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037U - 개폐체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체의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65037U KR19980065037U KR2019970027435U KR19970027435U KR19980065037U KR 19980065037 U KR19980065037 U KR 19980065037U KR 2019970027435 U KR2019970027435 U KR 2019970027435U KR 19970027435 U KR19970027435 U KR 19970027435U KR 19980065037 U KR19980065037 U KR 1998006503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ng shaft
- opening
- axial direction
- inner race
- torqu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이라도 큰 프리쿠션 토크를 낼 수 있고, 그 프리쿠션 토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폐체의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외주를 축방향에 걸쳐 둘러싸는 탄성이 부여된 원통부를 일체로 형성한 홀더플레이트와, 그 홀더플레이트의 원통부와 상기 회전축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축에 축방향에 걸쳐 접촉하여 그 자신 반경방향으로 수축가능한 구성의 통상 형태의 인너레이스(inner race)와, 상기 원통부의 내경을 제어하는 토크조절수단과로 구성된다. 또한,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외주를 축방향에 걸쳐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편으로 구성되는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의 지지편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축에 축방향에 걸쳐 접촉하여 인너레이스에 대한 파지력을 제어하는 토크조절수단과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예를 들어 랩탑형 PC, 워프로 등의 각종 장치의 디스플레이 또는 각종 커버와 같은 개폐체의 개폐용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취부부재의 축받침 플레이트에 설치한 축받침공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을 설치하고, 그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프리쿠션와셔를 취부부재의 축받침부 또는 그 축받침부에 취부한 평와셔로 가압하여 회전축에 프리쿠션 토크를 발생시키며, 그 회전축에 지지부재를 개재하여 취부된 개폐체를 취부하고, 그 개폐체를 임의의 개방각도에서 정지시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개폐체의 개폐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공지된 개폐장치는 소형으로 큰 프리쿠션 토크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축에 대한 코킹(caulking) 토크를 크게 하던가, 또는 프리쿠션 와셔의 외경을 크게 하거나, 또는 프리쿠셔와셔의 수를 증가시키는 등의 수단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지만, 어느 경우에도 코킹토크에 한도가 있거나, 또는 개폐장치가 대형화하여 버리는 결점이 있었다. 또, 회전축을 코킹시킴으로써 프리쿠션 토크를 조절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생의 목적은, 소형이라도 큰 프리쿠션 토크를 낼 수 있고, 그 프리쿠션 토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폐체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관한 개폐체의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관한 개폐체의 개폐장치의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관한 개폐체의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관한 개폐체의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 는 도 2의 선 A-A 단면도,
도 6 은 인너레이스의 정면도,
도 7 은 인너레이스의 측면도,
도 8 은 인너레이스의 전개도,
도 9 는 회전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 은 본 고안에 관한 개폐체의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 은 도 11에 도시한 개폐체의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2 는 도 10의 선 B-B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축1c : 회전 미끄럼부
2 : 개폐체3 : 홀더 플레이트(holder plate)
3a : 원통부3c : 연장부
3f : 암나사부4 : 취부부재
5 : 인너레이스5a : 유류부
8 : 장치본체9 : 조절나사
10 : 판스프링11 : 판스프링
12 : 토크조절수단15 : 회전축
15a : 회전미끄럼부20 : 회전축
20c : 회전미끄럼부21 : 지지부재
22 : 지지편22a : 컬링부
23 : 지지편23a : 컬링부
24 : 인너레이스24b : 유류부
27 : 취부부재29 : 조절나사
30 : 탄성부재31 : 토크제어수단
32 : 장치 본체33 : 개폐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외주를 축방향에 걸쳐 둘러싸는 탄성이 부여된 원통부를 일체로 형성한 홀더플레이트와, 그 홀더플레이트의 원통부와 상기 회전축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축에 축방향에 걸쳐 접촉하여 그 자신 반경방향으로 수축가능한 구성의 통상 형태의 인너레이스(inner race)와, 상기 원통부의 내경을 제어하는 토크조절수단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한,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외주를 축방향에 걸쳐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편으로 구성되는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의 지지편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축에 축방향에 걸쳐 접촉하여 그 자신 인너레이스에 대한 파지력을 제어하는 토크조절수단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홀더플레이트는 장치 본체에 고착되는 취부부재에 고정시키고, 상기 회전축에는 개폐체가 취부시킬 수 있다.
더욱, 상기 인너레이스는 내주에 다수의 유류부가 형성되고, 그 유류부는 다수의 소공 또는 요홈부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토크조절수단은, 상기 원통부의 일단에서 돌출한 연장부와, 그 연장부를 관통하여 기판부에 나사체결되는 조절나사와, 그 조절나사의 머리부와 연장부사이, 및 그 연장부와 기판부사이에 각각 조절나사를 관통시켜서 배치되는 탄성부재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크조절수단은, 상기 지지편의 일방을 관통하여 타방의 지지편에 나사체결되는 조절나사와, 그 조절나사에 취부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회전축(1)은 취부부(1a)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원주홈(1b,1b)에 의해 분리된 회전미끄럼부(1c)를 지니며, 취부부(1a)에는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체(2)가 취부된다. 홀더플레이트(3)는 회전축(1)의 외주를 그 축방향에 걸쳐 감싸는 원통부(3a)를 지니며, 그 원통부(3a)의 일단부로부터는 기판부(3b)가, 타단부로부터는 연장부(3c)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그 홀더플레이트(3)는 특히 원통부(3a)에 탄성이 부여된다. 취부부재(4)는 홀더플레이트(3)를 취부하는 것으로, 그 홀더플레이트(3)가 절결부(4a)를 지녀 취부공(3g)을 개재하여 취부나사(6,6...)에 의해 취부부재(4)의 암나사부(4b)에 나사체결되고, 그 취부부재(4)는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예를 들면 소형 PC나 워프로 등의 OA기기의 키보드를 설치한 장치 본체(8)측으로 취부공(4c)을 개재하여 도시가 생략된 취부나사로 취부되는 것이다. 또, 이 부분은 홀더플레이트(3)와 취부부재(4)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인너레이스(5)는 탄성을 부여하여 축방향으로 설치된 분할절개부(5c)에 의해 분할됨으로써 반경방향으로 수축가능하게 구성되며, 표면에 다수의 소공으로 구성되는 유류부(5a)가 설치되고, 회전축(1)의 회전미끄럼부(1c)와 축방향에 걸쳐 접촉하고 있다. 각 유류부(5a)와 회전축(1)의 외주와의 사이에는 예를 들어 실리콘오일과 같은 윤활유(13)가 충전된다. 이 윤활유(13)는 또, 인너레이스(5)의 내주와 회전축(1)의 외주 사이에 도포된다. 또한, E링(7,7)은 회전축(1)의 이탈방지 및 위치결정을 위해 그 회전축(1)이 원통부(3a)로부터 돌출한 부분에 형성되는 원주홈(1b,1b)에 결합된다. 그리고, 인너레이스(5)의 양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멈춤돌기(5b,5b)가 형성되어 원통부(3a)에 형성된 멈춤홈(3d,3d)에 결합되어 그 회전이 억제된다.
조절나사(9)는 연장부(3c)에 형성된 멈춤공(3e)을 관통하여 기판부(3b)에 나사체결되고, 그 조절나사(9)의 머리부(9a)와 연장부(3c) 사이, 및 연장부(3c)와 기판부(3b)사이에는 각각에 형성된 관통공(10a,11a)을 통해 조절나사(9)가 관통된 채, 판스프링(10,11)이 설치된다. 또, 그 판스프링(10,11)은 스프링와셔 등의 탄성부재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하여 그 조절나사(9)와 판스프링(10,11)으로 토크조절수단(12)을 구성한다.
따라서, 취부부재(4)를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8)측으로 취부하고, 회전축(1)의 취부부(1a)에 개폐체(2)를 취부하여 개폐시키면, 회전축(1)이 인너레이스(5)내에 회전하고, 그 인너레이스(5)와의 사이에서 프리쿠션 토크가 발생하므로, 개폐체(2)의 임의의 개방각도에서 정지,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조절나사(9)를 취부하면, 홀더플레이트(3)의 원통부(3a)의 내경이 수축함으로써 동시에 인너레이스(5)의 내경도 수축하게 되고, 회전축(1)이 강하게 가압되게 되어, 그 회전축(1)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강한 회전초크를 필요로 하게 된다. 조절나사(9)를 이완시키면, 그 역으로 되어 회전축(1)의 회전이 용이하게 된다. 취부부재(4)에 형성된 절결부(4a)는 그 조절나사(9)의 선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관통공일 수도 있다.
도 9는 회전축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회전축(15)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너레이스 내에 수용되는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도 소경으로 하여 회전미끄럼부(15a)를 구성하고, 그 회전미끄럼부(15a)의 양단부에 단부(15b)와 머리부(15c)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회전축(15)의 일부를 인너레이스(5)내에 수용시킨 때의 위치결정과 이탈방지가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같이 E링을 이용하지 아니하고도 가능하게 되며,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회전축(20)은 취부부(20a)의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원주홈(20b,20b)에 의해 분리된 회전미끄럼부(20c)를 지니며, 지지부재(21)는 한쌍의 크고 작은 지지편(22,23)으로 구성되고, 각 지지편(22,23)에는 컬링(curling)부(22a,23a)가 형성됨과 동시에 지지편(22)에는 나사공(22b)과 다수의 취부공(22c)이 형성되고, 지지편(23)에는 컬링부(22a)의 축방향 멈춤홈(23b)이 형성됨과 함께 나사관통공(23c)이 형성된다. 인너레이스(24)는 분할절개부(24a)에 의해 분할되도록 구성되고, 회전축(20)의 회전미끄럼부(20c)의 외주에 그 축방향에 걸쳐 둘러싸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그 외주가 지지부재(21)의 각 지지편(22,23)의 컬링부(22a,23a)에 의해 지지된다. 그 인너레이스(24)는 탄성을 지녀 반경방향으로 수축이 가능하며, 그 표면에 다수의 소공으로 구성된 유류부(24b)가 마련됨과 동시에 그 양단부에는 돌기부(24c)가 형성됨으로써 컬링부(23a)에 형성되는 멈춤홈(23b)과 결합하여 그 회전이 억제된다. E링(25,26)은 회전축(20)이 인너레이스(24)내로 삽입된 때의 위치결정과 이탈방지를 위해 회전축(20)이 원주홈(20b,20b)에 반경방향으로 결합된다. 인너레이스(24)와 회전축(20)사이에는 특히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가 생략된 예를 들면 실리콘 오일과 같은 윤활유(34)가 충전되고, 그 일부는 유류부(24b)내에 저류된다.
취부부재(27)는 예를 들어 OA기기의 키보드 측의 장치 본체(32)측에 취부되는 것으로, 그 취부부재(27)에 형성된 암나사부(27a)에는 지지부재(21)의 일방의 지지편(22)이 취부나사(28)을 개재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 이 부분은 취부부재(27)를 지지편(22)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조절나사(29)는 예를 들어 판스프링이나 스프링와셔 등의 탄성부재(30)를 개재하고 지지편(23)에 형성된 나사 관통공(23c)을 관통하여 다른 하나의 지지편(22)에 형성된 나사공(22b)에 나사체결된다. 이와 같이하여 조절나사(29)와 탄성부재(30)로 토크제어수단(31)을 구성한다.
또,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유류부를 어느 것도 소공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이것을 요홈 형태로 할 수도 있으며, 인너레이스의 재질을 함유금속 또는 함유수지로 하는 경우 윤활유를 생략하거나 병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취부부재(27)를 예를들어 OA기기의 장치본체(32)측에 취부하고, 회전축(20)의 취부부(20a)에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체와 같은 개폐체(33)를 취부하여 개폐체(33)를 개폐시키면, 동시에 회전축(20)이 인너레이스(24)내에서 회전한다. 이때, 그 인너레이스(24)와 회전축(20)의 회전미끄럼부(20c)사이에 프리쿠션 토크가 발생하게 되어 개폐체를 임의의 개방각도에서 정지시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조절나사(29)를 더 조이거나 이완시킴으로써 지지편(22,23)이 그 컬링부(22a,23a)에서 인너레이스(24)를 가압하는 강도를 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너레이스(24)의 반경방향 직경이 변화하게 되고, 그 인너레이스(24)에 회전미끄럼부(20c)와 면접촉하는 회전축(20)의 프리쿠션 토크가 변화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구성과 작용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지닌다.
청구항 1 내지 3에 의하면, 회전축을 소경으로 하여도, 그 회전미끄럼부와 인너레이스와의 사이의 프리쿠션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소형으로도 큰 프리쿠션 토크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그 프리쿠션 토크를 조립시나 조립후에 임의로 가감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 후에도 프리쿠션 토크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개폐체를 안정적으로 중간 개방각도에서 정지,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와 5에 의하면, 유류부에 윤활유를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축의 회전시 소음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프리쿠션 토크의 변화를 가급적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과 7에 의하며, 조절나사를 조이거나 이완시킴으로써 회전축의 프리쿠션 토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탄성부재에 의해 프리쿠션 토크의 백래쉬(backlash)나 덜거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외주를 축방향에 걸쳐 둘러싸는 탄성이 부여된 원통부를 일체로 형성한 홀더플레이트와, 그 홀더플레이트의 원통부와 상기 회전축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축에 축방향에 걸쳐 접촉하여 그 자신 반경방향으로 수축가능한 구성의 통상 형태의 인너레이스(inner race)와, 상기 원통부의 내경을 제어하는 토크조절수단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외주를 축방향에 걸쳐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편으로 구성되는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의 지지편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축에 축방향에 걸쳐 접촉하여 인너레이스에 대한 파지력을 제어하는 토크조절수단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플레이트는 장치 본체에 고착되는 취부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개폐체가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레이스는 내주에 다수의 유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잇어서, 상기 다수의 유류부가 다수의 소공 또는 요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조절수단은, 상기 원통부의 일단에서 돌출한 연장부와, 그 연장부를 관통하여 기판부에 나사체결되는 조절나사와, 그 조절나사의 머리부와 연장부사이, 및 그 연장부와 기판부사이에 각각 조절나사를 관통시켜서 배치되는 탄성부재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조절수단은, 상기 지지편의 일방을 관통하여 타방의 지지편에 나사체결되는 조절나사와, 그 조절나사에 취부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103701 | 1997-04-21 | ||
JP9103701A JPH10294572A (ja) | 1997-04-21 | 1997-04-21 | 開閉体の開閉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5037U true KR19980065037U (ko) | 1998-11-25 |
KR200216736Y1 KR200216736Y1 (ko) | 2001-04-02 |
Family
ID=1436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27435U KR200216736Y1 (ko) | 1997-04-21 | 1997-10-01 | 개폐체의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H10294572A (ko) |
KR (1) | KR200216736Y1 (ko) |
TW (1) | TW342952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584646B2 (en) * | 2000-02-29 | 2003-07-01 |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 Tilt hinge for office automation equipment |
KR100443867B1 (ko) * | 2002-01-21 | 2004-08-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밴드 타입 마찰부를 이용하는 힌지 장치 |
KR100465304B1 (ko) * | 2002-02-02 | 2005-0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평면 영상 표시 기기의 힌지 구조 |
KR20020035046A (ko) * | 2002-03-14 | 2002-05-09 | 이육권 | 전기전자기기의 힌지장치 |
JP4534569B2 (ja) * | 2004-04-22 | 2010-09-01 |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 ヒンジ機構及び構成体 |
CN102444660B (zh) * | 2010-09-30 | 2014-07-02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一种转轴结构 |
CN103161821B (zh) * | 2011-12-12 | 2018-04-03 | 现代摩比斯株式会社 | 显示器可调铰链总成 |
CN112277813B (zh) * | 2020-10-15 | 2022-04-15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网兜挂钩结构以及车辆尾箱 |
-
1997
- 1997-04-21 JP JP9103701A patent/JPH10294572A/ja active Pending
- 1997-10-01 KR KR2019970027435U patent/KR20021673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10-01 TW TW086216673U patent/TW342952U/zh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6736Y1 (ko) | 2001-04-02 |
JPH10294572A (ja) | 1998-11-04 |
TW342952U (en) | 1998-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216737Y1 (ko) | 개폐체의 개폐장치 | |
KR200171619Y1 (ko) | 개폐체의 개폐장치 | |
US5918348A (en) | Friction hinge with detent capability | |
KR980010079U (ko) | 틸트힌지 | |
US3986409A (en) | Push-to-engage device | |
KR200216736Y1 (ko) | 개폐체의 개폐장치 | |
US4201096A (en) | Spring lock knob assembly | |
US6922869B2 (en) | Damper apparatus | |
KR200242148Y1 (ko) | 클립형 마찰 힌지장치 | |
US20060090298A1 (en) | Hinge device | |
EP0722064B1 (en) | A mounting apparatus | |
KR100418055B1 (ko) | 덮개의 제동구조 | |
KR100251855B1 (ko) |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장치 | |
KR0123833Y1 (ko) | 경사 힌지 | |
KR980010078U (ko) | 틸트힌지 | |
KR100403430B1 (ko) | 회전형 전기부품 | |
US3505884A (en) | Rotation limit device | |
KR200347111Y1 (ko) | 마찰힌지장치 | |
KR200212842Y1 (ko) | 틸트힌지 | |
JP7489739B1 (ja) | 直線摺動型ポテンショメータ | |
JPH057619Y2 (ko) | ||
KR200364074Y1 (ko) | 마찰 힌지장치 | |
KR200203200Y1 (ko) | 액정모니터용 힌지장치 | |
KR960010125Y1 (ko) | 사무자동화(oa) 기기용 틸트힌지 | |
KR200194070Y1 (ko) | 힌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