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1094A - 차량의 승객측상의 플랩 아래의 계기판에 설치된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승객측상의 플랩 아래의 계기판에 설치된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1094A
KR19980071094A KR1019980003217A KR19980003217A KR19980071094A KR 19980071094 A KR19980071094 A KR 19980071094A KR 1019980003217 A KR1019980003217 A KR 1019980003217A KR 19980003217 A KR19980003217 A KR 19980003217A KR 19980071094 A KR19980071094 A KR 19980071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ushion
airbag device
reinforcement
tr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르니시하르트무트
스페히트마르틴
Original Assignee
카알-하인츠 폼피노, 페트라 가이스
베커그룹유로페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알-하인츠 폼피노, 페트라 가이스, 베커그룹유로페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카알-하인츠 폼피노, 페트라 가이스
Publication of KR19980071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09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021/2612Gas guiding means, e.g.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차량의 승객측의 에어백 장치는 펼쳐진 상태에서 강화 세미셀(8) 및 계기판(9)을 구비하는 한 유니트로 일체화된 가스 쿠션(2) 및 차량본체에 고정적으로 접속되며, 바람직하게 가요성 설계의 가스관(3)에 의해 상기 가스쿠션(2)의 가스 입구에 접속된 부품상에 분리적으로 지지되는 가스발생기(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승객측상의 플랩 아래의 계기판에 설치된 에어백 장치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른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승객측의 플랩(flap) 또는 커버 아래의 계기판에 설치된 에어백 장치는 충전가스용 가스원 및 상기 충전가스로 충전되는 경우, 차량내부로 펼쳐지는 가스 쿠션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스원 및 가스쿠션은 모듈 안쪽에 점령되는 경우 서로 근접하여 배치된다. 가스 쿠션이 펼쳐지면 그 가스 쿠션은 휴지 상태에서 플랩에 의해 커버되는 계기판내의 개구를 통해 가압된다. 상기 가스원 및 가스쿠션을 구비하며, 일반적으로 글로브 콤파트먼트(compartment) 상부에 위치한 구성 유니트는 비교적 큰 공간을 필요로하며 그 결과 상기 글로브 콤파트먼트용으로 활용가능한 공간이 상당히 감소된다. 더욱이 상기 펼침과정중 일어나며, 상기 계기판 영역에서 상기 가스 쿠션 펼침으로 생긴 압축 및/또는 인장력을 신뢰성있게 흡수하는 것이 어렵게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서두에서 언급한 타입의 에어백장치, 즉 자동차의 계기판뒤의 활용공간이 가스원 특히 가스발생기용으로 상기 글로브 콤파트먼트용의 공간에 대한 최소의 손상으로 이용되는 에어백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제 1실시예의 단면도,
도 2 는 제 2실시예의 단면도,
도 3 은 제 3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제 4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제 5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제 6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발생기 2 : 가스 쿠션
3 : 가스관 4 : 플랩
6 : 홀딩 콤파트먼트 7 : 강화 트로프
8 : 강화 세미 셀 9 : 계기판
10 : 주변 지지부 11 : 가스 개구
12 : 힌지 15 : 부착 프레임
17 : 카운터 피스 18 :베이어넷 클로저
20 : 클로저 피스 22 : 클립
23 : 홀더 24 : 가스 유도 실린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스쿠션 및 가스발생기는 차량내에 적합한 공간에 부착, 고정된다. 상기 가스 발생기 및 가스 쿠션은 충전가스 용의 가스관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상기 가스관은 공차를 브리지하는 가스발생기와 가스 쿠션 사이의 가요성 접속부로서 지칭되지만, 상기 가스관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강성으로 설계하고 상기 가스발생기와 가스관사이의 및/또는 가스쿠션 부착부와 가스관사이의 공차를 브리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속발명으로서 가스발생기는 차량의 두 개의 A 필라사이에서 연장하는 크로스 지주(cross-strut AA) 또는 지지되는 다른 부품에 부착될 수 있거나 차량 본체 즉 스플래시 벽(splash wall) 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크로스 지주는 가스 발생기 또는 가스발생기 부착부와 상기 크로스 지주사이에 포지티브 록킹 동작이 생성되는 방식으로 그 윤곽이 설계된다.상기 크로스 지주와 가스 발생기사이의 접속은 가스 발생기 용으로 상기 크로스 지주에 고정적으로 접속된 홀더에 의해 스크류 접속 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에 의해 영향받는다. 가스 발생기는 바람직하게 상기 크로스 지주의 상부면상에 위치하여서 그로브 콤파트먼트용으로 그 아래에 위치한 공간이 제한되지 않는다.
가스쿠션과 가스발생기사이에 가스관으로 형성된 접속은 분리가능하며, 이러한 식으로 가스발생기의 교환이 간단해지므로 가스관이 분리되면 가스발생기의 부착위치가 특정의 서비스 주기에서의 교환에 보다 용이하게 근접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전술한 상기의 케이스와 같이 가스 쿠션과 더불어 전체모듈이 아니라 가스 발생기만을 교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펼쳐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스쿠션은 플랩 개방시의 펼침과정동안 그가 빠져나오는 계기판내의 개구를 폐쇄하는 상기 플랩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더블 지그재그 형상)양호하게 배치된 가스쿠션은 상기 플랩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계기판 아래에 배치된 강화 세미 셀(DE 44 21 820호, EP 06 88 700호)로 바람직하게 형성된 홀딩 콤파트먼트내에 위치한다. 포지티브 록킹 방식으로 상기 록킹 콤파트먼트내에 지지되며 측면 및 바닥에서 상기 펼쳐진 가스쿠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강화 트로프(reinforcing trough)가 설치된다. 상기 강화 트로프는 가스쿠션의 펼침시 발생하는 압축력 및 인장력이 강화 트로프로부터 바람직하게 강화 세미 셀 및 가스관을 통해 크로스 지주 AA에서 바람직하게 차량본체로 흡수 유도되는 방식으로 홀딩 콤파트먼트 내에 지지된다. 상기 가스 쿠션은 가스 기밀식으로 강화 트로프에 바람직하게 접속되며, 또한 가스관은 가스 기밀식으로 강화 트로프에 접속되지만 상기 가스관은 가스 기밀식으로 상기 가스쿠션에 접속될 수 도있다. 상기 강화 트로프 또는 가스 쿠션에의 가스관의 가스기밀 접속은 가스 쿠션과 강화 트로프 사이의 바람직하게 환형설계의 접속부내에 바람직하게 위치한다.
상기 강화 트로프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홀딩 콤파트먼트 하측의 개구내에 강화 트로프 용의 지지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강화 트로프는 강화 세미셀로서 설계된 홀딩 콤파트먼트의 상부 측상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펼침 동작시 일차적으로 발생하는 압축력이 상기 강화 세미 셀을 통해 차량본체로 흡수 전달된다. 본 발명에 의해 계기판 및 강화 세미셀로부터 형성된 홀딩 콤파트먼트에서의 한 장치로서 일체화된 가스 쿠션과 더불어 가스발생기의 공간 절약 위치설정 및 장착이 다른 차량 타입에서 행해질 수 있다. 펼쳐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스 쿠션은 상기 강화 세미셀상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홀딩 콤파트 먼트내의 계기판 상의 통과개구를 폐쇄하는 플랩 바로아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을 이하의 첨부도면을 참조한 일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가스 발생기 및 가스쿠션은 차량의 분리 공간에 위치하며, 가스쿠션(2)은 계기판(9)내의 플랩(4)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계기판(9)은 공지의 방식으로 설계되며, 필름으로 가능하게 적층된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내에는 도면에서 도시된 노멀한 상태에 있어서, 힌지(12)로서 플랩(4)에 의해 폐쇄되는 개구가 형성된다. 커버의 경우에 있어서, 스트랩에 의해 힌지가 상기 계기판에 접속된다. 상기 계기판(9)아래에 강화 세미셀(8)이 위치한다. 가스쿠션(2) 용의 홀딩 콤파트먼트(6)가 상기 강화 세미셀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홀딩콤파트먼트(6)는 또한 에어백의 충전동안 펼쳐지는 에어백을 가이드하는 추트(chute 활송장치)로서 기능한다. 상기 계기판 및 강화 세미셀은 한 유니트를 형성하도록 본딩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EP 06 88 700, DE 44 21 820호)
펼쳐진 가스 쿠션(2)용의 수용 콤파트먼트를 형성하도록 형상화된 강화 세미셀 부분의 내측상에는 포지티브 록킹 접속으로 상기 내측에 대해 휴지상태에 있는 바람직하게 금속으로 이루어진 평평한 강화부가 위치한다. 상기 강화부는 트로프의 바닥에 개구가 있는 트로프의 형태로 고정된다. 상기 펼쳐진 가스쿠션은 상기 강화 트로프(7)에 의해 수용된다. 강화 트로프(7)는 도 3내지 6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는데, 상기 강화 트로프(7)의 측벽은 상기 홀딩 콤파트먼트(8)의 내벽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며, 상기 펼쳐진 가스쿠션(2)을 부분적으로 감싼다. 그러나 상기 강화 트로프는 도 1내지 2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도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강화 트로프(7)는 강화 세미셀(8)상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홀딩 콤파트먼트(6)의 전체 내벽에 걸쳐서 연장한다. 또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화 트로프(7)는 상기 홀딩 콤파트먼트(6)의 상부측에 형성된 숄더(13)에 걸쳐 위치한다.
하부에서 개방상태에 있는 상기 홀딩 콤파트먼트(6)는 강화 트로프(7)가 리세트되고 그 하부에서 지지되는 주변지지부(10)를 구비한다. 강화 트로프(7)는 그 바닥에서 개구(14)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14)를 통해 충전동작동안 가스 쿠션(2)의 내부로 가스가 들어가게된다. 강화 트로프(7)는 강화 세미 셀(8)상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홀딩 콤파트먼트(6)의 강화부를 형성한다. 상기 가스 쿠션(2)이 충전되는동안 충전 동작의 초기 페이스에서 압축력이 발생한다. 충전동작의 최종 페이스 및 그 종료시에 반대 지향의 인장력이 동작한다. 원뿔형상의 홀딩 콤파트먼트(6)의 내측상의 강화트로프(7)의 대 면적 지지부로 인해 압축력이 강화 세미 셀(8)을 통해 챠량 본체로 들어간다.
또한 가스쿠션은 프레스 온(pressed- on) 부착 프레림(15)의 도움으로 강화트로프(7)의 바닥에 압력기밀 방식으로 접속된다. 상기 부착프레임(15)은 강화트로프(7)내의 개구(14)를 에워싸며, 도 1,2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스관(3)에의 가스기밀 접속부가 상기 개구(14)를 둘러싸는 강화트로프(7)와 가스쿠션(2)사이의 가스기밀 접속을 형성하는 부착프레임(15)의 내측에서 형성된다.
도 1 및 2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스개구(11)에 의해 형성된 가스발생기의 가스출구측과 가스 쿠션(2)의 내부개구 또는 내부사이의 접속을 형성하는 가스관(3)은 가요성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요성 가스관(3)은 호스 형태로 형성되며, 가스 기밀 인너코팅부 또는 가요성 금속튜브를 구비하는 직물로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가스관(3)의 직물은 가스쿠션의 직물과 동일한 형태로된다. 가스기밀식으로 코팅된 호스형상의 직물이 소방호스 또는 가요성금속튜브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적합하게된다. 상기 가스관(3)의 직물은 하나 이상의 심(seam;16)(도 1)의 영역에서 가스쿠션(1)의 직물에 접속된다. 상기 심(16)은 강화 트로프(7)의 바닥부와 상기 가스쿠션(2)사이의 부착프레임(15)에 의해 형성된 가스기밀 접속부내측에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가스관(3)의 호스에 접속된 베이너넷 클로저(bayonet closure;18)용 카운터 피스(17)는 부착 프레임(15)상에 성형된다.
따라서 도 1 및 2의 실시예에 있어서, 강화 셀(8)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홀딩 콤파트먼트(6)내에서 펼쳐진 가스쿠션(2)이 일체적인 설치될 수 있다. 펼쳐진 가스쿠션(2)은 강화 세미셀(8) 및 계기판(9)으로부터 형성된 유니트로 일체화될 수 있거나 사전조립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호스형 가스관(3)은 상기 강화 세미셀(8) 및 계기판(9)으로된 유니트로 사전조립되어 일체화된 가스쿠션(2)상에 붙여질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 일체화된 가스쿠션(2)의 접속부는 상기 사전조립된 상태에서 베이어넷 클로저(18)에 의해 형성된다. 가스관(3)에 의한 가스발생기(1)의 가스출구측에의 일체화된 가스쿠션(2)의 접속은 뒤쪽에 생성될 수 있으며 베어어넷 클로저(19)로 바람직하게 설계될 수 있는 가스기밀 클로저에 의해 상기 두 실시예에서 만들어진다. 상기 베이어넷 클로저(19)는 가스관 호스 단부에 접속되며, 베어어넷 수용기(21)에 가스 기밀식으로 삽입되는 클로저 피스(20)를 구비한다. 상기 베어어넷 수용기(21)는 부착 클립(22)에 고정적으로 접속된다. 부착 클립(22)에 의해 가스발생기(1)가 차량의 두 개의 A 필라사이에서 연장하는 크로스 지주(5 ;크로스 지주 AA)에 고정적으로 접속된다. 이를 위해 가스 발생기(1)가 고정되는 클립(22)이 용접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상기 크로시 지주AA5에 고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포지티브 록킹 접속을 위해 크로스 지주(5)는 가스 발생기(1)와 더불어 클립(22)이 삽입되는 관통형 리세스를 구비한다. 또한 차량본체에 고정적으로 접속되는 홀더(23)는 클립(22)과 가스발생기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발생기는 예를 들어 홀더(23)에 스크류되게 접속된다.
그러나 가스발생기는 예를 들어 스플래시 벽에 차량본체의 다른위치에서 고정적으로 접속된다. 일체형 가스쿠션(2)과 가스발생기(1)사이의 가스관(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고정접속부는 적합한 위치에서 가스발생기(1)의 최적의 배치를 가능케하는데 상기 위치는 차량본체에의 기계적 가스발생기 홀더(클립(22) 및/또는 홀더(23))의 논 포지티브 접속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가스발생기는 클로브 콤파트먼트(12)용의 공간이 손상되지 않는 식으로 배치된다.
가스관(3)의 가요성 설계를 위해 특히 호스 형태의 설계를 위해 가스 쿠션(20 및 가스발생기(1)가 배치되는 부착 장소사이에 공차보상이 행해진다. 상기 가스발생기(1)는 특히 도 3내이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하이브리드 가스발생기로서 바람직하게 설계된다. 가스 발생기(1)의 가스 출구측과 가스관(3)사이의 베어어넷 클로저(19)형태의 부착가능 접속부가 규정의 주기내에서(약 10 내지 12 년) 특히 가스발생기의 교환에 있어서 가스발생기의 서비스를 용이하게한다. 이를 위해 단지 베이너넷 클로저(19)만이 가스발생기(1)에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끔 릴리즈된다. 강화 트로프(7) 및 크로스 지주(5)에의 가스관(3)의 부착 또는 차량본체 상에의 다른 부품이 에어백의 충전시 발생하는 과도한 인장력이 차량본체에 의해 흡수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 3내지 6에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강화 셀(8)과 계기판(9)을 구비하는 유니트에서 일체화된 가스발생기(1)와 충전되는 가스쿠션(2)사이의 가스관(3)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필름 물질이되며, 상기 물질은 적합한 접속 포인트에 제공되는 공차를 보상하는 수단이다. 가스발생기(1)는 차량본체의 적합한 부분 즉 크로스 지주 AA, 스플래시 벽 및 그와 유사한 것에 스크류 접속의 도움으로 고정 방식으로 부착된다. 사용된 가스발생기는 가스 출구(11)가 설치된 방식으로 설계되는데, 상기 가스 출구(11)는 상기 가스 발생기의 원주상의 둘레에 설치되며, 가스발생기(1)의 가스출구측을 형성한다. 가스 유도 실린더(24)는 가스 출구(11)을 에워싸며, 상기 가스관(3)에 접속된다. 도 4, 5 및 6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스관(3)의 상단부는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강화 트로프(7)에 접속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22)은 가스 유도 실린더로서 설계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가스 유도 실린더(240에의 가스 발생기(1)의 부착이 도 및 2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 호스같은 가스 기밀 코팅부를 가지고 내측에 제공되는 직물로된 가요성 호스(25)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5의 실시예에 있어서, 공차를 보상하는 가스기밀수단은 차량본체 상에의 고정 부착포인트에 제공되는 가스발생기의 축방향 부착을 보장하는 가요성 고무 다이아프램 또는 에틸렌/프로피렌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다이아프램 특히 EP,DM(에틸렌/프로피렌/다이엔 테르 폴리머)다이아프램물질로 이루어진다. 예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고무 다이아프램(26)이 제공되며, 이는 겹으로 배치되어 차량본체에 고정방식으로 부착된 가스발생기(1)에의 가스관(가스 유도 실린더(24))의 포지티브 록킹 및 가스 기밀 부착을 보장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본체에 고정방식으로 부착된 가스발생기(1)에의 가스관(가스 유도 실린더(24))의 가스 기밀 축방향 부착부는 공차를 보상하며, 열가소성 물질로된 커팅 링 실(27)에 의해 형성된다. 충전가스가 가스 출구로부터 흐를 때 상기 커팅링 실(27)은 여압의 방향으로 압축된다.
반면 도 4,5 및 6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스관 및 가스발생기(1)의 축방향 부착부가 생성되는 반면,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스관의 방사상 부착부가 트레드 부시(threaded bush;28,29)의 도움으로 형성된다. 하부의 트레드 부시(29)는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가스 유도 실린더(24)에 고정적으로 접속되며, 상부 트레드 부시(28)는 실시예에 있어서 방사상 샤프트 실로서 설계된 실링 링(30)에 의해 강화트로프(30)의 바닥에 접속된다. 실링 링(30)은 하우징 본체상에서 강화트로프(7)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가스 발생기(1)의 접속부를 형성하며 상기 접속부에 의해 공차가 보상된다. 상기 두 개의 트레드 부시(28,29)는 유니온 노트(31)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가스 발생기(1)의 회전 배치 그리고 상기 트레드 부시(28,29) 및 유니온 노트(31)에 의해 형성되는 가스관(3)의 변위 량에 의해 추가적인 공차 보상이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용된 가스발생기(1)는 하이브리드 가스발생기로서 설계되며,도 3내지 6에 있어서, 가스 발생기의 점화를 위한 전기 점화 케이블(32)이 설치된다.
지금까지 기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계기판뒤의 활용공간이 글로브 콤파트먼트용의 공간에 대한 최소의 손상으로 가스원 특히 가스발생기용으로 이용되는 에어백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3)

  1. 차량의 승객 측상의 플랩 아래의 계기판 내에 설치되며, 충전가스용의 가스원 및 상기 충전가스로 충전될 시 상기 플랩 또는 리드에 의해 커버되는 휴지 상태에 있는 계기판 내의 개구를 통해 승개측상의 차량내부로 펼쳐지는 가스 쿠션을 구비하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쿠션(2) 및 가스발생기(1)는 분리 위치에서 차량에 부착되며, 충전가스 용의 가스관(3,24)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쿠션은 펼쳐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계기판(9) 및 강화 세미 셀(8)을 구비하는 유니트에서 일체화되며, 상기 가스발생기(1)는 차량본체에 고정적으로 접속된 부품상에서 지지되며, 상기 가스관(3,24)은 공차를 보상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관(3,24)은 가스발생기(1)의 가스출구측(가스 출 개구(11)) 및 가스쿠션(2)의 입구를 가스 기밀 식으로 서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4. 제 1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기(1)는 차량의 두 개의 A 필라사이에서 연장하는 크로스 지주(크로스 지주 AA5)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기(1)는 크로스 지주(5)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6. 제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기(1)는 포지티브 록킹 접속으로 크로스 지주(5)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7. 제 1 내지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관(3)은 가스발생기(1)의 가스 출구측에의 접속시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8. 제 1항 내지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쿠션(2)은 펼쳐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플랩(4)바로 아래에 위치한 홀딩 콤파트먼트(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콤파트먼트(6)는 계기판(9)과 더불어 한 유니트를 형성하는 강화 세미 셀(8)상에 한-피스 성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0.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콤파트먼트(6)는 가스쿠션(2)의 펼침시 그를 가이드하는 추트(chute)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1. 제 1 내지 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콤파트먼트(6)는 가스 기밀 식으로 가스 쿠션(2)에 접속된 트로프 형 강화면(강화 트로프(7))과 그 내측상에서 맞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2. 제 1 내지 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트로프(7)와 가스쿠션(2)사이의 환형 가스 기밀 접속부가 상기 가스관(3)에 접속된 카스 쿠션의 가스 입구를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3. 제 1 내지 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동작 동안 작용하는 압축 및 /또는 인장력이 상기 강화 트로프(7)에 의해 흡수되며, 강화세미셀(8) 및/또는 가스관(3)을 통해 차량본체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4. 제 1 내지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콤파트먼트(6)는 강화트로프의 바닥 부에서 강화트로프(7)용의 지지부(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5. 제 1 내지 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쿠션(2)은 가스 기밀식으로 강화 트로프(7)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6. 제 1 내지 1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관(3)은 가스기밀식으로 상기 강화 트로프(7)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7. 제 1 내지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관(3)은 가스기밀식으로 가스발생기(1)의 가스출구측을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8. 제 1 내지 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트로프(7)와 상기 가스발생기(1)사이에 공차보상수단(3;25;26;28-3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9. 제 1 내지 1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관(3)은 공차 보상을 위해 가요성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20. 제 1 내지 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관(3)은 호스로 특히 가요성 금속관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21. 제 1 내지 2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관(3)의 호스는 직물로 이루어지며, 그 내벽상에 가스 기밀 코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22. 제 1 내지 2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관(3) 또는 심(16)의 호스는 가스 쿠션(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23. 제 1 내지 2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 금속관으로서 설계된 가스관이 가스쿠션(2)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1019980003217A 1997-02-07 1998-02-05 차량의 승객측상의 플랩 아래의 계기판에 설치된 에어백 장치 KR199800710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04684A DE19704684C2 (de) 1997-02-07 1997-02-07 Beifahrerairbagvorrichtung
DE19704684.3 1997-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094A true KR19980071094A (ko) 1998-10-26

Family

ID=7819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217A KR19980071094A (ko) 1997-02-07 1998-02-05 차량의 승객측상의 플랩 아래의 계기판에 설치된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22043A (ko)
EP (1) EP0857623B1 (ko)
JP (1) JPH10217893A (ko)
KR (1) KR19980071094A (ko)
BR (1) BR9815943A (ko)
DE (2) DE19704684C2 (ko)
ES (1) ES2152713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290B1 (ko) * 2002-09-13 2004-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개성능을 향상한 수평 마운팅식 조수석 에어백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42339C (en) * 1996-11-07 2002-07-0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rrangement and construction of crew protective device for automobile
DE19801125A1 (de) * 1998-01-14 1999-07-15 Breed Automotive Tech Airbagmodul
DE19819206A1 (de) 1998-04-29 1999-11-11 Hs Tech & Design Airbag, insbesondere Beifahrerairbag
DE19904320B4 (de) * 1999-01-28 2012-11-15 Volkswagen Ag Insassenschutz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Airbag
FR2789022B1 (fr) * 1999-02-03 2001-04-06 Allibert Ind Equipement interieur de vehicule pour la protection d'un occupant en cas de choc
DE19913039A1 (de) * 1999-03-23 2000-09-2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 Airbagmodul
DE19948036A1 (de) * 1999-10-06 2001-04-1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Gassackrückhalte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DE10023651B4 (de) * 2000-05-13 2008-08-14 Acts Gmbh & Co. Kg In ein Innenverkleidungsteil für Kraftfahrzeuge integriertes Airbag-System
DE10040248A1 (de) * 2000-08-14 2002-03-28 Magna Eybl Systemtechnik Gmbh Insassenschutz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20114375U1 (de) * 2001-08-31 2002-01-17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Gassackmodul
DE50203430D1 (de) 2001-10-17 2005-07-21 Volkswagen Ag Airbaganordnung in einem fahrzeug, insbesondere einem kraftfahrzeug
DE10160192A1 (de) 2001-12-07 2003-06-26 Trw Repa Gmbh Instrumententafel mit Aufnahme für ein Gassack-Modul
US6851704B2 (en) 2002-05-13 2005-02-08 Lear Corporation Air bag assembly
DE10249375A1 (de) * 2002-10-23 2004-05-19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Gassackmodul mit Gaslanze
US20040100080A1 (en) * 2002-11-27 2004-05-27 Depue Todd Expandable skin for safety restraint system
US20050023802A1 (en) * 2003-07-31 2005-02-03 Enders Mark L. Adapter unit for a knee airbag
DE10354560B4 (de) * 2003-11-21 2007-08-02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Gassackmodul
US7093847B2 (en) * 2003-11-26 2006-08-22 Takata Restraint Systems, Inc. Instrument panel adapter for airbag mount
DE602005010829D1 (de) * 2004-02-17 2008-12-18 Faurecia Innenraum Sys Gmbh Airbaganordnung
DE102004010869B4 (de) * 2004-03-05 2005-12-29 Trw Automotive Gmbh Gassack-Modul, insbesondere für einen Knie-Gassack
DE202005016887U1 (de) * 2005-10-20 2006-01-19 Takata-Petri Ag Airbagmodul, insbesondere für einen Knieairbag
US20080007032A1 (en) * 2006-07-07 2008-01-10 Lear Corporation Instrument panel assembly with airbag
US20080088119A1 (en) * 2006-10-13 2008-04-17 Yoshiki Murakami Passenger constraining apparatus
DE102008017134A1 (de) 2008-04-03 2009-10-08 Iac Group Gmbh Airbag-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EP2193960B1 (de) * 2008-12-05 2010-10-13 Peguform GmbH Modular aufgebautes Innenverkleidungsbauteil mit einem Schusskanalmodul für einen Airbag
DE102009038442B4 (de) * 2009-08-21 2017-07-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Airbageinrichtung mit einem kraftfahrzeugseitigen Tragteil, einem Gasgeneratormodul und einem Gassackmodul
DE102009047295B4 (de) * 2009-11-30 2017-01-19 TAKATA Aktiengesellschaft Aufnahme für einen aufblasbaren Gassack eines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derartigen Aufnahme
JP5327383B2 (ja) * 2011-07-19 2013-10-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ES2461042B1 (es) * 2012-11-15 2014-12-10 Seat, S.A. Dispositivo de fijación de un airbag
DE102014106093A1 (de) * 2014-04-30 2015-11-05 Autoliv Development Ab Aufnahme für einen aufblasbaren Gassack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Aufnahme
US9694778B1 (en) 2016-03-11 2017-07-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side air bag assembly
DE102019122992A1 (de) * 2019-08-27 2021-03-04 Zf Airbag Germany Gmbh Baugruppe aus einer Abdeckkappe eines Rohrgasgenerators und einem Deflektorelement, Rohrgasgenera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ohrgasgenerators
DE102019122987A1 (de) * 2019-08-27 2021-03-04 Zf Airbag Germany Gmbh Diffusor für einen Gasgenerator, Gasgenerator mit einem solchen Diffusor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n solchen Diffusor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7234A (en) * 1963-06-10 1965-07-27 Harry A Bertrand Safety device for vehicle passengers
US3473824A (en) * 1967-08-18 1969-10-21 Eaton Yale & Towne Safety device
US3625543A (en) * 1969-09-15 1971-12-07 Eaton Yale & Towne Safety apparatus
US3618977A (en) * 1970-05-11 1971-11-09 Gen Motors Corp Inflatable occupant restraint
DE2024813C3 (de) * 1970-05-21 1981-05-14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Aufprallschutzvorrichtung für die Insassen eines Kraftwagens
US3937258A (en) * 1971-04-09 1976-02-10 Allied Chemical Corporation Flexible flapper
DE2143166A1 (de) * 1971-08-28 1973-03-08 Heckler & Koch Gmbh Passive sicherheitseinrichtung vom air-bag-typ fuer transportmittel
US3756621A (en) * 1971-11-03 1973-09-04 Allied Chem Argon compressed gas supply
US3799573A (en) * 1971-12-13 1974-03-26 Gen Motors Corp Vehicle body occupant restraint cushion system
US3961806A (en) * 1972-02-04 1976-06-08 Rocket Research Corporation Two stage inflation system
US3897961A (en) * 1973-05-02 1975-08-05 Chrysler Corp Inflatable restraint apparatus
US3856180A (en) * 1973-06-25 1974-12-24 Gen Motors Corp Inflator
FR2238343A5 (ko) * 1973-07-18 1975-02-14 Peugeot & Renault
DE3422263A1 (de) * 1984-06-15 1985-12-19 Audi AG, 8070 Ingolstadt Sicherheitseinrichtung zum schutz von fahrzeuginsassen bei einem seitenaufprall
GB2191450A (en) * 1986-06-14 1987-12-16 Britax P M G Ltd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JPH0268250U (ko) * 1988-11-11 1990-05-23
JP3107383B2 (ja) * 1990-03-26 2000-11-06 マツダ株式会社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H05139237A (ja) * 1991-06-28 1993-06-08 Daihatsu Motor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ツグモジユールの取付け構造
DE4320147B4 (de) * 1992-06-30 2006-06-29 Volkswagen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sassen mit einem Seitenairbag
US5490691A (en) * 1992-06-30 1996-02-13 Volkswagen Ag Vehicle safety arrangement for positioning a vehicle occupant
DE4228696C2 (de) * 1992-08-28 1996-06-20 Hs Tech & Design Pyrotechnischer Gasgenerator
FR2696392B1 (fr) * 1992-10-06 1995-01-06 Peugeot Dispositif de sécurité à sac gonflable, pour véhicule automobile.
JP3759966B2 (ja) * 1993-02-01 2006-03-29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乗員保護装置
US5322322A (en) * 1993-02-19 1994-06-21 Simula Inc. Side impact head strike protection system
US5480181A (en) * 1993-02-19 1996-01-02 Simula Inc. Side impact head strike protection system
US5464246A (en) * 1993-02-19 1995-11-07 Simula Inc. Inflatable tubular cushions for crash protection of seated automobile occupants
JPH06344841A (ja) * 1993-06-11 1994-12-2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乗員保護装置
CA2117831C (en) * 1993-10-13 1998-06-09 Akihiro Ikeya Passive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occupant using an air bag
JPH07117605A (ja) * 1993-10-27 1995-05-09 Honda Motor Co Ltd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US5409256A (en) * 1994-01-04 1995-04-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Driver-side air bag module assembly
DE19512332B4 (de) * 1994-04-15 2004-01-15 Volkswagen Ag Airbageinrichtung
DE4419817C2 (de) * 1994-06-07 2002-02-14 Siemens Restraint Systems Gmbh Gassack-Aufprallschutz-Einrichtung
DE4421820A1 (de) * 1994-06-22 1996-01-04 Ebers & Mueller Fibrit Instrumententafel
JPH0826063A (ja) * 1994-07-19 1996-01-30 Nissan Moto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DE4426848A1 (de) * 1994-07-28 1996-02-01 Hs Tech & Design Airbagvorrichtung
US5540459A (en) * 1994-10-05 1996-07-30 Ford Motor Company Roof rail mounted airbag assembly
DE19505216A1 (de) * 1995-02-16 1996-02-22 Daimler Benz Ag Gassack zum Schutz eines Insassen vor einem harten Anprall
JPH08301031A (ja) * 1995-05-08 1996-11-19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5542691A (en) * 1995-09-07 1996-08-06 Morton International, Inc. Exterior seat back mounted side impact airbag module assembly
US5568936A (en) * 1995-11-08 1996-10-29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module case for side impact airbag module
US5755457A (en) * 1995-11-30 1998-05-26 Becker Group Europe Gmbh Air bag device
DE29606724U1 (de) * 1996-04-15 1996-11-14 Trw Repa Gmbh Gassack-Modul für ein Fahrzeu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290B1 (ko) * 2002-09-13 2004-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개성능을 향상한 수평 마운팅식 조수석 에어백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52713T3 (es) 2001-02-01
EP0857623B1 (de) 2000-11-02
DE19704684A1 (de) 1998-08-13
DE59800318D1 (de) 2000-12-07
JPH10217893A (ja) 1998-08-18
EP0857623A1 (de) 1998-08-12
BR9815943A (pt) 2001-02-13
DE19704684C2 (de) 2000-08-10
US6022043A (en) 200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1094A (ko) 차량의 승객측상의 플랩 아래의 계기판에 설치된 에어백 장치
JP3391423B2 (ja) 自動車の漏洩圧縮燃料ガス排出用管先端部の取付け構造
US5794979A (en) Method and structure for mounting a fuel tank
US5558362A (en) Gas bag module
US6227561B1 (en) Roofliner for a motor vehicle
US9039063B2 (en) Tank recess
CN101563257B (zh) 帘式气囊
EP0471762A1 (en) GAS BAG ASSEMBLY.
EP0471746A1 (en) IMPROVED AIR BAG ASSEMBLY.
JP2003118401A (ja) 燃料電池車両の燃料タンク搭載構造
US7364191B2 (en) Gas flow distributor for a lateral airbag module
US5762360A (en) Air bag assembly
US6161864A (en) Gas bag module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7614645B2 (en) Airbag module
US6663141B2 (en) Inflatable safety restraint assembly and methods of installing such an inflatable safety restraint assembly
US20040041381A1 (en) Housing for motor vehicle airbag
US20010042750A1 (en) Filler neck for a fuel tank of a motor vehicle
US8454051B2 (en) Airbag module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20030038459A1 (en) Gas generator for an airbag on the steering wheel of a motor vehicle
CN101090843B (zh) 用于乘客或膝盖区域的气囊组件
US20060261581A1 (en) Instrument panel
JP2715043B2 (ja) 自動車の加圧燃料タンク配管密閉構造
JP3862908B2 (ja) 自動車の燃料ガス配管構造
US10807557B2 (en) Airbag device
JP2003211982A (ja) 燃料電池車両の水素配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