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090A - 도어용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090A
KR20070028090A KR1020050083273A KR20050083273A KR20070028090A KR 20070028090 A KR20070028090 A KR 20070028090A KR 1020050083273 A KR1020050083273 A KR 1020050083273A KR 20050083273 A KR20050083273 A KR 20050083273A KR 20070028090 A KR20070028090 A KR 20070028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cylinder
piston hous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채
Original Assignee
이영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채 filed Critical 이영채
Priority to KR1020050083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8090A/ko
Publication of KR20070028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05F3/1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with cam-and-slide transmission between driving shaft and piston within the closer housing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패치 피팅 타입(Patch Fitting Type)의 여닫이문 회동중심점이 될 위치에 구성하여 문짝의 회전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용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내측에 실린더(1)가 형성된 힌지본체(2)와, 상기 힌지본체(2)의 실린더(1)에 삽입 설치되고 수평이동하는 피스톤 하우징(3)과, 상기 실린더(1)와 피스톤 하우징(3)에 삽입되어 압축 및 탄발력이 이루어지는 스프링(10)과, 상기 힌지본체(2)에 삽입 설치되며 축 고정구(38)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는 힌지축(11)이 구성된 힌지장치(A)를 건물바닥에 매몰하지 않고 회전개폐되는 문짝(D)의 회동중심점이 될 위치에 설치 구성하여 상기 힌지축(11)을 기점으로 힌지본체(2)가 회전되게 함으로써 상기 문짝(D)을 회전 개폐되게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문짝(D)의 회동중심점이 될 위치에 힌지장치(A)를 설치 구성하여 힌지축(11)이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본체(2)가 회전되게 하여 문짝(D)을 회전 개폐되게 하고 또한 문짝(D)의 회전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힌지본체(2)를 건물바닥에 매몰되게 시공 설치하지 않게 되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시공시간이 절약되고 작업성이 좋으며 시공 설치에 따른 비용이 절감된다.
즉, 건물의 내부 마무리 내장공사가 완료된 후에도 언제든지 한 번의 현장 출동으로 도어{패치 피팅 타입(Patch Fitting Type)의 강화 유리문}와 힌지 장치를 시공 설치할 수 있다.
둘째, 건물바닥의 손상을 방지하고, 건물바닥을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의 디자인 구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습기나 이물질 등의 유입이 발생 되지 않아 부식 등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고장 수리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넷째, 힌지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상 미려하고 인테리어를 좋게 할 수 있다.
다섯째, 계절의 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힌지본체의 실린더 내에 정상적인 유압이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용 힌지 장치{Hinge apparatus for d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 피팅 타입(Patch Fitting Type) 강화 유리문의 회동중심점이 될 위치에 힌지 장치를 설치 구성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 피팅 타입(Patch Fitting Type) 강화 유리문의 회동중심점이 될 위치에 설치 구성한 힌지 장치의 전체 구성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 피팅 타입(Patch Fitting Type) 강화 유리문의 회동중심점이 될 위치에 설치 구성한 힌지 장치를 평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 유리문이 오픈되는 과정에 따라 힌지장치가 작용되는 상태를 평면에서 본 단면도로서,
도 5a는 강화 유리문이 수평상태(닫힌상태)에서 35°로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도 5a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6a는 강화 유리문이 수평상태(닫힌상태)에서 75°로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도 6a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7a는 강화 유리문이 수평상태(닫힌상태)에서 90°로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도 7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힌지장치 D: 문짝
1 : 실린더 2 : 힌지본체
3 : 피스톤 하우징 4 : 관통공
5 : 롤러안착홈 6,6a : 걸림홈
7 : 스프링 삽입홈 8 : 볼
9,9a : 오일통로 10 : 스프링
11: 힌지축 12,12a: 베어링
13: 지지와셔 14: 베어링 지지커버
16: 돌기부 17: 걸림턱
18: 결합부 19,19a: 롤러
20: 지지상판 21: 지지하판
22: 장공 27: 유압유지용 통로
28: 조절밸브 29: 밀봉용 마개
30: 커버 31: 유압통로
32: 밸브 33: 에어통공
34: 마개 35: 실린더 마개
36: 지지구 37: 고정판
38: 축 고정구 39: 앵커볼트
40: 삽입공 41: 체결볼트
본 발명은 도어용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패치 피팅 타입(Patch Fitting Type)의 여닫이문 회동중심점이 될 위치에 구성하여 문짝의 회전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용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치 피팅 타입(Patch Fitting Type)의 여닫이문"이라 함은 도 1에서와 같이 강화 유리문의 상, 하 양측 모서리부에 프레임을 결합 구성하여 출입구에 지지 설치되는 도어를 말한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회전개폐되는 여닫이문은 그 문이 설치되는 바닥콘크리트에 플로어 힌지를 설치하여 문짝의 개폐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플로어 힌지는 문짝의 회동중심점이 될 위치의 바닥 콘크리트에 금속제 상자형 케이싱을 매설하고, 케이싱의 내부에 힌지본체를 설치하여 힌지본체의 힌지축과 문짝의 하단부를 결합시켜 문짝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며, 케이싱의 상부에는 금속제 덮개판을 씌워서 밀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이 플로어 힌지를 문짝의 회동중심점이 될 위치의 바닥 콘크리트에 매몰되게 시공 설치하고 힌지본체의 힌지축과 문짝의 하단부를 결합시켜 문짝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도록 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첫째, 기존에는 건물의 내부 바닥 마무리 공사를 하기 전에 먼저 플로어 힌지를 설치한 후 내부 바닥 마무리 공사를 완료한 다음 문짝을 설치하였다.
그런데, 건물 바닥과 플로어 힌지의 수평이 맞지 않으면 플로어 힌지를 다시 시공 설치해야하는 문제가 있었고, 설령 수평이 맞는다 할지라도 다시 현장으로 나가 문짝을 시공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둘째, 기존의 플로어 힌지는 건물 바닥에 매몰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습기와 이물질 등의 유입으로 부식이 발생되고 건물바닥의 외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건물바닥을 물청소할 경우 플로어 힌지에 물이 유입되어 고이게 되고 이로인해 플로어 힌지는 부식이 발생되어 전체를 교체해야하고 또한 유입되어 고인 물에 의한 악취가 발생되며, 부식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어 건물 바닥의 외관을 해치게 됨은 물론 손상이 되어 다시 바닥을 수리해야 하는 것이다.
셋째, 플로어 힌지를 바닥에 매몰 시공함에 따른 시공시간이 길어지고 작업성이 좋지 않으며 시공 설치에 따른 비용이 증가 되는 문제가 있다.
넷째, 플로어 힌지를 바닥에 매몰 설치하였을 경우 플로어 힌지의 덮개판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좋지 못해 인테리어의 디자인 구사에 불리한 등의 제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개폐되는 여닫이문에서 힌지 장치를 건물바닥에 매몰 시공 설치하지 않고 문짝의 회동중심점이 될 위치에 설치 구성하여 힌지축이 고 정된 상태에서 문짝 개폐 시 힌지본체가 회전되게 하여 문짝의 회전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용 힌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회전개폐되는 여닫이문에서 문짝의 회동중심점이 될 위치에 힌지 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힌지 장치는 내측에 공간으로 형성되는 실린더가 형성된 힌지본체와 상기 힌지본체의 실린더에 삽입 설치되고 수평이동하는 피스톤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 하우징에 삽입되어 압축 및 탄발력이 이루어지는 스프링과, 상기 피스톤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본체에 삽입 설치되며 축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돌출형성되어 롤러와 지지 당접되는 돌기부와,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상, 하측에 지지 설치되는 지지상판 및 지지하판과, 상기 지지상판 및 지지하판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부와 지지 당접되는 롤러와,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형성되는 유압유지용 통로와, 상기 유압유지용 통로에 삽입 설치되어 유압을 유지하는 조절밸브와, 상기 실린더의 일측 입구를 밀봉하는 밀봉용 마개와, 상기 힌지본체의 하측면에 고정 설치하여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 커버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힌 지축의 하측부에 구성되고 건물바닥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과 결합되어 힌지축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축 고정구를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회전개폐되는 여닫이문에서 문짝(D){즉, 패치 피팅 타입(Patch Fitting Type)의 강화 유리문 또는 강화 유리문으로 칭하기도 한다}의 회동중심점이 될 위치에 힌지 장치(A)를 구성한다.
상기 힌지 장치(A)는 내측에 공간으로 형성되는 실린더(1)가 형성된 힌지본체(2)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본체(2)의 실린더(1)에는 수평이동하는 피스톤 하우징(3)을 삽입 설치한다.
상기 피스톤 하우징(3)은 도3에서와 같이 중간부에 힌지축이 관통되는 관통공(4)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의 양측면으로 롤러가 삽입 안착되는 롤러안착홈(5)(5a)과 걸림턱이 삽입 로크되는 걸림홈(6)(6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하우징(3)의 전방으로 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홈(7)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하우징(3)의 후방 선단면에서 상기 관통공(4)간에 볼(8)이 내장되는 오일통로(9)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관통공(4)과 스프링 삽입홈(7) 간에 오일통로(9a)를 연통되게 형성한다.
상기 피스톤 하우징(3)의 스프링 삽입홈(7)과 실린더(1)에 압축 및 탄발력이 이루어지는 스프링(10)을 삽입 설치한다.
상기 힌지본체(2)에는 상기 피스톤 하우징(3)의 관통공(4)을 관통하여 힌지축(11)을 삽입 설치하되, 삽입 설치수단으로서 상, 하측에 베어링(12)(12a)에 의해 설치하고 상측부의 베어링(12) 하단에는 지지와셔(13)를 삽입 설치하고 하측부의 베어링(12a) 하단에는 베어링 지지커버(14)를 체결나사(15)에 의해 체결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11)은 도3 및 도4a에서와 같이 중간 외측으로 돌기부 (16)를 돌출 형성하여 피스톤 하우징(3)의 관통공(4)에 삽입 되게 한다.
상기 힌지축(11)의 돌기부(16) 중간부에 걸림턱(17)을 돌출 형성하고, 또 상기 힌지축(11)의 하측부에 사면체로 이루어지는 결합부(18)를 형성한다.
상기 피스톤 하우징(3)의 양측 롤러 안착홈(5)(5a)에는 롤러(19)(19a)를 삽입하고 상기 피스톤 하우징(3)의 관통공(4) 상, 하부에 지지 상판(20)과 지지 하판(21)을 체결 고정하여 상기 롤러(19)(19a)와 돌기부(16)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즉, 상기 지지 상판(20)과 지지 하판(21)에는 관통되는 장공(22)과 롤러(19)(19a)가 삽입 지지되는 삽입공(23)(23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상판(20)에는 다수의 관통공(24)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하판(21)에는 다수의 너트공(25)을 형성하여 다수의 볼트(26)로써 상기 지지 상판(20)의 관통공(24)을 관통시켜 지지 하판(21)의 너트공(25)과 체결 결합한다.
위와 같이 하여 도4a에서와 같이 양측부의 롤러(19)(19a)는 힌지축(11)의 돌기부(16)에 당접되어 지지된다.
상기 실린더(1)의 상측에는 실린더(1)내에 정상적인 유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유압유지용 통로(27)를 상기 실린더(1)와 연통되게 형성하고 이에 조절밸브(28)를 삽입 설치한다.
상기 실린더(1)의 후방 선단에는 실린더(1)의 입구를 밀봉하는 밀봉용 마개(29)를 밀봉되게 삽입 설치하고 이의 일측에는 커버(30)를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 후방의 상측 힌지본체(2)에 유압통로(31)와 밸브(32) 를 구성한다.
상기 유압유지용 통로(27)의 전방 입구에는 에어통공(33)을 갖는 마개(34)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3)의 전방 입구에는 실린더 마개(35)를 삽입 설치한다.
상기 힌지본체(2)의 외측으로 강화유리문(D)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구(36)를 삽입 설치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힌지본체(2)의 하측으로 고정판(37)을 건물바닥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판(37)에는 상기 힌지축(11)과 결합되어 힌지축(11)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축 고정구(38)를 설치 구성한다.
즉, 상기 고정판(37)은 문틀(m)과 용접으로 고정하거나 다수의 앵커볼트(39)로 건물바닥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판(37)에는 사각 모양의 삽입공(40)을 갖는 상기 축 고정구(38)를 체결볼트(41)로 체결 고정하며 상기 삽입공(40)에는 상기 힌지축(11)의 결합부(18)가 삽입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와 도4a 및 도4b에서와 같이 문짝(D)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도5a 및 도5b에서와 같이 문짝(D)을 밀어 오픈{문짝이 수평상태에서 35°로 열린 상태임}시키면 이때 힌지축(11)은 축 고정구(38)에 의해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실린더(1) 내의 피스톤 하우징(3)이 전방으로 수평이동이 이루어진다.
즉, 문짝(D)을 밀게 되면 힌지축(11)은 고정되어 있어 힌지본체(2)는 상, 하측의 베어링(12)(12a)을 기점으로 회동하고 이와 동시에 지지상판(20)과 지지하판 (21)에 의해 피스톤 하우징(3)에 결합된 일측 롤러(19)가 힌지축(11)의 돌기부(16)에 당접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스톤 하우징(3)은 전방으로 스프링(10)을 압축시키면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 하우징(3)은 전방으로 직선 이동을 하는 경우 상기 피스톤 하우징(3)의 후방 오일통로(9)에 삽입된 볼(8)은 유압에 의해 후진하여 오일통로(9)를 차단하고 동시에 도2에서 유압통로(31)를 통해 실린더(1) 내의 전방 오일은 밸브(32)를 경유하여 실린더(1) 후방으로 유입된다.
또한 도6a 및 도6b에서와 같이 문짝(D)을 계속 밀어 오픈{문짝이 수평상태에서 75°로 열린 상태임}시키면 일측의 롤러(19)는 도6b에서와 같이 돌기부(16)의 선단 모서리부(r)에 당접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상기 힌지축(11)과 일측 롤러(19)의 중심 센터를 이은 가상의 중심선(c)이 일측 롤러(19)가 돌기부(16)의 선단 모서리부(r)에 당접된 점을 넘지 않은 상태인데, 이는 문짝(D)의 오픈을 중지하면 압축된 스프링(10)의 탄발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또한 한편 계속해서 오픈 될 수 있는 상태이기도 하다.
상기 도6a 및 도6b에서와 같이 문짝(D)이 열린 상태{즉, 문짝이 수평상태에서 75°로 열린 상태}에서 계속하여 문짝(D)을 밀어 열게 되면 도7a와 도7b 및 도8에서와 같이 문짝(D)은 완전 오픈{즉, 문짝이 수평상태에서 90°로 열린 상태}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피스톤 하우징(3)의 관통공(4) 내측벽에 형성된 걸림홈(6)은 힌지축 (11)의 돌기부(16)에 형성된 걸림턱(17)에 삽입 로크되고, 이와 동시에 도7b에서와 같이 상기 힌지축(11)과 일측 롤러(19)의 중심 센터를 이은 가상의 중심선(c)이 일측 롤러(19)가 돌기부(16)의 선단 모서리부(a)에 당접된 점을 넘은 상태가 된다.
상기 도7a와 도7b 및 도8에서와 같이 문짝(D)이 완전 오픈{즉, 문짝이 수평상태에서 90°로 열린 상태}이 이루어지면, 문짝(D)은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출입구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완전 오픈 된 문짝(D)을 다시 닫고자 하려면 오픈 될 때의 반대 방향으로 문짝(D)을 밀던가 당기면 되고 이때 문짝(D)을 소정의 각도{예컨대, 15°, 즉, 도6a 및 도6b에서와 같은 위치상태}만큼만 닫더라도 그 이후로는 자동으로 스프링의 압축되었던 탄발력에 의해 오픈될 때의 역순서에 따라 원상 복귀되어 닫힘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힌지축(11)이 고정된 상태에서 문짝(D)을 회전 개폐할 시 힌지본체(2)가 상기 힌지축(11)을 기점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피스톤 하우징(3)이 전후로 직선 이동을 하면서 문짝(D)의 회전 개폐 동작(속도)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힌지 장치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가 생기더라도 실린더(1) 내에는 진공상태의 공간이 생기지 않아 에어(Air)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비정상적으로 유압이 높아져 실린더가 터지거나 오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예컨대 도2 또는 도8에서 겨울철에 온도의 하강에 따라 실린더(1) 내의 오일이 수축되면 이때 유압유지용 통로(27)에 삽입 설치한 조절밸브(28) 또한 당겨 져 오일로 내장된 실린더(1) 내에는 진공상태의 공간이 생기지 않게 되므로, 진공으로 인한 공간에 에어(Air)가 유입되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여름철에 온도가 상승하여 오일이 팽창하게 되면 마개(34)의 에어통공(33)을 통해 에어를 배출하면서 조절밸브(28)를 밀어내어 실린더(1) 내에는 비정상적인 고압이 발생 되지 않게 되므로 정상적인 오일압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상판(20)과 지지하판(21)에 의해 피스톤 하우징(3)에 결합된 타측 롤러(19a)는 상기 문짝(D)이 반대 방향으로 개폐될 시 작동이 이루어지고, 유압통로(31)에 구성한 밸브(32)는 상기 유압통로(31)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 양을 조절하여 유압을 조절하는 것이며, 실린더 마개(35)는 실린더(1) 내에 오일을 주입한 후 실린더(1)를 밀봉하는 작용을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문짝(D)의 회동중심점이 될 위치에 힌지장치(A)를 설치 구성하여 힌지축(11)이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본체(2)가 회전되게 하여 문짝(D)을 회전 개폐되게 하고 또한 문짝(D)의 회전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힌지본체(2)를 건물바닥에 매몰되게 시공 설치하지 않게 되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시공시간이 절약되고 작업성이 좋으며 시공 설치에 따른 비용이 절감된다.
즉, 건물의 내부 마무리 내장공사가 완료된 후에도 언제든지 한 번의 현장 출동으로 도어{패치 피팅 타입(Patch Fitting Type)의 강화 유리문}와 힌지 장치를 시공 설치할 수 있다.
둘째, 건물바닥의 손상을 방지하고, 건물바닥을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의 디자인 구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습기나 이물질 등의 유입이 발생 되지 않아 부식 등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고장 수리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넷째, 힌지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상 미려하고 인테리어를 좋게 할 수 있다.
다섯째, 계절의 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힌지본체의 실린더 내에 정상적인 유압이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6)

  1. 내측에 실린더(1)가 형성된 힌지본체(2)와, 상기 힌지본체(2)의 실린더(1)에 삽입 설치되고 수평이동하는 피스톤 하우징(3)과, 상기 실린더(1)와 피스톤 하우징(3)에 삽입되어 압축 및 탄발력이 이루어지는 스프링(10)과, 상기 힌지본체(2)에 삽입 설치되며 축 고정구(38)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는 힌지축(11)이 구성된 힌지장치(A)를 건물바닥에 매몰하지 않고 회전개폐되는 문짝(D)의 회동중심점이 될 위치에 설치 구성하여 상기 힌지축(11)을 기점으로 힌지본체(2)가 회전되게 함으로써 상기 문짝(D)을 회전 개폐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피스톤 하우징(3)은 중간부에 관통공(4)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4)의 양측면으로 롤러안착홈(5)(5a)을 형성하며, 상기 롤러안착홈(5)(5a)에는 지지상판(20)과 지지하판(21)에 의해 롤러(19)(19a)를 설치 구성하고, 힌지축(11)은 상기 롤러(19)(19a)와 지지 당접되는 돌기부(16)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힌지본체(2)의 실린더(1) 상측부에 유압유지용 통로(27)를 형성하고 이에 조절밸브(28)를 삽입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1)의 일측 입구를 밀봉용 마개(29)로 밀봉 설치하고, 피스톤 하우징(3)의 양측으로 오일통로(9)(9a)를 형성하며 상기 일측의 오일통로(9)에는 볼(8)을 내장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힌지본체(A)의 하측부에 구성되고 건물바닥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판(37)과, 상기 고정판(37)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11)과 결합되어 힌지축(11)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축 고정구(38)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힌지장치(A)를 패치 피팅 타입(Patch Fitting Type) 강화 유리문의 회동중심점이 될 위치에 설치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장치.
KR1020050083273A 2005-09-07 2005-09-07 도어용 힌지 장치 KR20070028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273A KR20070028090A (ko) 2005-09-07 2005-09-07 도어용 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273A KR20070028090A (ko) 2005-09-07 2005-09-07 도어용 힌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090A true KR20070028090A (ko) 2007-03-12

Family

ID=3810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273A KR20070028090A (ko) 2005-09-07 2005-09-07 도어용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809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189B1 (ko) * 2007-09-17 2008-06-16 오세진 비매설 형태로 된 도어용 유압식 힌지장치
KR100929213B1 (ko) * 2007-05-11 2009-12-01 우희범 유리문 개폐용 유압식 플로어힌지장치
KR101024700B1 (ko) * 2008-09-19 2011-03-25 우희범 도어 개폐용 유압식 플로어힌지장치
KR101045127B1 (ko) * 2009-05-27 2011-06-30 이영채 여닫이문용 피벗 고정장치
KR101109574B1 (ko) * 2009-06-03 2012-01-31 남선오 도어 개폐용 유압식 플로어힌지장치
KR101359574B1 (ko) * 2012-01-19 2014-02-07 레아도 도어 컨트롤스 리미티드 유리문용 자동 복귀 기구
GB2512751A (en) * 2011-09-30 2014-10-08 Chung Chow Damped self-centering hinge
GB2495154B (en) * 2011-09-30 2015-07-08 Chung Chow Damped self-centering hing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13B1 (ko) * 2007-05-11 2009-12-01 우희범 유리문 개폐용 유압식 플로어힌지장치
KR100838189B1 (ko) * 2007-09-17 2008-06-16 오세진 비매설 형태로 된 도어용 유압식 힌지장치
KR101024700B1 (ko) * 2008-09-19 2011-03-25 우희범 도어 개폐용 유압식 플로어힌지장치
KR101045127B1 (ko) * 2009-05-27 2011-06-30 이영채 여닫이문용 피벗 고정장치
KR101109574B1 (ko) * 2009-06-03 2012-01-31 남선오 도어 개폐용 유압식 플로어힌지장치
GB2512751A (en) * 2011-09-30 2014-10-08 Chung Chow Damped self-centering hinge
GB2495154B (en) * 2011-09-30 2015-07-08 Chung Chow Damped self-centering hinge
GB2512751B (en) * 2011-09-30 2015-07-08 Chung Chow Damped self-centering hinge
KR101359574B1 (ko) * 2012-01-19 2014-02-07 레아도 도어 컨트롤스 리미티드 유리문용 자동 복귀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8090A (ko) 도어용 힌지 장치
KR100838189B1 (ko) 비매설 형태로 된 도어용 유압식 힌지장치
US7607453B2 (en) Non-freeze wall hydrant
US20180010376A1 (en) Hinge
EP2682552B1 (en) Floor hinge hidden in door panel
JP3179619U (ja) フロアヒンジ
US5815996A (en) Interior-mounted cover for roof ventilator
CN1796716B (zh) 门用倾斜纠正板
US20080034539A1 (en) Adjustable refrigerator door hinge
KR20070009951A (ko) 공압식 창호 자동개폐시스템
CN106014045A (zh) 一种隐藏式门轴铰链及使用该铰链的门体结构
KR200391489Y1 (ko) 좌우 겸용 사용과 도어 복귀를 가능하게 하는 경첩장치
JP3634776B2 (ja) 既設ドア枠利用の簡易改装ドア
CN213510266U (zh) 一种单扇防护密闭门
KR100434953B1 (ko) 회전식 도어의 힌지장치
CN212642521U (zh) 一种实体户外门组件
KR100723918B1 (ko)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
KR200396924Y1 (ko) 문짝용 경첩
KR20110000695U (ko) 점검구 도어 힌지
KR20200120066A (ko) 시스템 루버의 밀폐구조
CN219528744U (zh) 一种转轴结构及淋浴门
KR200374577Y1 (ko) 창문개폐용 연결암
KR200337261Y1 (ko) 도어의 힌지장치
KR200388213Y1 (ko) 플로어힌지의 위치조절장치
CN217538283U (zh) 一种单边整体铰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