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466U - 충전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충전용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66466U KR19980066466U KR2019970010887U KR19970010887U KR19980066466U KR 19980066466 U KR19980066466 U KR 19980066466U KR 2019970010887 U KR2019970010887 U KR 2019970010887U KR 19970010887 U KR19970010887 U KR 19970010887U KR 19980066466 U KR19980066466 U KR 1998006646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 mobile phone
- case
- seated
- charg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전화기를 거치하여 충전시키는 충전용 거치대(1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하부에 휴대 전화기가 안착되게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안착판(11)의 일측에 휴대폰의 충전지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게 하는 충전단자(24)를 구비한 케이스(12,14)와;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왕복 이동 하도록 설치되어 안착되는 휴대 전화기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이동대(30)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대를 동작시키는 모터(40)와; 휴대 전화기의 안착여부에 따라 모터를 정역회전 시키는 스위치수단과; 상기 충전단자로 전류를 공급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위치와 연동되어 상기 모터가 동작되게 회로구성된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휴대 전화기들을 안정되게 거치 및 충전시킬 수 있는 호환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충전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휴대 전화기들을 안정되게 거치 및 충전시킬 수 있도록 호환성을 부여한 충전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기는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되어 장시간 사용후에는 반드시 충전을 시켜야만 하는데 이 때문에 각 휴대 전화기에는 별도의 충전용 거치대가 구비된다.
충전용 거치대는 전원을 휴대 전화기에 공급할 수 있는 충전용 단자가 설치되어있고 또 휴대 전화기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안착판이 설치되어있다. 그러나 휴대 전화기는 이를 제작하는 회사가 많고 또 제작사에 따라 다양한 모델로 출시하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의 크기가 달라 호환성을 갖지 못한다.
특히, 카폰을 거치하기 위한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카폰용 거치대의 경우에는 카폰이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되게 지지하고 있어야 함으로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갖는 카폰 및 각 휴대 전화기에 따라 그에 알맞는 충전용 거치대를 구비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목적은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휴대 전화기를 안정적으로 거치 및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용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 제품의 사시도
도 2의 (가)는 이동대의 분해도
(나)는 이동대와 기어가 결합한 상태도
도 3의 (가)는 본 고안 제품의 앞판 내부도
(나)는 본 고안 제품의 앞판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 제품의 뒷판 분해 내부도
도 5는 본 고안 충전용 거치대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충전용 거치대12 … 전면 케이스
22 … 고정기둥30 … 이동대
32a, 32b … 지지대37 … 이동판
40 … 모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하부에 휴대 전화기가 안착되게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안착판의 일측에 휴대폰의 충전지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게 하는 충전단자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왕복이동 하도록 설치되어 안착되는 휴대 전화기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이동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대를 동작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된 기어열과; 휴대 전화기의 안착여부에 따라 모터를 정역회전 시키는 스위치수단과; 상기 충전단자로 전류를 공급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위치와 연동되어 상기 모터가 동작되게 회로구성된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상기 케이스의 일측 측부에 스위치가 설치되고 이 스위치에 의해 전류의 흐름방향을 바꾸어 모터를 정역회전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충전용 거치대(10)는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휴대 전화기를 안착시키는 안착판(11)이 돌출형성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양측에서 반대 반향으로 수평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대(30)와, 케이스의 전면중앙과 일측 측면부에는 이동대(3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16,2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케이스는 전후 케이스(12,14)로 분리되는 구조로 조립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이동대(30)가 출몰가능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의 (가)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30)는 중앙부에 횡형 가이드 구멍(38a,38b)이 형성된 이동판(37)과, 이 이동판의 일측단의 일측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34)결합되고 상하단에 전방으로 고정기둥(22)이 돌출 형성된 지지대(32a,32b)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가이드 구멍(38a,38b) 상단 또는 하단에는 서로 대향되게 래크(39)가 형성되어 있고, 이동판(37)의 일측단에는 힌지(34)부를 중심으로 상하로 벌어지게 돌출형성되어 지지대에 복원탄성력을 가하는 탄성편(36)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기둥(22)에는 휴대 전화기를 고정시켰을 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 고정기둥(22)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전면케이스(12)의 중앙부에는 이동판(37)의 상하부를 지지하여 안정되게 이동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레일(35)이 상하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양측 이동판(37)이 전후로 포개어져 가이드 구멍(38a,38b)이 연통되는 구조로 조립된다.
또한, 도 4에는 거치대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케이스의 내부에는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모터(40) 즉, 삼상모터와, 이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26a,26b,44a,44b,46a,46b)열과, 정역회전스위치에 의해 모터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충전단자(24)에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회로장치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설되어 있다.
이 인쇄회로기판은 후측케이스(14)의 내측면에 고정되는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는 모터(40)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모터(40)와 스위치(16,20) 및 충전단자(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모터의 회전축단에는 워엄기어(4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워엄기어(42)와 이동판(37)의 래크 사이에는 제 1 ∼제 6 기어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기어(46a) 제 2 기어(46b)와 제 3 기어(44a) 제 4 기어(44b) 그리고 제 5 기어(26a) 제 6 기어(26b)는 동일축을 가지면서 일체로 형성된 기어이며 제 2 기어(46b)와 제 4 기어(44b) 및 제 6 기어(26b)는 동일한 몸체로된 제 1 기어(46a), 제 3 기어(44a), 제 5 기어(26a)보다 지름이 작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기어열의 연결구조는 워엄기어(42)와 제 1 기어가 맞물리도록 되어 있고 제 2 기어와 제 3 기어, 제 4 기어와 제 5 기어, 제 6 기어와 이동판(37) 가이드 구멍(38a,38b)에 형성된 래크와 맞물려 감속되는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용 거치대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충전용 거치대 회로 구조를 보면, 가정에서 사용되는 교류전압을 사용할 경우 외부전원을 코드로 공급받아 배터리 충전전압으로 변압시키는 트랜스 포머(50)와, 이 트랜스포머로부터 변압된 교류전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브릿지 다이오드(52)와, 직류전압을 정류시켜 충전단자로 공급시키는 정전압IC(56)와, 정전압IC와 충전단자의 사이에 접속되어 충전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발광다이오드(62)와, 정전압IC(56)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받아 작동되는 모터(40)와, 이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모터 제어수단은 모터에 전류의 공급방향을 바꾸어 모터를 정역회전시키는 정역회전스위치(16,20)와, 모터(40)의 과부하를 감지하는 센서(60), 이 센서의 작동에 의해 작동하는 릴레이(58) 및 이 릴레이와 연동하여 정역회전스위치로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스위치(59)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역회전 스위치(16)를 작동시키면 전류가 통하여 모터(40)가 역회전하여 모터에 연결된 워엄기어(42)가 회전되고, 이 워엄기어와 순차적으로 맞물려 제 1∼ 제 6 기어가 동력을 전달하며 최종적으로 맞물린 이동판(37)의 가이드 구멍(38a,38b) 상하단에 형성된 래크(39)에 전달된다. 이때, 래크(39)가 상호반대의 위치에 형성된 이동판(37)은 서로 반대로 작용하여 수평이동 하게 되어 양측 이동대(30)는 서로 확장되어 이동대의 고정기둥(22)은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휴대 전화기를 충전용 거치대(10)에 올려놓게 되면 휴대 전화기의 하부가 거치대의 안착판(11)에 안착되게 됨과 동시에 충전단자(24)와 내장된 충전지(64)와 전기적접속을 이루게 되어 휴대 전화기의 충전이 시작된다. 이와 동시에 전화기의 배면이 충전용 거치대(10)의 전면에 설치된 정회전스위치(20)를 누르게 되며, 이 스위치에 의해 모터가 정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서술한 것과 같이 기어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여 이동판이 좁혀지게하여 고정기둥은 안착된 휴대전화기의 측면을 찝어 고정을 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더 이상 이동대(30)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그러나 모터(40)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려고 하기 때문에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때, 모터의 과부하 상태를 센서(60)가 감지하여 릴레이(58)를 작동시키게 되고, 릴레이는 릴레이스위치(59)를 닫아 모터(4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게 됨으로 모터는 정지하게 되고, 이동대(30)는 거치된 휴대 전화기를 견고하게 지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만약, 거치되는 휴대 전화기의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불규칙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이동대(30)의 지지대(32a,32b)가 이동대(30)에 힌지(34)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대(32a,32b)는 회동되면서 휴대 전화기의 측면 형상에 따라 능동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반대로 이동대가 휴대 전화기로부터 이격되게 되면 이동판(37)에 형성된 탄성편(36)이 지지대(32a,32b)에 탄성력을 가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한편, 충전이 완료되어 휴대 전화기를 거치대로부터 분리시켜야할 경우에는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된 역회전스위치(16)를 누른다. 역회전스위츠를 작동시키면 전류의 방향이 바뀌어 모터(40)가 역회전되게 되며 연결된 기어열에 의해 맞물린 이동대(30)는 서로 벌어지게 된다. 이동대가 벌어지게 되면 휴대 전화기를 지지하던 고정기둥(22)이 휴대 전화기와 이격됨으로 휴대 전화기는 거치대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동대가 거치대의 측면에서 수평 이동하면서 거치되는 휴대 전화기를 지지하게 됨으로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갖는 어떠한 휴대 전화기라도 안정되게 거치함과 동시에 용이하게 충전시킬 수 있는 호환성을 갖는다.
Claims (2)
- 하부에 휴대 전화기가 안착되게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안착판(11)의 일측에 휴대폰의 충전지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게 하는 충전단자(24)를 구비한 케이스(12,14)와;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왕복이동 하도록 설치되어 안착되는 휴대 전화기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이동대(30)와;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대를 동작시키는 모터(40)와;상기 이동대와 연결되어 이동대(30)를 이동시키는 기어(26a,26b,44a,44b,46a,46b)열과;휴대 전화기의 안착여부에 따라 모터(40)회전 시키는 스위치수단과;상기 충전단자로 전류를 공급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위치(16,20)와 연동되어 상기 모터가 동작되게 회로구성된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거치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30)는 케이스(12,14) 양측에 각각 설치된 것으로 상단 또는 하단부에 모터(40)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기어(26b)와 맞물리는 래크(39)가 형성된 횡형의 가이드 구멍(38a,38b)을 포함하고 대향된 일측단에 상하로 벌어진 탄성편(360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구멍의 상하단에 이동방향과 나란한 안내레일(35)을 갖는 이동판(37)과 상기 탄성편이 형성된 이동판 단부와 힌지(34)결합되어 상기 탄성편(36)에 의해 탄력 지지되고 전면 상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적어도 두 개이상의 고정기둥(22)을 갖는 지지대(32a,32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10887U KR200156765Y1 (ko) | 1997-05-16 | 1997-05-16 | 충전용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10887U KR200156765Y1 (ko) | 1997-05-16 | 1997-05-16 | 충전용 거치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6466U true KR19980066466U (ko) | 1998-12-05 |
KR200156765Y1 KR200156765Y1 (ko) | 1999-09-01 |
Family
ID=19501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10887U KR200156765Y1 (ko) | 1997-05-16 | 1997-05-16 | 충전용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56765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0649B1 (ko) * | 2000-06-26 | 2003-02-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휴대 기기용 충전기 |
KR102048725B1 (ko) * | 2018-05-18 | 2019-11-27 |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 차량용 거치 시스템 |
KR20200125229A (ko) * | 2019-04-26 | 2020-11-04 | 강경석 |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2010015867U1 (de) * | 2010-11-25 | 2011-05-05 | Buchhalter, Thomas | Elektromechanische Halterung zur Aufnahme von Navigations- und Kommunikationsgeräte im KFZ |
-
1997
- 1997-05-16 KR KR2019970010887U patent/KR20015676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0649B1 (ko) * | 2000-06-26 | 2003-02-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휴대 기기용 충전기 |
KR102048725B1 (ko) * | 2018-05-18 | 2019-11-27 |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 차량용 거치 시스템 |
KR20200125229A (ko) * | 2019-04-26 | 2020-11-04 | 강경석 |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56765Y1 (ko) | 1999-09-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4395B1 (ko) |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 |
CN100358069C (zh) | 借助摆动按钮的电控制器的加压驱动机构 | |
CN103221262B (zh) | 一种汽车用收纳移动装置的固定架 | |
US20150026890A1 (en) |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for an electromotive furniture drive for a piece of furniture, electromotive furniture drive, and a corresponding piece of furniture | |
AU2017261050B2 (en) | Charging device | |
WO2002011266A3 (en) | Wall switch device and power outlet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charging station | |
CN112425027A (zh) | 可无线充电的汽车用杯座 | |
CN109630835A (zh) | 一种电动车减震支架 | |
KR200156765Y1 (ko) | 충전용 거치대 | |
WO1998042060A2 (en) | Battery self-charger integrated in battery pack for a portable telephone set | |
CN113114089A (zh) | 一种便携式应急移动储能电源 | |
KR20190001937U (ko) | 무선충전 거치대 | |
CN114553995B (zh) | 一种自拍杆 | |
KR200347860Y1 (ko) | 휴대폰용 멀티 충전기 | |
KR200236385Y1 (ko) |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 |
JP3454624B2 (ja) | 折りたたみ式の充電器 | |
CN217356585U (zh) | 电器模组及具有其的家用电器 | |
CN109921492A (zh) | 一种多功能产品充电底座 | |
CN203859041U (zh) | 一种汽车座椅调节开关 | |
WO2001095763A1 (en) | Screen display apparatus | |
KR101394378B1 (ko) | 틸팅형 유무선 겸용 충전기 | |
CN220639719U (zh) | 一种集成手机无线充功能的双联屏结构 | |
KR100355823B1 (ko) | 가변형 휴대폰 충전기 | |
CN211226178U (zh) | 一种smt上料设备 | |
CN220172929U (zh) | 无线充电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62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