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9897A - 무선 기지국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기지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9897A
KR19980069897A KR1019970040023A KR19970040023A KR19980069897A KR 19980069897 A KR19980069897 A KR 19980069897A KR 1019970040023 A KR1019970040023 A KR 1019970040023A KR 19970040023 A KR19970040023 A KR 19970040023A KR 19980069897 A KR19980069897 A KR 19980069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ransmission power
beam tilt
tilt angl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8653B1 (ko
Inventor
소고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세키자와다다시
후지쓰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자와다다시, 후지쓰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자와다다시
Publication of KR19980069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8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8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6Circuits for superheterodyne receivers
    • H04B1/28Circuits for superheterodyne receivers the receiver comprising at least on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셀사이즈에 맞춰서 가변하면, 송신 전력을 저하시켰을 때, 셀밖에서의 불필요한 전파가 감소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불필요한 전파가 감소하지 않으면 채널 용량이 저하된다.
이동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 상태에 따라서, 이동기에 대한 송신 전력을 증감하는 송신 전력 증감 수단과 송신 전력의 증감에 기초하여, 안테나의 빔 틸트각을 가변하는 빔틸트각 가변 수단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수신 상태에 따라서 송신 전력을 증감하는 동시에 안테나의 빔틸트각을 가변함으로써 채널 용량에 따른 셀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으며, 셀 밖에서의 불필요한 전파의 영향으로 채널 용량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기지국 장치
본 발명은 무선 기지국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효율이 높은 통신 방식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으며, 특히 CDMA(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이 대용량화를 실현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유력시되고 있다.
도 18은 종래의 CDMA 방식의 무선 기지국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동일 도면 중, 송신 데이타는 부호화부(10)로 스펙트럼 확산 부호화된 후, D/A 변환부(12)로 아날로그화된다. 이 후, 변조부(14)에서 예컨대 직교 변조등의 변조가 행해진다. 이 피변조 신호는 가변 이득 앰프(16)로 증폭되어, 주파수 변환 회로(18)로 고주파 신호로 된 후, 하이 파워 앰프(20:HPA)로 증폭되며, 분파기(22)로부터 동축 케이블(24)을 거쳐서 안테나(26)에 공급되어 송신된다.
또한, 안테나(26)로 수신된 고주파 신호는 동축 케이블(24)로부터 분파기(22)를 거쳐서 로우 노이즈 앰프(20:LNA)에 공급되어 증폭된 후, 주파수 변환 회로(32)에서 IF 신호로 된다. 이 IF 신호는 AGC 앰프(34)를 통하여 복조부(36)에 공급되어 직교복조된다. 복조된 신호는 A/D 변환부(38)에서 디지탈화되고, 복호화부(40)에서 스펙트럼 확산 복호화되어, 이것에 의해서 수득된 수신 데이타가 출력된다.
종래로부터, 예컨대 특허 공개 공보 평4-322521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 장치에서,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셀사이즈에 맞춰서 가변하는 것이 있다. 이것은, 어떤 기지국의 셀내의 채널 용량이 소정치를 초과하여 증가하면, 그 기지국은 송신 전력을 저하시켜서 셀사이즈를 축소한다. 이것에 의해서, 이 기지국의 셀외의 주위에 있는 가입자의 이동기에는 이 기지국의 송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여, 채널 용량이 이것이상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저하하면 셀 주위의 가입자의 이동기에서의 착신 전력은 저하하고, 기지국의 송신 면에서 본 셀사이즈는 축소되지만, 이 기지국의 수신 면에서는 변화가 없으며, 자기셀 밖의 이동기로부터 송신되어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불필요 전파가 감소하는 일은 없다. CDMA 방식에서는 채널 용량은 스펙트럼 확산되어 있는 수신 신호의 전력과, 스펙트럼 확산 복호화에 의해서 협대역화한 가입자 전력과의 비로 결정되기 때문에, 상기 불필요 전파가 감소하지 않으면 채널 용량이 저하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무선 기지국 장치에서, 기지국의 셀사이즈에 맞춰서 안테나의 틸트각을 제어하는 것도 있지만, 송신 전력이 고정되기 때문에, 셀의 경계에서의 전력이 높게 된다. 이동국은, 주로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의 대소에 의해 통신하는 기지국을 선택하기 때문에, 셀의 경계에 의존하는 이동국의 트래픽의 다른 기지국으로의 이행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채널 용량에 따른 셀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으며, 불필요 전파의 영향으로 채널 용량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빔틸트 안테나 및 빔틸트각 가변부의 구성도.
도 4는 빔틸트각 가변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검파 전압과 빔틸트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빔틸트 안테나 및 빔틸트각 가변부의 구성도.
도 7은 지연 회로의 구성도.
도 8은 검파 전압과 지연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빔틸트 안테나 및 빔틸트각 가변부의 구성도.
도 10은 지연 회로의 구성도.
도 11은 검파 전압과 지연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빔틸트 안테나 및 빔틸트각 가변부의 구성도.
도 13은 지연 회로의 구성도.
도 14는 검파 전압과 지연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빔틸트 안테나 및 빔틸트각 가변부의 구성도.
도 16은 검파 전압과 지연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검파 전압과 지연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종래 장치의 블록도.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부호화부
52 : D/A 변환부
54 : 변조부
56 : 가변 이득 앰프
58,72 : 주파수 변환 회로
60 : 하이 파워 앰프
62 : 분파기
64 : 동축 케이블
66 : 빔틸트 안테나
68 : 빔틸트각 가변부
70 : 로우 노이즈 앰프
74 : AGC 앰프
76 : AGC 컨트롤러
78 : 복조부
80 : A/D 변환부
82 : 복호화부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발명은 이동기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수신 상태에 따라서, 이동기로의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증감하는 송신 전력 증감 수단과, 상기 송신 전력의 증감에 기초하여 안테나의 빔틸트각을 가변하는 빔틸트각 가변 수단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수신 상태에 따라서 송신 전력을 증감하는 동시에, 안테나의 빔틸트각을 가변함으로써 채널 용량에 따른 셀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으며, 셀밖에서의 불필요 전파의 영향으로 채널 용량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2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무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송신 전력 증감 수단은 수신 전력이 클 때에 송신 전력을 감소하도록 송신 전력의 증감을 행하고, 빔틸트각 가변 수단은 송신 전력의 감소에 추종하여 안테나의 빔틸트각을 수평 방향에서 봐서 하향으로 가변한다.
이 때문에, 채널 용량이 크고 수신 전력이 클 때, 송신 전력이 저하되는 동시에 안테나의 빔틸트각이 하향으로 되며 셀사이즈가 축소되기 때문에, 셀밖의 이동기로부터의 불필요 전파의 상기 안테나에 있어서의 수신 전력이 작아져서 이에 의해 불필요 전파의 영향으로 채널 용량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무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송신 전력 증감 수단은 수신 전력이 작을 때, 송신 전력을 증대하도록 송신 전력의 증감을 행하고, 빔틸트각 가변 수단은 송신 전력의 증대에 추종하여 안테나의 빔틸트각을 수평 방향으로 접근하도록 상향으로 가변한다.
이 때문에, 채널 용량이 작고 수신 전력이 작을 때 송신 전력이 증대되는 동시에, 안테나의 빔틸트각이 상향으로 되어 셀사이즈가 확대되기 때문에, 확대된 셀내의 이동기와의 송수신이 가능해져서 채널 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4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기재의 무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빔틸트각 가변 수단은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신호를 검파하는 검파 수단과 검파 수단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안테나의 장착 각도를 가변하는 안테나 장착 각도 가변 기구를 갖는다.
이와 같이, 송신 신호의 검파 출력에 따라서 안테나 장착 각도를 가변함으로써 송신 전력에 따른 빔틸트각의 가변이 가능해진다.
청구범위 제5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기재의 무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로 구성된 어레이 안테나이고, 빔틸트각 가변 수단은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신호를 검파하는 검파 수단과 검파 수단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 각각에 대응한 지연량을 설정하여, 송신 신호를 지연하여 복수의 안테나 소자 각각에 공급하는 복수의 지연 수단을 갖는다.
이와 같이, 안테나의 장착 각도를 가변하는 것은 아니고 전기적으로 지연 수단의 지연량을 설정하여 빔틸트각을 가변하기 때문에, 가변 제어의 응답이 빠르고 시간 경과적인 신뢰성이 향상한다.
청구범위 제6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5항 기재의 무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검파 수단을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부근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검파 수단을 안테나 소자의 부근에 설치함으로써 동축 케이블의 길이가 변하고 동축 케이블에 의한 송신 신호의 감쇠량이 변화하여도 안테나의 송신 전력에 따른 빔틸트각의 정확한 설정이 가능해진다.
청구범위 제7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기재의 무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로 구성된 어레이 안테나이고, 상기 빔틸트각 가변 수단은 상기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신호를 공급하며, 그 전력 변화에 따라서 자기 바이어스가 변화하여 통과 위상이 변화하고 출력하는 송신 신호를 각 안테나 소자에 공급하는 이상기로 구성한다.
이 때문에, 빔틸트각 가변 수단의 구성이 간단해져서 회로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CDMA 방식의 무선 기지국 장치의 일실시예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동일 도면 중, 송신 데이타는 부호화부(50)에 공급되고, 여기서 스펙트럼 확산 부호화된다. 이 부호화 데이타는 D/A 변환부(52)에서 아날로그화되고, 변조부(54)에 공급된다. 변조부(54)는 예컨대 2계통의 아날로그화된 부호화 데이타로 직교변조를 행하여 수득된 피변조 신호는 가변 이득 앰프(56)로 증폭된 후, 주파수 변환 회로(58)에 공급되어 고주파 신호로 변환된다. 이 고주파 신호는 하이 파워 앰프(HPA)(60)로 전력증폭되어, 분파기(62)로부터 동축 케이블(64)을 거쳐서 빔틸트 안테나(66)에 공급되어 송신된다. 빔틸트 안테나(66)에는 그 빔틸트각을 가변하는 빔틸트각 가변부(68)가 설치된다.
또한, 빔틸트 안테나(66)로 수신된 고주파 신호는 동축 케이블(64)로부터 분파기(62)를 거쳐서 로우 노이즈 앰프(70:LNA)에 공급되어 증폭된 후, 주파수 변환 회로(72)에서 IF 신호로 된다. 이 IF 신호는 AGC 앰프(74)로 증폭된다. AGC 앰프(74)가 출력하는 IF 신호는 AGC 컨트롤러(76)에 공급되고, AGC 컨트롤러(76)는 IF 신호의 검파를 행하여 검파 출력의 평균치 즉 수신 전력이 소정 레벨이 되도록 AGC 앰프(74) 제어 신호를 공급하여 그 이득을 가변제어한다. CDMA 방식에서의 이 수신 전력은 각 코드의 수신 전력의 합이다.
AGC 앰프(74)가 출력하는 IF 신호는 복조부(78)에 공급되어 직교복조된다. 여기서 수득된 복조 신호는 A/D 변환부(80)로 디지탈화되어 복호화부(82)에 공급된다. 복호화부(82)는 스펙트럼 확산 복호화를 행하여 수신 데이타를 취출하여 이 수신 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런데, AGC 컨트롤러(76)는 AGC 앰프(74)의 이득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가변 이득 앰프(56)에도 제어 신호를 공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가변 이득 앰프(56)와 AGC 앰프(74) 각각의 이득은 동일 방향으로 증대 또는 저하된다. 여기서, CDMA 방식에서는 무선 기지국 장치의 채널 용량이 낮은 경우에는 틸트 안테나(66)의 수신 전력은 각 채널의 수신 전력의 합이기 때문에 낮아진다. 이 경우, AGC 컨트롤러(76)는 AGC 앰프(74)의 이득을 증대시키고, 이것과 함께 가변 이득 앰프(56)의 이득도 증대한다. 반대로 채널 용량이 높은 경우에는 AGC 앰프(74) 및 가변 이득 앰프(56)의 이득은 저하한다. 즉, AGC 앰프(74), AGC 컨트롤러(76), 가변 이득 앰프(56)가 송신 전력 증감 수단에 대응한다. 빔틸트각 가변 수단으로서의 빔틸트각 가변부(68)는 동축 케이블(64)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전력에 따라서 빔틸트 안테나(66)의 빔틸트각을 가변설정한다. 여기서는, 상기 송신 전력이 작을 때에,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틸트각을 최대 θtl까지 크게 한다. 또한 송신 전력이 커질 때에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틸트각을 최소 θt2까지 작게 한다. 또, 빔틸트각은 송신 전계 강도가 주위보다도 3dB 커지는 영역의 수평면으로부터 본 각도이다. 이것에 의해서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틸트각이 θtl으로 큰 경우에는 셀사이즈는 작아져서 송신 전력도 작다. 또한 빔틸트각이 θt2로 작은 경우에는 셀사이즈가 커져서 송신 전력도 크다.
그런데 채널 용량으로서의 이용자수 UN은 다음 수학식1에서 부여된다.
단지, W는 확산대역폭, R은 데이타 레이트, Ga는 안테나·섹트리제이션 게인, Gv는 보이스·액티비티·게인, Eb/I0은 비트당 신호/노이즈비, f는 다른 셀에서 자기셀에 대한 간섭비이다. 여기서, (W/R),Ga,Gv,Eb/I0각각이 일정하면, 안테나 게인이 0dB일 때 f=0.55가 되고, 안테나 게인이 3dB일 때 f=0.275가 된다. 안테나 게인을 0dB에서 3dB로 하면, {(1.55/1.275)-1}×100=21.6이 되어, 이용자수 UN은 약 20% 증가한다.
도 3은 빔틸트 안테나(66) 및 빔틸트각 가변부(68)의 제1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동일 도면 중, 하이 파워 앰프(60)가 출력하는 고주파 신호는 직류 저지용 콘덴서 C1을 통해 동축 케이블(64)에 공급되어 있다. 이 하이 파워 앰프(60)의 출력 단자와 콘덴서 C1과의 사이는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72)로 접속되고,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72)에는 γ/4커플러(74)가 병설되어 있다. γ/4커플러(74)에는 고주파 신호가 유도되며, 이 고주파 신호는 γ/4커플러(74)에 접속된 검파 수단으로서의 다이오드(75)로 검파된다. 저항(78)은 검파 전압을 수득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다이오드(76)와 저항(78)의 접속점은 동축 케이블(64)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검파 전압은 동축 케이블(64)에 공급된다.
동축 케이블(64)의 타단은 직류 저지용 콘덴서(80)를 통해 빔틸트 안테나(66)를 구성하는 섹터 안테나(82)에 접속되는 동시에, 교류 저지용 코일(84)을 통해 모터 구동 회로(86)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이 파워 앰프(60)의 출력하는 고주파 신호가 섹터 안테나(82)에 공급되고, 다이오드(76)로 수득한 검파 전압이 모터 구동 회로(86)에 공급된다. 모터 구동 회로(86)는 상기 검파 전압에 대응한 회전 위치까지 모터(88)를 회전구동하고, 이 모터(88)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섹터 안테나(82)의 장착 각도가 가변된다.
섹터 안테나(82)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장착용의 마스트(90)를 축으로 하여, 그 주위에 등각도 간격으로 복수 장착되어 있다. 또, 도면 중에서는 1개의 섹터 안테나(82)만을 나타내고 있다. 빔틸트각 가변 아암(92)은 모터(88)에 구동되어 섹터 안테나(82)의 마스트(90)에 대한 장착 각도를 빔틸트각이 최소 θt2가 되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빔틸트각이 최대 θtl이 되는 도 4의 (b)에 나타내는 상태로까지 가변한다. 상기의 모터 구동 회로(86), 모터(88), 빔틸트각 가변 아암(92)이 안테나 장착 각도 가변 기구에 대응한다. 도 5에 검파 전압과 섹터 안테나(82)의 빔틸트각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상기 γ/4커플러(74), 다이오드(76), 저항(78), 모터 구동 회로(86), 모터(88), 빔틸트각 가변 아암(92)에 의해 빔틸트각 가변부(68)가 구성되어 있다. 또, 빔틸트각 θtl과 θt2는 최소/최대 셀사이즈나 지형에 의해 적당히 선택한다.
그런데, CDMA 방식에서는 기지국에서의 각 이동기의 송신 신호의 수신 전력이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기지국에서는 스펙트럼 확산 복호화한 각 이동기의 신호 강도에 따라서 각 이동기에 제어 데이타를 송신하고, 각 이동기의 송신 전력을 가변시키고 있다. 이 이동기의 송신 전력 가변 제어의 주기는 예컨대 수밀리초 단위로 고속으로 행해진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빔틸트각의 가변 제어의 주기는 수10분 단위의 저속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채널 용량이 크고 수신 전력이 클 때, 송신 전력이 저하되는 동시에, 안테나의 빔틸트각이 하향으로 되어 셀사이즈가 축소되기 때문에, 셀밖의 이동기로부터의 불필요 전파의 상기 안테나에 있어서의 수신 전력이 작아지고, 이것에 의해 불필요 전파의 영향으로 채널 용량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용량이 소이고 수신 전력이 작을 때, 송신 전력이 증대되는 동시에, 안테나의 빔틸트각이 상향으로 되어 셀사이즈가 확대되기 때문에, 확대된 셀내의 이동기와의 송수신이 가능해져서 채널 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
그런데, 송신 전력을 가변하지 않고 일정하게하여 빔틸트각만을 가변시켜서 셀사이즈를 축소 또는 확대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빔틸트각을 크게 하여 셀사이즈를 축소했을 때에 가장 적합해지도록 송신 전력을 설정하였다고 하면, 빔틸트각을 작게 하여 셀사이즈를 확대할 때, 셀내의 기지국에서 먼 위치의 이동기에는 기지국의 송신 신호의 감쇠가 크게 수신불능이 될 우려가 있다.
이것과는 반대로, 빔틸트각을 작게 하여 셀사이즈를 확대했을 때에 가장 적합해지도록 송신 전력을 설정하였다고 하면, 빔틸트각을 크게 하여 셀사이즈를 축소했을 때, 셀내의 어떤 위치의 이동기에 있어서도 기지국의 송신 신호의 수신 전력이 이동기의 수신가능한 최저의 수신 전력보다도 커지며,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지나치게 커져서 낭비가 커진다. 즉, 본 발명과 같이 송신 전력의 가변과 안테나의 빔틸트각의 가변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야말로 큰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도 6은 빔틸트 안테나(66) 및 빔틸트각 가변부(68)의 제2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동일 도면 중, 하이 파워 앰프(60)의 출력하는 고주파 신호는 직류 저지용 콘덴서 C1을 통해 동축 케이블(64)에 공급되어 있다. 이 하이 파워 앰프(60)의 출력 단자와 콘덴서 C1과의 사이는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72)로 접속되며,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72)에는 γ/4커플러(74)가 병설되어 있다. γ/4커플러(74)에는 고주파 신호가 유도되며, 이 고주파 신호는 γ/4커플러(74)에 접속된 검파 수단으로서의 다이오드(76)로 검파된다. 저항(78)은 검파 전압을 수득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다이오드(76)와 저항(78)의 접속점은 동축 케이블(64)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검파 전압은 동축 케이블(64)에 공급된다.
동축 케이블(64)의 타단은 지연 회로(100∼104) 각각을 통해 안테나 소자(105∼109)에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 소자(105∼109)는 예컨대 다이폴 안테나이다. 지연 회로(100∼104) 각각은 도 7에 나타내는 구성이다. 도 7에 있어서, 직류 저지용의 콘덴서(110)는 동축 케이블(64)로부터 공급되는 고주파 신호를 취출하여 이상기(112)에 공급한다. 교류 저지용 코일(111)은 동축 케이블(64)로부터 공급되는 검파 전압을 취출하여 이상기(112)에 바이어스 전압으로서 공급한다. 이상기(112)는 바이어스의 검파 전압에 비례한 지연량으로 고주파 신호를 지연하여 안테나 소자에 공급한다.
지연 수단인 지연 회로(100∼104) 각각의 바이어스 즉 검파 전압과 지연량과의 관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가 다르며, 임의의 검파 전압에 대하여 지연 회로(100,101,102,103,104)의 순으로 지연량이 작아지고 있다. 안테나 소자(105∼109)는 안테나용 마스트의 낮은 위치로부터 순서대로 높은 위치로 향하여 인접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임의의 검파 전압에 대하여 높은 위치의 안테나 소자일수록 지연량이 크게 되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빔틸트각의 지향성을 가지며, 또한 검파 전압이 크게 될수록 지연량이 작게 되어 빔틸트각이 작아진다.
상기의 γ/4커플러(74), 다이오드(76), 저항(78), 지연회로(100∼104)로 빔틸트각 가변부(68)가 구성되고, 안테나 소자(105∼109)로 빔틸트 안테나(66)가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빔틸트각이 전기적으로 가변되기 때문에, 빔틸트각의 가변 제어를 정확하고 또한 고속으로 행할 수 있으며, 시간 경과적인 신뢰성도 향상한다. 또한, 마스트를 축으로 하여 등각도 간격으로 설치되는 수직 타입의 섹터 안테나뿐만아니라, 단일의 안테나로 마스트를 축으로 하여 360도를 커버하는 옴니안테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빔틸트 안테나(66) 및 빔틸트각 가변부(68)의 제3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동일 도면 중, 하이 파워 앰프(60)의 출력 단자는 동축 케이블(64)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동축 케이블(64)의 타단은 지연 회로(120∼124) 각각을 통해 안테나 소자(125∼129)에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 소자(125∼129)는 예컨대 다이폴 안테나이다. 지연 회로(120∼124) 각각은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이다. 도 10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64)은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132)로 이상기(142)에 접속되고,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72)에는 γ/4커플러(134)가 병설되어 있다. γ/4커플러(134)에는 고주파 신호가 유도되고, 이 고주파 신호는 γ/4커플러(134)에 접속된 다이오드(136)로 검파된다. 저항(138)은 검파 전압을 수득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다이오드(136)와 저항(138)의 접속점은 저항(140)을 통해 이상기(142)의 바이어스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검파 전압은 저항(140)을 통해서 바이어스로서 이상기(142)에 공급된다. 이상기(142)는 바이어스 인가 전압에 비례한 지연량으로 고주파 신호를 지연하여 안테나 소자에 공급한다.
지연 회로(120∼124) 각각의 검파 전압과 지연량과의 관계는 저항(140)을 선택함으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가 다르며, 임의의 검파 전압에 대하여 지연 회로(120,121,122,123,124)의 순으로 지연량이 작아지고 있다. 안테나 소자(125∼129)는 안테나용 마스트의 낮은 위치로부터 순서대로 높은 위치로 향하여 인접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임의의 검파 전압에 대하여 높은 위치의 안테나 소자일수록 지연량이 커지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빔틸트각의 지향성을 가지며, 또한 검파 전압이 커질수록 지연량이 작게 되어 빔틸트각이 작아진다. 상기 지연 회로(120∼124)로 빔틸트각 가변부(68)가 구성되며, 안테나 소자(125∼129)로 빔틸트 안테나(66)가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상기(142)에 가까운 위치로 검파 전압을 수득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 기지국에 의해서 동축 케이블(64)의 길이가 변하고, 동축 케이블(64)에 의한 송신 신호의 감쇠량이 변하였다고 하여도 안테나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에 따른 검파 전압을 수득하여, 안테나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에 따른 빔틸트각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다.
도 12는 빔틸트 안테나(66) 및 빔틸트각 가변부(68)의 제4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동일 도면 중, 하이 파워 앰프(60)의 출력 단자는 동축 케이블(64)에 공급되어 있다. 동축 케이블(64)의 타단은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162) 및 직류 저지용 콘덴서(163)를 통해 지연 회로(150∼154) 각각에 접속되며, 지연 회로(150∼154) 각각은 안테나 소자(155∼159)에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 소자(155∼159)는 예컨대 다이폴 안테나이다.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162)에는 γ/4커플러(164)가 병설되어 있다. γ/4커플러(164)에는 고주파 신호가 유도되고, 이 고주파 신호는 γ/4커플러(164)에 접속된 다이오드(166)로 검파된다. 저항(168)은 검파 전압을 수득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다이오드(166)와 저항(168)의 접속점 지연 회로(150∼154)에 접속되어 있다.
지연 회로(150∼154) 각각은 도 13에 나타내는 구성이다. 도 13에 있어서, 직류 저지용의 콘덴서(170)는 콘덴서(163)를 통해 공급되는 고주파 신호를 취출하여 이상기(174)에 공급한다. 교류 저지용의 코일(171)은 검파 전압을 취출하여 저항(172)을 통해서 이상기(174)에 바이어스 전압으로서 공급한다. 이상기(174)는 바이어스의 인가 전압에 비례한 지연량으로 고주파 신호를 지연하여 안테나 소자에 공급한다.
그런데, 상기의 지연 회로(150∼154) 및 안테나 소자(155∼159)는 1장의 프린트판 상에 형성되어 있다.
지연 회로(150∼154) 각각의 검파 전압과 지연량과의 관계는 저항(172)을 선택함으로써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가 다르며, 임의의 검파 전압에 대하여 지연 회로(150,151,152,153,154)의 순으로 지연량이 작아지고 있다. 안테나 소자(155∼159)는 안테나용 마스트의 낮은 위치로부터 순서대로 높은 위치로 향하여 인접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임의의 검파 전압에 대하여 높은 위치의 안테나 소자일수록 지연량이 커지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빔틸트각의 지향성을 가지며, 또한 검파 전압이 커질수록 지연량이 작게 되어 빔틸트각이 작아진. 상기의 γ/4커플러(162), 다이오드(166), 저항(168), 지연 회로(150∼154)에서 빔틸트각 가변부(68)가 구성되고, 안테나 소자(155∼159)로 빔틸트 안테나(66)가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3 실시예에 대하여 γ/4커플러와 다이오드와 저항을 공통화할 수 있다.
도 15는 빔틸트 안테나(66) 및 빔틸트각 가변부(68)의 제5 실시예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동일 도면 중, 하이 파워 앰프(60)의 출력 단자는 동축 케이블(64)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동축 케이블(64)의 타단은 지연 회로(180∼184) 각각을 통해 안테나 소자(185∼189)에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 소자(185∼189)는 예컨대 다이폴 안테나이다.
지연 회로(180∼184)는 도 16에 나타내는 구성이다. 도 16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64)의 단부는 이상기(190)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기(190)는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축 케이블(64)과 접속되는 입력 단자는 접지되며, 안테나 소자와 접속되는 출력 단자는 직렬접속된 고주파 차단용의 코일(191) 및 저항(192)을 통해 접지되고 직류 루프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이상기(190)의 입력 전력이 커지면 고주파 차단용의 코일(191)을 통해서 저항(192)에 흐르는 전류, 즉 이상기(190)의 다이오드의 자기 바이어스 전류가 커지도록 변화하여, 이것에 의해서 다이오드의 지연량이 작아지도록 통과 위상이 변화한다. 이 이상기(190)로 지연된 고주파 신호는 안테나 소자에 공급된다.
지연 회로(180∼184) 각각의 바이어스 즉 검파 전압과 지연량과의 관계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가 다르며, 임의의 검파 전압에 대하여 지연 회로(180,181,182,183,184)의 순으로 지연량이 작아지게 되어 있다. 안테나 소자(185∼189)는 안테나용 마스트의 낮은 위치로부터 순서대로 높은 위치로 향하여 인접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임의의 검파 전압에 대하여 높은 위치의 안테나 소자일수록 지연량이 커지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빔틸트각의 지향성을 가지며, 또한 검파 전압이 커질수록 지연량이 작게 되어 빔틸트각이 작아진다.
상기의 지연 회로(180∼184)로 빔틸트각 가변부(68)가 구성되고, 안테나 소자(185∼189)로 빔틸트 안테나(66)가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빔틸트각 가변부(68)로서의 지연 회로(150∼154) 각각의 구성이 간단하며 소형화 및 저비용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청구범위 제 1 항 기재의 발명은 이동기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수신 상태에 따라서, 이동기로의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증감하는 송신 전력 증감 수단과,
상기 송신 전력의 증감에 기초하여, 안테나의 빔틸트각을 가변하는 빔틸트각 가변 수단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수신 상태에 따라서 송신 전력을 증감하는 동시에, 안테나의 빔틸트각을 가변함으로써, 채널 용량에 따른 셀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으며, 셀밖에서의 불필요한 전파의 영향으로 채널 용량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2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무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증감 수단은 수신 전력이 클 때에 송신 전력을 감소하도록 송신 전력의 증감을 행하고, 상기 빔틸트각 가변 수단은 송신 전력의 감소에 추종하여 안테나의 빔틸트각을 수평 방향에서 봐서 하향으로 가변한다.
이 때문에, 채널 용량이 크고 수신 전력이 클 때, 송신 전력이 저하되는 동시에 안테나의 빔틸트각이 하향이 되어 셀사이즈가 축소되기 때문에, 셀밖의 이동기로부터의 불필요 전파의 상기 안테나에 있어서의 수신 전력이 작아져서 이것에 의해 불필요한 전파의 영향으로 채널 용량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3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무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증감 수단은 수신 전력이 작을 때에 송신 전력을 증대하도록 송신 전력의 증감을 행하고, 상기 빔틸트각 가변 수단은 송신 전력의 증대에 추종하여 안테나의 빔틸트각을 수평 방향으로 접근하도록 상향으로 가변한다.
이 때문에, 채널 용량이 작고 수신 전력이 작을 때, 송신 전력이 증대되는 동시에 안테나의 빔틸트각이 상향으로 되어 셀사이즈가 확대되기 때문에, 확대된 셀내의 이동기와의 송수신이 가능해져서 채널 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4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기재의 무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빔틸트각 가변 수단은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신호를 검파하는 검파 수단과 상기 검파 수단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안테나의 장착 각도를 가변하는 안테나 장착 각도 가변 기구를 갖는다.
이와 같이, 송신 신호의 검파 출력에 따라서 안테나 장착 각도를 가변함으로써 송신 전력에 따른 빔틸트각의 가변이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범위 제5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기재의 무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로 구성된 어레이 안테나이고, 상기 빔틸트각 가변 수단은 상기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신호를 검파하는 검파 수단과 상기 검파 수단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 각각에 대응한 지연량을 설정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지연하여 복수의 안테나 소자 각각에 공급하는 복수의 지연 수단을 갖는다.
이와 같이, 안테나의 장착 각도를 가변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적으로 지연 수단의 지연량을 설정하여 빔틸트각을 가변하기 때문에, 가변 제어의 응답이 빠르고 시간 경과적인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청구범위 제6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5항 기재의 무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파 수단을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부근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검파 수단을 안테나 소자의 부근에 설치함으로써 동축 케이블의 길이가 변하고 동축 케이블에 의한 송신 신호의 감쇠량이 변하여도, 안테나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에 따른 빔틸트각의 정확한 설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범위 제7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기재의 무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로 구성된 어레이 안테나이고, 상기 빔틸트각 가변 수단은 상기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신호를 공급하고, 그 전력 변화에 따라서 자기 바이어스가 변화하고 통과 위상이 변화하여 출력하는 송신 신호를 각 안테나 소자에 공급하는 이상기로 구성한다.
이 때문에, 빔틸트각 가변 수단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회로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Claims (7)

  1. 이동기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수신 상태에 따라서, 이동기로의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증감하는 송신 전력 증감 수단과,
    상기 송신 전력의 증감에 기초하여 안테나의 빔틸트각을 가변하는 빔틸트각 가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증감 수단은 수신 전력이 클 때에 송신 전력을 감소하도록 송신 전력의 증감을 행하고, 상기 빔틸트각 가변 수단은 송신 전력의 감소에 추종하여 안테나의 빔틸트각을 수평 방향에서 봐서 하향으로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증감 수단은 수신 전력이 작을 때에 송신 전력을 증대하도록 송신 전력의 증감을 행하고, 상기 빔틸트각 가변 수단은 송신 전력의 증대에 따라 안테나의 빔틸트각을 수평 방향에 근접하도록 상향으로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빔틸트각 가변 수단은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신호를 검파하는 검파 수단과 상기 검파 수단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안테나의 장착 각도를 가변하는 안테나 장착 각도 가변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로 구성된 어레이 안테나이고, 상기 빔틸트각 가변 수단은 상기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신호를 검파하는 검파 수단과 상기 검파 수단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 각각에 대응한 지연량을 설정하고, 상기 송신 신호를 지연하여 복수의 안테나 소자 각각에 공급하는 복수의 지연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파 수단을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부근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7.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로 구성된 어레이 안테나이고, 상기 빔틸트각 가변 수단은 상기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신호를 공급하며, 그 전력 변화에 따라서 자기 바이어스가 변화하고 통과 위상이 변화하여, 출력하는 송신 신호를 각 안테나 소자에 공급하는 이상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KR1019970040023A 1997-02-17 1997-08-22 무선기지국장치 KR100268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32102 1997-02-17
JP9032102A JPH10229362A (ja) 1997-02-17 1997-02-17 無線基地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897A true KR19980069897A (ko) 1998-10-26
KR100268653B1 KR100268653B1 (ko) 2000-10-16

Family

ID=1234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023A KR100268653B1 (ko) 1997-02-17 1997-08-22 무선기지국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78824A (ko)
JP (1) JPH10229362A (ko)
KR (1) KR100268653B1 (ko)
CN (1) CN109245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999B1 (ko) * 1998-11-20 2002-07-26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데이타 패킷 다중-액세스 통신 방법 및 그의 송수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8072A (ja) 1998-08-28 2000-03-14 Hitachi Ltd 送受信装置
US6487416B1 (en) * 1999-07-30 2002-11-26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tenna downtilt in a CDMA network
US6757553B1 (en) * 1999-10-14 2004-06-29 Qualcomm Incorporated Base station beam sweep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multiple rotating antennas
JP3991543B2 (ja) 2000-01-11 2007-10-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撮像装置
EP1633016A3 (en) * 2000-07-10 2006-03-29 Andrew Corporation Cellular antenna
US7245880B1 (en) 2000-08-31 2007-07-17 Intel Corporation Transmit power control within a wireless transmitter
DE10104564C1 (de) * 2001-02-01 2002-09-19 Kathrein Werke Kg Steuerungs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s unterschiedlichen Absenkwinkels insbesondere von zu einer Basisstation gehörenden Mobilfunkantennen sowie eine zugehörige Antenne und Verfahren zur Veränderung eines Absenkwinkels
US6573875B2 (en) 2001-02-19 2003-06-03 Andrew Corporation Antenna system
US7639196B2 (en) * 2001-07-10 2009-12-29 Andrew Llc Cellular antenna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US8417533B2 (en) * 2001-09-25 2013-04-09 Jeffrey J. Clawson Method and system for the fire response dispatch protocol of an emergency dispatch system
KR100505977B1 (ko) * 2002-08-17 2005-08-05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안테나 빔폭 가변에 따른 고정 이득 안테나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안테나의 이득 고정방법
US7453845B2 (en) * 2002-11-08 2008-11-18 Lucent Technologies Inc. Distributed call control
US7427962B2 (en) * 2003-06-16 2008-09-23 Andrew Corporation Base station antenna rotation mechanism
US8018390B2 (en) * 2003-06-16 2011-09-13 Andrew Llc Cellular antenna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DE10336072B4 (de) * 2003-08-06 2005-08-11 Kathrein-Werke Kg Antennenanordnung
US7038621B2 (en) * 2003-08-06 2006-05-02 Kathrein-Werke Kg Antenna arrangement with adjustable radiation pattern and method of operation
US20050030248A1 (en) * 2003-08-06 2005-02-10 Kathrein-Werke Kg, Antenna arrangement
US20050052898A1 (en) * 2003-09-05 2005-03-10 Arntson Paul R. Apparatus and methods for magnetic through-skin sensing
JP4322256B2 (ja) * 2003-09-29 2009-08-2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
US7177667B2 (en) * 2003-11-25 2007-02-13 Kmw Inc. Antenna remote control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GB0425813D0 (en) * 2004-11-24 2004-12-29 Finglas Technologies Ltd Remote control of antenna line device
US7557675B2 (en) * 2005-03-22 2009-07-07 Radiacion Y Microondas, S.A. Broad band mechanical phase shifter
CN2812316Y (zh) * 2005-06-02 2006-08-30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用于移动通信天线移相器的调整装置
CN1332175C (zh) * 2005-08-23 2007-08-15 广州杰赛科技股份有限公司 通信天线电下倾角度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US20090061941A1 (en) * 2006-03-17 2009-03-05 Steve Clark Telecommunications antenna monitoring system
US8810298B2 (en) 2008-11-26 2014-08-19 Thin Film Electronics Asa Random delay generation for thin-film transistor based circuits
EP2630818B1 (en) * 2010-10-22 2018-01-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cell selection balancing, computer progra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GB2534199A (en) 2015-01-16 2016-07-20 Henkel IP & Holding GmbH Sealant material
GB2534198A (en) 2015-01-16 2016-07-20 Henkel IP & Holding GmbH Sealant material
CN110661102B (zh) * 2019-09-29 2021-05-07 华南理工大学 移相装置及基站天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9181A (en) * 1979-03-08 1981-02-03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Cellular mobile radiotelephone system using tilted antenna radiation patterns
US4694484A (en) * 1986-02-18 1987-09-15 Motorola, Inc. Cellular radiotelephone land station
JP2652955B2 (ja) * 1988-08-31 1997-09-10 日本電気株式会社 適合型チルトビームダイバーシティ送受信方式
JPH02132926A (ja) * 1988-11-14 1990-05-22 Nec Corp 適応型チルトビーム送信アンテナ制御装置
US5513176A (en) * 1990-12-07 1996-04-30 Qualcomm Incorporated Dual distributed antenna system
JP2605997B2 (ja) * 1991-04-23 1997-04-30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
JP2949533B2 (ja) * 1991-09-03 1999-09-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移動通信無線ゾーン構成方法
US5724666A (en) * 1994-03-24 1998-03-03 Ericsson Inc. Polarization diversity phased array cellular base station and associated methods
JPH0837482A (ja) * 1994-07-21 1996-02-06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装置
US5873048A (en) * 1995-07-27 1999-02-16 Lucent Technologies Inc. Locator and metho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H09186643A (ja) * 1995-12-28 1997-07-15 Kyocera Corp 無線基地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999B1 (ko) * 1998-11-20 2002-07-26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데이타 패킷 다중-액세스 통신 방법 및 그의 송수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8653B1 (ko) 2000-10-16
US6078824A (en) 2000-06-20
CN1191460A (zh) 1998-08-26
CN1092459C (zh) 2002-10-09
JPH10229362A (ja) 1998-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8653B1 (ko) 무선기지국장치
US6122083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small base station and equipment for its system
US5701583A (en) Land-bas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a scanned directional antenna
US7398049B2 (en) Wireless local loop antenna
US5548813A (en) Phased array cellular base station and associated methods for enhanced power efficiency
KR100365303B1 (ko) 적응지향성안테나를이용한통신용송수신기
US5708441A (en) Antenna directivity control method and channel configuration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1985000258A1 (en) Diversity signal strength indicator and site selection apparatus for using same
WO2005062971A3 (en) Adaptive antenna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853315B (zh) 波束切换天线系统和用于控制该系统的方法及设备
US7123911B1 (en) Method and system of wireless signal repeating
FI104300B (fi) Adaptiivinen radiojärjestelmä
US6526291B1 (en) Method and a system for radio transmission
AU4345699A (en) Antenna diversity switching method and antenna diversity receiver employing the method
EP1333596A1 (en) Radio signal repeater
JP3108643B2 (ja) アンテナ切り替え制御方式
US20060030281A1 (en) Method for transmit power compens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JP4598978B2 (ja) 無線受信機
US6564069B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JP3226455B2 (ja) 無線通信路リンクアップシステム
JP2596201B2 (ja) 無線基地局アンテナ装置、集中基地局、移動通信装置および移動通信用受信状態測定装置
KR100746998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방법
JPH09214237A (ja) 位相制御アレーアンテナ
EP1362488A1 (en) External antenna for a wireless local loop system
JP2006191329A (ja) 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