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8623U - 환기용 창문 프레임 - Google Patents

환기용 창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8623U
KR19980068623U KR2019980016634U KR19980016634U KR19980068623U KR 19980068623 U KR19980068623 U KR 19980068623U KR 2019980016634 U KR2019980016634 U KR 2019980016634U KR 19980016634 U KR19980016634 U KR 19980016634U KR 19980068623 U KR19980068623 U KR 199800686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holes
window frame
control ba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49221Y1 (ko
Inventor
정상호
Original Assignee
정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호 filed Critical 정상호
Priority to KR2019980016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221Y1/ko
Publication of KR199800686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6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221Y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기술분야]
본고안은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공기순환구를 통해 환기를 가능하게하는 창문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해결하려고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환기용 창문 프레임은 상하로 형성된 기존의 유리고정부와 활차고정부의 사이에 별도의 환기용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에 환기공과 이를 개폐하는 환기조절바를 슬라이딩되게 수납되게 한 것이므로 별도로 형성한 환기용 공간부로 인해 프레임의 폭이 대폭 넓어져 전체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또한 환기조절바에 방충망을 부착하여 환기시 파리나 모기의 침투를 방지하고 있으나 방충망은 내구성이 없어 장기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폐단이 있었다.
[해결방법의 요지]
본고안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적은 크기의 소창 및 중창용 창문 프레임에 환기장치를 설치하여 소창이나 중창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방충망 대신에 프레임 또는 환기조절바에 소공을 무수히 뚫으므로서 방충망의 기능을 할 수 있게 한데 있다.
[고안의 중요한 용도]
창문의 환기용

Description

환기용 창문 프레임
본고안은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공기순환구를 통해 환기를 가능하게 하는 창문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크기가 적은 일반적인 창문 프레임에 환기구조를 설치하여 소창이나 중창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코자 한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섀시 창문은 완전 밀폐식이므로 닫은 상태에서는 환기가 불가능하여 환기를 위해서는 반드시 창문을 열어야 됨에 따라 겨울철에 연료비의 낭비를 가져다 주게 되고 하절기에는 모기, 파리 등이 집안으로 들어오게 될 뿐 아니라 외부의 침입으로 부터 보호되지 않는 위험이 있는 등 여러 가지의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환기가 될 수 있는 창문프레임이 개발되어 실용화되므로서 전기한 여러 가지의 폐단을 해소하게 되었으나 이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환기용 창문 프레임은 상하로 형성된 기존의 유리고정부와 활차고정부의 사이에 별도의 환기용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에 환기공과 이를 개폐하는 환기조절바를 슬라이딩되게 수납되게 한 것이므로 별도로 형성한 환기용 공간부로 인해 프레임의 폭이 대폭 넓어져 전체의 크기가 커지게 됨에 따라 대형의 창문외 소창이나 중창에는 사용하기가 적합하지 않을 뿐 아니라 대형의 창문에 사용할 경우에도 프레임의 크기가 커서 창문이 적게 보이므로서 미관상 보기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프레임에는 환기공을 전후로 관통하고 환기조절바에 방충망을 부착하여 환기시 파리나 모기의 침투를 방지하고 있으나, 방충망은 내구성이 없어 장기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하고 일부의 방충망의 손상시에도 창문전체를 분해하여 환기조절바를 빼내야 되는 복잡함과 번거러움을 가지는 등 여러 가지의 많은 폐단이 있었다.
본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적은 크기의 소창 및 중창용 창문 프레임에 환기장치를 설치하여 소창이나 중창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방충망 대신에 프레임 또는 환기조절바에 소공을 무수히 뚫으므로서 방충망의 기능을 할 수 있게 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고안의 전개사시도
도 2 는 환기용 조절바를 닫은 차단상태의 단면도
도 3 은 환기용 조절바를 열어 환기상태의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가 - 가선 단면도
도 5 는 도 3 의 나 - 나선 단면도
도 6 은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부호의 명칭]
1 : 프레임 2,2': 환기공 3,3' : 구멍
4 : 환기조절바 5 : 격벽 6 : 유리
7 : 유리고정부 8 : 활차 9 : 활차고정부
10,10' : 소공집합체 11 : 손잡이 12 : 자석
13 : 조절구 14 : 자성체 15 : 표시부
창문 프레임(1)의 내외면에 환기공(2)(2')을 일정간격으로 마주보게 뚫고 전기 환기공(2)(2')과 동일한 크기의 구멍(3)(3')을 동일한 간격으로 내·외면에 뚫어 외면의 구멍(3')에 방충망을 부착한 합성수지재의 환기조절바(4)를 창문 프레임(1)의 내부에 슬라이딩되게 삽입한 것에 있어서, 격벽(5)으로 구획한 상하에 유리(6)를 고정하는 유리고정부(7)와 활차(8)를 양측내부에 고정하는 활차고정부(9)를 각각 형성한 통상의 소창 및 중창용 창문 프레임(1)의 활차고정부(9)의 내·외면에 전기의 환기공(2)(2')을 뚫되 외면의 환기공(2')을 무수한 소공집합체(10)(10')로 구성하고 활차고정부(9)의 활차(8)사이에서 슬라이딩되게 활삽시킨 합성수지재 환기조절바(4)의 내·외면에 방충망을 부착하지않은 구멍(3)(3')만을 관통형성하는 한편, 환기조절바(4)의 내·측면에 뚫은 구멍(3)사이의 일단에는 안테나식 손잡이(11)를 부착한 여닫이 조절구(13)의 자석(12)에 부착되는 자성체(14)를 부착하고 창문 프레임(1)의 내면 일단에 자성체(14)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부(15)를 형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소공집합체(10)(10')를 전기와는 반대로 창문 프레임(1)의 활차고정부(9)에 뚫은 환기공(2)(2')에 형성하지 않고 환기조절바(4)의 외면에 뚫은 구멍(3)(3')을 소공집합체(10)(10')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5 은 활차(8)가 설치된 위치의 프레임(1)에 뚫린 환기공(2)(2')을 막는 마개이고, 17 은 단면 ∩ 형상으로 된 환기조절바(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간이다.
이와같이 된 본고안에 있어 창문 프레임(1)의 내·외면에 환기공(2)(2')을 일정간격으로 뚫고 이의 내부에 환기공(2)(2')에 대응하는 구멍(3)(3')을 내·외면에 뚫은 환기조절바(4)를 슬라이딩되게 끼워넣어 환기시에는 환기조절바(4)의 구멍(3)(3')을 창문 프레임(1)의 환기공(2)(2')과 일치시켜 외부공기와 실내공기가 연통되도록 하고 차단시에는 환기조절바(4)을 옆으로 이동시켜 구멍(3)(3')이 환기공(2)(2')과 어긋나도록 하므로서 창문 프레임(1)에 뚫은 환기공(2)을 환기조절바(4)에 의해 차단시키며 또한 환기조절바(4)의 외면에 뚫은 구멍(3)(3')에 파리나 모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충망을 부착하는 것은 공지한 바와 같다.
그러나, 전기한 공지의 구조는 종래기술에 언급한 바와 같이 유리고정부(7)와 활차고정부(9)의 사이에 별도로 형성한 환기용 공간부에 설치하게 되므로 새시의 크기가 대형화되어 소창이나 중창에는 사용이 적합하지 아니한 등 사용처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본고안은 소창이나 중창용 프레임에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코자 한데 그 특징이 있다.
즉, 본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환기용 공간부를 설치하지 않고 유리고정부(7)의 하부에 형성된 활차고정부(9)에 전술한 구조를 설치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데 있는 것으로 활차고정부(9)를 구성하고 있는 창문 프레임(1)의 내·외면에 환기공(2)(2')을 뚫되 실외측에 위치하는 외면의 환기공(2)(2')을 무수한 소공집합체(10)(10')로 구성하는 한편, 활차(8)의 사이에 활삽하는 환기조절바(4)에는 환기공(2)(2')과 동일한 구성의 구멍(3)(3')만을 뚫어서 되는 것이므로 활차(8)의 사이에서 환기조절바(4)를 좌우로 이동시켜 구멍(3)(3')이 환기공(2)(2')과 일치되게 하면 환기가 이루어지게 되고 구멍(3)(3')을 환기공(2)(2')과 어긋나게 하면 환기가 차단되어 필요에 따라 환기를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는 바 특히, 본고안은 종래와 같이 환기조절바(4)에 방충망을 부착하지 않고 창문프레임(1)의 외면에 형성된 환기공(2')을 무수한 소공집합체(10)(10')로 구성하여 통기는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파리나 모기의 침투를 방지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방충망을 교체하기 위해 창문프레임을 분해할 필요가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방충망의 역할을 하는 무수한 소공집합체(10)(10')는 전기한 구조와는 반대로 설치할 수 있는 바 즉, 도 6 과 같이 창문 프레임(1)의 환기공(2)(2')은 통상과 같이 큰크기로 구성하고 환기조절바(4)의 내·외면에 형성한 구멍(3)(3')중 외면의 구멍(3')을 무수한 소공집합체(10)(10')로 구성하여도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고안의 환기조절바(4)를 슬라이딩시켜 열고 닫을 때에는 안테나식 손잡이(11)를 부착한 선단에 자석(12)을 고정한 여닫이 조절구(13)를 사용하게 되는데 환기조절바(4)의 구멍(3)(3')사이의 일단에는 자성체(14)을 부착하고 창문 프레임(1)의 환기공(2)(2')사이에는 자성체(14)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부(15)를 형성하였으므로 환기조절바(4)의 구멍(3)(3')이 환기공(2)(2')과 일치되어 환기가 되는 상태에서 환기조절바(4)를 닫을 때에는 자성체(14)가 표시부(15)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이에 여닫이 조절구(13)의 자석(12)을 대고 이동시키면 환기조절바(4)가 간단히 슬라이딩되어 움직이게 됨에 따라 환기를 차단하게 되고 반대로 차단상태에서 환기를 시킬 때에는 자성체(14)가 환기공(2)(2')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에 여닫이 조절구(13)의 자석(12)을 대어 접착상태로 이동시키면 환기조절바(4)의 여닫이를 손쉽게 할 수 있는바 특히, 본고안의 여닫이 조절구(13)를 사용하면 높은 위치의 샤시에 설치된 환기장치의 조작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손잡이를 설치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의 제작공정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고안의 프레임(1)은 제작시 환기공(2)(2')을 일정간격으로 천공한 상태로 성형하여 창문제작시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활차(8)가 고정되는 양단에 천공된 불필요한 환기공(2)(2')은 마개(16)로 막아 차단하므로서 내부의 활차(8)를 은폐하게 되고 또한 환기조절바(4)에는 지지간(17)이 설치되어 환기조절바(4)가 벌어지거나 오므러지는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고안은 소창이나 중창의 제작시 사용되는 프레임에 환기구조를 설치하므로서 소창과 중창의 제작시 종래와 같은 큰 크기의 프레임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창문이 좁게 보이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매우 경제적이고 또한 방충망이 필요없어 방충망의 교체를 위한 프레임의 분해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등 그 효과가 매우 크다.

Claims (5)

  1. 창문 프레임(1)의 내외면에 환기공(2)(2')을 일정간격으로 마주보게 뚫고 전기 환기공(2)(2')과 동일한 크기의 구멍(3)(3')을 동일한 간격으로 내외면에 뚫어 외면의 구멍(3')에 방충망을 부착한 합성수지재의 환기조절바(4)를 창문 프레임(1)의 내부에 슬라이딩되게 삽입한 것에 있어서, 격벽(5)으로 구획한 상하에 유리(6)를 고정하는 유리고정부(7)와 활차(8)를 양측내부에 고정하는 활차고정부(9)를 각각 형성한 통상의 소창 및 중창용 창문 프레임(1)의 활차고정부(9)의 내,외면에 전기의 환기공(2)(2')을 뚫되 외면의 환기공(2')을 무수한 소공집합체(10)(10')로 구성하고, 활차고정부(9)의 활차(8)사이에서 슬라이딩되는 합성수지재 환기조절바(4)의 내·외면에는 방충망을 부착하지 않은 구멍(3)(3')만을 관통 형성하여서 되는 환기용 창문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환기조절바(4)는 구멍(3)사이의 일단에 부착한 자성체(14)와 안테나식 손잡이(11)를 가진 여닫이 조절구(13)의 자석(12)의 결합으로 개폐되는 환기용 창문 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소공집합체(10)(10')를 환기공(2)(2')에 형성하지 않고 환기조절바(4)의 외면에 뚫은 구멍(3)(3')에 형성하여서 되는 환기용 창문 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1)의 양단 환기공(2)(2')을 마개(16)로서 차단하여서 되는 환기용 창문 프레임.
  5. 제 1 항에 있어서, 환기조절바(4)의 내저부에 변형방지용 지지간(17)을 설치하여서 되는 환기용 창문 프레임.
KR2019980016634U 1998-09-03 1998-09-03 환기용창문프레임 KR200249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634U KR200249221Y1 (ko) 1998-09-03 1998-09-03 환기용창문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634U KR200249221Y1 (ko) 1998-09-03 1998-09-03 환기용창문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623U true KR19980068623U (ko) 1998-12-05
KR200249221Y1 KR200249221Y1 (ko) 2001-12-17

Family

ID=69510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634U KR200249221Y1 (ko) 1998-09-03 1998-09-03 환기용창문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2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435A (ko) * 2019-12-18 2021-06-28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환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544B1 (ko) * 2003-10-29 2005-10-10 이병수 공기 자동정화 창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435A (ko) * 2019-12-18 2021-06-28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환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221Y1 (ko) 200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490B1 (ko) 방수 및 통기성을 구비한 창문 구조
KR20120128802A (ko) 롤 스크린 장치가 내장되게 한 시스템 창호
KR19980068623U (ko) 환기용 창문 프레임
JP2538138Y2 (ja) ペット用出入口装置
WO1998040598A1 (en) Opening filling with special adjustment providing simultaneous ventilation and sound damping
KR20160004239U (ko) 글라스창호 및 한지창호를 구비한 복합 창호
KR100602182B1 (ko) 환기구가 형성된 창문 프레임
JP2002013359A (ja) 自然換気用建具
KR200322035Y1 (ko) 방충용 도어
JP7377537B2 (ja) 窓装置
KR102118112B1 (ko) 창호용 방진망과 방충망 선택 사용구조
KR100907365B1 (ko) 통풍구가 형성된 창호
JPH09152156A (ja) サッシ上枠の換気装置
KR0134598Y1 (ko) 창문용 환기구 골조
KR200398812Y1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의 열림방지구조
KR200315116Y1 (ko) 방범브라인드를 구비한 통풍도어
KR200258023Y1 (ko) 여닫이창
CN106481251B (zh) 入户门抽风装置
KR200325601Y1 (ko) 보조창문이 구비된 다기능 창호
KR200144301Y1 (ko) 샷시 창문용 환기창
JPS5919117Y2 (ja) 換気小窓つき窓
JPH065482Y2 (ja) 防虫網付引違戸式窓
KR20060025623A (ko) 소음감쇄 구조를 가지는 미닫이용 혹은 고정용 프레임의환기공 구조
JPS5819273Y2 (ja) ル−バ−付ドア
KR200313795Y1 (ko) 자동차문의 방충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