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115U -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115U
KR19980066115U KR2019970010478U KR19970010478U KR19980066115U KR 19980066115 U KR19980066115 U KR 19980066115U KR 2019970010478 U KR2019970010478 U KR 2019970010478U KR 19970010478 U KR19970010478 U KR 19970010478U KR 19980066115 U KR19980066115 U KR 199800661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door
front loading
cassette
produc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훈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10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115U/ko
Publication of KR199800661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115U/ko

Link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를 개시한다.
종래 프론트 로딩도어의 개폐에는 부품의 사용 숫자가 증가되므로,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워져 제품의 조립성이 크게 저하되고, 제품의 생산 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오동작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카세트 삽입구의 내면 하부에 제 1 마그네트가 장착되고, 카세트 삽입구의 제 1 마그네트와 서로 대응되도록 프론트 로딩도어의 자유단에 제 2 마그네트가 장착되며, 카세트의 전면 또는 배면에 프론트 로딩도어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열려진 후에 제 1 및 제 2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닫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단순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해 프론트 로딩도어가 개폐되므로, 부품수의 감소로 인하여 조립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 단가가 절감되는 것이다. 또한, 카세트의 로딩 및 이젝팅에 의해 프론트 로딩도어가 자연스럽게 개폐되므로, 기구적인 오동작이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tape record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세트(cassette)의 로딩(loading) 및 이젝팅(ejecting)에 의해 프론트 로딩도어(front loading door)의 개폐(開閉)가 자연스럽게 수행되도록 한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나 캠코더(camcorder) 등과 같은 테이프 레코더는, 데크(deck)상에 설치되는 헤드 드럼(head drum)에 의해 주행계의 일정한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카세트의 테이프에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이를 재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섀시(main chassis: 10)의 전면에 프론트 패널(front panel: 11)이 장착되고, 이 프론트 패널(11)상에는 카세트(cassette: Ca)가 삽입되는 카세트 삽입구(12)가 형성된다.
또한, 프론트 패널(11)의 카세트 삽입구(12)에 프론트 로딩도어(13)가 힌지축(hinge shaft: 14)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프론트 로딩도어(13)는 힌지축(14)에 장착되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 15)의 탄성력에 의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메인 섀시(10)의 내부에 데크 조립체(deck assembly: 16)가 설치되고,데크 조립체(16)는 데크(16A)의 상면 전방에 하우징(housing: 16B)이 설치된다. 하우징(16B)의 내부에 수평 및 수직 구간을 따라 카세트(Ca)를 로딩 및 이젝팅시키는 홀더(holder: 16C)가 설치된다.
따라서, 프론트 패널(11)의 카세트 삽입구(12)측으로 카세트(Ca)를 밀어넣게 되면, 프론트 로딩도어(13)가 힌지축(14)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열리게 되고, 카세트(Ca)가 홀더(15C)에 탑재되어 로딩 레버(loading lever: 17)의 회전에 의해 로딩되게 된다.
그런데, 종래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는, 카세트(Ca)가 카세트 삽입구(12)를 통하여 이젝팅되기 위해서는 프론트 로딩도어(13)가 미리 열려야 하므로, 로딩 레버(17)의 회전에 의해 프론트 로딩도어(13)를 열어줄 수 있도록 별도의 도어 오프너(door opener: 18)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프론트 로딩도어(13)의 개폐를 위하여 토션 스프링(15) 및 도어 오프너(18) 등과 같은 부품의 사용 숫자가 증가되므로,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워져 제품의 조립성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 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로딩 레버(17)와 도어 오프너(18)의 기구적인 조립 오차 및 이들의 연동에 의한 오동작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해 프론트 로딩도어의 개폐가 카세트의 로딩 및 이젝팅에 따라 자연스럽게 수행되도록 한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메인 섀시(main chassis)11; 프론트 패널(front panel)
12; 카세트 삽입구16; 데크 조립체(deck assembly)
16B; 하우징(housing)16C; 홀더(holder)
20; 힌지구멍(hinge)25; 제 1 마그네트(magnet)
30; 프론트 로딩도어(front loading door)31; 힌지축(hinge shaft)
35; 제 2 마그네트Ca; 카세트(cassett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데크 조립체의 홀더에 카세트가 탑재되어 수평 및 수직 구간을 따라 로딩 및 이젝팅되도록 프론트 패널의 카세트 삽입구에 장착되는 프론트 로딩도어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로서, 카세트 삽입구의 내면 하부에 제 1 마그네트가 장착되고, 카세트 삽입구의 제 1 마그네트와 서로 대응되도록 프론트 로딩도어의 자유단에 제 2 마그네트가 장착되며, 카세트의 전면 또는 배면에 프론트 로딩도어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열려진 후에 제 1 및 제 2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닫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에 있다.
따라서, 프론트 로딩도어의 개폐를 위하여 사용되는 부품수가 크게 감소되므로, 조립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 단가가 절감된다. 또한, 카세트의 로딩 및 이젝팅에 의해 프론트 로딩도어가 자연스럽게 개폐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에서 설명한 테이프 레코더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메인 섀시(10)의 전면에 프론트 패널(11)이 장착되고, 이 프론트 패널(11)의 전면에는 카세트(Ca)가 삽입되는 카세트 삽입구(12)가 형성된다.
또한, 메인 섀시(10)의 내부에 데크 조립체(16)가 설치되며, 데크 조립체(16)는 데크(16A)의 상면 전방에 하우징(16B)이 설치된다. 하우징(16B)의 내부에 수평 및 수직 구간을 따라 카세트(Ca)를 로딩 및 이젝팅시키는 홀더(16C)가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프론트 패널(11)은 카세트 삽입구(12)의 상부 양쪽에 힌지구멍(hinge hole: 20)이 각각 형성되고, 카세트 삽입구(12)의 내면 하부에 제 1 마그네트(magnet: 25)가 장착된다.
그리고, 프론트 패널(11)의 힌지구멍(20)에 프론트 로딩도어(30)의 힌지축(31)이 끼워져 장착되고, 이에 따라 프론트 로딩도어(30)는 힌지축(31)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프론트 패널(11)의 카세트 삽입구(1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게 된다.
한편, 프론트 로딩도어(30)의 자유단에는 카세트 삽입구(12)의 제 1 마그네트(25)와 서로 대응되도록 제 2 마그네트(35)가 장착된다. 따라서, 프론트 로딩도어(30)는 카세트 삽입구(12)에 제 1 및 제 2 마그네트(25)(35)의 자력(磁力)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마그네트(25)(35)중 어느 하나는 철판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제 1 및 제 2 마그네트(25)(35)중 어느 하나가 철판으로 사용될때에는 마그네트와 철판 사이에 자력에 의한 인력이 발생되어 프론트 로딩도어(30)가 카세트 삽입구(12)에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11)의 카세트 삽입구(12)에 프론트 로딩도어(30)가 제 1 및 제 2 마그네트(25)(35)의 자력에 의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프론트 패널(11)의 카세트 삽입구(12)에 카세트(Ca)를 소정의 힘으로 밀어 넣게 되면, 카세트(Ca)의 전면이 프론트 로딩도어(25)의 전면을 밀면서 카세트 삽입구(12)에 삽입된다.
이때, 카세트(Ca)가 사용자에 의해 카세트 삽입구(12)에 삽입될 때에, 카세트(Ca)의 삽입력에 의해 제 1 및 제 2 마그네트(25)(35)의 자력이 극복되면서 프론트 로딩도어(25)가 후방으로 밀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카세트(Ca)가 프론트 로딩도어(30)를 밀면서 삽입되는 상태에서, 프론트 로딩도어(30)는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열려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카세트(Ca)는 홀더(16C)에 자연스럽게 탑재되어 수평 및 수직 구간을 따라 로딩된다.
그리고, 카세트(Ca)의 로딩이 완료된 후에 프론트 로딩도어(30)는 자중에 의해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프론트 패널(11)의 카세트 삽입구(12)를 닫아주게 된다. 이때, 프론트 로딩도어(30)의 제 2 마그네트(35)는 그 무게에 의해 프론트 로딩도어(30)가 자연스럽게 닫혀지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프론트 로딩도어(30)가 카세트 삽입구(12)에 닫혀지는 과정에서, 제 1 및 제 2 마그네트(25)(35)의 자력에 의해 프론트 로딩도어(30)의 위치가 규제되면서 카세트 삽입구(12)를 정확하게 닫아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Ca)의 로딩이 완료되어 테이프의 기록 또는 재생 기능이 수행된 후에 카세트(Ca)가 이젝팅되는 경우에는, 카세트(Ca)가 홀더(16C)에 탑재된 상태에서 수평 구간을 따라 이동되면서 카세트(Ca)의 배면이 프론트 로딩도어(30)의 배면에 접촉된다.
한편, 프론트 로딩도어(30)는 카세트(Ca)의 수평 이동에 따라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전방을 향하여 열려지게 된다. 그리고, 프론트 로딩도어(30)는 카세트(Ca)가 카세트 삽입구(12)를 통하여 이젝팅되는 시점에서 카세트(Ca)의 상면에 지지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열려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프론트 로딩도어(30)가 열려진 상태에서는, 홀더(16C)가 수평 구간을 따라 계속해서 이동되면서 카세트(Ca)의 이젝팅이 완료된다. 또한, 카세트(Ca)의 이젝팅이 완료된 후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론트 로딩도어(30)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닫혀지게 되고, 프론트 로딩도어(30)는 제 1 및 제 2 마그네트(25)(35)의 자력에 의해 카세트 삽입구(12)에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프론트 로딩도어(30)가 카세트(Ca)의 로딩 및 이젝팅에 의해 자연스럽게 개폐되어 프론트 로딩도어(30)의 개폐에 필요한 부품수가 크게 감소되므로, 조립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 단가가 현저하게 절감된다. 요컨대, 본 고안은 프론트 로딩도어(30)의 개폐에 사용되었던 종래 도어 오프너(18) 등과 같은 부품의 사용이 불필요한 구조 및 구성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또한, 카세트(Ca)의 로딩 및 이젝팅에 의해 프론트 로딩도어(30)가 자연스럽게 개폐되어 기구적인 조립 오차 및 이들의 연동에 의한 오동작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어 카트리지(cartridge) 등의 로딩 및 이젝팅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를 채용하는 각종 전기전자제품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에 의하면, 단순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해 프론트 로딩도어가 개폐되므로, 부품수의 감소로 인하여 조립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 단가가 현저하게 절감되는 것이다.
또한, 카세트의 로딩 및 이젝팅에 의해 프론트 로딩도어가 자연스럽게 개폐되므로, 기구적인 오동작이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1. 데크 조립체의 홀더에 카세트가 탑재되어 수평 및 수직 구간을 따라 로딩 및 이젝팅되도록 프론트 패널의 카세트 삽입구에 장착되는 프론트 로딩도어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로서,
    상기 카세트 삽입구(12)의 내면 하부에 제 1 마그네트(25)가 장착되고,
    상기 카세트 삽입구(12)의 제 1 마그네트(25)와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프론트 로딩도어(30)의 자유단에 제 2 마그네트(35)가 장착되며,
    상기 카세트(Ca)의 전면 또는 배면에 상기 프론트 로딩도어(30)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열려진 후에 상기 제 1 및 제 2 마그네트(25)(35)의 자력에 의해 닫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
KR2019970010478U 1997-05-12 1997-05-12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 KR199800661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478U KR19980066115U (ko) 1997-05-12 1997-05-12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478U KR19980066115U (ko) 1997-05-12 1997-05-12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115U true KR19980066115U (ko) 1998-12-05

Family

ID=69673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478U KR19980066115U (ko) 1997-05-12 1997-05-12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11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3042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JPH10208457A (ja) 電子機器
EP0435267B1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US4146912A (en) Disk interlock mechanism
KR100248512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 메커니즘
US5481520A (en) Disk player door assembly
US6941568B2 (en) Optical disk drive assembly
KR19980066115U (ko)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
US5249088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with resilient guide slot for prevention of jamming
KR19980066112U (ko)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
US6807026B2 (en) Disk drive hav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a front shutter from coming off from a main frame
KR19980031750U (ko)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오픈구조
KR0122990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이젝트 장치
KR200328861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프론트 로딩도어 결합구조
KR200170665Y1 (ko) 비디오테이프레코더의 테이프로딩구조
JP2515598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KR100202826B1 (ko) 비데오 테이프레코더의 프론트도어 개폐장치
KR200142341Y1 (ko) 브이씨알 데크의 카세트 키 장치
KR200160653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도어 안전장치
KR0119517Y1 (ko) 테이프 카세트의 허브 케이스 가이드장치
JPH05282762A (ja) カートリッジ挿入口のドア開閉装置
KR200174467Y1 (ko) 텔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도어 안착장치
JPH07105675A (ja) 記録/再生装置
WO1998038641A1 (fr) Cartouche de disque, mecanisme d'ouverture et de fermeture de porte et unite de disque
JPH064961A (ja) フロントカバー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