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903B1 - 귀사문석을 이용한 타일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귀사문석을 이용한 타일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903B1
KR101332903B1 KR1020110078033A KR20110078033A KR101332903B1 KR 101332903 B1 KR101332903 B1 KR 101332903B1 KR 1020110078033 A KR1020110078033 A KR 1020110078033A KR 20110078033 A KR20110078033 A KR 20110078033A KR 101332903 B1 KR101332903 B1 KR 101332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ile
cement
natural stone
cement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799A (ko
Inventor
조영근
Original Assignee
조영근
이우종
임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근, 이우종, 임건희 filed Critical 조영근
Priority to KR1020110078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903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7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45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smoot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음이온 방출 효과 및 항균·탈취 효과 등을 갖는 귀사문석을 타일 소재로 하여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또한 자연 친화적인 분위기를 그대로 연출할 수 있는 타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귀사문석 원석을 일정 두께와 크기의 판체형으로 절단하여 준비하는 단계; 절단된 귀사문석을 형틀 내에 모자이크 방식으로 배열한 후, 귀사문석 표면이 보이지 않도록 콩자갈, 고강도시멘트 및 물로 이루어지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귀사문석과 시멘트 모르타르의 배합 비율이 6:4 ∼ 7:3이 되도록 형틀 내에 투입하는 단계; 고주파 진동기를 이용하여 형틀을 5 - 10분 동안 진동시키는 단계; 형틀을 진동시킨 후, 상온에서 양생시키는 단계; 양생된 혼합물을 형틀로부터 분리한 후, 자연석이 보이는 표면을 수회 연마하여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귀사문석을 이용한 타일 제조 방법{A METHOD FOR MANUFATURING TILE USING PRECIOUS SERPENTINE}
본 발명은 귀사문석을 이용한 타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천연석인 귀사문석을 이용하여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하고 귀사문석이 갖고 있는 고유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연 친화적인 분위기를 그대로 연출할 수 있는 귀사문석 타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일은 뛰어난 내구성, 내수성, 내마모성의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실내, 외의 천정면, 바닥면 및 벽면의 마감재로서 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양을 가미하여 장식재로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타일은 상기한 특성으로 인하여 위생적인 환경을 요구하는 주방, 화장실, 베란다, 목욕실 등은 물론이고, 고온 다습한 환경을 갖는 사우나, 찜질방 등의 영업장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타일로서는, 자기, 합성수지, 유리, 대리석 등 사용되는 재질이나 또는 사용용도에 따라서 여러 종류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고온에서 원적외선의 방사효과가 있는 세라믹을 소재로 한 자기타일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타일은 가격이 저렴하고 세련된 디자인을 연출할 수는 있으나, 제조시 고온소성이 필요하고 그 자체가 동일한 재료에 의하여 성형되므로 심미감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모르타르와의 부착력이 약하여 고온 다습한 환경 하에서 쉽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좋지 못해 쉽게 파손된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특히, 세라믹 타일은 단조로움을 피하여 자연 친화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여러 색상의 무늬를 전사방식에 의해 부여하고 있으나 그 가공단계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불리한 점이 많다.
한편, 타일의 표면에 항균 효과를 갖는 은(Ag)박막을 입힌 은타일이 개발되어 목욕탕, 주택, 병원, 찜질방, 사우나 등의 시설에 건축용 마감재로서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은타일은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접착력이 저하되어 타일로부터 은박막이 이탈될 뿐만 아니라 은박막이 견고하지 못하여 표면의 외관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지 못함으로써 타일의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밖에도, 전자파나 수맥을 차단하기 위하여 금속 등을 가미한 타일도 제안된 바 있으나, 제조가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어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사 작용, 전자파나 수맥 차단 작용, 항균 및 탈취 작용등을 갖는 자연석을 소재로 하여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또한 자연 친화적인 분위기를 그대로 연출할 수 있는 타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자연석을 5mm - 10mm 범위의 두께와 100mm - 300mm 범위의 직경을 갖도록 판체형으로 절단하여, 그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
(b) 선별된 자연석을 형틀 내에 모자이크 방식으로 배열한 후, 자연석 표면이 보이지 않도록 시멘트 모르타르를, 자연석과 시멘트 모르타르의 배합 비율이 중량비로 6:4 ∼ 7:3이 되도록 형틀 내에 투입하는 단계;
(c) 고주파 진동기를 이용하여 형틀을 5 - 10분 동안 진동시키는 단계;
(d) 형틀을 진동시킨 후, 상온에서 양생시키는 단계;
(e) 양생된 혼합물을 형틀로부터 분리한 후, 자연석이 보이는 표면을 수회 연마하여 표면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형틀 내에 배열된 자연석 사이 사이의 틈을 메꾸도록 시멘트 모르타르를 1차 투입한 후, 그 시멘트 모르타르 위에 메쉬체를 깔아 메쉬체 위에 자연석의 두께의 70% 이상, 100% 미만에 해당하는 두께로 시멘트 모르타르를 2차 투입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모르타르는 시멘트, 자갈, 물 및 방수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시멘트:자갈:물:방수액을 중량비로 1:0.33:0.66:0.01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는 400 - 600Mpa 범위의 강도를 갖는 고강도 시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갈은 5mm - 7mm 범위로 분쇄된 자연석 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시멘트 모르타르 100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중량%의 무기안료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연석은 귀사문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 그대로의 자연 색상 및 자연적인 질감을 표출할 수 있는 귀사문석 원석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타일을 제조할 수 있고, 또한 귀사문석이 갖는 고유의 질감을 그대로 살릴 수 있어 자연친화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면서 고급스러운 장식 효과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내마모성의 면에서도 우수하여 건축물 내외장용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의 천정, 내벽 및 바닥, 특히 위생적인 환경을 요구하는 주방, 사우나, 찜질방, 목욕탕, 화장실, 세면장 및 병원의 바닥이나 벽면 등에 시공하여 사용할 경우, 타일 몸체를 이루고 있는 귀사문석에 의한 원적외선 및 은이온 방출, 전자파 및 수맥파 차단, 유해 세균 살균, 혈액순환 촉진 등의 효능에 의해 건강하고 위생적인 쾌적한 환경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내외장용 타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타일의 제조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타일을 건축물 바닥면에 연속하여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내외장용 타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타일의 제조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 내외장용 타일을 제조함에 있어서, 가공되지 않은 자연석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고, 그 자연석으로서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뛰어나고 천연 그대로의 자연 색상 및 자연적인 질감을 표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 귀사문석을 사용하고 있다.
귀사문석은 국내의 충남 공주, 부여에서만 생산되는 세계적인 희귀 보석으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옥 보석 광물자원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귀사문석은 원적외선이 93% 이상 방사되는 것은 물론, 강렬한 파장과 다량의 음이온이 방출되며, 항곰팡이, 세균억제, 탈취효과 등의 놀라운 효능을 보이고 인체의 기 흐름을 활성화시켜 성인병과 혈액 순환에 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고유의 특성을 갖는 귀사문석을 이용하여 건축물 내외장용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연석인 귀사문석 원석을 채취하여 소정 두께와 크기를 갖는 판체형으로 절단하여 얻어지는 단편(10)을 여러 개 준비한다. 여기서, 귀사문석 단편(10)의 두께와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5 - 10mm 정도의 비교적 얇은 두께와 100mm - 300mm 정도의 직경이면 좋다. 한편, 이와 같이 타일 소재로서 귀사문석 원석을 소정 두께와 크기를 갖는 판체형으로 절단하지 않고 불규칙적인 형상을 갖는 귀사문석 원석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준비한 귀사문석 단편(10)을 깨끗이 세척한 후, 그 크기별로 선별한다. 선별된 여러 개의 귀사문석 단편(10)을,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만이 개방된 사각형 형틀(20) 내에 일정한 배열로, 바람직하게는 모자이크 방식으로 배열한다.
이어서,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틀(20) 내에 시멘트 모르타르(30)를 귀사문석 단편(10) 사이 사이의 틈을 메꾸는 상태로 1차 투입한다.
이와 같이, 귀사문석 단편(10) 위에 시멘트 모르타르(30)를 1차 투입한 직후에,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틀(20) 크기의 메쉬(mesh)체(40)를 시멘트 모르타르(30) 위에 깔고, 그 메쉬체(40) 위에 시멘트 모르타르(50)를 2차 투입한다(도 2(e) 참조).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제조되는 타일의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메쉬체(40)는, 얇은 굵기의 선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망체로서, 그 선의 굵기는 대략 1mm 정도이다. 이 때, 2차 투입되는 시멘트 모르타르는 귀사문석 단편(10)의 표면으로부터 그 단편 두께의 70% 이상, 100% 미만에 해당하는 7mm 이상, 10mm 미만의 두께 정도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되는 두께가 7mm 미만이면, 귀사문석 단편(10)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mm 이상이면 귀사문석이 갖는 열전도 특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시멘트 모르타르(30, 50)는 시멘트, 자갈, 물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적정 비율의 방수액이 더 혼합될 수 있다. 자갈로서는 자연에서 채취할 수 있는 콩자갈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귀사문석 원석을 팥알 크기(예를 들면, 5-7mm)로 분쇄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시멘트로는, 일반 시멘트보다 내구성능이 우수한, 예를 들면 400 - 600Mpa 정도의 강도를 갖는 고강도시멘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틀(20) 내에 투입되는 타일 소재의 전체 중량으로 귀사문 단편(10)은 60중량% ∼ 70중량%, 시멘트 모르타르는 30중량% ∼ 40중량%를 차지한다. 즉, 귀사문석 단편(10)과 시멘트 모르타르(30, 50)는 중량비로 6:4 ∼ 7:3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시멘트:자갈:물:방수액을 중량비로 1:0.33:0.66:0.01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시멘트 모르타르(30, 50)의 전체 중량으로, 시멘트는 50중량%, 자갈은 16.7중량%, 물은 32.8중량%, 방수액은 0.5중량%를 포함한다.
한편, 시멘트 모르타르(30, 50) 자체가 채색되도록, 시멘트 모르타르에 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 안료에는 유기안료 또는 무기안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색상의 내후성을 위하여 무기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안료는 시멘트 모르타르 100중량%에 대하여 극히 소량, 예컨대 1 내지 2중량% 혼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율을 갖는 타일 소재를 형틀(20)에 충진한 후, 고주파 진동기를 이용하여 형틀을 5 - 10분 정도 진동시킨다. 고주파 진동기를 이용하는 이유는 귀사문석 단편이나 자갈 자체 또는 그들 사이의 간극에서 발생되는 기포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기포를 없애면서 상온에서 일정 시간(예를 들면, 3-4일간) 양생시킨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시멘트 모타르(30, 50)가 액체상태에서 고체상태로 완전히 굳어지면 형틀을 180°뒤집어서 도 2(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생된 혼합물을 형틀로부터 분리한 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여 사용 용도에 맞는 타일(T)이 제조된다(도 1 참조).
마지막으로, 이와 같이 제조된 타일(T)의 바닥면, 즉 건축물의 바닥 등에 부착할 면은 수평이 되도록 연마기를 이용하여 연마하고, 다시 뒤집어서 귀사문석이 보이는 타일의 표면은 수회(예를 들면, 7 - 8회 정도) 연마하여 광택을 내는 표면처리를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타일(T)의 형상은 형틀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며, 본 발명에서 형틀은 사각형상의 구조를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여러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조된 타일은 통상의 시공방법으로 건축물의 내, 외부의 마감재, 즉 욕실, 화장실, 사우나실, 찜질방 등의 천정, 벽면, 바닥면 등에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타일보다도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매우 뛰어나다.
도 3은 일례로 타일을 건축물의 바닥에 연속적으로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렇게 시공된 타일은 귀사문석이 갖는 독특한 줄눈이나 무늬 모양이 그대로 노출되어 자연 친화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급스러운 장식 효과를 이룰 수 있다.
특히, 고온 다습한 찜질방 내부의 바닥면에 시공하여 설치할 경우, 귀사문석이 갖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다량으로 방출됨으로써, 인체에 흡수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에 의해 인체의 세포를 활성화하여 신진대사 작용과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곰팡이, 세균 등의 살균 내지는 번식을 억제하고, 탈취기능과 제습 및 공기정화능력을 나타내어 인체의 건강증진에 유용하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귀사문석 단편
20 : 형틀
30, 50 : 시멘트 모르타르
40 : 메쉬체

Claims (9)

  1. (a) 자연석을 5mm - 10mm 범위의 두께와 100mm - 300mm 범위의 직경을 갖도록 판체형으로 절단하여, 그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
    (b) 선별된 자연석을 형틀 내에 모자이크 방식으로 배열한 후, 자연석 표면 이 보이지 않도록 시멘트 모르타르를, 자연석과 시멘트 모르타르의 배합 비율이 중량비로 6:4 ∼ 7:3이 되도록 형틀 내에 투입하는 단계;
    (c) 고주파 진동기를 이용하여 형틀을 5 - 10분 동안 진동시키는 단계;
    (d) 형틀을 진동시킨 후, 상온에서 양생시키는 단계;
    (e) 양생된 혼합물을 형틀로부터 분리한 후, 자연석이 보이는 표면을 수회 연마하여 표면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형틀 내에 배열된 자연석 사이 사이의 틈을 메꾸도록 시멘트 모르타르를 1차 투입한 후, 그 시멘트 모르타르 위에 메쉬체를 깔아 메쉬체 위에 자연석의 두께의 70% 이상, 100% 미만에 해당하는 두께로 시멘트 모르타르를 2차 투입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모르타르는 시멘트, 자갈, 물 및 방수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시멘트:자갈:물:방수액을 중량비로 1:0.33:0.66:0.01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는 400 - 600Mpa 범위의 강도를 갖는 고강도 시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갈은 5mm - 7mm 범위로 분쇄된 자연석 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제조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시멘트 모르타르 100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중량%의 무기안료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제조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석은 귀사문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제조방법.
KR1020110078033A 2011-08-05 2011-08-05 귀사문석을 이용한 타일 제조 방법 KR101332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033A KR101332903B1 (ko) 2011-08-05 2011-08-05 귀사문석을 이용한 타일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033A KR101332903B1 (ko) 2011-08-05 2011-08-05 귀사문석을 이용한 타일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799A KR20130015799A (ko) 2013-02-14
KR101332903B1 true KR101332903B1 (ko) 2013-11-26

Family

ID=4789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033A KR101332903B1 (ko) 2011-08-05 2011-08-05 귀사문석을 이용한 타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9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984Y1 (ko) 1998-06-27 2001-06-01 최기범 건축용 아스타일
KR100500575B1 (ko) * 2003-07-31 2005-07-14 정영하 자연석 투수 평판 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2009057231A (ja) * 2007-08-30 2009-03-19 Natsume Saisei:Kk 天然石寄せ貼り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35121A (ko) * 2007-10-05 2009-04-09 (주)콘솔베르 건축물 내외벽용 경량패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984Y1 (ko) 1998-06-27 2001-06-01 최기범 건축용 아스타일
KR100500575B1 (ko) * 2003-07-31 2005-07-14 정영하 자연석 투수 평판 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2009057231A (ja) * 2007-08-30 2009-03-19 Natsume Saisei:Kk 天然石寄せ貼り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35121A (ko) * 2007-10-05 2009-04-09 (주)콘솔베르 건축물 내외벽용 경량패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799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8493A (ko) 온돌식침대의 황토매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2167287A (ja) 多孔性焼成物
KR101332903B1 (ko) 귀사문석을 이용한 타일 제조 방법
KR20120043186A (ko) 내균열성이 우수한 황토몰탈 조성물
KR101196541B1 (ko)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1197599B1 (ko) 규산염 광물을 이용하여 공사비를 절감하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며 난방비를 절감시키고 시멘트 독성과 새집증후군을 소멸시키며 고층빌딩의 층간 높이를 줄이는 조립식 온돌패널 구조, 온돌용 바닥 패널 및 온돌용 바닥 패널의 제조방법
KR200394331Y1 (ko) 옥석부산물을 이용한 건축용 타일
DE202015002567U1 (de) Multifunktionelle hydrophobe Betonplatten aus recyceltem Glas
KR100736191B1 (ko) 건축물 내장재
KR20100106682A (ko) 건축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0193324Y1 (ko) 미장용 건축재
KR20030069946A (ko)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직타식 방통 모르타르의 시공방법
KR200408914Y1 (ko) 숯을 이용한 건축자재
KR20070096176A (ko) 황토매트 제조방법과 그 매트
KR20110127875A (ko)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구조
KR200306802Y1 (ko) 타일구조
KR200397364Y1 (ko) 토르 말린 이 함유된 타일
KR200226501Y1 (ko) 건축용 타일
KR20060007214A (ko) 황토 타일의 제조방법
KR100854128B1 (ko) 보도용 또는 지압용 자연석을 부착한 황토블럭 및 그의제조방법
KR100763655B1 (ko) 황토석을 이용한 바닥판 시공방법과 그 바닥판 제품
KR200383809Y1 (ko) 황토석을 이용한 바닥판 제품
KR20110048356A (ko)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위생 도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0432A (ko) 황토 바이오 세라믹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6080823A1 (en) Bottom plate using yellow soil sto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