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759A -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759A
KR20040009759A KR1020020043805A KR20020043805A KR20040009759A KR 20040009759 A KR20040009759 A KR 20040009759A KR 1020020043805 A KR1020020043805 A KR 1020020043805A KR 20020043805 A KR20020043805 A KR 20020043805A KR 20040009759 A KR20040009759 A KR 20040009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sericite
molding
weight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씨어
Priority to KR1020020043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9759A/ko
Publication of KR20040009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75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non-organic comp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세리사이트 원석을 건조하고 일정 크기로 분쇄한 다음, 여기에 응고제를 첨가하여 일정 온도에서 성형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이는 원적외선 방사능이 우수하고 인체 유해물질을 포함하지 않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냉장고, 에어컨, 자동차 실내, 신발장, 옷장 등 밀폐공간의 탈취에 유용한 탈취제이다.

Description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Deodora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적외선 방사능이 우수하며 인체에 무해한 세리사이트 원석으로부터 제조된 탈취제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신발장, 자동차 실내를 비롯한 생활 공간에 존재하는 악취 물질은 음식 냄새, 사람의 체취 및 담배냄새, 그리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자동차 배기가스 등에 의한 냄새를 들 수 있으며, 이것들은 암모니아, 아민 등의 질소류, 황화수소, 머캅탄 등의 유황류, 그리고 탄화수소, 알데히드, 지방산 등이 그 주요 물질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대기환경보전법 제2조에 악취를 오염물질의 일종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황화수소, 머캅탄류, 아민류 및 기타 자극성 있는 기체상 물질이 인간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 정의하고 있다.
냉장고나 자동차 실내, 신발장, 옷장 등은 특히 밀폐된 공간으로서, 악취가 순환되지 못해 지속적으로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냉장고의 경우 김치냄새, 생선 냄새 등의 주요한 악취의 요인이고, 자동차 실내는 유입되는 배기가스, 실내에서의 흡연으로 인한 담배 냄새, 그리고 여름철 냉방으로 인한 냉매의 냄새 등을 악취의 요인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에어컨의 경우도 냉매로 인한 암모니아 냄새가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악취의 1차적인 제거방법으로는 물리적인 흡착방법이나 방향제를 이용하여 냄새를 중화시키는 방법이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단순 흡착 방법에 의한 탈취촉매는 그 수명이 짧을 뿐만 아니라 여러 악취물질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어떤 물질들은 흡착에 의하여 제거가 잘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방향제는 오히려 악취와 섞여 더 역겨운 냄새를 내는 경우도 있어 보다 수명이 길면서 악취 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완전한 탈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탈취제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노력하던 중, 세리사이트 원석을 건조하고 이를 분쇄한 후 여기에 응고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성형 및 건조하여 탈취제를 제조한 결과, 원적외선을 방사하면서 다공성이어서 냄새를 지속적으로 흡착할 수 있고 일정 기간 사용후에 끓이는 것만으로 다시 사용할 수 있어 반영구적임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 신발장, 옷장, 자동차 실내 등의 밀폐된 공간에서 효과적이며 반영구적으로 탈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탈취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같은 탈취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취제는 SiO270∼72중량%, Al2O315∼20중량%, Fe2O30.5∼1.0중량%, CaO 0.05∼0.15중량%, K2O 0.1∼0.5중량%, Na2O 1.5∼2.0중량% 및 잔량의 MgO를 포함하는 세리사이트 원석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탈취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세리사이트 원석을 90∼110메쉬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물을 150℃에서 건조하는 단계; 상기 세리사이트 분쇄물 100중량부에 응고제 2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150∼200℃에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리사이트(Sericite), 즉 견운모는 그 품위가 매우 높고 중금속 등 인체에 해가 있는 성분, 예를들어 납, 카드뮴, 수은 등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의 방사량이 매우 높아 생체의 활성화, 환경친화적 요소, 건강의 증진에 이르기까지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할 수 있다.
세리사이트 분말을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원적외선응용평가센터)에 의뢰하여 원적외선의 상온대(39∼40℃)에서의 방사능을 시험하였는 바, 그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방사율(5∼20㎛) 방사에너지(W/㎡)
0.927 3.74×102
이와같은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을 갖는 세리사이트 원석의 주요 구성 성분은 SiO270∼72중량%, Al2O315∼20중량%, Fe2O30.5∼1.0중량%, CaO 0.05∼0.15중량%, K2O 0.1∼0.5중량%, Na2O 1.5∼2.0중량% 및 잔량의 MgO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같은 세리사이트 원석으로부터 탈취제를 성형하는 바,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세리사이트 원석을 90∼110메쉬 되도록 분쇄한 다음 이를 150℃ 정도에서 건조시킨다. 그리고 나서 얻어진 분쇄물에 응고제를 혼합하는 바, 이때 응고제의 사용량은 분쇄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정도이면 바람직하다. 여기서의 응고제는 일반 건자재 소재 등에 사용되어온 통상의 것으로서, 이를 한정할 필요는 없다.
그 다음, 이들 혼합물을 150∼200℃에서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하는 바, 필요에 따라 염료나 안료를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만일, 성형온도는 성형물의 다공성을 감안하여 설정된 것으로서, 그 이상의 온도로 소성이 이루어지면 다공성이 없어져 탈취흡착의 효과가 떨어진다.
이같이 성형물을 얻은 다음 건조하는 바, 건조는 자연건조가 바람직하다. 만일 스팀 건조를 하게 되면 균열이 생길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얻어진 성형물은 암모니아 가스 등 악취제거율이 우수하며, 냉장고나 신발장, 옷장, 자동차 실내 등 어느 곳에서든지 탈취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성형물을 6개월여 동안 탈취제로서 사용한 뒤 끓는 물에서 2분 정도 가열한 다음 건조 후 다시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탈취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인 탈취제라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SiO271.4중량%, Al2O318.5중량%, Fe2O30.71중량%, CaO 0.10중량%, K2O 0.44중량%, Na2O 1.89중량% 및 잔량의 MgO로 이루어진 세리사이트 원석을 사내광산 등록번호 허가 59580으로부터 채취하였다.
건조된 세리사이트 원석을 100메쉬 되도록 분쇄기(crusher)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얻어진 세리사이트 분쇄물 100g에 응고제로서 알루미나 응고제(유니온시멘트사 제품) 20g을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성형틀에서 150℃로 가열하면서 거북이 모양으로서 다공성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거북 모양의 성형물을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하여 본 발명의 탈취제를 얻었다.
얻어진 탈취제에 대하여 암모니아 가스에 대한 탈취시험을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KICM-FIR-1004 방법에 의거 수행하였는 바, 그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여기서, 대조구는 탈취제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것이다.
시험항목 경과시간(분) 대조구 농도(ppm) 본 발명 농도(ppm) 탈취율(%)
탈취시험 초기 500 500 -
30 480 50 90
60 470 20 96
90 450 10 98
120 440 10 98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탈취제는 암모니아 가스에 대한 탈취효과가 2시간 내에 98%로 나타났는 바, 본 발명의 탈취제는 에어컨이나 자동차 실내 등 암모니아 가스를 주요한 악취로 포함하는 공간에 유효하리라 판단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세리사이트로부터 제조된 탈취제는 인체에 무해하고 원적외선 방사능이 우수하여 암모니아 가스 등에 대한 탈취효과가 우수하며 그 효과가 반영구적으로 지속되므로 냉장고, 에어컨, 자동차 실내, 신발장 등의 실내 탈취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3)

  1. SiO270∼72중량%, Al2O315∼20중량%, Fe2O30.5∼1.0중량%, CaO 0.05∼0.15중량%, K2O 0.1∼0.5중량%, Na2O 1.5∼2.0중량% 및 잔량의 MgO를 포함하는 세리사이트 원석으로 이루어진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탈취제.
  2. SiO270∼72중량%, Al2O315∼20중량%, Fe2O30.5∼1.0중량%, CaO 0.05∼0.15중량%, K2O 0.1∼0.5중량%, Na2O 1.5∼2.0중량% 및 잔량의 MgO를 포함하는 세리사이트 원석을 90∼110메쉬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세리사이트 분쇄물을 150℃에서 건조하는 단계;
    상기 세리사이트 분쇄물의 건조물 100중량부에 응고제 2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150∼200℃에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탈취제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성형 단계에서 염료 또는 안료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20020043805A 2002-07-25 2002-07-25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09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805A KR20040009759A (ko) 2002-07-25 2002-07-25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805A KR20040009759A (ko) 2002-07-25 2002-07-25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759A true KR20040009759A (ko) 2004-01-31

Family

ID=37318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805A KR20040009759A (ko) 2002-07-25 2002-07-25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97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429B1 (ko) * 2009-05-04 2012-01-05 원남메디칼 (주) 항균성 금속 이온이 교환된 세리사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4581B1 (ko) * 2012-01-27 2013-06-13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세리사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액상탈취제
KR20220046753A (ko) * 2020-10-08 2022-04-15 박재훈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고양이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415A (ko) * 1999-01-13 1999-08-05 백태현 원적외선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9990083921A (ko) * 1999-08-31 1999-12-06 곽승렬 견운모를 주재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충전재
KR20000058212A (ko) * 1999-02-09 2000-09-25 이종택 원적외선 방사 생리용품
KR20020045142A (ko) * 2000-12-08 2002-06-19 김기승 항균 및 내열성을 갖는 합성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제작된 합성 수지 성형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415A (ko) * 1999-01-13 1999-08-05 백태현 원적외선 마감재의 제조방법
KR20000058212A (ko) * 1999-02-09 2000-09-25 이종택 원적외선 방사 생리용품
KR19990083921A (ko) * 1999-08-31 1999-12-06 곽승렬 견운모를 주재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충전재
KR20020045142A (ko) * 2000-12-08 2002-06-19 김기승 항균 및 내열성을 갖는 합성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제작된 합성 수지 성형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429B1 (ko) * 2009-05-04 2012-01-05 원남메디칼 (주) 항균성 금속 이온이 교환된 세리사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4581B1 (ko) * 2012-01-27 2013-06-13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세리사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액상탈취제
KR20220046753A (ko) * 2020-10-08 2022-04-15 박재훈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고양이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7233A (en) Deodorizing composition for ash trays
JP5620514B2 (ja) 揮発性アルデヒドの混合物を有する悪臭制御組成物及びその方法
CN105271954B (zh) 一种含硅藻泥的装饰材料
KR20040009759A (ko)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GB2217603A (en) Deodorizing composition
KR20190138024A (ko)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4266B1 (ko) 규조토를 이용한 항균성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US7879252B1 (en) Functional cotton spray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building material using the same
KR101532937B1 (ko) 냉장고용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8403A (ko) 편백 오일을 주원료로 한 에어컨/차량용 등 다목적 용도의 천연 탈취제 및 방향제
KR100907046B1 (ko) 친환경적인 수성페인트의 제조방법
KR200340230Y1 (ko) 황토볼을 이용한 흡착탈취제
KR20180005511A (ko) 본 발명은 피톤치드와 다공성 물질 분말을 혼합하여 추출 및 고농축화한 물질과 참숯 분말, 또는 대나무숯 분말등을 이용한 항균기능을 갖는 탈취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탈취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탈취제 제조방법 및 탈취제
KR20030091079A (ko) 황토볼을 이용한 흡착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그 흡착탈취제
KR20160018279A (ko) 축산 악취 제거용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71576B1 (ko) 축산 악취 제거용 항균 조성물
KR102228382B1 (ko) 순간 흡착성능이 뛰어난 소성체 조성물
JP3065339U (ja) 蝋 燭
KR100333848B1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주재로 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KR20190029935A (ko) 다양한 악취 제거용 천연탈취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036297A (ko) 정수(淨水) 및 음용수(飮用水), 탈취용에 적용되는 맥반석 조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17800A (ko) 양구백토에서 추출한 화이트이온미네랄수(sy6657)를 이용한 유해물질 및 악취 제거제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726796B1 (ko) 포조란분말 소성물과 이를 이용한 탈취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214808B1 (ko) 방향성을 갖는 천연 탈취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0367026B1 (ko) 황토를 이용한 도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