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174U -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174U
KR19980066174U KR2019970010547U KR19970010547U KR19980066174U KR 19980066174 U KR19980066174 U KR 19980066174U KR 2019970010547 U KR2019970010547 U KR 2019970010547U KR 19970010547 U KR19970010547 U KR 19970010547U KR 19980066174 U KR19980066174 U KR 199800661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wiper blade
battery
cam plate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5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4426Y1 (ko
Inventor
오세춘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700105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426Y1/ko
Publication of KR199800661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1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4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pping Of Electric Motors (AREA)

Abstract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이거나 배터리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상기 배터리와 별도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여 와이퍼 블레이드를 정위치에 정지시키는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는 자동식 와이퍼 장치에 보조 배터리와 제1, 제2 접촉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자동식 와이퍼 장치의 제어회로를 구성한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는 배터리의 전원이 차단되거나 차량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여 전원을 공급하므로 써 와이퍼 블레이드가 항상 정위치에서 정지되어 와이퍼 블레이드가 작동 중에 정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서 정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
본 고안은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의 전원 전압이 차단되더라도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지되는 정위치까지 이동되도록 와이퍼 모터에 구동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는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해 자동식 와이퍼 장치와 세정액 분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동식 와이퍼 장치는 앞면유리의 표면을 와이핑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좌우 측으로 이동시키는 메커니즘, 예를 들면, 와이퍼 모터 및 와이퍼 링크장치등을 포함하여 구동된다. 이와 같은 와이퍼 장치는 전기신호의 입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식이 주종을 이룬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모터 구동 장치의 전기 회로도로서,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위치에서 정지되도록 구성된 캠 플레이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와이퍼모터(18)는, 배터리(VBAT1) (12)의 양전압 단자로부터 상기 와이퍼 모터(18)의 전원전압 입력단자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점화 스위치(S/W1)(14)와, 와이퍼 스위치(S/W2)(16)의 온스위칭에 의해 구동되도록 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점화 스위치(14)의 출력 측과 와이퍼 모터(18)의 사이에 접속된 캠 플레이트 스위치(20)는 상기 점화 스위치(14)의 출력 측에 접속되어 와이퍼 모터(18)의 회전에 연동하는 캠 플레이트(26)와, 상기 캠 플레이트(26)의 외주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와이퍼 모터(18)의 전원전압 입력단자에 접속된 제1 접촉단자(30)를 갖는다. 이때, 상기 캠 플레이트(26)는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노치부(28)를 가지며, 상기 노치부(28)는 와이퍼 모터(18)의 축이 정위치에 놓여졌을 때 제1 접촉단자(30)가 물리적으로 떨어지며, 상기 와이퍼 모터(18)의 축이 정위치가 아닐 때 캠 플레이트(26)에 접속된다. 이러한 캠 플레이트 스위치(20)는 통상의 와이퍼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도 1의 구성을 참조하여 종래의 와이퍼 모터의 구동예를 간략히 살피면 하기와 같다.
점화 스위치(14)가 온 상태에서, 운전자가 와이퍼를 구동시키기 위해 와이퍼 스위치(16)를 온 하면 배터리(12)의 전압은 상기 두 개의 스위치를 통해 와이퍼 모터(18)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와이퍼 모터(18)는 상기 배터리(12)의 전압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된다. 상기 와이퍼 모터(18)가 회전되면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와이퍼 링크, 와이퍼 암의 작동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가 앞유리면을 와이핑한다.
와이퍼가 정상적으로 복귀되지 아니한 상태, 예를 들면, 와이퍼 블레이드가 거의 수직의 상태로 윈도우 글라스 표면을 와이핑하는 상태에서 와이퍼 스위치(16)를 오프시키면, 캠 플레이트(26)와 제1 접촉단자(30)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점화스위치(14)를 통한 배터리(12)의 전압이 캠 플레이트 스위치(20)를 통해 와이퍼 모터(18)로 공급된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위치가 정상적으로 복귀되지 않은 상태에서 와이퍼 스위치(16)만을 오프한 경우, 와이퍼 모터(18)는 점화 스위치(12)를 통한 전압의 공급에 의해 회전된다. 이러한 와이퍼 모터(18)의 회전에 의해 와이퍼 모터(18)의 회전축이 정상적인 위치로 되면, 캠 플레이트(26)와 제1 접촉단자(30)가 물리적으로 떨어짐으로써 와이퍼 모터(18)의 회전이 정지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구동 장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위치가 수직으로 놓인 상태에서 점화 스위치를 오프한 경우, 와이퍼 모터로 공급되는 구동 전류가 완전하게 차단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가 앞면 유리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위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다시 점화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거나 배터리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연결하여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위치에 정지되게한후 시동을 꺼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차량시동이 꺼지거나 배터리의 전원이 차단되어도 와이퍼 블레이드가 항상 정위치에서 정지되게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위치 이외의 장소에서 멈추는 미관상 문제점을 해결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스위칭하는 점화 스위치와, 구동전압의 입력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와이퍼를 구동하는 와이퍼 모터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화 스위치를 통한 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와이퍼 모터에 공급하는 와이퍼 스위치와, 축전이 가능한 보조 배터리와, 서로 이격되어 상기 와이퍼 모터와 상기 보조 배터리에 각각 접속된 두 개의 접점과, 상기 와이퍼의 정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노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접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와이퍼 모터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캠 플레이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식 와이퍼 장치의 전기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의 전기 회로도.
도 3a는 도 2의 캠 플레이트 스위치를 구성하는 캠 플레이트와 제1, 제2 접촉단자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
도 3b는 도 2의 캠 플레이트 스위치를 구성하는 캠 플레이트와 제1, 제2 접촉단자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VBAT1)(12)의 출력단자와 와이퍼 모터(18)의 전원단자 사이에는 점화 스위치(S/W1)(14), 순방향 다이오드(24) 및 와이퍼 스위치(S/W2)(16)가 직렬로 접속된다. 이때, 상기 와이퍼 모터(18)의 전원단자에는 캠 플레이트 스위치(20)의 제1 접촉단자(30)가 접속되며, 상기 제1 접촉단자(30)의 하부에는 보조 배터리(VBAT2)(22)에 연결된 제2 접촉단자(32)가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캠 플레이트 스위치(20)내 캠 플레이트(26)는 상기 와이퍼 모터(18)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것으로, 상하면이 상기 제1, 제2 접촉단자(30, 32)에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이때, 상기 캠 플레이트(26)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노치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치부(28)는, 와이퍼 모터(18)의 회전에 의해 윈도우 글라스 표면을 와이핑하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위치에서 정지되었을 때 상기 제1, 제2접촉단자(30, 32)의 하부와 상부에 위치되도록 조립되어야 한다.
도 3a는 도 2의 캠 플레이트 스위치(20)를 구성하는 캠 플레이트(26)와 제1, 제2 접촉단자(30, 32)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며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b는 도 2의 캠 플레이트 스위치(20)를 구성하는 캠 플레이트(26)와 제1, 제2 접촉단자(30, 32)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며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점화 스위치(14)가 온된 상태에서 와이퍼 스위치(16)가 온되면, 배터리(12)의 전압은 상기 점화 스위치(14), 순방향 접속된 다이오드(24) 및 와이퍼 스위치(16)를 통해 와이퍼 모터(18)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 모터(18)가 회전되며, 이와 같은 회전에 의해 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가 윈도우 글라스 표면의 좌우로 회전되어 와이핑한다.
이때, 상기 와이퍼 모터(18)가 회전되면 캠 플레이트(26)도 회전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모터(18)의 회전주기에 따라 제1, 제2접촉단자(30, 32)들은 제3a와 제3b도와 같은 접속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원형의 캠 플레이트(26)에 형성된 노치부(28)의 크기보다 접촉되는 면이 매우 크므로 제2 접촉단자(32)에 접속된 보조 배터리(22)는 상기 와이퍼 스위치(16)를 통한 전압에 의해 충전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상태에서 점화 스위치(14) 혹은 와이퍼 스위치(16)중 어느 하나가 오프되면, 와이퍼 모터(18)로 공급되는 배터리(12)의 전압은 차단된다. 이때,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위치에 위치할 경우는 제1, 제2접촉단자(30, 32)들이 제3a 도와 같이 캠 플레이트(26)의 노치부(28)에 의해 접속되지 않아 보조 배터리(22)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는 제1, 제2접촉단자(30, 32)들이 제3b 도와 같이 캠 플레이트(26)에 접속되어 보조 배터리(22)의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하여 와이퍼 모터(18)의 회전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위치에서 정지하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는 배터리의 전원이 차단되거나 차량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보조 배터리의 전압을 이용하여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위치로 될 때까지 와이퍼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를 항상 정위치로 할 수 있다.

Claims (2)

  1. 와이퍼 블레이드와,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스위칭하는 점화 스위치와, 구동전압의 입력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와이퍼를 구동하는 와이퍼 모터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화 스위치를 통한 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와이퍼 모터에 공급하는 와이퍼 스위치와,
    축전이 가능한 보조 배터리와,
    서로 이격되어 상기 와이퍼 모터와 상기 보조 배터리에 각각 접속된 제1 및 제2 접촉단자와,
    상기 와이퍼의 정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노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접촉단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와이퍼 모터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캠 플레이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는 제1 및 제2 접촉단자와 캠 플레이트가 접속되었을 때 축전 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
KR2019970010547U 1997-05-13 1997-05-13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 KR200144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547U KR200144426Y1 (ko) 1997-05-13 1997-05-13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547U KR200144426Y1 (ko) 1997-05-13 1997-05-13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174U true KR19980066174U (ko) 1998-12-05
KR200144426Y1 KR200144426Y1 (ko) 1999-06-15

Family

ID=5389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547U KR200144426Y1 (ko) 1997-05-13 1997-05-13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4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389B1 (ko) 2016-04-15 201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4426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0684A (en) Drive control circuit for motor
KR920002963B1 (ko)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US5138182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window regulator
KR200144426Y1 (ko) 와이퍼 블레이드 정위치 정지장치
KR950002503B1 (ko) 와이퍼 제어 시스템
US4158798A (en) Control circuits for windscreen wipers for road vehicles
US4820022A (en) Liquid crystal antidazzle mirror
JPH0332493B2 (ko)
US6969812B2 (en) Switch device
US4425535A (en) Erroneous start preventing device for battery-powered vehicle
KR200157604Y1 (ko) 차량의 와이퍼 및 워셔스위치
JP2000225924A (ja) 車両用ワイパのスイッチ装置
JPS6323253Y2 (ko)
JPS59220086A (ja) ウオツシヤ連動間欠ワイパ−装置
KR100569460B1 (ko) 자동차의 와셔 연동형 와이퍼장치
JP2964524B2 (ja) ワイパー装置
KR0126170Y1 (ko) 자동차용 와이퍼의 작동속도 인지장치
KR200149308Y1 (ko) 자동차용 전동접이식 백미러 제어회로
KR100320826B1 (ko)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모터
KR200183344Y1 (ko) 와이퍼 구동회로
JP2550332Y2 (ja) ワイパ制御装置
KR19990026719U (ko) 보조 배터리 장치
JPH025507Y2 (ko)
JPH0453737B2 (ko)
KR100192913B1 (ko) 자동차의 키스위치 리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