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470U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470U
KR19980065470U KR2019980016271U KR19980016271U KR19980065470U KR 19980065470 U KR19980065470 U KR 19980065470U KR 2019980016271 U KR2019980016271 U KR 2019980016271U KR 19980016271 U KR19980016271 U KR 19980016271U KR 19980065470 U KR19980065470 U KR 199800654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head
pocket
load
sl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우
Original Assignee
이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환우 filed Critical 이환우
Priority to KR2019980016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5470U/ko
Publication of KR199800654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470U/ko

Link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개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베개의 내부에 격리부재를 형성하여 베갯속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베갯속의 밀도와 하중지지분포를 고르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베개의 상측부에 함몰억제수단을 구비시켜 수면시 머리의 하중을 지탱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머리가 접하는 베개부위가 함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베개의 높이와 머리에 가해지는 베개의 접촉면적을 수면건강에 적합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숙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베개
본 고안은 베게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베개의 내부에 격리부재를 형성하여 베갯속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베갯속의 밀도와 하중지지분포를 고르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베갯속의 상측부에 함몰억제수단을 구비시켜 수면시 머리의 하중을 지탱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머리가 접하는 베개부위가 함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베개의 높이와 머리에 가해지는 베개의 접촉면적을 수면건강에 적합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숙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
수면시 머리를 일정한 높이로 받쳐줌으로써 숙면을 유도하는 기능을 하는 베개의 기존구성은 대개 베개가 일정한 형상을 구성토록 하고 머리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재의 베갯속을 통상적으로 직포나 망사등의 포대형의 포켓내에 수용시킨 구성으로써 이와같은 전통적인 구성의 베개는 사용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노출되는 것이다.
⊙ 베개를 이루는 포켓이 베갯속의 쏠림을 억제하는 구성이 없는 단순한 포대형의 수용구조이므로 베개의 내부에서 베갯속의 유동이 심하여 베개의 부분별로 베개속의 밀도에 차이를 초래하므로 머리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력의 분포가 고르지 못하여 수면중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베개와의 접촉부위에 변동이 발생할 시 머리가 기울어진 상태로 받쳐져 숙면을 저해하거나 수면후 통증을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 또한 머리의 하중이 포켓을 통해 직접적으로 베갯속에 가해지므로 수면시 머리의 하중에 의해 베갯속이 양쪽으로 밀려나면서 중간부위가 함몰되는 현상이 초래되어 머리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므로 머리에의 압력증가와 땀발산이 순조롭지 못하여 수면건강에 악영향을 주게 됨은 물론 머리와 방바닥과의 높이가 지나치게 낮아져 어깨에 지나친 하중을 가하게 되므로 어깨결림등에 의해 숙면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베갯속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베갯속의 밀도와 하중지지분포를 고르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면시 머리의 하중을 지탱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머리가 접하는 베개부위가 함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베개의 높이와 머리에 가해지는 베개의 접촉면적을 수면건강에 적합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코져 하는 것이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베개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의 격리부재를 입설 형성하고 베갯속의 상측부에는 밀폐형 팩의 내부에 소정의 입자형 하중지지소재를 밀폐상태로 수용하는 함몰억제수단을 구비시킨 것이다.
도 1은 베갯속을 제외시킨 상태에서 본 고안의 베개구성을 보이는 요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함몰억제수단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고안 베개의 구성을 보이는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포켓 2:베갯속
3:격리부재 4:함몰억제수단
4A:수용부 4B:수용라인
4C:입자형 하중지지소재 4D:절결부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종단면 예시도로서 직포 또는 망사등으로 구성되는 포켓(1)의 내부에 베갯속(2)을 충입시켜 구성되는 공지의 베개구조에 있어서;
상,하단이 포켓(1)에 일체로 봉착되는 상태로 포켓(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며 칸막이 기능으로 베갯속(2)의 유동범위를 축소하여 베갯속(2)의 쏠림을 억제시켜 주기 위한 다수의 격리부재(3)와;
길이방향으로 절결 구성되는 절결부(4D)를 통하여 격리부재(3)에 결합되는 상태로 포켓(1)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소정의 입자형 하중지지소재(4C)를 밀폐상태로 수용하는 다수의 수용라인(4B)을 갖는 수용팩(4A)으로 구성되는 함몰억제수단(4)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을 적용시킨 베개의 단면을 보인 것으로 격리부재(3)는 특정 소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부드럽고 질긴 직포나 망사소재가 무방하며, 수용팩(4A)은 합성수지 필름등의 소재를 고주파나 열압착에 의하여 방수가 가능한 밀봉상태의 수용라인(4B)을 구성하게 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입자형 하중지지소재(4C) 또한 특정물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건강의 보조기능을 하도록 기능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맥반석 입자, 또는 황토가루, 옥돌입자등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격리부재(3)를 수용팩(4A)의 절결부(4D)에 끼운 상태에서 상,하단을 포켓(1)의 상하면에 봉착시켜 상호 결합시킨 뒤 수용팩(4A)의 저부측으로만 베갯속(2)을 충입시켜 수용팩(4A)이 포켓(1)의 상측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수용된 베갯속(2)은 격리부재(3)에 막혀 이동에 지장을 받게 되는 것이므로 유동할 수 있는 포켓(1)의 전체공간이 아닌 격리부재(3)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한정되므로 베게속이 유동될 수 있는 범위가 크게 축소되어 베갯속의 수용밀도와 하중지지분포의 균일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면시 수용팩(4A)에 수용된 입자형 하중지지소재(4C)에 의해 머리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게 되므로 베개의 머리접촉부위가 집중적으로 함몰되는 것을 억제시켜 베개의 높이와 머리에 가해지는 베개의 접촉면적을 수면건강에 적합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포켓내에 베갯속의 쏠림을 억제하는 격리부재를 구성시킴으로써 베개의 내부에서 베갯속의 유동범위를 작은 범위로 제한시켜 베개속의 밀도와 머리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력의 분포를 균일화시켜 줌으로써 베개의 높이가 수면건강에 지장을 주는 범위로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건강한 수면을 취할 수 있음은 물론 함몰억제수단에 의해 베개가 함몰되는 현상을 억제시켜 머리에의 압력감소와 땀발산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수면건강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직포 또는 망사등으로 구성되는 포켓(1)의 내부에 베갯속(2)을 충입시켜 구성되는 공지의 베개구조에 있어서;
    상,하단이 포켓(1)에 일체로 봉착되는 상태로 포켓(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며 칸막이 기능으로 베갯속(2)의 유동범위를 축소하여 베갯속(2)의 쏠림을 억제시켜 주기 위한 다수의 격리부재(3)와;
    길이방향으로 절결 구성되는 절결부(4D)를 통하여 격리부재(3)에 결합되는 상태로 포켓(1)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소정의 입자형 하중지지소재(4C)를 밀폐상태로 수용하는 다수의 수용라인(4B)을 갖는 수용팩(4A)으로 구성되는 함몰억제수단(4)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KR2019980016271U 1998-08-28 1998-08-28 베개 KR199800654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271U KR19980065470U (ko) 1998-08-28 1998-08-28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271U KR19980065470U (ko) 1998-08-28 1998-08-28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470U true KR19980065470U (ko) 1998-11-25

Family

ID=6950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271U KR19980065470U (ko) 1998-08-28 1998-08-28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5470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501B1 (ko) * 2001-03-31 2005-03-08 김상환 찜질 베개 및 그 제조 방법
KR101583143B1 (ko) * 2014-06-30 2016-01-06 김종율 이중 구조의 일체형 베개 속을 구비한 기능성 베개
KR102072823B1 (ko) * 2018-10-15 2020-02-03 신라래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
WO2020096395A1 (ko) * 2018-11-09 2020-05-14 송은경 역류 방지 쿠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501B1 (ko) * 2001-03-31 2005-03-08 김상환 찜질 베개 및 그 제조 방법
KR101583143B1 (ko) * 2014-06-30 2016-01-06 김종율 이중 구조의 일체형 베개 속을 구비한 기능성 베개
KR102072823B1 (ko) * 2018-10-15 2020-02-03 신라래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
WO2020096395A1 (ko) * 2018-11-09 2020-05-14 송은경 역류 방지 쿠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58537T3 (es) Soporte amortiguador
KR100718338B1 (ko)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높낮이 베개
US6918393B2 (en)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and stabilizing an injured person
US20080184492A1 (en) Mattress With Integrated Foam Component
US7210178B2 (en) Contour pillow with interior baffle walls
US6954953B2 (en) Novelty cushion
KR19980065470U (ko) 베개
EP0025031B1 (en) Seat cushion or bed cushion
US7017214B2 (en) Water pillow with restricted flow
US6473924B1 (en) Support pad
JP4538652B2 (ja) クッション用セル構造体及びクッション
JP2007014596A (ja)
KR200389046Y1 (ko) 초미립 공기비드를 이용한 베개
JP2004236857A (ja) クッション材
KR102417727B1 (ko) 다기능 패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빈백
JP2544955Y2 (ja) 寝具用枕
KR200182797Y1 (ko) 압박완화용 배낭
JP3760269B2 (ja)
KR102668348B1 (ko) 능동적 체압 분산형 기능성 쿠션재
KR100665859B1 (ko) 팔베개
JP3935900B2 (ja)
JP2002238716A (ja) エアー式枕
JP3544910B2 (ja)
JP2002065431A (ja)
JP2531701Y2 (ja) ウォーター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