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8758A - 건축용 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8758A
KR20010008758A KR1019990026734A KR19990026734A KR20010008758A KR 20010008758 A KR20010008758 A KR 20010008758A KR 1019990026734 A KR1019990026734 A KR 1019990026734A KR 19990026734 A KR19990026734 A KR 19990026734A KR 20010008758 A KR20010008758 A KR 20010008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de
molding
interior finishing
manufacturing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상윤
Original Assignee
변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상윤 filed Critical 변상윤
Priority to KR1019990026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8758A/ko
Publication of KR20010008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75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2Conditioning the material prior to shaping
    • B28B17/026Conditioning ceram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7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과 맥반석을 이용한 건축내장마감재의 성형재료와 이 성형재료를 이용한 건축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건축내장마감재 성형재료는 직경 약 0.5 ∼ 6mm 크기의 옥입자와 #100 ∼ #400 크기의 맥반석분말을 주원료로서 결합응고제의 역할을 하는 기재와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원자료들을 혼합하여 성형재료를 만드는 혼합단계와, 이 성형재료를 만들고자 하는 건축내장재의 형틀에 넣어 건축마감재를 성형시키는 성형단계 및, 이 성형단계를 거쳐 응고된 중간제품의 표면을 그라인딩하여 면가공처리하는 연마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성형단계에서 소정크기의 무늬형태로 가공된 옥장식물을 성형틀 바닥면에 미리 넣거나 성형물이 완전히 응고되기 전에 상기 옥장식물을 삽입하여 고정시켜 성형물의 양쪽 면중의 한쪽면에 상기 옥장식물이 노출되게 하는 옥장식물 삽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재료와 방법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벽면재인 타일이나 바닥재인 테라조, 설치물인 욕조 또는 싱크대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건축내장마감재를 만들 수가 있으며, 이러한 건축내장마감재는 그 자체를 구성하는 재질인 맥반석의 탈취, 항균 및 원적외선 방출효과와, 옥의 원적외선 방출효과 및 장식효과을 건축물의 벽면과 바닥면 및 설치물에서 자연스럽게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the interior decoration matter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항균 및 탈취효과가 있는 옥과 맥반석이 건축물의 내벽면과 바닥재를 구성하게 하여 건축물의 벽면과 바닥면에서 자연스런 옥과 맥반석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건축용 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에 바르는 타일이나 바닥면에 설치하는 테라조와 세면대 및 변기등은 시멘트나 점토 및 횟가루등으로만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 표면에 표현된 무늬등에 의한 장식효과 이외의 다른 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었다.
또한,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기존의 욕조는 대개 FRP와 같은 합성재질로만 만들어지기 때문에 단순히 물을 가두어 두는 역할이외의 다른 기능을 기대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일반 가정집에서나 건물등에서의 화장실에는 탈취를 위해 공기소통에 상당한 신경을 쓰고 있고, 특히 아파트의 화장실과 같이 밀폐된 공간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기소통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좋지 아니한 냄새를 완전히 배제시킬 수가 없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상 방향제나 기타 여러 가지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한편, 옥(玉)은 옛날부터 우리에게 부인들의 장신구등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는데, 오늘날에는 이 옥에서 원적외선이 많이 방출된다는 것을 알고 여러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옥은 원적외선의 방출이외에 그 은은한 무늬에 의한 장식효과도 크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옥이 원적외선을 많이 방출하여 인체에 유익하다는 점을 타일등과 같은 건축마감재에 이용하여 별도로 옥을 몸에 보관하지 않아도 우리가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주거공간이나 목욕탕 또는 건물바닥판등에서 자연스럽게 발산되는 원적외선을 쬐일 수 있게 하는 건축자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연구하게 된 것이다.
한편, 맥반석은 물의 정수기능과 탈취, 항균 및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흔히 정수기나 목용탕등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바, 맥반석의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타일, 테라조, 욕조 또는 변기등과 같은 건축자재를 만들 때 이들 재료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이들 맥반석과 옥을 사용하여 건축내장마감재를 만들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옥과 맥반석을 함유시켜 탈취 및 항균기능과 정수 기능 및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옥의 원적외선 방출 및 장식기능을 이용하여 건축내장마감재의 기능과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건축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경 약 0.5 ∼ 6mm 크기의 옥입자와 #100 ∼ #400 크기의 맥반석분말을 이들 성분을 지지하여 응고시키면서 주성분을 이루는 기재와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재료를 만들고자 하는 건축내장마감재의 종류에 따라 각각 그에 알맞는 방법으로 성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 수 있는 건축용 내장마감재는 예컨대 타일이나, 테라조, 욕조, 세면대 또는 변기등과 같은 여러 가지종류의 물건이 있을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꽃병등과 같은 장식재를 만들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내장마감재의 성형재료는 직경이 약 0.5 ∼ 6mm 크기인 옥입자와 #100 ∼ #400 크기의 맥반석분말을 이들 옥입자와 맥반석 분말을 지지결합시켜 주성분을 이루는 기재와 혼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재료의 혼합비는 부피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재를 1로 할 때, 맥반석분말을 2.5 ∼ 3.5, 옥입자를 3 ∼ 4의 비율로 섞어 교반하여 구성시킨다.
한편, 상기 기재는 백시멘트, 점토, FRP 또는 에폭시수지등과 같은 합성수지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 기재는 기본적으로 건축내장마감재의 기본형을 유지하면서 상기 옥입자와 맥반석의 분말을 필요한 그 기본형태에 적당한 간격과 배열로 배치되도록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재로서 백시멘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결합력을 얻기 위해 백시멘트와 동일한 부피의 정도로 물을 함께 투입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한 바의 성형재료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의 건축내장마감재를 만들수가 있는데, 그 공통된 성형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가 있다.
상기 성형재료, 즉 백시멘트, 점토, FRP 또는 에폭시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중의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되는 기저의 부피비를 1로 기준으로 할 때 직경 약 0.5 ∼ 6mm 크기의 옥입자를 3 ∼ 4, #100 ∼ #400 크기의 맥반석분말을 2.5 ∼ 3.5의 비율로 섞어 교반시키는 혼합단계와, 이 혼합단계에서 만들어진 성형재료를 만들고자 하는 건축내장마감재의 형틀에 넣어 성형시키는 건축내장마감재의 성형단계 및, 이 성형단계를 거쳐 응고된 중간제품의 표면을 그라인딩하여 면가공처리하는 연마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성형단계에서 소정크기의 무늬형태로 가공된 옥장식물을 성형틀 바닥면에 미리 넣거나 성형물이 완전히 응고되기 전에 상기 옥장식물을 삽입하여 고정시켜 성형물의 양쪽 면중의 한쪽면에 상기 옥장식물이 표면으로 노출되게 하는 옥장식물 삽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가 있다.
이러한 방법을 기초로 하여 각각의 건축내장마감재의 종류에 따라 그 구체적인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비율로 기재와 옥입자 및 맥반석분말을 혼합하는 이유는, 상기 옥입자와 맥반석분말이 기재와 혼합되어 서로 엉켜져 굳어질 수가 있으면서 그 성형면을 가공할 때 매끄럽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에서 정하는 입자의 크기도 제품이 양생된 후의 표면이 건축내장마감재로서 지나치게 거칠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그 강도를 고려하는 한편, 제품의 크기와 두께에 맞추어 최대한의 크기를 결정한 것이다.
다음은 각각의 제품별 특성에 따라 그 세부적인 방법의 차이와 재료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로 한다.
타일을 제조하는 경우
타일은 일반적으로 바닥재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개 벽면체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특히 벽면마감재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장식적인 효과가 크게 필요하다.
이러한 타일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제시한 일반적인 방법을 거의 그대로 이용하면 되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기재로서 예컨대 백시멘트나 점토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이 기재에 상기에서 특정한 옥입자와 맥반석의 가루를 각각 해당 비율로 섞고, 여기에 물을 기재와 동일한 부피비율로 함께 투입하여 교반하여서 성형재료를 만든다.
그리고, 이 성형재료를 원하는 바의 타일형태에 따른 크기의 형틀에 넣고 응고시킨 후, 한쪽 표면을 그라인딩하여 면경처리하면 완료되는 것이다.
특히, 벽면에 장식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하기 위한 타일의 경우에는 옥입자가 아닌 덩이형태의 옥을 꽃이나 기타 다른 형태의 소정무늬형태로 가공하여 성형시킨 옥장식물을 형틀의 바닥면에 미리 넣어 두거나, 아니면 상기 성형재료가 형틀속에서 완전히 굳기 전에 약간 응고된 상태에서 윗면에 삽입하여 이 옥장식물이 타일의 윗면 또는 아랫면중의 한쪽면에서 노출되게 하고, 이렇게 옥이 삽입설치된 상태에서 옥장식물이 삽입된 면을 연마처리하면 작업과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타일의 경우에 있어서는 그 두께가 약 5 ∼ 6mm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그 휨강도와 절단강도를 생각할 때, 상기 옥입자의 크기를 최대한 1.5 ∼ 2 mm이상의 것은 사용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맥반석의 분말도 가능한 입자가 고운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으로 만들어진 타일은 그 바탕에 옥입자와 맥반석의 가루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 타일을 벽면체에 설치한 경우에는 건물의 내벽면에서 자연적으로 항상 원적외선이 방출될 뿐만 아니라, 특히 화장실과 같은 곳에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을 설치한 경우에는, 옥이나 맥반석이 구비된 별도의 다른 기구나 장치 또는 탈취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벽면에 설치된 타일자체에 함유되어 있는 맥반석이 화장실의 근원적인 불쾌한 냄새를 없애줄 수가 있으며, 이 맥반석과 옥이 원적외선을 항상 방출하기 때문에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한편, 옥장식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뛰어난 장식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타일의 기재로서 백시멘트나 점토를 사용한다고 하였으나, 충격이 심한 곳등에 사용하기위한 특수한 타일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무나 합성수지재를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합성수지재나 고무등을 기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을 함께 투입하지 않아도 된다.
테라조를 제조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테라조는 건축물의 벽면에도 사용될 수가 있지만 대개 건물의 복도나 사무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마감재로서, 이와 같이 바닥재로 사용되는 테라조는 그 기능상 장식 효과보다는 강한 내마모성과 충격에 대해서도 저항성을 갖추고 있어야 하는 바, 따라서 상기의 타일성형공정과 같은 방법을 그대로 이용하여 만들 수가 있으나, 특히 비닥마감재로서의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좀더 강한 바닥프레임을 구비시켜 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소정의 두께로 가압성형하여 양생시킨 콘크리트 프레임위에 상기의 성형재료를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여 응고시킨 후 그라인딩하여 면경처리하면 바닥재로서의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을 갖는 테라조를 성형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테라조의 경우에 있어서는 바닥프레임이 콘크리트로 되어 있으므로 가능한 상기 성형재료의 구성자료로서 백시멘트나 점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이 테라조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일반적인 성형제조방법에 부가하여 미리 콘크리트 프레임을 조제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이 테라조의 경우에 있어서는 바닥의 프레임을 제외하고도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재질이 덮혀지는 두께가 약 10mm 정도는 되므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옥입자와 맥반석의 분말입자가 큰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테라조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에서 지정한 옥과 맥반석의 입자크기의 최대크기의 것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욕조를 제조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욕조는 굴곡면을 많이 갖는 3 차원의 구조물로 되어 있으므로 그 성형성과 내충격성을 위해 석면과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바, 따라서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성형재료를 욕조의 제조를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기재를 FRP나 에폭시와 같은 합성수재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재를 기재로 하여 옥입자 및 맥반서가루가 포함된 성형재료를 원하는 바의 욕조형틀에 넣고 응고시키면 옥의 기능과 맥반석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욕조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옥입자와 맥반석분말이 함유된 욕조는 그 자체에 함유되어 있는 맥반석의 탈취, 항균 및 정수기능이 욕조에 담긴 물의 기능을 향상시켜 목욕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좋지 아니한 냄새도 없앨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으며, 욕조의 구성성분인 옥의 고유한 빛이 욕조의 전체적인 분위기와 색깔을 고상하게 유지시킬 수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 욕조의 경우에 있어서는 그 표면과 강도를 고려하여 상기에서 지정한 입자의 크기중에서 최소한의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면대 및 변기 등을 제조하는 경우
세면대나 변기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성형재료를 구성하는 자료요소로서, 기저를 백시멘트나 점토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나머지의 다른 요소는 그대로 적용시키면 된다.
그리고, 백시멘트와 점토를 기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당연히 물도 함께 투입되어야 하며, 이러한 원자재가 서로 혼합되어 만들어진 성형재료를 성형시키고자 하는 건축자재의 형틀에 넣고 간단히 성형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세면대나 변기 등의 경우에 있어서도 그 자체의 원자재로 사용되는 옥의 고유한 색깔이 분위기를 좋게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맥반석의 항균기능과 탈취기능 및 정수기능으로 인해 화장실을 상쾌한 분위기로 만들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세면대와 변기등과 같은 내장마감재를 성형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에서 지정한 옥과 맥반석의 입자크기를 최소한의 것으로 선택하여 그 표면과 강도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성형재료와 방법에 따라 만들어진 건축내장마감재에는 옥과 맥반석이 그 바탕면에 기본적으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재료를 사용하여 예컨대, 타일이나 테라조, 욕조 또는 싱크대와 같은 건축내장재를 만들어 사용하면 별도의 옥이나 맥반석을 이용한 기구나 장치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일상적인 생활공간을 형성하는 벽면이나 화장실의 구성요소들에서 자연적인 옥과 맥반석의 기능적 효과를 그대로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의 부수적인 효과로서 화장실에서나 싱크대에서 발생하는 냄새나 물의 사용으로 인한 오염 문제도 해결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직경 약 0.5 ∼ 6mm 크기의 옥입자와 #200 ∼ #300 크기의 맥반석분말을 주성분인 기재와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이 혼합물을 필요한 형의 형틀에 넣어 필요한 건축마감재를 성형시키는 성형단계 및, 이 성형단계를 거쳐 응고된 중간제품의 표면을 그라인딩하여 면가공처리하는 연마단계로 이루어진 건축내장 마감재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에서 소정크기의 무늬형태로 가공된 옥장식물을 성형틀 바닥면에 미리 넣거나 성형물이 완전히 응고되기 전에 상기 옥장식물을 삽입하여 고정시켜 성형물의 양쪽 면중의 한쪽면에 상기 옥장식물이 노출되게 하는 옥장식물 삽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하는 재료의 비는 부피비를 기준으로 하여 기재를 1, 맥반석분말을 2.5 ∼ 3.5, 옥입자를3 ∼ 4의 비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백시멘트, FRP 또는 에폭시수지중의 하나가 선택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
  5. 백시멘트와 점토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진 기재에 직경 약 0.5 ∼ 6mm 크기의 옥입자와 #200 ∼ #300 크기의 맥반석분말을 혼합하여 반죽상태로 만든 성형재료를 콘크리트를 가압성형하여 만든 콘크리트 프레임위에 도포하여 성형완성시키는 건축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19990026734A 1999-07-03 1999-07-03 건축용 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 KR20010008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734A KR20010008758A (ko) 1999-07-03 1999-07-03 건축용 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734A KR20010008758A (ko) 1999-07-03 1999-07-03 건축용 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758A true KR20010008758A (ko) 2001-02-05

Family

ID=1959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734A KR20010008758A (ko) 1999-07-03 1999-07-03 건축용 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87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326A (ko) * 2000-12-27 2002-07-05 이일희 폐옥을 이용한 건축자재 제조방법
KR20030004852A (ko) * 2001-07-06 2003-01-15 김용술 송진 과 생 솔방울 등 강감.가공기법 및 ,혼합 믹서.상감기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937A (ko) * 1996-06-12 1998-03-30 공병석 다용도 광석분 및 제조방법
KR19990064415A (ko) * 1999-01-13 1999-08-05 백태현 원적외선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0217921B1 (ko) * 1997-01-15 1999-09-01 최영모 건축용 내장벽체
KR19990084826A (ko) * 1998-05-06 1999-12-06 최중갑 등방석 황토 벽돌의 제조방법
KR100252673B1 (ko) * 1998-02-05 2000-04-15 김경선 불연성 건축물 내외장용 보-드 및 그것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937A (ko) * 1996-06-12 1998-03-30 공병석 다용도 광석분 및 제조방법
KR100217921B1 (ko) * 1997-01-15 1999-09-01 최영모 건축용 내장벽체
KR100252673B1 (ko) * 1998-02-05 2000-04-15 김경선 불연성 건축물 내외장용 보-드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9990084826A (ko) * 1998-05-06 1999-12-06 최중갑 등방석 황토 벽돌의 제조방법
KR19990064415A (ko) * 1999-01-13 1999-08-05 백태현 원적외선 마감재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326A (ko) * 2000-12-27 2002-07-05 이일희 폐옥을 이용한 건축자재 제조방법
KR20030004852A (ko) * 2001-07-06 2003-01-15 김용술 송진 과 생 솔방울 등 강감.가공기법 및 ,혼합 믹서.상감기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K1096343A1 (en) Method of making cementitious slab products having antimicrobial properties
KR100616249B1 (ko) 장식물의 제조방법
KR20070005816A (ko) 표면처리가 된 점토 벽돌 제조방법
KR20010008758A (ko) 건축용 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
KR200291948Y1 (ko) 에폭시수지 모르타르 블록
KR100736191B1 (ko) 건축물 내장재
KR100317996B1 (ko) 사문옥석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건물시공방법
KR19990084009A (ko) 폐석을 이용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KR100763655B1 (ko) 황토석을 이용한 바닥판 시공방법과 그 바닥판 제품
EP0989104B1 (en) Agglomerated material comprising baked clay and method for obtaining the same
KR200383809Y1 (ko) 황토석을 이용한 바닥판 제품
KR20020062254A (ko) 건축물 실내 인테리어용 내장마감재와 그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0763654B1 (ko) 황토석을 이용한 바닥판 시공방법과 그 바닥판 제품
KR200387929Y1 (ko) 건축용 부착식 방음·방습쿠션패드
KR200383003Y1 (ko) 황토석을 이용한 바닥판 제품
KR19990046322A (ko) 건축물내부마감을위한옥돌마감재및그시공방법
KR101332903B1 (ko) 귀사문석을 이용한 타일 제조 방법
KR100420969B1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흙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298914Y1 (ko) 건축용 쏘일스톤패널
KR100704047B1 (ko) 테라조판 및 테라조판 제조방법
KR100785830B1 (ko) 황토 보도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8532Y1 (ko) 옥돌 판재
CN2403574Y (zh) 仿石复合台面
JPS58185867A (ja) 墓用カロ−トの製作方法
KR20020081004A (ko) 황토를 주재로 한 실내바닥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