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974Y1 -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974Y1
KR0133974Y1 KR2019950027401U KR19950027401U KR0133974Y1 KR 0133974 Y1 KR0133974 Y1 KR 0133974Y1 KR 2019950027401 U KR2019950027401 U KR 2019950027401U KR 19950027401 U KR19950027401 U KR 19950027401U KR 0133974 Y1 KR0133974 Y1 KR 0133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tape recorder
tape
band brak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7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024U (ko
Inventor
박병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27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974Y1/ko
Publication of KR9700150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0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9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3Control or regulation of mechanical tension of record carrier, e.g. tape te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2Stopping mean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테이프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하여 텐션 레버와 연동되도록 밴드가 서플라이 리일 테이블에 감겨지는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에 있어서, 밴드의 양측 끝에 조립되는 홀더 각각은 결합돌기를 갖는 몸체와, 이 몸체의 결합돌기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결합구멍을 갖는 고정체가 적어도 하나이상의 플렉시블한 연결띠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홀더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단순한 구조에 의해 조립공정 및 부품관리가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되어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제2도의 (a), (b)는 종래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의 (a), (b)는 본 고안에 따른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밴드 21A, 21B : 홀더
22 : 몸체 23a, 23b : 결합돌기
24 : 연결띠 25 : 고정체
26a, 26b : 결합구멍 27 : 조정 캠
28 : 고정편 Ta : 테이프
T1 : 텐션 레버 Su : 서플라이 리일 테이블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tape record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프의 텐션(tension)을 조정하기 위한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band brake)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나 캠코더(camcorder)등과 같은 테이프 레코더는, 주행계의 일정한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테이프에 기록된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이를 기록하는 것이다.
이러한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계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크(deck:De)의 한쪽 상면에 헤드 드럼(head drum:Hd)이 설치되고, 데크(De)의 도시하지 않은 로딩홀(loading hole)을 카세트(cassette:Ca)의 테이프(Ta)를 로딩/언로딩시키기 위한 폴베이스 조립체(pole base assembly:Pb)가 각각 위치된다.
그리고, 헤드드럼(Hd)의 하측에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리일 테이블(supply and take up reel table:Su, Tu)이 설치되며,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리일 테이블(Su, Tu)에는 카세트(Ca)가 안착되어 모드변환 상태에 따라 테이프(Ta)가 선택적으로 감겨진다.
또한, 서플라이 리일 테이블(Su)의 한쪽에 재생 또는 기록 모드시에 테이프(Ta)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텐션 레버(tension lever:T1)와 밴드 브레이크(Ba)가 연동되도록 장착된다.
이와 같은 종래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구조는, 제2도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플라이 리일 테이블(Su)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밴드(10)의 양측 끝에 홀더(holder:11A, 11B)가 각각 조립된다.
또한, 홀더(11A, 11B) 각각은 몸체(12)의 한쪽 측면에 결합돌기(13a, 13b)가 각각 형성되고, 결합돌기(13a, 13b)는 밴드(10)의 관통구멍(10a, 10b)에 돌출되도록 끼워진다.
그리고, 몸체(12)의 결합돌기(13a, 13b)는 고정체(14)의 결합구멍(15a, 15b)에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밴드(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밴드(10)의 홀더(11A)는 조정 캠(adjust cam:16)에 의해 텐션 레버(T1)의 한쪽에 체결되고, 홀더(11B)는 텐션 레버(T1)의 한쪽에 형성되는 고정편(17)에 걸림유지된다.
따라서, 텐션 레버(T1)가 테이프(Ta)의 주행에 따라 회전되면, 밴드(10)가 서플라이 리일 테이블(Su)의 외주면에 감겨지거나 혹은 풀어지면서 브레이크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밴드(10)의 작용에 의해 테이프(Ta)의 텐션이 조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는, 홀더(11A, 11B)가 몸체(12)와 고정체(14)로 분리되어 합성수지 성형체로 제작됨으로써, 홀더(11A, 11B)의 조립공정 및 부품관리가 번거롭고 복잡해져 제품의 조립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몸체(12)와 고정체(14)가 별도로 제작되므로, 홀더(11A, 11B)의 조립공정사에서 몸체(12)와 고정체(14)을 개별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몸체(12)와 고정체(14)를 서로 대응되는 한쌍으로 조립하기가 곤란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에 의해 조립공정 및 부품관리가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되므로,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한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테이프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하여 텐션 레버와 연동되도록 밴드가 서플라이 리일 테이블에 감겨지는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양측 끝에 조립되는 홀더 각각은 결합돌기를 갖는 몸체와, 이 몸체의 결합돌기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결합구멍을 갖는 고정체가 적어도 하나이상의 플렉시블한 연결띠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브레이크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제1도에서 설명한 주행계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한다.
먼저, 제1도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데크(De)의 한쪽 상면에 헤드 드럼(Hd)이 설치되고, 헤드 드럼(Hd)의 하측에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리일 테이블(Su, Tu)이 설치된다.
이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리일 테이블(Su, Tu)에는 카세트(Ca)가 안착되어 모드변환 상태에 따라 테이프(Ta)가 선택적으로 감겨진다.
또한, 서플라이 리일 테이블(Su)의 한쪽에 재생 또는 기록 모드시에 테이프(Ta)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텐션 레버(T1)가 고정축(Fs)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장착된다.
제3도 및 제4도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플라이 리일 테이블(Su)의 외주면에 밴드(20)가 감겨지고, 밴드(20)의 양측 끝에는 합성수지 성형체로 제작되는 홀더(21A, 21B)가 각각 조립된다.
한편, 상기한 홀더(21A, 21B) 각각은 몸체(22)의 한쪽 측면에 결합돌기(23a, 23b)가 각각 형성되고, 결합돌기(23a, 23b)의 끝부분은 밴드(20)의 관통구멍(20a, 20b)에 돌출되도록 끼워진다.
그리고, 몸체(22)는 결합돌기(23a, 23b)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연결띠(24)가 플렉시블(flexible)하게 형성된다.
이때, 연결띠(24)는 좁고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결띠(24)는 2부분에 형성된 것을 나타냈으나 그 숫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가능하다.
또한, 연결띠(24)의 끝부분에 고정체(25)가 형성되며, 고정체(25)에는 결합구멍(26a, 26b)이 각각 형성된다. 이 결합구멍(26a, 26b)은 몸체(22)의 결합돌기(23a, 23b)에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밴드(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밴드(20)의 홀더(21A)는 조정 캠(adjust cam:27)에 의해 텐션 레버(T1)의 한쪽에 체결되고, 홀더(21B)는 텐션 레버(T1)의 한쪽에 형성되는 고정편(28)에 걸림유지된다.
즉, 홀더(21A, 21B) 각각은 몸체(22)와 고정체(25)가 연결띠(24)에 의해 사출성형시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 조정 캠(27)의 회전량에 따라 서플라이 리일 테이블(Su)에 감겨지는 밴드(20)의 감김량이 조정되어 테이프(Ta)의 텐션이 미세하게 조정된다.
즉, 텐션 레버(T1)가 테이프(Ta)의 주행에 따라 고정축(Fs)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서플라이 리일 테이블(Su)의 외주면에 밴드(20)가 감겨지거나 또는 풀어지면서 브레이크력이 부여됨으로써, 테이프(Ta)의 텐션을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밴드(20)의 조립에 사용되는 홀더(21A, 21B) 각각은 몸체(22)와 고정체(25)가 연결띠(24)에 의해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제작됨으로써, 홀더(21A, 21B)의 조립공정 및 부품관리가 용이해져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예컨대, 몸체(22)와 고정체(25)가 한쌍의 일체형으로 제작되므로, 홀더(21A, 21B)의 조립공정상에서 몸체(22)와 고정체(25)가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몸체(22)와 고정체(25)사이에 밴드(20)를 개재시켜 조립할 수 있으므로, 홀더(21A, 21B)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양측으로 분리되는 한쌍의 부품을 조립하는데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에 의하면, 홀더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단순한 구조에 의해 조립공정 및 부품관리가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되어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1. 테이프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하여 텐션 레버와 연동되도록 밴드가 서플라이 리일 테이블에 감겨지는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밴드(20)의 양측 끝에 조립되는 홀더(21A, 21B) 각각은 결합돌기(23a, 23b)를 갖는 몸체(22)와, 이 몸체(22)의 결합돌기(23a, 23b)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결합구멍(26a, 26b)을 갖는 고정체(25)가 적어도 하나이상의 플렉시블한 연결띠(24)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
KR2019950027401U 1995-09-30 1995-09-30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 KR0133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401U KR0133974Y1 (ko) 1995-09-30 1995-09-30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401U KR0133974Y1 (ko) 1995-09-30 1995-09-30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024U KR970015024U (ko) 1997-04-28
KR0133974Y1 true KR0133974Y1 (ko) 1999-03-20

Family

ID=1942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7401U KR0133974Y1 (ko) 1995-09-30 1995-09-30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9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024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36541Y2 (ko)
KR013397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
JPH0450616Y2 (ko)
KR19980050427U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텐션 조정구조
US5709348A (en) Tape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us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
KR100465223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릴브레이크 조립체
KR940004326Y1 (ko) 자기기록 재생기기의 테이프 장력조절 장치
KR940001203Y1 (ko) 자기기록 및 재생기용 릴의 일방향 클러치장치
KR19990003034U (ko)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구조
US5196977A (en) Tape guide mechanism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19980050123U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텐션 조정구조
KR200143770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가이드구조
KR950005653Y1 (ko) 테이프 카세트
KR200212355Y1 (ko) 테이프 레코더용 전폭소거헤드의 조립구조
KR200154848Y1 (ko) 브이씨알의 메인브레이크
KR200155297Y1 (ko) 브이씨알 테이프 로딩장치
KR100485829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이탈방지장치
KR200142335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슬라이더 스톱퍼장치
KR19990013589U (ko) 테이프 레코더용 폴 베이스 안착구조
KR19980050428U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텐션 조정구조
KR0137211Y1 (ko) 리일 구동용 기어
KR19990041725A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캡스턴모우터조립체
KR0117902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리뷰아암 지지장치
KR870002528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암 스톱퍼 장치
KR200304410Y1 (ko)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와 로딩기어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