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5453A -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판 - Google Patents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5453A
KR20000065453A KR1019990011757A KR19990011757A KR20000065453A KR 20000065453 A KR20000065453 A KR 20000065453A KR 1019990011757 A KR1019990011757 A KR 1019990011757A KR 19990011757 A KR19990011757 A KR 19990011757A KR 20000065453 A KR20000065453 A KR 20000065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plate
reinforcing plate
board
lo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철묵
Original Assignee
지철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철묵 filed Critical 지철묵
Priority to KR1019990011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5453A/ko
Publication of KR20000065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45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eramics or c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강판 상에 황토를 주성분으로 한 황토층을 형성함으로써 단열, 난연 흡음 및 습기 조절에 적당한 황토를 이용한 내장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강판 상에 합성수지로 사출제작한 네트를 부착한 후, 상기 네트 상에 섬유재 1~5w%와, 모래 1 ~ 5w%와, 황토 90 ~98 w%에 적량의 물을 넣어 반죽 성형한 것을 포함하는 내장판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네트는 금속망으로 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판은 합판 또는 섬유판 또는 금속판으로 된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보강판과 네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강판의 배면에는 접착층 또는 양면 테이프를 보호한 대지가 부착설치된 것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보강판 상에 다수의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요철부상에, 섬유재 1~5w%와, 모래 1~5w%와, 황토 90~98 w%에 적량의 물을 넣어 반죽 성형한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 역시 상기 보강판은 합판 또는 섬유판 또는 금속판으로 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의 배면에는 접착층 또는 양면 테이프를 보호한 대지가 부착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판{Interior decoration board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강판 상에 황토를 주성분으로 한 황토층을 형성함으로써 단열, 난연 흡음 및 습기 조절에 적당한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장공사에서 사용되는 내장판은 크게 분류하여 벽판과 천장판 및 바닥판으로 분류되며, 본 발명의 내장판은 주로 벽판이나 천장판으로 사용되기에 적당한 것이다.
먼저 종래의 벽판이나 천장판 등의 내장판은 합판이나 섬유판 또는 석면판 등이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단순 미장의 기능을 가진다.
물론 벽체의 시공시에 이미 단열층이 시공된 내면을 마감하는 자재이므로 미감에 중요한 장점을 지니면 될 것이나, 이들은 일률적인 단편 기술로써 실제 판재 자체의 재료 특성과 표면으로부터의 질감 등과 같은 미감의 기능 밖에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현재 건축분야의 토벽은 물론, 일반 일생활 분야에서 황토는 그 재질 자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습도 조절의 기능과 단열성은 물론 화재시의 난연성에 뛰어나며, 흡음성이 있는 중요한 장점이 있어 주목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강도 및 취급에 단점으로 정형화 된 판재로 사용되지 못하는 실정에 있다.
물론 방바닥에 칠을 하는 등으로 부분적으로 사용은 되나 재료 자체로써 이용되고, 이를 정형화한 제품으로 실현되고 있지는 못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이를 구체적으로 제품화 한 점토를 이용한 단열판재를 1996년 10월 23일자로 실용신안등록출원하여 등록 제143915호로 등록받고, 이와 함께 사용되어 상승 효과를 볼 수 있는 내장판을 정형화한 제품으로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강판상에 합성수지로 사출 제작한 네트를 부착한 후, 상기 네트상에 섬유재 1~5w%와, 모래 1~5w%와, 황토 90~98w%에 적량의 물을 넣어 반죽 성형한 것을 포함하는 내장판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네트는 금속망으로 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판은 합판 또는 섬유판 또는 금속판으로 된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보강판과 네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강판의 배면에는 접착층 또는 양면 테이프를 보호한 대지가 부착설치된 것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보강판상에 다수의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요철부 상에, 섬유재 1~5w%와, 모래 1~5w%와, 황토 90~98w%에 적량의 물을 넣어 반죽 성형한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 역시 상기 보강판은 합판 또는 섬유판 또는 금속판으로 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의 배면에는 접착층 또는 양면 테이프를 보호한 대지가 부착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부착 수단을 설치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부착 수단을 설치한 단면도.
〈도면의 주용 부분에 대함 부호의 설명〉
10: 보강판 11: 요철부
20: 네트 30: 황토층
12: 접착층 13: 양면 테이프
14: 대지
이하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보강판(10)상에 합성수지로 사출 제작한 네트(20)를 부착한 후, 상기 네트 상에 섬유재 1~5w%와, 모래 1~5w%와, 황토 90~98w%에 적량의 물을 넣어 반죽한 황토층(30)을 부착 성형한 것을 포함하는 내장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네트(20)는 금속망으로 된 것을 포함하고,
보강판(10)과 네트(2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판(10)은 합판 또는 섬유판 또는 금속판으로 된 것을 포함한다.
또 상기 보강판(10)의 배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접착층(12) 또는 양면 테이프(13)를 보호한 대지(14)가 부착 설치된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보강판(10)상에 다수의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의 요철부(11)상에는, 섬유재 1~5w%와, 모래 1~5w%와, 황토 90~98 w%에 적량의 물을 넣어 반죽한 황토층(30)을 부착 성형한 것을 포함하는 내장판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역시 상기 보강판(10)은 합판 또는 섬유판 또는 금속판으로 된 것을 포함하며,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판(10)의 배면에는 접착층(12) 또는 양면 테이프(13)를 보호한 대지(14)가 부착 설치된 것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보강판(10)의 표면에 처리될 수 있는 다양한 주지의 무늬모양을 이용한 미감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황토층 (30)에 의한 단열, 난연 흡음 및 습기 조절의 효과는 물론 원적외선 방사체로써의 효과도 가질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네트(20)는 그물 형태의 망으로써, 이는 보강판(10)과 그 상부에 성형될 황토층(30)의 결합 부착력을 제공하는 연결 고정수단으로 작용된다.
따라서 그물은 조밀한 직조형태로써 그물코의 형상은 어떤 주지의 것도 다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원형 내지는 하니컴형상의 것이 구조적으로 안정될 것이다.
이때 상기 네트(20)와 보강판(10)의 부착수단은 접착제가 될 수도 있고, 공정의 편이상 스템플러에 의한 결합 고정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한 황토층(30)과 보강판(10)의 부착 지지력의 제공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보강판(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요철부(11)에 의해서 달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써, 이 요철부(11)는 스크래치나 리브형 요철 또는 바둑판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또는 정형 및 부정형의 표면 요철을 이루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때에는 보강판(10)의 형성과 동시에 일체로 구현되는 구조로써 다야한 구현이 가능해질 것이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의 황토층(30)은 황토를 주 원료하여 섬유재 및 모래와 적량의 물로써 반죽되어 성형되는 것으로써 여기서 섬유재는 황토의 자체 부착력을 자생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써 네트(20) 및 요철부(11)가 인체의 뼈대로 비유된다면, 근육에 해당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써, 그 조성 비율이 5w% 이상에서는 황토층(30)의 표면 외관을 저해하며, 1w% 이하에서는 상기한 기능의 효과를 볼 수가 없다.
또한 모래는 황토층(30)의 보강 내지는 건조 응축에 따른 갈라짐을 방지하며 네트(20)와 함께 휨 방지를 하는 작용을 한다.
이 모래의 조성 비율 역시 5w% 이상에서는 황토층(30)의 표면 외관을 저해하며, 1w% 이하에서는 상기한 기능의 효과를 볼 수가 없다.
한편, 본 발명의 판재는 일반 판재의 시공과 같이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부착 시공하거나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대지(14)를 박리한 후 접착층(12) 또는 양면 테이프(13)를 이용하여 간단히 부착 시공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내장판은 보강판면이 내장판의 표면으로 시공될 수도 있고, 황토층(30)의 표면이 내장판의 표면으로 마감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 황토층(30)에 벽지를 직접 부착하는 시공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단순 미장의 효과만을 갖는 내장판에 단열의 기능과 습도 조절의 기능 및 난연 효과 등을 갖게 하고, 내장판의 양면을 필요에 따라 선택 사용 할 수 있으며, 부착 시공이 간단하여 숙련공이 아닌 일반 사람도 간단히 부착공법에 의해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보강판(10) 상에 합성수지로 사출 제작한 네트(20)를 부착한 후, 상기 네트 상에 섬유재 1~5w%와, 모래 1~5w%와, 황토 90~98w%에 적량의 물을 넣어 반죽한 황토층(30) 부착 성형한 것을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20)는 금속망으로 된 것을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판.
  3. 제 1항에 있어서, 보강판(10)과 네트(2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판.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10)은 합판 또는 섬유판 또는 금속판으로 된 것을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10)의 배면에는 접착층(12) 또는 양면 테이프(13)를 보호한 대지(14)가 부착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판.
  6. 보강판(10)상에 다수의 요철부(11)를 형성 하되, 상기 보강판(10)의 요철부 (11) 상에는, 섬유재 1~5w%와, 모래 1~5w%와, 황토 90~98w%에 적량의 물을 넣어 반죽한 황토층(30)을 부착 성형한 것을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10)은 합판 또는 섬유판 또는 금속판으로 된 것을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10)의 배면에는 접착층(12) 또는 양면 테이프 (13)를 보호한 대지(14)가 부착 설치 된 것을 포함하는 건축용 내장판.
KR1019990011757A 1999-04-03 1999-04-03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판 KR20000065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757A KR20000065453A (ko) 1999-04-03 1999-04-03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757A KR20000065453A (ko) 1999-04-03 1999-04-03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453A true KR20000065453A (ko) 2000-11-15

Family

ID=1957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757A KR20000065453A (ko) 1999-04-03 1999-04-03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54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196B1 (ko) * 2005-06-17 2007-01-24 김동기 황토 타일 및 황토 타일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2226A (ko) * 1997-06-10 1997-09-12 한대승 건축용 황토 합지판넬
KR19980036656A (ko) * 1996-11-16 1998-08-05 김추열 황토로 만든 보드판재
KR19980065794A (ko) * 1997-01-15 1998-10-15 최영모 건축용 내장벽체
KR19980083413A (ko) * 1997-05-15 1998-12-05 이천헌 황토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78960A (ko) * 1999-08-20 1999-11-05 김재술 벽면용 마감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656A (ko) * 1996-11-16 1998-08-05 김추열 황토로 만든 보드판재
KR19980065794A (ko) * 1997-01-15 1998-10-15 최영모 건축용 내장벽체
KR19980083413A (ko) * 1997-05-15 1998-12-05 이천헌 황토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970062226A (ko) * 1997-06-10 1997-09-12 한대승 건축용 황토 합지판넬
KR19990078960A (ko) * 1999-08-20 1999-11-05 김재술 벽면용 마감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196B1 (ko) * 2005-06-17 2007-01-24 김동기 황토 타일 및 황토 타일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8149B1 (en) Composite laminated building material,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A2576770A1 (en) Methods of providing water protection to wall structures and wall structures formed by the same
EP0326925A3 (en) Anchor board system
KR20000065453A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판
US3868296A (en) Plastic wall construction as a wall unit
KR200426223Y1 (ko) 건물용 실내 내장재
JP7259029B2 (ja) 吸音面を隠すためのパネル、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ならびに製造方法
KR100806726B1 (ko) 타일의 통기성 시공방법
CN211286263U (zh) 一种保温隔热型外墙板
CN201016211Y (zh) 复合仿玉石扣地板
KR101417582B1 (ko) 천정 마감재
JPS6010040A (ja) 装飾面付き防水パネル
CN217027845U (zh) 一种具有耐候、耐水性能的超薄干式墙地砖
CN221001786U (zh) 一种多层隔音木板
CN216865669U (zh) 一种防石膏板开裂的直线吊顶拐角结构
CN213979704U (zh) 一种阻燃艺术板
CN211499437U (zh) 一种稳固型双面装饰建筑墙
KR101132691B1 (ko) 무기질 도료로 도포된 불연성 천장판
KR20060095919A (ko) 마그네슘 보드를 이용한 장식벽체 시공방법 및 상기 방법에사용되는 마그네슘 보드
CN201062409Y (zh) 装饰材料的组合式连接结构
KR20090109696A (ko) 엠보싱 부직포를 이용한 기능성 벽지 및 그의 시공 방법
CN106351390A (zh) 一种木塑蜂窝复合墙板及其制备方法和安装方法
JPH0421376Y2 (ko)
CN206888316U (zh) 一种可更换的房屋吊顶板
JPS633281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