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823B1 - 가변형 휴대폰 충전기 - Google Patents

가변형 휴대폰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823B1
KR100355823B1 KR1020000032857A KR20000032857A KR100355823B1 KR 100355823 B1 KR100355823 B1 KR 100355823B1 KR 1020000032857 A KR1020000032857 A KR 1020000032857A KR 20000032857 A KR20000032857 A KR 20000032857A KR 100355823 B1 KR100355823 B1 KR 100355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main body
terminal
charg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4628A (ko
Inventor
이용탁
Original Assignee
이용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탁 filed Critical 이용탁
Priority to KR1020000032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823B1/ko
Publication of KR20000054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단자의 위치를 변경조절하여 휴대폰의 충전단자에 맞춤으로써 휴대폰의 기종에 관계없이 충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변형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10)의 후면지지부(10a)와 저면지지부(10b) 상에 휴대폰이 안착되면 그 충전단자와 전기적 접속을 이룬 상태로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는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을 밀착시키도록 본체(10) 외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측면에 휴대폰의 안정적 지지를 위한 홀더(25)를 구비하는 누름커버(2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안내대(35)와, 상기 안내대(35)와 평행을 유지하도록 본체(10) 내외부에 걸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양방향 스크류(33)와, 상기 안내대(35)를 따라 좌우이동 가능하도록 양방향 스크류(33) 상에 장착되고, 본체(10)의 후면지지부(10a)와 저면지지부(10b)로 돌출되는 각각의 단자(31)(32)를 구비하는 슬라이더(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원단자의 위치를 변경조절하여 휴대폰의 충전단자에 맞춤으로써 휴대폰의 기종에 관계없이 충전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가변형 휴대폰 충전기{An adjustable battery charger for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단자의 위치를 변경하여 휴대폰의 충전단자에 맞춤으로써 휴대폰의 기종에 관계없이 충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변형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성을 지니는 휴대폰에는 구조적으로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탑재되며 휴대폰 구입시 이어폰 등의 악세서리와 함께 제공되는 배터리 충전기를 이용하여 매일 또는 수일에 한번씩 충전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폰은 제조업자마다 충전단자의 위치가 다르게 설계되기 때문에 충전기간에 상호 호환성을 기대할 수 없다. 바야흐로 1인 1휴대폰 시대에서 각 가정에서는 각자의 휴대폰마다 충전기를 보관해야 하는 실정이라 관리 및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한다.
또한 국내외 다수의 휴대폰 제조업자 사이에서 휴대폰의 기능 향상과 경박단소화를 위한 경쟁이 심화되면서 휴대폰의 유행주기가 해마다 급속도로 단축되고 있어 동일한 제조업자의 휴대폰으로 교체하더라도 기종이 변경되면 새로운 충전기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휴대폰의 교체와 함께 충전기는 무용지물로 되는 것이 통례이므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결국 휴대폰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폐단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서, 전원단자의 위치를 변경조절하여 휴대폰의 충전단자에 맞춤으로써 휴대폰의 기종에 관계없이 충전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가변형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의 후면지지부와 저면지지부 상에 휴대폰이 안착되면 그 충전단자와 전기적 접속을 이룬 상태로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는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을 밀착시키도록 본체 외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측면에 휴대폰의 안정적 지지를 위한 홀더를 구비하는 누름커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안내대와, 상기 안내대와 평행을 유지하도록 본체 내외부에 걸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양방향 스크류와, 상기 안내대를 따라 좌우이동 가능하도록 양방향 스크류 상에 장착되고, 본체의 후면지지부와 저면지지부로 돌출되는 각각의 단자를 구비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누름커버의 홀더는 좌우측으로 각각 분할되는 구조이고, 좌우측 폭을 조절하기 위한 장공을 개재하여 장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를 종단하여 요부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A 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내부 구성도,
도 4는 도 2의 B-B 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내부 구성도,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상태에서 단자부분을 종단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를 이용한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홀더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본체 20 : 누름커버
25 : 홀더 26 : 완충판
30 : 조절기구 31, 32 : 단자
33 : 양방향 스크류 34 : 슬라이더
35 : 안내대 36 : 노브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를 종단하여 요부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본체(10)의 후면지지부(10a)와 저면지지부(10b) 상에 휴대폰이 안착되면 그 충전단자와 전기적 접속을 이룬 상태로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는 충전기에 관련되는 바, 휴대폰의 충전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전원단자로서 후면단자(31)와 저면단자(32)를 구비하여 이를 동시에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기구적 구성을 요지로 한다.
휴대폰의 충전단자는 휴대폰 본체의 저면 또는 후면을 이용하여 2∼4개로 형성되며 통상 본체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지만 경우에 따라 비대칭적인 위치에 배치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본체(10)에서 후면지지부(10a)로 적어도 2개의 후면단자(31)를 노출시키고, 저면지지부(10b)로 이와 동수의 저면단자(32)를 노출시키는 구성이 필요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휴대폰을 밀착시키도록 본체(10) 외부에 누름커버(20)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누름커버(20)의 회전축에 토션스프링(도 7a와 도 7b의 부호 21 참조)을 설치하여 휴대폰이 후면지지부(10a) 및 저면지지부(10b)에 밀착되도록 한다. 누름커버(20)의 내측면에는 휴대폰의 안정적 지지를 위한 홀더(25)가 장착된다. 홀더(25)의 구성은 후술하는 도 8을 참조한다.
도 1에서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부호 30은 양방향 스크류(33), 슬라이더(34), 안내대(35) 등으로 구성되는 조절기구를 나타내며 도 3 내지 도 6을 통하여 상세하게 구현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36은 조절기구(30)를 작동하기 위한 노브이고, 부호 12는 회로기판이고, 부호 14는 전원선을 연결하는 커넥터이다.
도 3은 도 2의 A-A 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내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 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내부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조립상태에서 단자부분을 종단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10)의 후면지지부(10a)와 저면지지부(10b)에 형성되는 장공으로 돌출되는 각각의 단자(31)(32)는 슬라이더(34) 상에 구비된다. 슬라이더(34)는 합성수지 등 전기절연 소재를 사용하고 후면단자(31) 및 저면단자(32)와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10)의 내부에 안내대(35)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고, 상기 안내대(35)와 평행을 유지하도록 본체(10) 내외부에 걸쳐 양방향 스크류(3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내대(35)를 따라 좌우이동 가능한 슬라이더(34)가 양방향 스크류(33) 상에 나사식으로 체결된다.
안내대(35)도 전기절연 소재를 사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0)의 바닥면 또는 회로기판(12) 상에 고정시킨다. 슬라이더(34)와 안내대(35)는 미끄럼접촉 운동이 발생되므로 내마모성을 요한다. 양방향 스크류(33)는 그 나선길이의 절반이 왼나사 나머지 절반이 오른나사를 구비하는 형태이다. 왼나사와 오른나사의 피치는 동일하게 한다. 슬라이더(34)는 양방향 스크류(33)의 왼나사 측에 하나가 장착되고, 오른나사 측에 또 다른 하나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양방향 스크류(33)의 노브(36)를 돌리면 양측의 슬라이더(34)가 동시에 중심으로 모이거나 양측으로 벌어지는 동작이 가능해진다. 하나의 슬라이더(34)에 도 5처럼 후면단자(31) 및 저면단자(32)가 각각 2개씩 고정되므로2개의 단자(31)(32)가 쌍을 이루며 이동된다. 슬라이더(34)는 양방향 스크류(33)와 나선운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중 회전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슬라이더(34)의 측면에 평면을 형성하고 안내대(35)와 접촉시켜 회전을 구속한다.
노브(36)를 돌려 양측의 슬라이더(34)가 중심으로 모였을 때 각각의 단자(31)(32) 사이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는 형태가 구현되어야 한다. 이는 4개의 충전단자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휴대폰을 고려한 것이다.
노브(36)의 회전위치를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본체(10) 상에 눈금을 각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노브(36)를 빠르게 돌려 단자(31)(32)를 신속하게 이동시킨 다음 미세조절시 눈금을 확인하면 조절이 보다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더(34) 상의 단자(31)(32)가 좌우로 이동되므로 도 6처럼 회로기판(12)과 단자(31)(32)의 결선시 전선(W)이 충분한 길이로 확보되어야 한다. 전선(W)은 반복적인 이동에 따른 피로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피복의 강도가 큰 것을 사용하고 납땜 강도도 향상시킨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를 이용한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의 홀더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a는 충전단자가 저면에 위치하는 휴대폰을 충전하는 경우이고, 도 7b는 충전단자가 후면에 위치하는 휴대폰을 충전하는 경우이다. 전자의 경우 저면단자(32)로 결선되고 후면단자(31)는 미결선 상태이고, 후자의 경우 그와 반대의 기능이 수행된다. 도 7a처럼 휴대폰의 후면이 경사면으로 되는 경우에도 후면단자(31)가 충분한 압력으로 접촉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후면단자(31)가 충분한 높이로 노출되도록 성형하며 소재에 있어서도 탄성한도가 높은 스프링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커버(20)의 홀더(25)는 좌우측으로 각각 분할되는 구조이고, 좌우측 폭을 조절하기 위한 장공(25a)을 개재하여 장착된다. 일측의 홀더(25)를 타측의 홀더(25)와 중첩시키고 각각의 장공(25a)에 부호 27처럼 체결부재를 통과시켜 체결하면 좌우측의 홀더(25)를 각각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휴대폰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홀더(25)의 내면에 완충판(26)을 고정한다. 홀더(25)는 탄성력을 지니는 강판 또는 합성수지판을 사용한다.
이러한 구성은 휴대폰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홀더(25)의 폭을 조절하여 충전중에 휴대폰의 견실한 지지상태를 이루는 기능을 지닌다. 휴대폰의 안착시에 홀더(25) 자체의 탄성력이 이용되도록 양측의 홀더(25)는 휴대폰보다 약간 작은 폭으로 조절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휴대폰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충전단자가 비대칭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도 유용하다. 전원단자인 후면단자(31) 및 저면단자(32)는 양방향 스크류(33)와의 나선운동에 의해 휴대폰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항상 대칭인 간격으로 이동되므로 홀더(25)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지지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볼트(27)를 풀어 양측의 홀더(25) 및 이에 안착된 휴대폰을 동시에 밀면 충전단자가 비대칭적인 위치로 오고 접속이 성립된다.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동을 설명한다.
휴대폰을 구입한 사용자는 우선 누름커버(20)의 홀더(25)를 가변시켜 휴대폰의 폭과 일치시킨다. 다음으로 누름커버(20)를 개방한 상태에서 노브(36)를 회전시키며 충전기의 단자(31)(32)가 휴대폰의 충전단자와 접속되도록 조절한다. 조절이 완료되면 누름커버(20)를 놓아 휴대폰이 본체(10)의 후면지지부(10a) 및 저면지지부(10b)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후 충전이 진행되는 과정은 종래의 충전기를 사용할 때와 동일하다.
만일 휴대폰을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다른 사람의 타기종 휴대폰을 충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여 홀더(25)를 조절하고 단자(31)(32)의 폭을 조절하면 즉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원단자의 위치를 조절변경하여 휴대폰의 충전단자에 맞춤으로써 휴대폰의 기종에 관계없이 충전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본체(10)의 후면지지부(10a)와 저면지지부(10b) 상에 휴대폰이 안착되면 그 충전단자와 전기적 접속을 이룬 상태로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는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을 밀착시키도록 본체(10) 외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측면에 휴대폰의 안정적 지지를 위한 홀더(25)를 구비하는 누름커버(2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안내대(35)와,
    상기 안내대(35)와 평행을 유지하도록 본체(10) 내외부에 걸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양방향 스크류(33)와,
    상기 안내대(35)를 따라 좌우이동 가능하도록 양방향 스크류(33) 상에 장착되고, 본체(10)의 후면지지부(10a)와 저면지지부(10b)로 돌출되는 각각의 단자(31)(32)를 구비하는 슬라이더(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휴대폰 충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커버(20)의 홀더(25)는 좌우측으로 각각 분할되는 구조이고, 좌우측 폭을 조절하기 위한 장공(25a)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휴대폰 충전기.
KR1020000032857A 2000-06-15 2000-06-15 가변형 휴대폰 충전기 KR100355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857A KR100355823B1 (ko) 2000-06-15 2000-06-15 가변형 휴대폰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857A KR100355823B1 (ko) 2000-06-15 2000-06-15 가변형 휴대폰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628A KR20000054628A (ko) 2000-09-05
KR100355823B1 true KR100355823B1 (ko) 2002-10-19

Family

ID=19671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857A KR100355823B1 (ko) 2000-06-15 2000-06-15 가변형 휴대폰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8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401A (ko) * 2001-11-22 2003-05-28 주식회사 어드밴스파워 휴대용 전자기기 자동 밧데리 충전장치 휴대용 전자기기수동 밧데리 충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2122B (zh) * 2014-06-26 2016-03-30 成都理工大学 一种手机充电托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401A (ko) * 2001-11-22 2003-05-28 주식회사 어드밴스파워 휴대용 전자기기 자동 밧데리 충전장치 휴대용 전자기기수동 밧데리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628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4973A (en) Conductive contact
JP2777842B2 (ja) 一体型受話器収納およびバッテリ充電装置
US6312271B1 (en) Connector having foldable plug
US5567545A (en) Battery housing device with movable electrical contact member
US6593999B1 (en) Original cover closer
CN100446379C (zh) 用于各类型蜂窝式电话的电池充电装置
US5365159A (en) Battery-charger with adjustable contacts
KR100355823B1 (ko) 가변형 휴대폰 충전기
CN210405405U (zh) 一种带有穿电子线线槽的手机支架
KR200201081Y1 (ko)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JP2012055122A (ja) 充電器
JP3999892B2 (ja) 充電器
KR100323103B1 (ko) 핸드폰 배터리 충전장치
CN114553995B (zh) 一种自拍杆
CN219393945U (zh) 多功能拖线板
CN211860205U (zh) 一种带音响功能的手机支架
US6665253B2 (en) Optical disk control mechanism
CN217486522U (zh) 一种可嵌入充电模块的通用型手机支架
KR200206528Y1 (ko) 다기능 핸드폰 충전기
KR100422474B1 (ko) 단일슬롯 방식의 휴대폰용 배터리 충전장치
CN220797849U (zh) 一种可拆卸充电装置
CN219420984U (zh) 自动弹出耳机的耳机盒
KR200217356Y1 (ko) 각도조정이가능한휴대폰의충전기
KR20050093197A (ko) 다기종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
KR200317474Y1 (ko) 휴대폰 충전 자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