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800A - 양구백토에서 추출한 화이트이온미네랄수(sy6657)를 이용한 유해물질 및 악취 제거제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 Google Patents

양구백토에서 추출한 화이트이온미네랄수(sy6657)를 이용한 유해물질 및 악취 제거제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800A
KR20160017800A KR1020140100734A KR20140100734A KR20160017800A KR 20160017800 A KR20160017800 A KR 20160017800A KR 1020140100734 A KR1020140100734 A KR 1020140100734A KR 20140100734 A KR20140100734 A KR 20140100734A KR 20160017800 A KR20160017800 A KR 20160017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extracted
bangsan
yang
composi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유용
김수연
Original Assignee
원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유용 filed Critical 원유용
Priority to KR1020140100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7800A/ko
Publication of KR20160017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Abstract

본 발명은 양구백토에서 추출한 화이트이온미네랄수(SY6657)를 이용한 유해물질 및 악취 제거제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양구백토의 우수성을 활용하여 뛰어난 유해물질 및 악취제거제로서 다양한 곳에 사용 할 수 있는 제거제 이다.

Description

양구백토에서 추출한 화이트이온미네랄수(SY6657)를 이용한 유해물질 및 악취 제거제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Hazardous substances and odor remover using White Ionic Minerals water, SY6657, extracted from white clay of Yang Gu Bangsan region manufacturing method and that compositions.}
본 발명은 양구백토에서 추출한 화이트이온미네랄수(SY6657)를 이용한 유해물질 및 악취 제거제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양구백토에서 추출한 화이트이온미네랄수(SY6657)를 이용한 유해물질 및 악취 제거제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성 물질이며, 태양광 에너지의 보고라 할 수 있는 양질의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양구 방산백토를 이용하여 만들어 낸 화이트이온미네랄수(SY6657) 조성물을 이용하여 각종 악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제거하며, 그 사용으로 인해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냄새 제거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도가 높은 여름이나 다습한 환경하에서 악취 오염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공기중으로 악취가 전파되면서 주변 환경을 오염시켜 쾌적한 생활환경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심각한 경우에는 인체의 직간접적인 악영향을 주는 경우도 초래되고 있다. 또한, 지하생활공간이나 실내공기 오염물질 중, 새집/새가구 증후군의 주범인 포름알데히드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과 같은 유해성 물질들이 우리 생활과 건강을 위협하는 것에 대한 경각심이 제고 되면서, 그러한 유해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이 기울여져 다양한 기술이 접목되어 상품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품들은 천연물질이 아닌 합성화학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악취 제거의 측면에서는 일부 효과가 인정될 만하나, 자체 물질이 완전하게 환경 친화적인 물질이 아니라서 2차적인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각종 악취물질은 물론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2차적인 환경오염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새로운 냄새 제거제 개발을 위한 노력이 관련 업계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종 악취물질인 암모니아등의 제거에 충분한 효과를 발현하며, 새집증후군의 주된 오염원인 포름알데히드 제거 효과도 충분하게 발현하면서, 2차적인 환경오염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냄새 제거제를 개발하는 데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냄새 제거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양구백토에서 추출한 화이트이온미네랄수(SY6657)를 이용한 유해물질 및 악취 제거제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로써 그 제조방법은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다. 유해 물질 및 악취 제거제 제조용 조성물 은, 정제수 1,000kg에 양구백토 파우더(SY1208)를 정제수 중량의 0.02 ~ 0.04%를 넣고 교반한다.
그런 다음 상온에서 15 ~ 30일간 침전 숙성 시킨다.
15 ~ 30일간 침전 시킨 후 상등수 즉 화이트이온미네랄수(SY6657)를 수거하여 악취제거제 조성물로 사용한다.
이 조성물에 사용된 양구백토의 화학적 조성에는 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분석한 결과 이산화규소 69.8%, 아루미나 15.1 %, 철 4.0%, 칼슘 2.1%, 마그네슘 1.4%, 칼륨 0.81%, 나트륨 1.1%, 티타늄 0.54%, 인 0.12%, 바륨 0.06%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원적외선의 방사량과 방사에너지에 대한 분석을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분석한 결과 방사율은 0,926, 방사에너지는 3.73 × 102 으로 분석 된 바 있다.
탈취율을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분석한 결과 최초 30분에 93.8%, 60분에 95.4%, 90분에 96.2%, 120분에 96.6%가 탈취 제거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볼 때 확실한 악취제거제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며, 특히 가구나 도배지, 바닥재 등 모든 곳에 사용 할 수 있다. 이것은 투명 상태의 액체로 조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냄새 제거제의 탈취력 시험 결과 악취 물질이 본 발명에 따른 냄새 제거제의 투입 후, 30분이 경과되면서 93.8%, 120분 경과 후 96.6%가 탈취되어진 것이다. 그 대부분이 밀폐 공간에서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이 갖는 냄새 제거제는 그 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새집증후군의 주된 유해 물질인 포름알데히드의 탈취 효과가 탁월하게 나타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15 ~ 30일간 침전 시킨 후 상등수 즉 화이트이온미네랄수(SY6657)를 수거하여 악취제거제 조성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악취물질인 암모니아 등의 제거에 충분한 효과를 발현하며, 새집증후군의 주된 오염원인 포름알데히드의 제거 효과도 충분하게 발현하면서, 2차적인 환경오염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냄새 제거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조방법
도 2는 양구백토의 화학조성
도 3은 양구백토의 방사량 및 방사에너지
도 4는 양구백토의 탈취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종 악취물질인 암모니아 제거에 충분한 효과를 발현하며, 새집증후군의 주된 오염원인 포름알데히드 제거 효과도 충분하게 발현하면서, 2차적인 환경오염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냄새 제거제를 개발하는 데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냄새 제거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유해물질, 악취, 탈취, 백토, 다공성, 새집증후군, 포름알데히드, 암모니아

Claims (1)

  1. 양구백토에서 추출한 화이트이온미네랄수(SY6657)를 이용한 유해물질 및 악취 제거제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유해 물질 및 악취 제거제 제조용 조성물 은, 정제수 1,000kg에 양구백토 파우더(SY1208)를 정제수 중량의 0.02 ~ 0.04%를 넣고 교반한다.
    그런 다음 상온에서 15 ~ 30일간 침전 숙성 시킨다.
    15 ~ 30일간 침전 시킨 후 상등수 즉 화이트이온미네랄수(SY6657)를 수거하여 악취제거제 조성물로 사용한다.
KR1020140100734A 2014-08-06 2014-08-06 양구백토에서 추출한 화이트이온미네랄수(sy6657)를 이용한 유해물질 및 악취 제거제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KR20160017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734A KR20160017800A (ko) 2014-08-06 2014-08-06 양구백토에서 추출한 화이트이온미네랄수(sy6657)를 이용한 유해물질 및 악취 제거제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734A KR20160017800A (ko) 2014-08-06 2014-08-06 양구백토에서 추출한 화이트이온미네랄수(sy6657)를 이용한 유해물질 및 악취 제거제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800A true KR20160017800A (ko) 2016-02-17

Family

ID=55457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734A KR20160017800A (ko) 2014-08-06 2014-08-06 양구백토에서 추출한 화이트이온미네랄수(sy6657)를 이용한 유해물질 및 악취 제거제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78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772B1 (ko) 2019-01-10 2019-11-26 이상술 황토와 고령토와 일라이트에 고삼성분을 결합시킨 위생시트지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772B1 (ko) 2019-01-10 2019-11-26 이상술 황토와 고령토와 일라이트에 고삼성분을 결합시킨 위생시트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786B1 (ko) 기능성 바이오 세라믹 건축마감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바이오 세라믹 건축마감재
JP2008013734A (ja) 空気活性用の炭素系塗料
KR100853475B1 (ko) 친환경 도료 조성물
KR101654547B1 (ko) 천연광물을 포함하는 탈취, 제습 및 항균 효과가 있는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17800A (ko) 양구백토에서 추출한 화이트이온미네랄수(sy6657)를 이용한 유해물질 및 악취 제거제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658156B1 (ko) 적색셰일 분말과 msm이 포함된 흡착탈취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90138024A (ko)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5511A (ko) 본 발명은 피톤치드와 다공성 물질 분말을 혼합하여 추출 및 고농축화한 물질과 참숯 분말, 또는 대나무숯 분말등을 이용한 항균기능을 갖는 탈취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탈취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탈취제 제조방법 및 탈취제
KR20180118403A (ko) 편백 오일을 주원료로 한 에어컨/차량용 등 다목적 용도의 천연 탈취제 및 방향제
JP5147262B2 (ja) 室内脱臭工法
KR101021107B1 (ko) 친환경 화산석 몰탈 조성물
KR101138285B1 (ko) 친환경 황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2978B1 (ko) 피톤치드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72667A (ko) 항균과 항곰팡이가 가능한 결로방지용 바이오 세라믹코팅재 제조방법
KR100879178B1 (ko) 탈취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1576B1 (ko) 축산 악취 제거용 항균 조성물
KR20220067010A (ko) 실내미세먼지를 저감 및 항 바이러스도 향상시키는 기능성 바름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26260A (ko) 단백석과 규조토를 이용한 미생물 탈취 제습제
KR100602161B1 (ko) 화학물질 과민증 억제기능을 갖는 친환경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20110080454A (ko) 탈취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탈취제 가공방법 및 탈취제
KR100885607B1 (ko) 기능성 숯
KR101039989B1 (ko) 황토석과 침엽목을 이용한 탈취 및 제습구
JP2008088747A (ja) 室内用建材
KR20190073794A (ko) 광물분말을 이용한 무자극 천연 살균 탈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657371A (zh) 室内空气污染高效净化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