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4415A - 원적외선 마감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마감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4415A
KR19990064415A KR1019990001093A KR19990001093A KR19990064415A KR 19990064415 A KR19990064415 A KR 19990064415A KR 1019990001093 A KR1019990001093 A KR 1019990001093A KR 19990001093 A KR19990001093 A KR 19990001093A KR 19990064415 A KR19990064415 A KR 19990064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infrared
mesh
oak charco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0453B1 (ko
Inventor
백태현
Original Assignee
백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태현 filed Critical 백태현
Priority to KR1019990001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453B1/ko
Publication of KR19990064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써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뿐만 아니라, 항균기능, 탈취기능 및 축열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고 건축비가 저렴한 원적외선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맥반석, 견운모 및 백토를 300메쉬(mesh)로 각각 분체하여 수비침전을하고 칠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며, 일정량의 참나무 숯을 200메쉬로 분체하고 물로 희석하여 참나무 숯물을 마련한다. 다음에는, 분체화된 10∼40wt%의 맥반석, 10∼30wt%의 견운모 및 10∼30wt%의 백토를 5∼25wt%의 참나무 숯물에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든 후, 접착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5∼25wt%의 아크릴 수지를 첨가하여 최종 생성물을 만든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 미량의 안료를 첨가하여 원하는 색상을 얻는다.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원적외선 마감재는 가정집, 사무실, 상가, 인테리어, 병원,식품공장등의 내벽재나 바닥재로 적용하는 경우, 미장마감없이 벽돌위에 간단히 시공할 수 있어서 건축비가 절감되고 시공시간이 절약된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마감재의 제조방법{Method of producing infrared building materials}
본 발명은 원적외선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써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뿐만아니라, 항균기능, 탈취기능 및 축열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고 건축비가 저렴한 원적외선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하고 그에 따라 생활이 풍족해지면서 삶의 질적 향상에 대한 관심이 점차로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메마른 도시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대다수의 현대인들은 주거환경을 건강에 유익하게 환경친화적으로 바꾸고자 한다. 그러한 방편의 일환으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시킬 수 있는 조리용구, 건강용구, 난방기기 등이 개발된 바 있다.
일반적으로, 적외선은 에너지파의 일종인 전자파로서 파장대가 0.76∼1,000미크론대의 범위의 빛을 말하는데, 파장에 따라 0.76∼1.5미크론대를 근적외선, 1.5∼5.6미크론대를 중적외선이라하고, 5.6∼1,000미크론대를 원적외선이라 부른다. 이중에서 6∼14미크론 파장대의 원적외선이 우리 생활에 가장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적외선은 방사에 의하여 전달되고, 물질 고유의 파장과 공명·공진하여 활성화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원적외선은 중간 매체의 가열없이 직접적이고 순간적으로 대상물체로 전달되며, 가시광선이나 근적외선과는 달리 인체나 물질의 표면뿐만아니라 내부 깊숙이 침투하는 특성이 있다. 원적외선은 물질의 심부에서 자기발열을 일으켜서 물질의 내외부를 균일하게 가열하므로, 도료나 식품, 인체 등의 효율적인 가열이 가능하다. 따라서, 원적외선을 인체나 물체에 조사하면 열손실이 없이 단시간내에 가열이 가능하므로, 에너지 절약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저온 방사에 의한 장파장의 원적외선은 인체에 부드러운 난방감각을 줄뿐아니라 소음, 냄새를 발생시킴이 없이 쾌적한 난방이 가능하며 화재의 위험이 전혀 없다.
원적외선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로는 피하심충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환의 촉진, 신진대사의 강화, 조직 재생능력 증가 등을 나타나며, 부인병, 신경계 질병, 노인성 질환에도 탁월한 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게다가, 원적외선은 물분자의 활성화 및 습도 조절기능이 있어서 곰팡이나 박테리아의 활동을 억제하여 미생물의 번식에 의한 악취를 제거시킨다.
원적외선은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우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실생활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집을 지을 때 사용하는 실내 내벽재나 바닥재 등으로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황토, 옥돌 또는 맥반석을 채용하기도한다. 그런데, 이들 재료는 원적외선의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가 낮아서 궁극적으로 얻고자하는 건강증진 효과가 미약하고, 에너지 절약 효과나 탈취효과도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양의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균, 축열성, 습도조절 등의 강력한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나타내며 다양한 색상을 낼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하여 건축비가 절감되는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건축용 마감재의 원적외선 방사율 측정 결과 그래프,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건축용 마감재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 측정 결과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건축용 마감재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방사에너지의 측정사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건축용 마감재를 대상으로 실시한 시간 경과에 따른 가스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일정량의 맥반석, 견운모 및 백토를 300메쉬(mesh)로 각각 분체하여 수비침전을하고 철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며, 일정량의 참나무 숯을 200메쉬로 분체하고 물로 희석하여 참나무 숯물을 마련하고, 분체화된 맥반석, 견운모 및 백토를 상기 참나무 숯물에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든후, 접착력을 부여하기 위한 수지를 첨가하여 최종 생성물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마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맥반석은 10∼40wt%, 상기 견운모는 10∼30wt%, 상기 백토는 10∼30wt%, 상기 참나무 숯물은 5∼25wt%, 그리고 상기 수지는 5∼25wt%의 함량을 갖는다. 상기 혼합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일정량의 안료가 첨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건축용 마감재를 만들기 위한 출발 재료로서 맥반석, 견운모, 백토를 주로 사용한다. 맥반석, 견운모 및 백토는 300메쉬(mesh)로 분체화한 것을 사용한다. 분체화된 맥반석, 견운모 및 백토는 참나무 숯물 및 수지와 혼합된다. 이를 위해서, 참나무 숯물은 일정량의 참나무 숯을 200메쉬로 분체화한 후 물에 희석하여 만든다.
다음에는, 분체화된 맥반석, 견운모 및 백토를 각각 10∼40wt%, 10∼30wt% 및 10∼30wt%의 양으로 5∼25wt%의 참나무 숯물과 혼합한다. 다음에는, 접착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소정의 수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수지를 5∼25wt%의 함량만큼 첨가하여 겔(gel) 형태의 혼합물을 만든다. 이때, 원하는 색깔의 안료를 약 O.O1wt% 가량 추가하여 시공하고자하는 대상물에 부합되는 색상을 얻는다.
실시 예
자연계에서 얻는 맥반석, 견운모 및 백토를 300메쉬로 분체화하여 침전실에서 수비침전을 거친후, 철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인체에 전혀 해가없는 상태로 완전 응고된 제품을 준비한다. 또한, 참나무로부터 얻은 참나무 숯을 200메쉬로 분체화한후 물에 희석하여 참나무 숯물을 마련한다.
이러한 조성을 갖는 재료들이 준비되면, 30wt%의 맥반석, 20wt%의 견운모, 20wt%의 백토 분말을 15wt%의 참나무 숯물에 혼합한다. 다음에는, 접착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약 15wt%의 아크릴 수지와 미량의 안료를 첨가하여 겔 형태의 건축용 마감재를 얻는다.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되는 건축용 마감재는 분말들, 참나무 숯물및 아크릴 수지의 첨가시에 충분한 시간을 두고서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건축 및 미장 마감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품질을 가지며, 별도의 미장마감없이 건축물의 벽돌위에 시공이 가능하다.
결과 및 고찰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원적외선 마감재를 원적외선 응용평가센터인 한국 건자재 시험 연구원(KICM)과 한국 표준 과학 연구소(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에 분석 의뢰하였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건축용 마감재의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의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한국 건자재 시험 연구원에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40℃의 온도에서 FT-IR 스펙트로메타(Spectrometer)를 이용한 블랙 바디(Black Body) 대비 측정 결과, 방사율은 5∼20μm의 범위에서 0.91을 나타내었다. 또한, 방사에너지는 3.66×102W/m2·μm로 나타났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건축용 마감재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방사에너지의 측정사진이다. 한국 건자재 시험 연구원에서는 적외선 열화상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23℃, 습도 56%의 조건에서 시험하였으며, 본 발명의 건축용 마감재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 방사에너지를 영상과 온도 데이터로 처리한 측정 결과가 나타나 있다. 측정사진 결과, 상당한 양의 원적외선이 방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하기표 1에는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원적외선 마감재의 탈취기능의 시험 결과가 나타나 있다. 하기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마감재가 우수한 탈취성능을 갖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상기 표에서 Blank는 시료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를 의미하며, 시험방법은 KICM-FIR-1004에 의거하여 암모니아 가스를 시험가스로 사용하였고, 가스 검지관을 이용하여 가스농도를 측정하였다. 도 3은 시간 경과에 따른 가스농도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마감재는 암모니아 가스에 대하여 상당한 탈취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한국 표준 과학 연구소의 시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원적외선 마감재는 시료의 평균온도를 25℃로 유지한 상태에서 열전도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열전도도를 시험한 결과, 0.8192Wm-1K-1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것은기존 건축물의 주재료인 시멘트의 열전도도가 약 0.25Wm-1K-1임을 고려해볼 때, 우수한 열전도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 표준 과학 연구소의 DSC장치를 이용하여 비열을 측정한 결과, 25.3℃의 온도에서 0.7586Jg-1K-1의 비열을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마감재는 축열효과가 우수하여 에너지 절약 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원적외선 마감재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충분한 양만큼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원적외선 마감재를 가정집, 사무실, 상가, 인테리어, 병원, 식품공장등의 내벽재나 바닥재로 적용하는 경우,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뿐만아니라, 항균기능, 탈취기능 및 축열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색상을 낼수 있고 미장마감없이 벽돌위에 간단히 시공할 수 있어서 건축비가 절감되고 시공시간이 절약되는 등의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일정량의 맥반석, 견운모 및 백토를 300메쉬(mesh)로 각각 분체하여 수비침전을하고 철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며, 일정량의 참나무 숯을 200메쉬로 분체하고 물로 희석하여 참나무 숯물을 마련하고, 분체화된 맥반석, 견운모 및 백토를 상기 참나무 숯물에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든후, 접착력을 부여하기 위한 수지를 첨가하여 최종 생성물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마감재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맥반석의 함량은 10∼40wt%, 상기 견운모의 함량은 10∼30wt%, 상기 백토의 함량은 10∼30wt%, 상기 참나무 숯물의 함량은 5∼25wt%, 상기 수지의 함량은 5∼25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마감재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일정량의 안료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마감재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아크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19990001093A 1999-01-13 1999-01-13 원적외선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0300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093A KR100300453B1 (ko) 1999-01-13 1999-01-13 원적외선 마감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093A KR100300453B1 (ko) 1999-01-13 1999-01-13 원적외선 마감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415A true KR19990064415A (ko) 1999-08-05
KR100300453B1 KR100300453B1 (ko) 2001-09-26

Family

ID=3752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093A KR100300453B1 (ko) 1999-01-13 1999-01-13 원적외선 마감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45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758A (ko) * 1999-07-03 2001-02-05 변상윤 건축용 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
KR20020059266A (ko) * 2002-06-03 2002-07-12 김선익 원적외선방사용 숯 맥반석 벽돌 제조방법
KR100366661B1 (ko) * 2000-04-22 2003-01-09 대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도장재용 조성물
KR20040009759A (ko) * 2002-07-25 2004-01-31 주식회사 엘씨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79597A (ko) * 2004-02-06 2005-08-10 동화벽지(주) 자연친화적 음이온발산 무독성장판
KR100663173B1 (ko) * 2005-03-10 2007-01-02 이석형 탄소마루판의 제조방법 및 탄소마루판
KR101400489B1 (ko) * 2012-02-14 2014-05-27 박민수 탈취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몰딩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9266A (ko) * 1995-01-21 1996-08-17 김민식 천연광석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사 모르타르 조성물
KR970059144A (ko) * 1996-01-19 1997-08-12 김효충 원적외선방사분말물질의 제조방법
KR200154474Y1 (ko) * 1996-02-09 1999-08-16 황만철 흙 판넬
KR100229841B1 (ko) * 1996-11-09 1999-12-01 신현대 침대용 원적외선 판넬과 그 제조방법
KR970010697A (ko) * 1996-12-24 1997-03-27 박연준 마감재 및 마감 방법
KR100227080B1 (ko) * 1997-06-02 1999-10-15 김영근 원적외선방사 온돌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04826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전화걸기 기능을 갖는 vcr 및 관련된 방법
KR19990023399U (ko) * 1997-12-05 1999-07-05 김영건 침대
KR19990075144A (ko) * 1998-03-18 1999-10-15 이명식 천연 흙을 주성분으로 하는 흙페인트의 제조방법
KR20000003905A (ko) * 1998-06-30 2000-01-25 이상태 기능성 흙벽돌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758A (ko) * 1999-07-03 2001-02-05 변상윤 건축용 내장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0366661B1 (ko) * 2000-04-22 2003-01-09 대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도장재용 조성물
KR20020059266A (ko) * 2002-06-03 2002-07-12 김선익 원적외선방사용 숯 맥반석 벽돌 제조방법
KR20040009759A (ko) * 2002-07-25 2004-01-31 주식회사 엘씨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79597A (ko) * 2004-02-06 2005-08-10 동화벽지(주) 자연친화적 음이온발산 무독성장판
KR100663173B1 (ko) * 2005-03-10 2007-01-02 이석형 탄소마루판의 제조방법 및 탄소마루판
KR101400489B1 (ko) * 2012-02-14 2014-05-27 박민수 탈취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몰딩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0453B1 (ko) 200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0453B1 (ko) 원적외선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0640042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세라믹과 금강토를포함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
KR20080018291A (ko) 백토를 이용한 도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99703A (ko)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축용마감재
KR100850037B1 (ko) 기능성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JP2006232623A (ja) 室内用漆喰組成物
KR20060006877A (ko) 침투성 세라믹 건축마감재의 제조방법
KR20130017145A (ko) 펄라이트를 사용한 친환경 실내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960011909B1 (ko) 다공질체 세라믹 함유 벽지 제조방법
KR20050015754A (ko) 황토를 이용한 기능성 원적외선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284859B1 (ko) 기능성 액상 시멘트 마감재의 제조방법
KR20160100663A (ko) 활성탄 숯 타일제조방법
KR101512595B1 (ko) 철제가구용 분체도료에 첨가되는 기능성 힐링 세라믹 조성물
KR20050102212A (ko) 수성 도료조성물
KR20050099450A (ko) 바닥장식재용 천연 광석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KR100416075B1 (ko) 건축용 황토 혼합물 제조방법
KR100467053B1 (ko) 바이오 몰탈 내장 마감재
KR20030083356A (ko) 원적외선 ,음이온 방사 및 살균성이 우수한 건축마감피복제
KR102166568B1 (ko) 친환경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0420212B1 (ko) 광촉매 용액 및 활성탄이 함유된 아교액 황토 미장 페인트
KR100367026B1 (ko) 황토를 이용한 도료의 제조방법
KR960011908B1 (ko) 세라믹 함유 벽지 제조방법
KR100460715B1 (ko) 항균효과를 갖는 천연피혁 및 그 제조방법
CN100334145C (zh) 纳米级远红外线树脂及其制造方法
KR20060101017A (ko) 자수정 분말을 함유하는 기능성 건축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