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937U - 무선충전 거치대 - Google Patents

무선충전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937U
KR20190001937U KR2020190000313U KR20190000313U KR20190001937U KR 20190001937 U KR20190001937 U KR 20190001937U KR 2020190000313 U KR2020190000313 U KR 2020190000313U KR 20190000313 U KR20190000313 U KR 20190000313U KR 20190001937 U KR20190001937 U KR 201900019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housing
wireless charging
drive motor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안쿤 자오
Original Assignee
선전 이티안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이티안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선전 이티안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019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93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실용신안은 무선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거치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 본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충전 코일, 제어모듈, 구동모터,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제어회로, 적외선 센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와 상기 제어회로는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충전 코일과 전기 연결되며,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하우징의 부분에 배치되는 파지부에 움직임을 전달하도록 연결된다(전동연접). 본 실용신안은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고, 조작이 편리하다.

Description

무선충전 거치대{WIRELESS CHARGING CRADLE}
본 실용신안은 전자 기기 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으로서, 특히 무선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청구 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하는 본 실용신안의 실시 예에 대한 배경 또는 관련 내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 부분 중에 기재된 내용을 선행기술로 인정해서는 안 된다. 모바일 기기의 보급에 따라, 사람들은 모바일 기기를 잡아 고정하는 거치대를 발명했다. 예를 들면, 현재 비교적 보편화된 차량용 거치대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차량용 거치대는 사용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용신안은 무선충전 기능과 제어가 용이한 무선충전 거치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실용신안에서 채용한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다. 무선충전 거치대는, 거치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 본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충전코일, 제어모듈, 구동모터,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제어회로, 적외선 센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와 상기 제어회로는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충전코일과 전기 연결되며,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하우징의 부분에 배치되는 클램프에 움직임을 전달하도록 연결된다(전동연접).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제어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내에 가동레일이 고정되고, 상기 클램프는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는 각각 상기 가동레일에서 상대적으로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는 각각 상기 구동모터와 전동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에는 모두 선형으로 줄지어 구비되는 다수 개의 톱니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전동기어는 제1 클램프의 톱니와 상기 제2 클램프의 톱니에 각각 맞물린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는 모두 끼움부, 연접부 및 래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톱니는 상기 래크부 위에 설치되며, 상기 연접부의 일단과 상기 끼움부는 연접하고, 상기 래크부와 상기 연접부의 다른 일단이 연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접부에는 요홈(수용 캐비티)이 구비되고, 상기 요홈 내에 스프링이 수용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레크부에 가까이 있는 연접부의 내벽상에 접하여 지탱하며, 상기 스프링의 다른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측벽에 접하여 지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레일에는 상기 제1 클램프와 대응되는 제1 슈트 및 상기 제2 클램프와 대응되는 제2 슈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슈트 및 상기 제2 슈트는 상기 가동레일의 서로 다른 고도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레일 내에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제1 클램프를 지탱하고,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제2 패널의 하방 공간에서 슬라이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내부 저면에는 슬라이딩 시트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시트와 상기 제2 패널 및 상기 가동레일 프레임의 측벽은 제2 클램프의 슬라이딩 캐비티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회로는 PCB 판에 설치되고, 상기 PCB 판은 구동모터 제어 PCBA 및 상기 구동모터 제어 PCB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충전 PCBA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 PCBA는 상기 충전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상기 구동모터 제어 PCBA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 제어 PCBA는 충전단자에 연결된다.
본 실용신안에서 제공하는 무선충전 거치대는 무선충전코일을 통하여 휴대전화 같은 모바일 기기를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적외선 센서 스위치를 통해 구동 모터 작업을 제어할 수 있으며, 클램프를 움직여 모바일 기기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용신안 실시 예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실시 예의 설명에 사용된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하며,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의 도면은 본 실용신안의 일부 실시 예이다. 본 영역의 보통의 기술자라면, 창조적인 노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이 부가도면들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실용신안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실용신안의 회로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실용신안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실용신안의 클램프와 가동레일의 결합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실용신안의 클램프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실용신안의 가동레일 구조도이다.
이하에서 본 실용신안의 도면과 결합하여 설명한다. 본 실용신안의 실시 예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정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설명된 실시 예는 본 실용신안의 일부 실시 예일뿐 모든 실시 예가 아닌 것은 명백하고, 본 실용신안의 실시 예에 기초하여 본 기술영역의 보통의 기술자가 창작의 노력 없이 도출할 수 있는 기타 실시 예도 모두 본 실용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해할 수 있듯이, 도면은 단지 참고 및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실용신안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도시된 연결은 명확하게 설명하고 연결 방식을 정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될 수 있거나 구성요소의 가운데에 존재할 수 있다.
따로 정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문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와 본 발명의 기술 영역의 기술자가 통상으로 이해하는 의미는 동일하며, 본문 중에 실용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본 실용신안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용신안의 일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무선충전 거치대(100)의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충전 거치대는 거치대 본체(1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 상의 고정단(20)과 결합되며, 상기 고정단(20)은 본체(10)를 차량 등과 같은 기타 물체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그 중 상기 고정단(20)은 통공된 집게발 형태(통풍조)일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와 상기 고정단(20)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하우징(1), 상기 하우징(1) 내에 배치되는 충전코일(2), 제어모듈(3), 구동모터(4),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클램프(5, 끼워 고정하는 모듈)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모듈(3)은 제어회로(31), 적외선 센서 스위치(32), 터치 센서 스위치(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제어회로(31)는 구동모터 제어회로(311) 및 무선충전 제어회로(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 제어회로(311) 및 상기 무선충전 제어회로(312)는 1개의 PCB 판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구동모터 제어 PCBA01 및 무선충전 PCBA02가 따로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PCBA02는 상기 충전코일(5)과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32)는 상기 구동모터 제어 PCBA01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 제어 PCBA01은 충전단자(6)에 연결된다. 충전단자(6)는 상기 하우징(1)의 아래 측에 설치되고, 충전코일(2)은 파지된 휴대전화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은 앞커버(11)와 뒷커버(12)를 포함할 수 있고, 앞커버(11)와 뒷커버(12)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앞커버(11)의 저면에는 받침대(111)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받침대(111)는 클램프(5)를 통하여 파지된 휴대전화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앞커버(11)의 표면과 대략 90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앞커버(11)의 표면에는 한 개의 원형 홈(112)이 설치될 수 있고, 원형 홈(112) 내에는 완충패킹(113)이 고정될 수 있으며, 완충패킹(113)은 실리카 겔 또는 다른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하우징(1)의 사이드에는 복수의 LED등(13)이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면 2개의 LED(13)가 설치될 수 있다. 2개의 LED등(13)은 하우징(1)의 양 사이드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LED등(13)은 상기 구동모터 제어 PCBA01과 전기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무선충전 PCBA02와 전기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32)는 상기 하우징(1)의 표면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33)는 상기 하우징(1)의 사이드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사용 시, 인체의 손가락은 적외선 센서 스위치(32)가 감지할 수 있는 위치를 막을 수 있고, 그러면 구동모터(4)를 제어하여 클램프(5)가 벌어지도록 하며, 클램프(5)를 벌린 후에 휴대전화를 놓고, 다시 구동모터(4)가 클램프(5)를 원상태로 구동시켜 휴대전화가 끼워질 수 있다. 휴대전화가 고정된 후에, 충전코일(2)로 충전할 수 있다. 그 후에, 사이드의 터치 센서 스위치(33)가 인체의 손가락의 터치를 감지하여 다시 클램프(5)가 열리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휴대전화를 곧 꺼낼 수 있다. 제어회로(32)의 제어를 통하여, 클램프(5)를 벌린 후 예로 10초와 같이 일정 간격의 시간 내에 구동모터(4)가 자동으로 클램프(5)를 원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으며, 또는 구동모터(4)를 작동시키지 않고 설치된 탄성편(7)을 통해 클램프 복위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 내에는 가동레일(8)이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5)는 제1 클램프(51)와 제2 클램프(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클램프(51)와 제2 클램프(52)는 각각 상기 가동레일(8)에서 상대적으로(반대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고, 이 둘의 슬라이딩면은 서로 겹치지 않는다. 상기 제1 클램프(51)와 상기 제2 클램프(52)는 각각 상기 구동모터(4)와 전동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클램프(51)와 상기 제2 클램프(52)는 모두 끼움부(A), 연접부(B)와 래크부(C)를 포함한다. 상기 연접부(B)의 일단은 상기 끼움부(A)와 연결되고, 상기 래크부(C)는 상기 연접부(B)의 다른 일단과 연결되며, 2개의 래크부(C)위에는 선형으로 줄지어 구비되는 다수 개의 톱니(C1)가 있다. 상기 구동모터(4)의 전동기어(41)는 상기 제1 클램프(51)의 톱니(C1)와 상기 제2 클램프(52)의 톱니(C2)에 각각 맞물린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접부(B)에는 수용 캐비티(B1)가 설치되고 상기 수용 캐비티(B1) 내에 스프링(7)이 수용된다. 상기 스프링(7)의 일단은 상기 래크부(C)에 가까이 있는 상기 연접부(B)의 내벽상에 접하여 지탱하며, 상기 스프링(7)의 다른 일단은 상기 하우징(1)의 내부 측벽에 접하여 지탱한다. 구동모터(4)가 구동하여 클램프(5)가 열리면, 상기 연접부(B)의 내벽과 상기 하우징(1)의 내측벽은 스프링(7)을 압축하고, 구동모터(4)가 구동을 정지하면, 상기 스프링(7)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클램프(51)와 제2 클램프(52)가 가까워지면서 휴대전화를 조여 고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레일(8)에는 상기 제1 클램프(51)와 대응되는 제1 슈트(81, chute) 및 상기 제2 클램프(52)와 대응되는 제2 슈트(82)가 설치될 수 있다. 가동레일(8)은 가동레일 프레임(83) 및 상기 가동레일 프레임(83)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가동레일 프레임(83)에 눌려서 꼭 끼이는 2개의 고정블록(84)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블록(84)은 나사로 조인 후에 가동레일 프레임(83)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동레일 프레임(83)의 양 측벽 상방에는 결구(831)가 구비되고, 결구(831)와 고정블록(84)은 상기 제1 슈트(81)를 형성한다. 제1 클램프(51)는 상기 제1 슈트 내에서 슬라이딩이 제한되고, 상기 가동레일 프레임(83)의 양 측벽에 하단에 근접한 위치에 상기 제2 슈트(82)가 배치될 수 있다.
가동레일 프레임(83) 내에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제1 패널(832) 및 제2 패널(83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널(832)은 상기 제1 클램프(51)를 지탱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연접부(B)를 지탱할 수 있다. 상기 제2 클램프(52)는 상기 제2 패널(832)의 하방 공간에서 슬라이딩하고, 제1 클램프(51)가 움직일 때, 제1 패널(832)을 통해 지탱할 수 있다. 제2 클램프(52)가 움직일 때, 슬라이딩 시트를 통해 지탱할 수 있다. 제1 클램프(51)와 제2 클램프(52)가 상호 인접하면, 상기 제1 클램프(51)의 래크부(C)는 제2 패널(833)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클램프(52)의 래크부(C)는 제1 패널(832)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 내부 저면에는 슬라이딩 시트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 시트와 상기 제2 패널(833) 그리고 상기 가동레일 프레임(83)의 측벽은 상기 제2 클램프(52)의 슬라이딩 캐비티를 구성한다.
본 실용신안에서 제공되는 여러 실시 예는 기타의 방식을 통하여 실현될 수 있고 상기 설명된 실시 예는 예시일 뿐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실용신안은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용신안의 요지와 기본 특징이 벗어나지 않는 한, 기타 구체 형식으로 본 실용신안이 충분히 실현될 수 있음은 본 영역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어느 일 관점에서 보더라도 실시 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고 비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본 실용신안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따르고 상기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청구범위의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경은 본 실용신안에 포함된다.
청구범위 내의 임의의 도면 부호는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다른 구성요소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고, 단수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으며, 제 1, 제 2 등은 을 명칭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임의의 특정 순서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다.
마지막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상기 실시 예는 단지 본 실용신안의 기술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현시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용신안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영역의 보통의 기술자는 본 실용신안의 기술 방안은 수정되거나 균등하게 치환될 수 있고, 본 실용신안 기술 방안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0)

  1. 거치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 본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충전코일, 제어모듈, 구동모터,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제어회로, 적외선 센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와 상기 제어회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충전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하우징의 부분에 배치되는 클램프에 움직임을 전달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제어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가동레일이 고정되고, 상기 클램프는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는 각각 상기 가동레일에서 상대적으로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는 각각 상기 구동모터와 전동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에는 모두 선형으로 줄지어 구비되는 다수 개의 톱니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전동기어는 제1 클램프의 톱니와 상기 제2 클램프의 톱니에 각각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는 모두 끼움부, 연접부 및 래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톱니는 상기 래크부 위에 설치되며, 상기 연접부의 일단과 상기 끼움부는 연접하고, 상기 래크부와 상기 연접부의 다른 일단이 연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접부에는 요홈(수용 캐비티)이 구비되고, 상기 요홈 내에 스프링이 수용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레크부에 가까이 있는 연접부의 내벽상에 접하여 지탱하며, 상기 스프링의 다른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측벽에 접하여 지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거치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레일에는 상기 제1 클램프와 대응되는 제1 슈트 및 상기 제2 클램프와 대응되는 제2 슈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슈트 및 상기 제2 슈트는 상기 가동레일의 서로 다른 고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레일 내에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제1 클램프를 지탱하고,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제2 패널의 하방 공간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 저면에는 슬라이딩 시트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시트와 상기 제2 패널 및 상기 가동레일 프레임의 측벽은 제2 클램프의 슬라이딩 캐비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거치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PCB 판에 설치되고, 상기 PCB 판은 구동모터 제어 PCBA 및 상기 구동모터 제어 PCB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충전 PCBA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 PCBA는 상기 충전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상기 구동모터 제어 PCBA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 제어 PCBA는 충전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거치대.
KR2020190000313U 2018-01-23 2019-01-21 무선충전 거치대 KR20190001937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112973.8U CN207884315U (zh) 2018-01-23 2018-01-23 无线充电支架
CN201820112973.8 2018-0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937U true KR20190001937U (ko) 2019-07-31

Family

ID=63507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313U KR20190001937U (ko) 2018-01-23 2019-01-21 무선충전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01937U (ko)
CN (1) CN20788431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340U (ko) * 2020-07-29 2022-02-07 선전 아이츠크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충전 지지대
KR20220000934U (ko) 2020-10-22 2022-04-29 주식회사 더블유아이 포토카드 내입형 무선충전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340U (ko) * 2020-07-29 2022-02-07 선전 아이츠크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충전 지지대
KR20220000934U (ko) 2020-10-22 2022-04-29 주식회사 더블유아이 포토카드 내입형 무선충전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7884315U (zh) 201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71912C (en) Flexible screen extension structure, flexible screen assembly, and terminal
US8568154B2 (en) Structure for electronically connecting between two devices
CN106764295A (zh) 电动支架
KR20190001937U (ko) 무선충전 거치대
US8672282B2 (en) Fix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screen
CN109729446B (zh) 一种耳机充电盒
CN108600475B (zh) 一种基于蜗轮蜗杆的手机支撑装置
CN211289442U (zh) 摄影装置及其电控滑动装置
WO2003100503A3 (en) Eyewear and mobile phone assembly
CN209676300U (zh) 一种手机夹持机构
AU2018308955A1 (en) Telescopic electromechanical dual-control smart lock
CN212012735U (zh) 一种磁吸式滑轨结构及车载手机重力支架
KR200156765Y1 (ko) 충전용 거치대
CN110535485B (zh) 一种多重防护方式的防尘对讲机
CN208798017U (zh) 一种手机支架
CN207425678U (zh) 一种汽车启动开关按键组件的模块化结构
CN201690483U (zh) 手机滑轨
CN114954182B (zh) 座椅及车辆
CN220639719U (zh) 一种集成手机无线充功能的双联屏结构
CN216873194U (zh) 一种放置型智能对讲机
CN217978114U (zh) 平板电脑支架
CN219806481U (zh) 一种液压管与接口的装配装置
CN219718287U (zh) 充电支架
CN220253069U (zh) 一种电气开关
CN215871390U (zh) 一种紧凑型手持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