이동시키는 신호를 각각 이동 장치(20)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S가 0이 될 때까지 Δy의 오프셋량 변경이 반복 행해진다. 이 경우, S를 0으로 할 때까지 행하는 대신에, S의 절대치가 어떤 작은 값 이하가 되면 오프셋량의 변경을 중지한다는 이른바 무효 구역을 마련해도 지장이 없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압 베어링(12, 14)에 가해지는 힘을 항상 적정 범위 내로 할 수 있고, 작업 롤(2) 및 아이들 롤(8, 10)이나 정압 베어링(12, 14)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8에 의해 설명한다. 도8에 있어서 이제까지의 도면과 동등한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8에 있어서는 정압 베어링(14)에 가해지는 수평력이 로드 셀(24)로 측정된다. 로드 셀(24)에서 검출된 S0은 계산기(45)로 보내지고, 계산기(45)에서 정압 베어링(14)의 내압 한계치(Smax)와 비교된다. S0이 Smax보다 커지면 부상용 유압 계통에 있는 압력 조정기(46)에 증압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증압량(Δp)은 Smax를 초과한 양에 비례한 다음과 같은 값으로 한다.
Δp = α1(S0- Smax) (6)
여기에, α1은 정수이다. 혹은 Δp는 일정치라도 좋다. 단, 식(6)의 Δp가 부일 경우에 감압하는 일은 하지 않는다. 한편, 압박 실린더(22)측의 정압 베어링(12)에는 역시 압력 조정기(47)에 의해 항상 일정한 압력의 오일이 공급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압 베어링(14)에 과대한 힘이 가해진 때에 공급 유압을 증대시킴으로써 정압 베어링(14) 자체의 허용 하중을 증대시키고, 롤(10)과 정압 베어링(14)의 접촉을 막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정압 베어링(12)은 압박 실린더(22)로부터 일정한 압박력으로 압박되고 있으므로, 과대한 힘이 가해지는 일은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9에 의해 설명한다. 도9에 있어서 이제까지의 도면과 동등한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9에 있어서는 정압 베어링(14)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의 힘이 로드 셀(24)에서 측정되고 있다. 로드 셀(24)에서 검출된 힘(S0)은 계산기(48)로 보내지고, 여기에서 정압 베어링(14)의 내압 한계치(Smax)와 비교된다. S0이 Smax보다 커지면 압박 실린더(22)용의 유압 계통에 있는 압력 조정기(49)에 감압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감압량(Δq)은 Smax를 초과한 양에 비례한 다음과 같은 값으로 한다.
Δq = α2(S0- Smax) (7)
여기에, α2는 정수이다. 단, 압박력이 0이 되면 롤(2, 8, 10)의 위치가 불안정해지므로, 식(7)에 의한 감압의 원인으로 압박력이 0이하가 되지 않도록 Δq에 제한을 마련해 둘 필요가 있다. 혹은 Δq를 어떤 일정치로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압 베어링(14)에 과대한 힘이 가해진 때 압박 실린더(22)에 의해 부여되는 수평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정압 베어링(14)에 가해지는 총 수평력을 작게 하고, 롤(10)과 정압 베어링(14)의 접촉을 막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10에 의해 설명한다. 도10에 있어서, 이제까지의 도면과 동등한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10에 있어서는 압연시에 아이들 롤(10)의 부상량(u)이 정압 베어링(14) 내의 갭 측정기(50)(부상량 측정 수단)로 측정되고, 앰프(51)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검출된 u는 계산기(52)에 출력되고, 이 계산기(52)에서 기준이 되는 부상량(u0)과의 차(Δu)가 다음 식과 같이 계산된다.
Δu = u - u0(8)
제어기(53)에서는 계산기(52)에서 구해진 Δu를 입력하고, Δu가 부일 때는 수평력이 과대한 것을 나타내므로, 작업 롤(2)의 오프셋량(y)을 정 방향(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미소량 Δy만큼 이동시키는 신호를, 반대로 S가 정일 때는 수평력이 작은 것을 나타내므로, 부 방향(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Δy만큼 이동시키는 신호를 각각 이동 장치(20)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S가 0이 될 때까지 Δy의 오프셋량 변경이 반복 행해진다. 이 경우, S를 0으로 할 때까지 행하는 대신에, S의 절대치가 어떤 작은 값 이하가 되면 오프셋량의 변경을 중지한다는 이른바 무효 구역을 마련해도 지장이 없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압 베어링(14)에 대한 롤(10)의 부상량을 항상 적정 범위 내로 할 수 있고, 작업 롤(2) 및 아이들 롤(8, 10)이나 정압 베어링(12, 14)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11에 의해 설명한다. 도11에 있어서, 이제까지의 도면과 동등한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11에 있어서는 압연시에 아이들 롤(10)의 부상량(u)이 정압 베어링(14) 내의 갭 측정기(50)로 측정되고, 앰프(51)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검출된 u는 계산기(54)에 출력되고, 이 계산기(54)에서 기준이 되는 부상량(u0)과의 차(Δu)가 전술한 식(8)에 의해 계산된다. 여기에서, Δu가 부일 때는 수평력이 과대한 것을 나타내므로, 부상용 유압 계통에 있는 압력 조정기(46)에 증압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증압량(Δp)은 Δu에 비례한 다음과 같은 값으로 한다.
Δp = α3·Δu (9)
여기에서, α3는 정수이다. 혹은, Δp는 어떤 일정치로 해도 좋다. 단, 식(9)의 Δu가 정일 경우에 감압하는 일은 하지 않는다. 한편, 압박 실린더(22)측의 정압 베어링(12)에는 역시 압력 조정기(47)에 의해 항상 일정한 압력의 오일이 공급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뿐만 아니라 정압 베어링(14)에 과대한 힘이 가해진 때에 공급 유압을 증대시킴으로써 정압 베어링(14) 자체의 허용 하중을 증대시키고, 롤(10)과 정압 베어링(14)의 접촉을 막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12에 의해 설명한다. 도12에 있어서, 이제까지의 도면과 동등한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12에 있어서는 압연시에 아이들 롤(10)의 부상량(u)이 정압 베어링(14) 내의 갭 측정기(50)로 측정되고, 앰프(51)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검출된 u는 계산기(55)에 출력되고, 이 계산기(55)에서 기준이 되는 부상량(u0)과의 차(Δu)가 전술한 식(8)에 의해 계산된다. 여기에서, Δu가 부일 때는 수평력이 과대한 것을 나타내므로, 압박 실린더(22)용의 유압 계통에 있는 압력 조정기(49)에 감압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감압량(Δq)은 Δu에 비례한 다음과 같은 값으로 한다.
Δq = α4·Δu (10)
여기에, α4는 정수이다. 단, 압박력이 0이 되면 롤(2, 8, 10)의 위치가 불안정해지므로, 식(10)에 의한 감압의 원인으로 압박력이 0 이하가 되지 않도록 Δq에 제한을 마련해 둘 필요가 있다. 혹은 Δq를 어떤 일정치로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압 베어링(14)에 과대한 힘이 가해진 때 압박 실린더(22)에 위해 부여되는 수평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정압 베어링(14)에 가해지는 총 수평력을 작게 하고, 롤(10)과 정압 베어링(14)의 접촉을 막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13에 의해 설명한다. 도13은 압연기의 상반부 부분을 향해 좌측의 사분면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으로서, 지면 상단부에 가까운 쪽을 조작측, 지면 하단부에 가까운 쪽을 구동측으로 한다. 그리고, 이제까지의 도면과 동등한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13에 있어서는 조작측의 로드 셀(24W)에서 조작측에 가해지는 수평력(SW)이, 또 구동측의 로드 셀(24D)에서 구동측에 가해지는 수평력(SD)이 각각 검출된다. SW와 SD는 계산기(56)로 보내지고, 계산기(56)에서 그들의 차(ΔS)가 다음 식,
ΔS = SW- SD(11)
에 따라서 계산된다.
정압 베어링(14)은 3개의 오일 저장 포켓(57, 58, 59)을 갖고, 각각 독립한 부상용 유압 계통을 가지고, 각 계통에는 각각 압력 조정기(60, 61, 62)가 설치되고, 각 오일 저장 포켓(57, 58, 59) 내의 유압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계통의 기준 압력은 설정기(63)에 의해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계산된 ΔS는 현재 하나의 설정기(64)에 출력되고, 조작측 계통 압력(pW)과 구동측 계통 압력(pD)이 다음과 같이 하여 결정된다.
즉, ΔS가 정일 때는 조작측의 수평력이 크므로 pW를 증압하고, 역으로 ΔS가 부일 때는 구동측의 수평력이 크므로 pD를 증압한다. 증압(감압)량(Δp)은 ΔS의 절대치에 비례한 양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지만 일정치라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폭 방향의 어느 곳에 과대한 힘이 가해진 때는 그 수평력이 큰 부위의 부상용 오일의 공급 유압을 크게 하므로 정압 베어링(14)에 가해지는 총 허용 하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롤(10)과 정압 베어링(14)의 접촉을 막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14에 의해 설명한다. 도14는 압연기의 상반부 부분을 향해 좌측의 사분면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으로서, 지면 상단부에 가까운 쪽을 조작측, 지면 하단부에 가까운 쪽을 구동측으로 한다. 그리고, 이제까지의 도면과 동등한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14에 있어서는 정압 베어링(14)의 3개의 오일 저장 포켓(57, 58, 59)에 각각 설치된 갭 검출기(65, 66, 67)에 의해 아이들 롤(10)의 부상량(uD, uC, uW)이 측정되고, 앰프(68, 69, 70)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이 중, 중앙부의 부상량(uC)에 관해서는 도10 내지 도12에서 설명한 u와 마찬가지인 것으로, 제5 내지 제7의 실시 형태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조작측의 부상량(uW)과 구동측의 부상량(uD)은 계산기(71)에 입력되고, 그 차(ΔuL)가 다음 식,
ΔuL= uW- uD(12)
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계산된다.
3개의 오일 저장 포켓(57, 58, 59)은 각각 독립한 부상용 유압 계통을 가지고, 각 계통에는 각각 압력 조정기(60, 61, 62)가 설치되고, 각 오일 저장 포켓(57, 58, 59) 내의 유압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 계통의 기준 압력은 설정기(63)에 의해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계산된 ΔuL은 현재 하나의 설정기(64)에 의해 출력되고, 조작측 계통 압력(pW)과 구동측 계통 압력(pD)이 다음과 같이 하여 결정된다.
즉, ΔuL이 정일 때는 조작측의 부상량(uW)이 크고 구동측의 부상량(uD)이 작으므로, 구동측에 과대한 수평력이 가해지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pD를 증압하여 구동측의 허용 하중을 증가시킨다. 역으로 ΔuL이 부일 때는 조작측의 부상량(uW)이 작고 구동측의 부상량(uD)이 크므로, 조작측에 과대한 수평력이 가해지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pW를 증압하여 조작측의 허용 하중을 증가시킨다. 이 때의 증압량(Δp)은 ΔuL의 절대치에 비례한 양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지만, 일정치라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폭 방향의 어느 곳에 과대한 힘이 가해진 때에는 그 수평력이 큰 부위의 부상용 오일의 공급 유압을 크게 하므로, 정압 베어링(14)에 가해지는 총 허용 하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롤(10)과 정압 베어링(14)의 접촉을 막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15에 의해 설명한다. 도15는 압연기의 상반부 부분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으로서, 지면 상단부에 가까운 쪽을 조작측, 지면 하단부에 가까운 쪽을 구동측으로 한다. 그리고, 이제까지의 도면과 동등한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15에 있어서는 조작측의 로드 셀(24W)에서 조작측에 가해지는 수평력(SW)이, 그리고 구동측의 로드셀(24D)에서 구동측에 가해지는 수평력(SD)이 각각 검출된다. SW와 SD는 계산기(56)로 보내지고, 계산기(56)에서 그들의 차(ΔS)가 전술한 식(11)에 의해 계산된다. 계산기(72)는 ΔS를 입력하고, ΔS가 정일 때는 조작측의 수평력(SW) 쪽이 크므로, 조작측 압박 실린더(22W)의 압력 조정기(74)로 감압 신호(Δq)를 보내고, ΔS가 부일 때는 역으로 구동측의 수평력(SD) 쪽이 크므로, 구동측의 압박 실린더(22D)의 압력 조정기(73)에 감압 신호(Δq)를 보낸다. 감압량(Δq)은 ΔS의 절대치에 비례한 양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지만 일정치라도 상관없다. 단, 압박력이 0이 되면 롤(2, 8, 10)의 위치가 불안정해지므로, Δq의 감압의 원인으로 압박력이 0 이하가 되지 않도록 Δq에 제한을 마련해 둘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폭 방향의 어느 곳에 과대한 힘이 가해진 때는 그 수평력이 큰 부위의 압박 실린더에 의한 압박력을 감소시키므로, 정압 베어링(14)에 가해지는 총 수평력을 작게 할 수 있고, 이로써 롤(10)과 정압 베어링(14)의 접촉을 막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16에 의해 설명한다. 도16은 압연기의 상반부 부분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으로서, 지면 상단부에 가까운 쪽을 조작측, 지면 하단부에 가까운 쪽을 구동측으로 한다. 그리고, 이제까지의 도면과 동등한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16에 있어서는 정압 베어링(14)의 3개의 오일 저장 포켓(57, 58, 59)에 설치된 갭 검출기(65, 66, 67)에 의해 아이들 롤(10)의 부상량(uD, uC, uW)이 측정되고, 앰프(68, 69, 70)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이 중, 중앙부의 부상량(uC)에 관해서는 도10 내지 도12에서 설명한 u와 같은 것이며, 제5 내지 제7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조작측의 부상량(uW)과 구동측의 부상량(uD)은 계산기(71)에 입력되고, 그 차(ΔuL)가 전술한 식(12)에 의해 계산되어 계산기(75)에 입력된다. 그래서, ΔuL이 정일 때에는 구동측의 수평력(SD) 쪽이 큰 것을 의미하므로, 구동측의 압박 실린더(22D)의 압력 조정기(73)로 감압 신호(Δq)를 보내고, ΔuL이 부일 때에는 역으로 조작측의 수평력(uW) 쪽이 큰 것을 의미하므로, 조작측의 압박 실린더(22W)의 압력 조정기(74)로 감압 신호(Δq)를 보낸다. 감압량(Δq)은 ΔuL의 절대치에 비례한 양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지만 일정치라도 상관없다. 단, 압박력이 0이 되면 롤(2, 8, 10)의 위치가 불안정해지므로, Δq의 감압 원인으로 압박력이 0 이하가 되지 않도록 Δq에 제한을 마련해 둘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폭 방향의 어느 곳에 과대한 힘이 가해진 때는 그 수평력이 큰 부위의 압박 실린더에 의한 압박력을 감소시키므로 정압 베어링(14)에 가해지는 총 수평력을 작게 할 수 있고, 이로써 롤(10)과 정압 베어링(14)의 접촉을 막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도6 및 도13 내지 도16에 있어서는 오일 저장부나 갭 검출기의 수를 1개의 정압 베어링에 대해 3개로 하고 있지만, 그 이외의 수(복수개)로 오일 저장부를 설치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압 베어링에 의해 작업 롤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한 압연기로 압연을 행할 때 정압 베어링에 이동 수단을 부착하고, 작업 롤을 입구측 및 출구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정압 베어링에 과대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과대한 수평력에 의해 정압 베어링의 베어링 패드에 롤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롤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 품질의 저하가 사라지며, 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정압 베어링의 패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패드의 교환을 위해 장시간 운전 중지할 필요가 사라지며,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해 소직경의 작업 롤도 안정되게 사용 가능해지므로, 경질이면서 얇은 판재를 효율적으로 압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9)

  1. 판재를 압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작업 롤을 구비하고, 또 상기 판재의 최대 판폭 이상의 범위에서 상기 작업 롤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정압 베어링을 상기 작업 롤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각각 마련하고, 상기 작업 롤의 입구측 및 출구측 중 적어도 한 쪽의 정압 베어링에 상기 작업 롤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2. 판재를 압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작업 롤과 적어도 한 쌍의 보강 롤을 구비하고, 또 상기 판재의 최대 판폭 이상의 범위에서 상기 작업 롤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정압 베어링을 상기 작업 롤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각각 마련하고, 상기 작업 롤의 입구측 및 출구측 중 적어도 한 쪽의 정압 베어링에 상기 작업 롤을 상기 보강 롤에 대해 출구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3. 판재를 압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작업 롤과 그 작업 롤을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보강 롤을 구비하고, 또 상기 판재의 최대 판폭 이상의 범위에서 상기 작업 롤의 측면을 유체 압력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정압 베어링을 상기 작업 롤의 입구측 및 출구측의 쌍방에 구비한 압연기에 있어서, 상기 정압 베어링에 상기 작업 롤을 입구측 및 출구측의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 베어링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수평력 측정 수단을 입구측 및 출구측 중 적어도 한 쪽의 정압 베어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입구측 및 출구측 중 어느 한 쪽의 상기 정압 베어링에 상기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또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한 힘에 저항하는 압박력을 발생시키는 압박력 발생 수단을 다른 쪽의 상기 정압 베어링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 베어링으로 지지되는 롤의 상기 정압 베어링에 대한 부상량을 측정하는 부상량 측정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력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수평력에 따라서 상기 정압 베어링에 공급하는 유체 압력을 제어하는 공급 압력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력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수평력이 소정치 이하가 되는 위치에 상기 정압 베어링을 이동시키는 정압 베어링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력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수평력이 소정치 이하가 되는 위치에 상기 작업 롤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업 롤 이동용의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이동 수단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롤과 상기 정압 베어링 사이에 아이들 롤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 베어링에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 구멍을 판폭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하고, 또 상기 공급 구멍의 직경을 판폭 방향으로 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12. 제5항에 기재된 압연기를 이용한 압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평력 측정 수단에 의해 정압 베어링에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는 수평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수평력에 따라서 상기 압박력 발생 수단으로 발생시키는 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방법.
  13. 제6항에 기재된 압연기를 이용한 압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상량 측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정압 베어링에 대한 상기 롤의 부상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부상량에 따라서 상기 작업 롤의 입구측과 출구측 방향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방법.
  14. 제6항에 기재된 압연기를 이용한 압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상량 측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정압 베어링에 대한 상기 롤의 부상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부상량에 따라서 상기 압박력 발생 수단으로 발생시키는 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방법.
  15. 제6항에 기재된 압연기를 이용한 압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상량 측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정압 베어링에 대한 상기 롤의 부상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부상량에 따라서 상기 정압 베어링에 공급하는 유체 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방법.
  16. 제5항에 기재된 압연기를 이용한 압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평력 측정 수단에 의해 정압 베어링에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는 수평력을 조작측 및 구동측의 쌍방에서 측정하고, 조작측 및 구동측의 수평력 차에 따라서 상기 정압 베어링에 공급하는 유체 압력의 조작측과 구동측의 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방법.
  17. 제5항에 기재된 압연기를 이용한 압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평력 측정 수단에 의해 정압 베어링에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는 수평력을 조작측 및 구동측 쌍방에서 측정하고, 조작측 및 구동측의 수평력 차에 따라서 상기 압박력 발생 수단으로 발생시키는 힘의 조작측과 구동측의 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방법.
  18. 제6항에 기재된 압연기를 이용한 압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상량 측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정압 베어링에 대한 상기 롤의 부상량을 판폭 방향의 적어도 2지점에서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부상량의 조작측 및 구동측의 차에 따라서 상기 정압 베어링에 공급하는 유체 압력의 조작측과 구동측의 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방법.
  19. 제6항에 기재된 압연기를 이용한 압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상량 측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정압 베어링에 대한 상기 롤의 부상량을 판폭 방향의 적어도 2 지점에서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부상량의 조작측 및 구동측의 차에 따라서 상기 압박력 발생 수단으로 발생시키는 힘의 조작측과 구동측의 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방법.
KR1019980005573A 1997-02-24 1998-02-23 압연기 및 압연 방법 KR199800716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38909 1997-02-24
JP03890997A JP3249417B2 (ja) 1997-02-24 1997-02-24 圧延機および圧延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607A true KR19980071607A (ko) 1998-10-26

Family

ID=1253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573A KR19980071607A (ko) 1997-02-24 1998-02-23 압연기 및 압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03355A (ko)
JP (1) JP3249417B2 (ko)
KR (1) KR19980071607A (ko)
DE (1) DE19807554A1 (ko)
TW (1) TW39771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09U (ko) * 2017-03-31 2019-11-26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압연 안정성 제어 장치가 장비된 압연기 스탠드 및 관련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3823B2 (ja) 1998-06-02 2002-05-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板材圧延機
DE19944612C1 (de) * 1999-09-17 2000-11-23 Sundwig Gmbh Walzgerüst
JP3526554B2 (ja) * 2001-02-13 2004-05-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ンデム圧延設備及びその圧延方法
ES2326372T3 (es) 2003-03-20 2009-10-08 Nippon Steel Corporation Metodo y aparato para laminar una placa de material metalico.
CN101518786B (zh) * 2008-02-25 2011-04-1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轧辊及带钢边部板型缺陷控制方法
EP2248609B1 (en) * 2008-03-04 2014-07-09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Plate rolling mill and plate rolling method
JP5284772B2 (ja) * 2008-12-25 2013-09-11 株式会社ディスコ スピンドルアセンブリ
WO2011018126A1 (fr) * 2009-08-12 2011-02-17 Siemens Vai Metals Technologies Sas Méthode et dispositif de réglage automatique de la position des cylindres de travail d'une installation de laminage
US20140090437A1 (en) * 2011-04-12 2014-04-03 Michael Trevor Clark Roll stripper device and method
CN105880299B (zh) * 2015-11-19 2017-10-17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冷轧机工作辊水平移动距离的方法
CN107214191B (zh) * 2017-07-20 2019-04-30 攀钢集团西昌钢钒有限公司 一种粗轧生产方法
CN114769318A (zh) * 2022-03-30 2022-07-22 湖北工业大学 一种能高精度检测水平力的轧辊轴承座结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57547A5 (de) * 1982-08-31 1986-09-15 Escher Wyss Ag Walzwerk fuer ein bahnfoermiges material.
DE3503756A1 (de) * 1984-03-13 1985-09-19 SMS Schloemann-Siemag AG, 4000 Düsseldorf Sechswalzengeruest
JPS6018211A (ja) * 1984-06-21 1985-01-3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圧延機の形状制御装置
JPS6119708A (ja) * 1984-07-05 1986-01-28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の脱珪操業方法
JP2714071B2 (ja) * 1988-11-30 1998-0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圧延機
JP2972401B2 (ja) * 1991-08-26 1999-1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圧延機及び圧延方法
JP3121471B2 (ja) * 1993-04-22 2000-1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圧延機および圧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09U (ko) * 2017-03-31 2019-11-26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압연 안정성 제어 장치가 장비된 압연기 스탠드 및 관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30308A (ja) 1998-09-02
DE19807554A1 (de) 1998-09-10
US6003355A (en) 1999-12-21
TW397719B (en) 2000-07-11
JP3249417B2 (ja) 200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696B1 (ko) 판 압연기 및 판 압연 방법
KR19980071607A (ko) 압연기 및 압연 방법
JP4819202B1 (ja) 圧延機および圧延機の零調方法
EP0534602B1 (en)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US4481800A (en) Cold rolling mill for metal strip
KR100687310B1 (ko) 금속 판재의 압연 방법 및 압연 장치
CN100364681C (zh) 提高经过包括叠瓦状辊的平整机的产品路径的控制精度的方法以及实现这种方法的平整设备
US6446477B2 (en) Plate rolling mill
KR101232360B1 (ko) 판 압연기 및 판 압연 방법
JPH0217244B2 (ko)
JPS6320111A (ja) 蛇行制御装置
JP2020040097A (ja) 圧延機及び圧延機の設定方法
US3526114A (en) Rolling of strip
JPWO2010016216A1 (ja) 金属板材の圧延方法および圧延装置
JP2001232402A (ja) 板材圧延機および板材圧延方法
JP3075107B2 (ja) 圧延装置
JPH09285804A (ja) 圧延機及び圧延方法並びに圧延機の制御方法
JPH06269812A (ja) 圧延機及び圧延機のロールクロス方法
KR20010058077A (ko) 냉간압연기 롤갭 제어방법
JPH08155518A (ja) 板圧延方法
JPS60255204A (ja) 圧延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