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794A - 건축용 내장벽체 - Google Patents

건축용 내장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794A
KR19980065794A KR1019970000923A KR19970000923A KR19980065794A KR 19980065794 A KR19980065794 A KR 19980065794A KR 1019970000923 A KR1019970000923 A KR 1019970000923A KR 19970000923 A KR19970000923 A KR 19970000923A KR 19980065794 A KR19980065794 A KR 19980065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cher
wall
interior wall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7921B1 (ko
Inventor
최영모
Original Assignee
최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모 filed Critical 최영모
Priority to KR1019970000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921B1/ko
Publication of KR19980065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eramics or c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황토층, 금속망, 접착층, 그라스파이바 고화층, 황토층으로 적층하여 만들어진 단열 보온성, 내열성, 방음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건축용 경량의 내장벽체에 관한 것임.

Description

건축용 내장벽체
본 발명은 단열보온성, 내열성, 방음성은 물론 원적외선을 방사되는 건축용 내장벽체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할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내측으로부터 내측 황토층, 보강금속망, 그라스파이바 고화층, 외측황토판으로 적층된 건축용 내장벽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용 자대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층건물, 아파트, 개인주택, 전원주택 등에 사용되는 조립식 경량의 내장벽체에 관한 것으로, 종래 내벽체는 벽돌 또는 불럭 등으로 축조한 구조로서, 이는 축조 및 미장 등에 소요되는 인건비가 엄청날 뿐만아니라 중량에 비례하여 수송의 분담률도 많게 되고 건축자재의 경량화 추세에 따라 고층건물에 적합하지 못하며 이와같은 벽체는 보온 및 단열효과 방음성이 뒤떨어진다.
또, 주로 사무실용 벽체는 합성수지 발포체의 외면에 하드보드, 파티칼보드, 알루미늄판, 합판 등을 결합시킨 벽체로서, 보온단열성, 방음성이 양호하고 경량이긴 하나 내열성이 약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뒤따르는 조립식 벽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우수한 보온단열성, 방음성, 내열성을 동시에 구비하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공해물질로 폐기되는 그라스파이바 또는 그라스울을 재활용 그라스파이바 고화층을 얻어 본 발명의 부분자재로 사용하므로서 경량인 내장벽체(3)를 얻고자 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내장벽체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황토판 2, 2′: 금속망
3, 3′: 접착층 4, 4′: 그라스파이바 고화층
5 : 황토층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황토층을 황토가 주성분이 되고 원적외선 방사물질, 실리케이트 등의 무기물질과 왕겨, 볏짚, 톱밥, 식물성유, 물로 조성한 황토층이라 할 수 있고, 이의 구체적인 구성 성분비는 아래와 같다.
황토층 구성성분 및 구성비
성 분 구 성 비
황 토 ……………………………………… 80부
원적외선 방사물질 ………………………… 20부
왕겨, 볏짚, 톱밥중 하나이상 ……………… 48부
실리케이트 ………………………………… 10부
물 …………………………………………… 10부
식물성유 …………………………………… 2부
이상의 황토층 구성성분을 교반기에서 충분히 혼합 교반하여 판상체의 황토층을 만든다.
한편 그라스파이바 응고체는 폐기되는 그라스울 또는 그라스섬유를 단섬유로 하든가 분쇄한 단섬유에 물에 용해한 소디움실리케이트와 미량의 금속염류를 첨가하여 충분히 혼련 또는 혼합시킨 다음, 패널로울러를 통과시키거나 프레스로 가압 판상체를 얻은 다음 온도 150∼200℃ 유지 20∼30분간 충분히 건조 고화시킨다.
이와같이 얻어진 그라스파이바 판상체 양면에 금속재의 망을 첨착 접착시켜 얻어진 판상체를 먼저, 얻어진 황토층을 가운데에 삽입시켜 가압하여 접착시키고 양쪽 외측에 황토 80%에 극히 미세한 맥반석, 옥석, 광석 분말과 물을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여 얻어진 엷은 황토판상체를 접착시켜 건조시키므로서 얻어지는 건축용 경량 내장벽체라 할 수 있다.
결국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경량 내벽체의 구조는 황토판, 금속망, 그라스파이바 응고층, 금속망 황토층, 그라스파이바 응고층, 금속망, 황토판의 순서로 적층된 경량 내벽체이다.
이와같은 벽체는 표면이 평활하므로 그 위에 지접 벽지로 도배하거나 각종 도장재를 도장하여 내장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방법에서 황토층을 구성하는 황토는 입자의 크기는 0.02∼0.05㎜이며 석영, 장석, 운모, 방해석 등 다양한 광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학적 조성을 보면 실리카 60∼65% 알루미나 10∼13%, 마그네슘 2%, 나트륨 2%, 칼륨 1.5%, 석회 8%의 조성으로서, 이 조성물중에서도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들이 있으나 상승효과를 얻기 위하여 별도의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첨가하게 된다.
그리고 실리케이트는 황토나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무기질 물질들 상호간에 결합능을 향상시키고 고화능을 갖고 있어 황토층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또 종래에 그라스파이바 또는 그라스울을 건축용 단열재로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공해문제, 인체에 부작용 등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내열성이 우수하여 1000℃까지 견딜 수 있는 난연성이 있으며, 유리 단섬유의 집적체로 되어 있어 무기질 건축자재로 각광받을 수 있는 소재라 할 수 있다.
그 밖에 금속망을 벽체의 보강용 목적으로 황토층과 그라스파이바 고화층사이에 접착제와 함께 삽입되지만 재질이 상이한 두층간에 발생하는 열팽창 또는 수축에 의한 이완현상을 완충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의 재료와 방법으로 얻어진 경량벽체는 도1에서와 같이 외측으로부터 황토판(1, 1′), 금속망(2, 2′), 접착층(3, 3′), 그라스파이바 고화층(4, 4′), 황토층(5)으로 적층된 경량의 내장벽체라 할 수 있다.
종래 건물 즉, 아파트, 개인주택 등에 적용되는 벽돌, 불럭을 축조하여 경량의 벽체를 구성하므로서, 건물에 큰 하중을 줄일 수 있고, 여기에 따른 인건비를 줄일 수 있으며, 조립식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실내의 구조변경에 쉽게 대처할 수 있는 벽체라 할 수 있다.
그 밖에 단열보온성, 방음성, 내열성이 뛰어나고 황토층으로부터 영구적으로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인체에 유익한 경량의 내장벽체라 할 수 있다.

Claims (3)

  1. 외측으로부터 황토판(1, 1′), 금속망(2, 2′), 접착층(3, 3′), 그라스파이바 고화층(4, 4′), 황토층(5)으로 적층된 건축용 내장벽체.
  2. 청구항(1)항에 있어서, 황토층의 성분 구성비가 아래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장벽체.
    황토층의 성분 구성비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그라스파이바 고화층은 그라스파이바 또는 그라스울 단섬유를 세절한 단섬유에 물에 용해한 실리케이트와 미량의 금속염을 첨가하여 고화시킨 고화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장벽체.
KR1019970000923A 1997-01-15 1997-01-15 건축용 내장벽체 KR100217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923A KR100217921B1 (ko) 1997-01-15 1997-01-15 건축용 내장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923A KR100217921B1 (ko) 1997-01-15 1997-01-15 건축용 내장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794A true KR19980065794A (ko) 1998-10-15
KR100217921B1 KR100217921B1 (ko) 1999-09-01

Family

ID=1949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923A KR100217921B1 (ko) 1997-01-15 1997-01-15 건축용 내장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92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201A (ko) * 2000-02-07 2000-06-05 윤문옥 외벽 단열 시공방법
KR20000065453A (ko) * 1999-04-03 2000-11-15 지철묵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판
KR100338134B1 (ko) * 1999-11-26 2002-05-24 김병근 황토판넬
KR20030016797A (ko) * 2001-08-22 2003-03-03 진기옥 황토벽체
KR100387162B1 (ko) * 2000-06-23 2003-06-11 오석수 C형강을 이용한 황토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551855B1 (ko) * 2002-03-15 2006-02-13 주식회사 대동그린산업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 및 단열용 건자재와 그 제조방법
CN115942524A (zh) * 2022-12-12 2023-04-07 淮安晶浩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屏蔽电磁辐射功能的发热板
KR102663884B1 (ko) 2023-05-12 2024-05-10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용 내외장 마감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758A (ko) * 1999-07-03 2001-02-05 변상윤 건축용 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
CN105382911B (zh) * 2015-11-06 2017-11-07 宁波中加低碳新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农作物秸秆建筑外墙保温板材的制备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453A (ko) * 1999-04-03 2000-11-15 지철묵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판
KR100338134B1 (ko) * 1999-11-26 2002-05-24 김병근 황토판넬
KR20000030201A (ko) * 2000-02-07 2000-06-05 윤문옥 외벽 단열 시공방법
KR100387162B1 (ko) * 2000-06-23 2003-06-11 오석수 C형강을 이용한 황토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30016797A (ko) * 2001-08-22 2003-03-03 진기옥 황토벽체
KR100551855B1 (ko) * 2002-03-15 2006-02-13 주식회사 대동그린산업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 및 단열용 건자재와 그 제조방법
CN115942524A (zh) * 2022-12-12 2023-04-07 淮安晶浩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屏蔽电磁辐射功能的发热板
CN115942524B (zh) * 2022-12-12 2023-10-20 淮安晶浩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屏蔽电磁辐射功能的发热板
KR102663884B1 (ko) 2023-05-12 2024-05-10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용 내외장 마감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7921B1 (ko)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5098A (en) Fire-resistant composition, panel and external wall for various buildings
KR100668469B1 (ko) 광물화식물섬유의 표면피막층 형성 방법 및 그에따른건축자재
CN100353015C (zh) 复合夹芯墙板
HRP20180987T1 (hr) Suha mješavina materijala za gradnju i toplinsko-izolacijska žbuka proizvedena iz nje
KR100217921B1 (ko) 건축용 내장벽체
KR20000017561A (ko) 불연성 허니컴 전파흡수재 및 이를 사용한 전파흡수체
KR100985416B1 (ko) 건축용 내외장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32766A (ko) 불연 세라믹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29107B1 (ko) 팽창성 광물과 중성화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KR101381160B1 (ko) 불연몰탈층이 구비된 경량 샌드위치 패널
DE202005021073U1 (de) Flächenartiges Brandschutzelement geringer Dichte
KR100248853B1 (ko) 건축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JP6619895B2 (ja) 木造建築物の耐火外壁構造
CN210706352U (zh) 一种防火型隔音板
JPS6227216B2 (ko)
JP6497855B2 (ja) 木造建築物の耐火外壁構造
JPH06193158A (ja) 耐火間仕切りパネル
KR102120833B1 (ko) 건축용 벽체
JPH0313334A (ja) 複合合板
JP3336461B2 (ja) 外断熱壁材
CN204983204U (zh) 无机防火复合材料保温板
JPH0217871Y2 (ko)
JPH10131342A (ja) 建築物の外壁用パネル
JPS5973479A (ja) 無機質発泡粒積層板の製造法
JPH10131343A (ja) 建築物の外壁施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