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584U -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584U
KR19980066584U KR2019970011037U KR19970011037U KR19980066584U KR 19980066584 U KR19980066584 U KR 19980066584U KR 2019970011037 U KR2019970011037 U KR 2019970011037U KR 19970011037 U KR19970011037 U KR 19970011037U KR 19980066584 U KR19980066584 U KR 199800665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valve
detection switch
closing detection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9193Y1 (ko
Inventor
유승오
Original Assignee
유승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오 filed Critical 유승오
Priority to KR2019970011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193Y1/ko
Publication of KR199800665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5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1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방용 물탱크와 소화 배관 사이, 스프링쿨러 배관 등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는 상승식 게이트밸브의 개폐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는 핸들(1a)의 회전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대(1b)의 이동으로 개폐되어 물탱크의 물을 소화전 또는 스프링쿨러 제어라인으로 흐르게 하는 소방용 게이트밸브(1)에 있어서, 상기 밸브(1)의 핸들(1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밸브요오크(1c)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개폐감지스위치(10)를 장착한 브래킷(11)을 상기 밸브요오크(1c)에 형성된 나사공에 체결하고, 상기 브래킷(11)에 설치되는 개폐감지스위치(10)에서 돌출되는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10a)를 상기 밸브(1)의 개방시에 작동시키도록 개폐감지스위치 작동수단을 상기 밸브(1)의 밸브대(1b)에 설치 또는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래킷(11)은 양단이 같은 방향으로 복수로 절곡되고 각 단부에 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요오크(1c)에 형성된 나사공과 장공을 일치하여 나사로 체결되는 설치조정부(11a), 그리고 상기 개폐감지스위치(10)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여 상기 설치조정부(11a)의 중앙부에 접합되는 스위치지지부(11b)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
본 고안은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방용 물탱크와 소화 배관 사이, 스프링쿨러 배관 등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는 상승식 게이트밸브의 개폐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사람의 활동에 필요한 쾌적한 환경을 위한 공조 장치가 설비되며, 화재에 대비하기 위한 소방 장치가 설비된다.
상기 소방 장치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 진화할 수 있는 소화기 및 소화전이 있으며, 상기 소화전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가 건물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의 토출구 및 스프링쿨러 소방밸브의 제어라인에 다수의 게이트밸브가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래서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신속히 소화기를 들고 화재를 진합하고, 또한 소화열에 의해 스프링쿨러 헤드가 파열됨과 동시에 소방밸브가 작동하여 소화수를 분산하여 화재를 조기 진합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소방밸브의 동파, 무관심 또는 관리 소홀로 관리 책임자의 소방 밸브를 비개방시켜 놓는 형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화재 발생시 스프링쿨러헤드가 파열되어도 소방용 밸브에 설치되는 제어밸브의 잠김으로 소화수를 분산하지 못하게 되어 화재의 조기 진압을 어렵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방용 물탱크와 소화 배관 사이, 스프링쿨러 배관 등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는 상승식 게이트밸브의 개폐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소방용 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는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대의 이동으로 개폐되어 물탱크의 물을 소화전 또는 스프링쿨러 제어라인으로 흐르게 하는 소방용 게이트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핸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밸브요오크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개폐감지스위치를 장착한 브래킷을 상기 밸브요오크에 형성된 나사공에 체결하고,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는 개폐감지스위치에서 돌출되는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를 상기 밸브의 개방시에 작동시키도록 개폐감지스위치 작동수단을 상기 밸브의 밸브대에 설치 또는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래킷은 양단이 같은 방향으로 복수로 절곡되고 각 단부에 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요오크에 형성된 나사공과 장공을 일치하여 나사로 체결되는 설치조정부, 그리고 상기 개폐감지스위치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여 상기 설치조정부의 중앙부에 접합되는 스위치지지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가 적용되는 밸브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밸브,1a : 핸들,
1b : 밸브대,1c : 밸브요오크,
10 : 개폐감지스위치,10a :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
11 : 브래킷,11a : 설치조정부,
11b : 스위치지지부,20 : 이동슬리브,
21 : 볼트,22 : 너트,
23 : 탄성부재,24 : 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가 적용되는 상승식 게이트밸브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는 핸들(1a)의 회전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대(1b)를 포함하며 물탱크(미도시)의 물을 소화전(미도시) 또는 스프링쿨러의 제어라인으로 토출하는 밸브(1)에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1)의 핸들(1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밸브요오크(1c)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개폐감지스위치(10)를 장착한 브래킷(11)을 상기 밸브요오크(1c)에 형성된 나사공에 체결하고, 상기 브래킷(11)에 설치되는 개폐감지스위치(10)에서 돌출되는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10a)를 상기 밸브(1)의 개방시에 작동시키도록 개폐감지스위치 작동수단을 상기 밸브(1)의 밸브대(1b)에 설치 또는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11)은 양단이 같은 방향으로 복수로 절곡되고 각 단부에 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요오크(1c)에 형성되는 나사공과 장공을 일치하여 나사로 체결되는 설치조정부(11a), 그리고 상기 개폐감지스위치(10)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여 상기 설치조정부(11a)의 중앙부에 접합되는 스위치지지부(11b)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브래킷(11)은 설치조정부(11a)에 형성된 장공으로 인하여 상기 밸브요오크(1c)에 설치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10a)를 정확하게 설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감지스위치(10)는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10a)가 소정의 각으로 회전 작동하게 되면 기구적으로 내부에 있는 접점이 접합하게 되면서 통전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 통전된 신호를 수신반에 전달되어 밸브의 개폐 여부를 식별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개폐감지스위치 작동수단은 상기 밸브의 밸브대(1b)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를 작동하는 것으로서, 두 개로 분할된 중공의 원뿔 형상의 이동슬리브(20)가 상기 밸브대(1b)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각 분할된 이동슬리브(20)가 탄성 결합하도록 볼트(21)의 머리부와 상기 이동슬리브(20)의 외부면 사이와 너트(22)의 일면과 이동슬리브(20)의 외부면 사이에 탄성부재(23)를 설치하여 상기 볼트(21) 및 너트(22)를 상기 이동슬리브(20)의 하측 양쪽에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작업자는 밸브(1)를 개방할 경우에 밸브(1)의 핸들(1a)을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밸브(1)의 핸들(1a)이 회전하게 되면 밸브대(1b)가 길이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이동슬리브(20)가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슬리브(20)는 도 2의 일점 쇄선과 같이 밸브(1)의 개방 상태가 소정의 정도 이상이 되는 위치에서 개폐감지스위치(10)의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10a)를 작동하게 되며, 상기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10a)의 작동에 의하여 통전되어 수신반에서 밸브(1)의 개방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또한 소화전 또는 스프링쿨러 제어라인의 작업등으로 인하여 밸브(1)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밸브(1)의 핸들(1a)을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핸들(1a)의 회전에 의하여 밸브대(1b)가 길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슬리브(20)가 밸브대(1b)의 길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상기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10a)는 초기의 중립 상태가 되어 작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는 개폐감지스위치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며, 개폐감지스위치와 연결된 수신반에 게이트밸브의 개폐 여부를 용이하게 전달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예는 상기 개폐감지스위치 작동수단은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10a)의 단부에 설치된 롤러를 삽입하며 상기 밸브 개방시에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10a)를 작동하도록 밸브대(1b)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밸브대(1b)에 형성되는 홈(23)이며, 다른 구조는 상술한 예와 동일하다.
다른 예와 같이 구성된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작업자는 밸브(1)를 개방할 경우에 밸브(1)의 핸들(1a)을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밸브(1)의 핸들(1a)이 회전하게 되면 밸브대(1b)가 길이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밸브대(1b)에 형성된 홈(24)의 하측 끝부분은 도 3의 일점 쇄선과 같이 밸브(1)의 개방 상태가 소정의 정도 이상이 되는 위치에서 개폐감지스위치(10)의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10a)를 작동하게 되며, 상기 개폐감지스위치(10)는 상기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10a)의 작동에 의하여 통전되어 수신반에서 밸브(1)의 개방 상태를 인식하도록 한다.
또한 소화전 또는 스프링쿨러 제어라인의 작업등으로 인하여 밸브(1)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밸브(1)의 핸들(1a)을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핸들(1a)의 회전에 의하여 밸브대(1b)는 길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개폐감지스위치(10)는 상기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10a)가 초기의 중립 상태가 되어 작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소방용 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는 개폐감지스위치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개폐감지스위치와 연결된 수신반에 밸브의 개폐 여부를 용이하게 전달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는 소방용 물탱크와 소화 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에 개폐감지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밸브가 개방되면 개폐감지스위치가 통전되어 수신반에서 인식하도록 하며 상기 밸브가 밀폐되면 개폐감지스위치의 통전 신호가 제거되도록 하게 되어 상기 밸브의 개폐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핸들(1a)의 회전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대(1b)의 이동으로 개폐되어 물탱크의 물을 소화전 또는 스프링쿨러 제어라인으로 흐르게 하는 소방용 게이트밸브(1)에 있어서, 상기 밸브(1)의 핸들(1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밸브요오크(1c)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개폐감지스위치(10)를 장착한 브래킷(11)을 상기 밸브요오크(1c)에 형성된 나사공에 체결하고, 상기 브래킷(11)에 설치되는 개폐감지스위치(10)에서 돌출되는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10a)를 상기 밸브(1)의 개방시에 작동시키도록 개폐감지스위치 작동수단을 상기 밸브(1)의 밸브대(1b)에 설치 또는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래킷(11)은 양단이 같은 방향으로 복수로 절곡되고 각 단부에 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요오크(1c)에 형성된 나사공과 장공을 일치하여 나사로 체결되는 설치조정부(11a), 그리고 상기 개폐감지스위치(10)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여 상기 설치조정부(11a)의 중앙부에 접합되는 스위치지지부(11b)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감지스위치 작동수단은 상기 밸브의 밸브대(1b)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를 작동하는 것으로서, 두 개로 분할된 중공의 원뿔 형상이며 상기 밸브대(1b)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이동슬리브(20), 그리고 각 분할된 이동슬리브(20)가 탄성 결합하도록 상기 이동슬리브(20)의 외부면과의 사이에 탄성부재(23)를 개재하여 상기 이동슬리브(20)의 하측 양쪽에 설치되는 상기 볼트(21) 및 너트(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감지스위치 작동수단은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10a)의 단부에 설치된 롤러를 삽입하며 상기 밸브 개방시에 개폐감지스위치 작동부(10a)를 작동하도록 소정 길이로 밸브대(1b)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24)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
KR2019970011037U 1997-05-19 1997-05-19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 KR200149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037U KR200149193Y1 (ko) 1997-05-19 1997-05-19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037U KR200149193Y1 (ko) 1997-05-19 1997-05-19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584U true KR19980066584U (ko) 1998-12-05
KR200149193Y1 KR200149193Y1 (ko) 1999-06-15

Family

ID=1950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037U KR200149193Y1 (ko) 1997-05-19 1997-05-19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1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286B1 (ko) * 2020-06-24 2021-01-14 엠피아주식회사 자가발전 가스밸브 무선원격 개폐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658B1 (ko) * 2021-06-28 2022-05-09 중앙공업(주) 원격으로 소화전밸브 개폐확인이 가능한 소화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286B1 (ko) * 2020-06-24 2021-01-14 엠피아주식회사 자가발전 가스밸브 무선원격 개폐 모니터링 시스템
WO2021261661A1 (ko) * 2020-06-24 2021-12-30 엠피아 주식회사 자가발전 가스밸브 무선원격 개폐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9193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7058B1 (ko) 화재감지기형 자동스프링클러 및 이를 포함하는스프링클러시스템
KR200149193Y1 (ko) 소방용 게이트밸브의 개폐감지스위치 설치구조
JP2007050067A (ja) 流水検知装置
KR20070028090A (ko) 도어용 힌지 장치
KR100793096B1 (ko) 공압식 창호 자동개폐시스템
KR100727003B1 (ko) 소화시스템용 플로우 스위치
KR200402042Y1 (ko) 스프링클러설비의 신축배관 설치높이장치
JP3877140B2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及び流水検知用アッセンブリィ
JP2000153005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取付具
CA2364388A1 (en) Fire hose nozzle comprising a safety device to prevent it from being displaced through the action of the water supplying it
JPH0327258U (ko)
JP2001000574A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JP3540463B2 (ja) 流水検知装置
KR20070006377A (ko) 전기 배전반 및 패널용 자동소화장치
CN216908996U (zh) 地铁用消防喷水装置
CN220828567U (zh) 一种多分配式消防电磁阀用组装装置
CN220632857U (zh) 一种消防喷淋系统
JP2011067464A (ja) スプリンクラー装置及びスプリンクラー装置の固定方法
JPH0779850B2 (ja) 予作動式スプリンクラー設備
KR200243471Y1 (ko) 일체형 공기 모터식 밸브
KR200400890Y1 (ko) 전기 배전반 패널용 자동소화장치
KR200457285Y1 (ko) 볼 밸브용 템퍼스위치 고정구
KR200369513Y1 (ko) 천장 점검구의 개폐장치
JP2001259068A (ja) 配管部材接続継手
JP2003265641A (ja) 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