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300U - 풀림방지너트 - Google Patents

풀림방지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300U
KR19980064300U KR2019970008961U KR19970008961U KR19980064300U KR 19980064300 U KR19980064300 U KR 19980064300U KR 2019970008961 U KR2019970008961 U KR 2019970008961U KR 19970008961 U KR19970008961 U KR 19970008961U KR 19980064300 U KR19980064300 U KR 199800643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nut
loosening
elastic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89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유식
Original Assignee
김광우
주식회사 진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우, 주식회사 진광 filed Critical 김광우
Priority to KR20199700089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4300U/ko
Publication of KR199800643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300U/ko

Links

Landscapes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풀림방지너트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볼트를 고정시키는 너트에 있어서, 너트의 외측 중앙을 소정의 깊이로 가공한 고정홈을 형성하고, 너트를 중앙으로 구비한 후 그 외측을 합성수지에 의한 사출물로 감싸 풀림방지너트를 형성하고, 상기 사출물의 양쪽 외측에는 탄성유지홈에 의하여 탄성이 가능한 탄성고정부를 구비하며, 고정홈을 사출물의 너트고정부로 고정시켜서 볼트가 너트에 고정된 후에 양방향의 탄성고정부가 볼트의 나사산에 탄성력을 가하여 볼트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인 볼트와 조임공구를 사용하게 되어 별도의 조임공구나 볼트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며, 볼트가 고정되는 양방향으로 풀림방지너트가 볼트에 외력을 가하게 되어 볼트의 풀림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하고, 변형없이 볼트의 조임이나 풀림이 가능하여 풀림방지너트를 여러번 반복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풀림방지너트
본 고안은 풀림방지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의 소정부위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너트의 외주부를 탄성고정부가 구비된 풀림방지부재로 감싸 너트에 결합되는 볼트의 나사산이 탄성고정부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볼트의 나사산에 풀림방지부재의 탄성고정부가 탄성력을 가하면서 접하도록 하여 볼트가 너트에서 사용자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이완되지 않게 되어 시간이 경과하여도 볼트의 조임이 풀어지지 않도록 한 풀림방지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된 물체에 다른 물체를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주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왔었으며, 이때 볼트와 너트로 고정된 물체가 바람등에 의한 진동등에 의하여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 이완되어 풀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수종의 방식이 알려져 왔었다.
즉,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셔(103)의 일개소 또는 2개소에 절편(103a)을 형성하여 볼트(101)에 와셔(103)를 삽입시키고, 너트(102)를 체결한 후에 이 와셔(103)에서 절편(103a)을 너트(102)의 일변에 절곡하여 이에 의하여 너트(102)의 회동을 방지하여 너트(102)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2 에 나타낸 너트(104)는 이의 나사부를 연장시키고, 절결홈(104a)을 수개 형성하여 이를 볼트에 체결하여 절결홈(104a)과 절결홈(104a) 사이를 내측으로 힘을 가하여 약간 변형을 시키거나, 또는 볼트에 구멍을 뚫어서 이 절결홈(104a) 맞춰서 분할핀을 꼿아서 너트(104)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도 3 에 나타낸 너트(105)는 이 너트(105)의 일모서리 부위에 홈(105a)을 형성하고, 이 홈(105a)을 관통하는 수직나사공(106)을 형성하여 여기에 소나사를 나사결합시키면, 이 너트(105)는 변형이 되어 풀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도 4 에 나타낸 너트(107)는 이 너트(107)의 대향되는 2변 사이에 구멍(107a)을 천설하고, 볼트(101)에도 이 구멍(107a)과 일치되게 뚫어서 이 구멍(107a)에 분할핀(108)을 삽입시켜서 이 너트(107)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특허공고 제 92-9598의 도 5 와 도 6 에 나타낸 통상의 볼트(110)의 끝단부위에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111)를 형성하고, 육각두부(112a)와 원통부(112b)를 가진 너트(112)를 육각홈(114), 통공(115), 환상턱(115a) 및 공간부(116)와 이의 상부 주연부에 일방치(117)가 형성된 몸체(113)에 삽착하되, 상기한 환상턱(115a)과 상기한 원통부(112b)의 하단부에 고정된 와셔(120) 사이에 스프링(121)으로 탄설하고, 상기한 평면부(111)를 가진 볼트(110)의 끝단 부위에 이와 대응되는 구멍(118a)을 가지며, 이의 하단 주연부에 일방치(119)가 형성된 끼움구(118)를 끼워서 이 일방치(119)와 상기한 몸체(113)의 일방치(117)와의 치합으로 너트(112)의 풀림방향으로 회동이 안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도 1 에 나타낸 너트(102)에 있어서는 이 너트(102)의 풀림방지를 위해서는 특수한 와셔(103)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이 와셔(103)는 강도상 반복 사용이 안되는 단점이 있으며, 너트(102)의 조립시에는 와셔(103)의 절편(103a)을 절곡하고, 또한 너트(102)를 풀때에는 이 절편(102a)을 다시 펴야 하기 때문에 너트(102)의 조립 및 해체하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릴뿐만 아니라, 이 와셔(103)에 대한 특수공구등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 에 나타낸 너트(104)와 도 3 에 나타낸 너트(105)는 이 너트(104)(105)를 체결한 후에 너트(104)(105)에 대하여 변형을 주기 때문에 반복 사용시에 강도가 저하되며, 또한 해체 및 조립시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동시에 이 너트(104)(105)를 사용하는 데에 특수공구가 추가로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 에서 나타낸 너트(107)는 이 역시 반복 사용이 어려우며, 볼트(101)에 구멍을 내기 때문에 볼트(101)의 강도저하를 가져오며, 해체 및 재조립 시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특히, 볼트(101)와 너트(107)의 구멍(107a)이 어긋나기가 쉬워서 많은 시간이 지체되고, 또한 분할핀(109) 및 이에 따른 추가공구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 와 도 6 에 나타낸 체결기구는 통상의 볼트(110)의 끝단부를 별도로 가공하여야 하고, 볼트(11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부품의 수가 많으며, 볼트(110)의 결합시에 너트(112)로서 조인 후에도 육각두부(112a)에 구멍(118a)을 맞추어 끼우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볼트(110)의 조립에 장시간이 소용되며, 이 볼트(110)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몸체(113)를 하향으로 누른 후에 통상의 공구로 풀어야 하기 때문에 그 해체가 복잡하고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착안한 것으로 일반적인 볼트와 조임공구를 사용하게 되어 별도의 조임공구나 볼트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며, 볼트가 고정되는 양방향으로 풀림방지너트가 볼트에 외력을 가하게 되어 볼트의 이완에 의한 풀림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하고, 변형없이 볼트의 조임이나 풀림이 가능하여 여러번 반복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반적인 볼트를 조이는 너트에 있어서, 너트의 외측 중앙을 소정의 깊이로 가공한 고정홈을 형성하고, 너트를 중앙에 구비한 후 그 외측을 합성수지에 의한 사출물로 감싸 풀림방지너트를 형성하고, 상기 사출물의 양쪽 외측에는 탄성유지홈에 의하여 탄성이 가능한 탄성고정부를 구비하며, 고정홈을 사출물의 너트고정부로 고정시켜 너트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볼트가 조여진 후에 양방향의 탄성고정부에 의하여 볼트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6 은 종래 체결기구의 설명도.
도 7 은 본 고안에 삽입되는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풀림방지너트2 : 몸체
3 : 너트4 : 볼트삽입홈
5 : 고정홈6 : 공간부
7 : 탄성고정부8 : 탄성유지홈
9 : 너트고정부
도 7 은 본 고안의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일반적인 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측에 볼트삽입홈(4)과 나선부(4a)를 형성한 너트(3)에 있어서, 상기 너트(3)의 외측 중앙에 소정의 깊이로 고정홈(5)을 구성한 것이다.
도 8 은 본 고안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 는 본 고안의 정면도로써, 상기의 너트(3)를 합성수지에 의한 사출물로 감싸 본 고안인 풀림방지너트(1)를 구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너트(3)를 중앙에 구비한 후 사출물로 감싸 너트(3)의 외측에 몸체(2)를 형성하고, 몸체(2)의 외측 양측에 탄성고정부(7)가 다수개의 탄성유지홈(8)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고정홈(5)을 몸체(1)의 중앙에 고정시키도록 너트고정부(9)를 형성하고, 탄성고정부(7)와 너트(3) 사이에 공간부(6)를 구성하고, 상기 탄성고정부(7)의 중앙에 볼트삽입홈(7a)을 구비하여 볼트가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탄성고정부(7)는 풀림방지너트(1)에 삽입되는 볼트의 나사산보다 얇은 폭으로 구성한 것으로 볼트의 나사산과 나사산의 사이에 구비된 골에 탄성고정부(7)가 삽입되어 볼트의 나사산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먼저, 풀림방지너트(1)의 몸체(2)에 일반적인 볼트를 결합하게 되면 일반적인 볼트조임공구를 사용하여 볼트를 조이게 된다. 이때 볼트가 탄성고정부(7)에 의하여 구비된 볼트삽입홈(7a)에 삽입된다. 볼트의 폭보다 작게 구비된 볼트삽입홈(7a)에 볼트가 삽입되면 볼트의 전향방향인 몸체(2) 내부의 공간부로 탄성고정부(7)가 볼트에 의하여 이동된다. 이때 탄성고정부(7)는 볼트의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의 골에 삽입되고, 상기 나사산의 골에 삽입된 탄성고정부(7)는 공간부(6)로 휘어지면서 볼트의 나사산에 외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외력을 받는 볼트는 일반공구로 계속 삽입되어 너트(3)의 볼트삽입홈(4)에 삽입된다. 상기 볼트는 볼트삽입홈(4)의 나사부(4a)를 따라서 이동되어 반대측의 탄성고정부(7)에 접하게 된다.
반대편의 탄성고정부(7)에 접하게 된 볼트는 볼트삽입홈(7a)에서 탄성고정부(7)를 외측으로 밀게 되어 몸체(2) 외부로 탄성고정부(7)가 이동된다. 이때 반대측의 탄성고정부(7)는 볼트의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의 골에 삽입되고, 상기 나사산의 골에 삽입된 탄성고정부(7)는 풀림방지너트(1)의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볼트의 나사산에 외력을 가하게 된다. 양측 탄성고정부(7)의 외력을 받는 볼트는 계속 이동 가능하게 되어 소정의 물체를 다른 물체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볼트와 풀림방지너트에 의하여 물체가 고정되면 양측의 탄성고정부(7)가 지속적으로 볼트의 나선부에 탄성력을 가하게 되어 볼트의 나선부에 정지력을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볼트는 외부의 바람등에 의한 진동에 의해서도 접촉부의 외력 때문에 볼트의 풀림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풀림이 방지된 볼트를 풀기위해서는 일반공구를 사용하게 된다. 일반공구로 볼트를 회전시키게 되면 양측 탄성고정부(7)의 외력을 받는 볼트의 나사산이 회전하게 된다. 즉, 풀림방지너트(1)의 탄성고정부(7)에 의하여 지속적인 외력을 볼트의 나사산이 받게 되어도 일반공구에 의하여 볼트를 회전시키는 힘이 크기 때문에 볼트는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볼트가 일반공구에 의하여 볼트와 너트의 변형없이 풀림이 가능하게 되어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일반적인 볼트와 조임공구를 사용하게 되어 별도의 조임공구나 볼트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며, 볼트가 고정되는 양방향으로 풀림방지너트가 볼트에 외력을 가하게 되어 볼트의 풀림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하고, 변형없이 볼트의조임이나 풀림이 가능하여 여러번 반복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반적인 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측에 나선부(4a)와 볼트삽입홈(4)을 형성한 너트(3)에 있어서, 외측 중앙에 고정홈(5)을 구성한 너트(3)를 합성수지에 의한 사출물로 감사 너트고정부(9)로 내측의 너트를 고정시키도록 풀림방지너트(1)의 몸체(2)를 형성하고, 몸체(2)의 외측 양쪽에 볼트삽입홈(7a)을 중앙에 구비한 탄성고정부(7)가 다수개의 탄성유지홈(8)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탄성고정부(7)와 너트(3) 사이에 공간부(6)를 구성하여 볼트가 풀림방지너트에 결합될 때 볼트의 나사산과 나사산의 사이에 구비된 골에 양측 탄성고정부의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너트.
KR2019970008961U 1997-04-28 1997-04-28 풀림방지너트 KR199800643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961U KR19980064300U (ko) 1997-04-28 1997-04-28 풀림방지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961U KR19980064300U (ko) 1997-04-28 1997-04-28 풀림방지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300U true KR19980064300U (ko) 1998-11-25

Family

ID=6968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8961U KR19980064300U (ko) 1997-04-28 1997-04-28 풀림방지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430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638A3 (ko) * 2014-05-19 2016-01-14 이정용 불필요한 풀림방지 볼트와 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638A3 (ko) * 2014-05-19 2016-01-14 이정용 불필요한 풀림방지 볼트와 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7842B1 (en) Fastening structure
WO2007086763A1 (en) Bolt with collar and flexible sleeve insert
KR101928696B1 (ko) 풀림방지 볼트
KR920009598B1 (ko) 풀림방지용 체결기구
US5741101A (en) Reliable snap action locking fastener
JP2012102783A (ja) 締付固定具
JP4431029B2 (ja) 締結装置
KR20080007062A (ko) 너트풀림방지장치
JP2012172780A (ja) 締結具の緩み止め装置
KR19980064300U (ko) 풀림방지너트
JPH0932835A (ja) ネジの緩み止め
KR20010077809A (ko) 풀림 방지 볼트 조립체
KR19980083807A (ko) 풀림방지형 볼트, 너트 앗세이
KR19980064299U (ko) 풀림방지너트
KR100237318B1 (ko) 풀림방지용 너트
AU2008200632B2 (en) Locking washer
KR20030073767A (ko) 볼트와 너트로 된 체결부재
KR20090032367A (ko) 풀림 방지용 볼트
KR200345713Y1 (ko) 너트 풀림방지구조
WO2002053926A1 (en) Threaded fastener with lock structure
KR20040078783A (ko)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체결장치
JPH04272504A (ja) 締付具の緩み防止装置
JP7043432B2 (ja) 締結器具および締結構造
KR200367407Y1 (ko) 풀림 방지용 너트
JP2003301829A (ja) ボルト・ナットの緩み止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