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626U -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626U
KR19980066626U KR2019970011085U KR19970011085U KR19980066626U KR 19980066626 U KR19980066626 U KR 19980066626U KR 2019970011085 U KR2019970011085 U KR 2019970011085U KR 19970011085 U KR19970011085 U KR 19970011085U KR 19980066626 U KR19980066626 U KR 199800666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reel gear
assembly
reel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11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626U/ko
Publication of KR199800666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626U/ko

Links

Landscapes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를 개시한다.
종래의 릴 기어 포스트는 언로킹 포스트와 서로 인접된 위치에 조립되면서도 각각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조립됨으로써, 조립이 복잡하고 번거로워져 제품의 조립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 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데크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릴 테이블 사이에 조립구멍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의 조립구멍에 관통구멍을 갖도록 장착되는 부시와; 부시의 관통구멍에 압입에 의해 조립되고, 데크의 상면을 기준으로하여 그 상·하부에 카세트의 로커를 해제 가능하도록 데크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 1 포스트와, 릴 기어 조립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데크의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 2 포스트를 각각 가지는 릴 기어 포스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릴 기어 포스트와 로킹 포스트의 기능이 하나의 포스트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이 단순하고 용이해져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부품의 관리가 용이해져 제품의 생산 단가가 절감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tape record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릴 기어 조립체(reel gear assembly)가 조립되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reel gear post)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나 캠코더(camcorder) 등과 같은 테이프 레코더는, 주행계의 일정한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카세트(cassette)의 테이프에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이를 재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계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크(De)의 상면 한쪽에 기록 및 재생을 수행하는 헤드 드럼(head drum: Hd)이 설치되고, 데크(De)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릴 테이블(supply and take-up reel table: Su-T)(Tu-T)에 카세트(Ca)가 안착된다.
그리고, 각 모드(mode)의 변환 상태에 따라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릴 테이블(Su-T)(Tu-T)이 회전되어 카세트(Ca)의 릴(reel: Cr)에 테이프(Ta)가 선택적으로 감겨진다.
이때,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릴 테이블(Su-T)(Tu-T)은 아이들러 조립체(idler assembly: Ia)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고, 아이들러 조립체(Ia)는 캡스턴 모터(capstan motor: Cm)의 구동력을 릴 기어 조립체(Rg)에 의해 전달받아 작동되며, 릴 기어 조립체(Rg)는 데크(De)의 릴 기어 포스트(Rp)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은 종래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에 대한 하나의 예는 도 2 내지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크(De)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릴 테이블(Su-T)(Tu-T) 사이에 고정 플레이트(固定 plate: 10)가 벤딩(bending)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 플레이트(10)에는 제 1 및 제 2 조립구멍(11)(12)이 동일 직선상에 서로 인접되어 위치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10)의 제 1 조립구멍(11)에 부시(bush: 13)가 리벳팅(riveting)에 의해 장착되며, 이 부시(13)의 관통구멍(14)에 릴 기어 포스트(15)가 압입에 의해 조립된다. 이때, 릴 기어 포스트(15)는 데크(De)의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조립되고, 릴 기어 포스트(15)에는 릴 기어 조립체(Rg)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고정 플레이트(10)의 제 2 조립구멍(12)에는 데크(De)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언로킹 포스트(unlocking post: 16)가 형성되며, 언로킹 포스트(16)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아웃서트 몰딩(outsert molding)에 의해 형성된다. 언로킹 포스트(16)는 카세트(Ca)의 릴(Cr)에 로킹된 상태의 로커(locker: Cl)를 해제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카세트(Ca)의 릴(Cr)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는, 릴 기어 포스트(15)와 언로킹 포스트(16)는 서로 인접된 위치에 조립되면서도 각각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조립됨으로써, 조립이 복잡하고 번거로워져 제품의 조립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릴 기어 포스트(15)와 로킹 포스트(16)가 별도로 관리되어 구성되므로, 제품의 생산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릴 기어 포스트와 로킹 포스트의 기능이 하나의 포스트에 의해 수행되어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부품의 관리가 용이해져 제품의 생산 단가가 절감되도록 한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a는 도 2의 Ⅰ-Ⅰ선 단면도
도 3b는 도 2의 Ⅱ-Ⅱ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데크의) 고정 플레이트(固定 plate) 21; (고정 플레이트의) 조립구멍
25; 부시(bush) 25; (부시의) 관통구멍
30; 릴 기어 포스트(reel gear post)
31,32; (릴 기어 포스트의) 제 1 및 제 2 포스트
33; 라운드(round) 34; 스토퍼(stopper)
De; 데크(deck) Ca; 카세트(cassett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카세트의 릴에 테이프가 선택적으로 감겨지도록 캡스턴 모터의 구동력을 아이들러 조립체에 전달하는 릴 기어 조립체가 설치되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로서, 데크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릴 테이블 사이에 조립구멍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의 조립구멍에 관통구멍을 갖도록 장착되는 부시와; 부시의 관통구멍에 압입에 의해 조립되고, 데크의 상면을 기준으로하여 그 상·하부에 카세트의 로커를 해제 가능하도록 데크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 1 포스트와, 릴 기어 조립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데크의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 2 포스트를 각각 가지는 릴 기어 포스트로 구성되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에서 설명한 테이프 레코더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데크(De)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릴 테이블(Su-T)(Tu-T)에 카세트(Ca)가 안착되고, 각 모드의 변환 상태에 따라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릴 테이블(Su-T)(Tu-T)이 회전되어 카세트(Ca)의 릴(Cr)에 테이프(Ta)가 선택적으로 감겨진다.
그리고,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릴 테이블(Su-T)(Tu-T)은 아이들러 조립체(Ia)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며, 아이들러 조립체(Ia)는 캡스턴 모터(Cm)의 구동력을 릴 기어 조립체(Rg)에 의해 전달받아 작동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는, 데크(De)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릴 테이블(Su-T)(Tu-T) 사이에 고정 플레이트(20)가 벤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 플레이트(20)의 한쪽에는 조립구멍(21)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 플레이트(20)의 조립구멍(21)에 부시(25)가 리벳팅에 의해 장착되며, 이 부시(25)의 관통구멍(26)에 릴 기어 포스트(30)가 압입에 의해 조립된다. 여기에서, 릴 기어 포스트(30)는 선삭 가공(旋削 加工)에 의해 제작된다.
한편, 릴 기어 포스트(30)는 데크(De)의 상면을 기준으로하여 그 상·하부에 제 1 및 제 2 포스트(31)(32)를 각각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릴 기어 포스트(30)의 제 1 포스트(31)는 카세트(Ca)의 릴(Cr)에 로킹된 상태의 로커(Cl)를 해제 가능하도록 데크(De)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 2 포스트(32)는 릴 기어 조립체(Rg)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데크(De)의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 1 포스트(31)의 상부에 로커(Cl)의 해제가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라운드(round: 33)가 형성되며, 제 1 포스트(31)의 하부에는 카세트(Ca)의 하면이 지지되어 높이가 규제되도록 스토퍼(stopper: 34)가 형성된다.
즉, 제 1 및 제 2 포스트(31)(32)의 경계부에서 데크(De)의 상면으로 소정 높이를 갖도록 스토퍼(34)가 형성되고, 제 2 포스트(32)의 하부에 릴 기어 조립체(Rg)의 이탈 및 분리가 방지되도록 결합링(35)이 결합되는 결합홈(36)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릴 기어 포스트(30)는 제 1 포스트(31)에 의해 카세트(Ca)의 로커(Cl)를 해제시키는 로킹 포스트의 기능이 수행됨과 동시에, 릴 기어 조립체(Re)의 설치가 제 2 포스트(32)에 의해 가능해짐으로써, 조립이 단순하고 용이하게 개선되어 제품의 조립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릴 기어 포스트(30)가 하나로 관리되도록 구성되므로, 제품의 생산 단가가 크게 절감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에 의하면, 릴 기어 포스트와 로킹 포스트의 기능이 하나의 포스트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이 단순하고 용이해져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부품의 관리가 용이해져 제품의 생산 단가가 절감되는 것이다.

Claims (2)

  1. 카세트의 릴에 테이프가 선택적으로 감겨지도록 캡스턴 모터의 구동력을 아이들러 조립체에 전달하는 릴 기어 조립체가 설치되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로서,
    상기 데크(De)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릴 테이블(Su-T)(Tu-T) 사이에 조립구멍(21)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20)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20)의 조립구멍(21)에 관통구멍(26)을 갖도록 장착되는 부시(25)와;
    상기 부시(25)의 관통구멍(26)에 압입에 의해 조립되고, 상기 데크(De)의 상면을 기준으로하여 그 상·하부에 상기 카세트(Ca)의 로커(Cl)를 해제 가능하도록 상기 데크(De)의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 1 포스트(31)와, 상기 릴 기어 조립체(Rg)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데크(De)의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 2 포스트(32)를 각각 가지는 릴 기어 포스트(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스트(31)의 상부에 상기 로커(Cl)의 해제가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라운드(3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포스트(31)의 하부에 상기 카세트(Ca)의 하면이 지지되어 높이가 규제되도록 스토퍼(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
KR2019970011085U 1997-05-19 1997-05-19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 KR199800666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085U KR19980066626U (ko) 1997-05-19 1997-05-19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085U KR19980066626U (ko) 1997-05-19 1997-05-19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626U true KR19980066626U (ko) 1998-12-05

Family

ID=6968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085U KR19980066626U (ko) 1997-05-19 1997-05-19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62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6626U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 기어 포스트 조립구조
JPH0450616Y2 (ko)
US4628389A (en) Lock member for the lid of a magnetic tape cassette
US6556385B2 (en) Head sending mechanism, backlash eliminating mechanism therefor and actuator assembly
US6181516B1 (en) Tape cassette
KR013397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
KR100465223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릴브레이크 조립체
KR200206055Y1 (ko) 테이프 레코더용 폴 베이스 장착구조
KR10020344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 드럼
EP0841662B1 (en) Tape cassette
KR10020741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레버 조립구조
KR0130804Y1 (ko) 브이씨알의 캡스턴 모터와 드럼모터의 와이어 고정구조
KR200212355Y1 (ko)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
KR0116006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접지구조
KR200304410Y1 (ko)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와 로딩기어의 연결장치
KR200256786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세트 조립구조
KR0153998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 메카니즘
KR100581512B1 (ko) 캠코더의 무빙 데크 플레이트
KR100223235B1 (ko) 브이씨알의 브레이크 장치
KR200212356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판별장치
KR200301124Y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캡스턴모터 결합장치
KR200153818Y1 (ko) Vcr의 데크 접지구조
US7312948B2 (en) Cassette tape ejecting apparatus, and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940001107Y1 (ko) 카세트 데크의 레버 록킹 기구
KR19980066624U (ko) 테이프 레코더용 릴 기어 조립체의 다이렉트 구동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