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157U - 상차기의 작동 스위치 회로 - Google Patents

상차기의 작동 스위치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157U
KR19980064157U KR2019970008798U KR19970008798U KR19980064157U KR 19980064157 U KR19980064157 U KR 19980064157U KR 2019970008798 U KR2019970008798 U KR 2019970008798U KR 19970008798 U KR19970008798 U KR 19970008798U KR 19980064157 U KR19980064157 U KR 199800641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otor
circuit
reverse rot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8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태환
Original Assignee
고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태환 filed Critical 고태환
Priority to KR2019970008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4157U/ko
Publication of KR199800641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157U/ko

Links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스위치 모드 상태에서 승강 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승강 받침대가 상승 제한 위치까지 상승하여 일정시간 정지한 후 자동으로 하강하여 복귀하므로써 다음 작업에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상차기용 작동 스위치 회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와이어 견인에 의해 승강 받침대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정역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정회전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복수개의 정회전측 스위치와, 상기 정회전측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과, 상기 모터를 역회전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복수개의 역회전측 스위치와, 상기 복수개의 역회전측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과, 상기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를 정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승강작동스위치와, 상기 승강받침대가 승강 제한 위치까지 상승시 상기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상부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역회전용 마그네틱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모터를 역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하강 작동 스위치와, 상기 승강작업대가 바닥까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하부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상승 및 하강 작동 스위치와 일측 단자가 직렬로 연결되며 타측단자는전원측에 연결되어 누름 작동시 공급 전원을 차단하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스위치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차기의 작동스위치 회로에 있어서,
상기 승강받침대가 상승하여 상부 리미트 스위치의 회로 절환 작동시 접속되는 단자측과 상기전원측에 연결된 정지스위치의 일측단자와를 연결하는 회로상에 설치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가 통전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를 온 접속하도록 작동되며 상기 하강작동스위치와 병렬로 설치되는 타임 릴레이와;
상기 타임 릴레이와 직렬로 연결되어 자동 모드 상태에선 상기 하강 스위치와의 병렬 회로를 온 접속하며 수동 모드 상태에서 병렬 회로를 오프하는 자동 수동 절환 스위치와;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차기의 작동 스위치 회로
본 고안은 물건을 들어올리는 데 사용하는 상차기의 작동 스위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상차기는 소규모 상점이나 일손 부족이 심한 농가에 많이 보급되어 수확후 건조시킨 곡식 등을 저장 창고에 저장할 때 작업자가 어깨 등에 짊어지고 나를 수 있도록 어깨 위치까지 물건을 들어 올리는 데 사용한 장치로서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승강받침대(50)위에 물건을 올려 놓은 후 승강 작동 스위치(SW11)를 온시키면 모터(M)가 구동하여 승강받침대(50)를 상승시키게 되며 승강받침대(50)가 상승중에 상부 리미트 스위치(SW12)에 접촉하면 모터(M)에의 전원 공급이 끊기고 승강받침대(5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예를 들면 대략 작업자의 어깨 높이 위치에 정지하게 되며 작업자는 어깨에 물건을 지고 이동 위치로 옮기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다음 작업을 위하여는 무거운 물건을 어깨에 짊어진 작업자가 하강 작동 스위치(SW14)를 온시켜 모터(M)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승강받침대(50)를 바닥 위치로 이동시켜 놓아야 하기 때문에 중량물을 어깨에 짊어진 채로 하강 작동 스위치(SW14)를 작동시키기 위하여서는 작업자의 자세 변환이 필요하므로 힘이 들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자동 스위치 모드 상태에서 승강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승강 받침대가 상승 제한 위치까지 상승하여 일정시간 정지한 후 자동으로 하강하여 복귀하므로써 다음 작업에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상차기용 작동 스위치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와이어 견인에 의해 승강 받침대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정역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정회전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복수개의 정회전측 스위치와,
상기 정회전측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과,
상기 모터를 역회전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복수개의 역회전측 스위치와,
상기 복수개의 역회전측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과,
상기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를 정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승강작동스위치와,
상기 승강받침대가 승강 제한 위치까지 상승시 상기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상부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역회전용 마그네틱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모터를 역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하강 작동 스위치와,
상기 승강작업대가 바닥까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하부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상승 및 하강 작동 스위치와 일측 단자가 직렬로 연결되며 타측단자는전원측에 연결되어 누름 작동시 공급 전원을 차단하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스위치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차기의 작동스위치 회로에 있어서,
상기 승강받침대가 상승하여 상부 리미트 스위치의 회로 절환 작동시 접속되는 단자측과 상기전원측에 연결된 정지스위치의 일측단자와를 연결하는 회로상에 설치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가 통전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를 온 접속하도록 작동되며 상기 하강작동스위치와 병렬로 설치되는 타임 릴레이와;
상기 타임 릴레이와 직렬로 연결되어 자동 모드 상태에선 상기 하강 스위치와의 병렬 회로를 온 접속하며 수동 모드 상태에서 병렬 회로를 오프하는 자동 수동 절환 스위치와;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 모드 상태에서 승강 작동 스위치를 작동할 경우 승강받침대가 상승 제한 위치까지 상승하여 일정시간 정지된 후 타임 릴레이가 접속되어 모터가 역회전하므로써 상승되었던 승강받침대는 하강 작동 스위치의 누름 작동에 의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바닦까지 하강하여 다음 작업에 대비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상차기의 작동 스위치 회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상차기의 작동 설명을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W1∼SW5: 정회전측 스위치 SW6∼SW10: 역회전측 스위치
SW11: 승강작동 스위치 SW12: 상부 리미트 스위치
SW13: 하부 리미트 스위치 SW14: 하강 작동 스위치
SW15: 정지 스위치 SW16: 자동ㆍ수동 절환 스위치
T : 타이머 RT: 타이머 릴레이
1∼20 : 스위치 단자 22 :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
24 :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 M : 모터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상차기의 작동 스위치 회로도로써 상차기(52)의 승강받침대(50)를 견인하는 와이어(54)를 감아 들이거나 풀거나 하는 모터(M)에는 정ㆍ역 회전을 결정하는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2)과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4)이 연결되어 있다.
정ㆍ역 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2)(24)은 여자 또는 여자 해제시 각기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5개씩의 스위치(SW1∼SW5)(SW6∼SW10)를 가지며 ,i전원측과 직렬로 연결된 정회전측 스위치(SW1)(SW2)의 공통단자 1,3은 역회전측 공통단자 11과 13에 직렬 접속되고 모터(M)에 접속되는 정회전측 스위치(SW1∼SW3)의 일측단자 2,4,6 들은 각기 역회전측 일측 단자 12,14,16과 접속되어 있다.
정회전측 스위치 SW3의 단자 5는전원에 접속되고 또한 역회전측 스위치 SW6의 단자 15와 직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정회전측 스위치 SW4의 스위치 단자 7은 역회전측 스위치 SW9의 스위치 단자 17에 접속되고 타측 스위치 단자 8은 역회전측 스위치 SW10의 스위치 단자 20에 접속되어 있다.
역회전측 스위치 SW10의 스위치 단자 19는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2)에 접속되며 스위치 단자 20은 승강작동 스위치 SW11의 일측단자 27에 접속되고 스위치 SW11의 타측단자 28은 스위치 단자 7과 17에 직렬 연결된다.
상기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2)은 승강받침대(50)가 상승 제한 위치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모터(M)에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작동하는 상부리미트 스위치(SW12)의 Nc단자에 접속되고 상부 리미트 스위치(SW12)의 공통단자(Com)는 과전류 차단기(30)를 거쳐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4) 및 단자 1,3,11,13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4)은 승강받침대(50)가 바닥에 하강된 상태에서는 모터(M)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되는 하부 리미트 스위치(SW13)의 No단자에 접속되고 그의 공통단자(Com)는 정회전측 스위치(SW5)의 단자 9에 접속되어 있으며 스위치(SW5)의 타측단자 10은 하강 작동 스위치(SW14)의 일측단자 32에 접속되고 하강 작동 스위치(SW14)의 타측단자(34)에는 정지스위치(SW15)의 일측단자(36)를 개재하여 승강 작동 스위치(SW11)의 단자 28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하강 작동 스위치(SW14)와 병렬로 자동 수동 절환 스위치(SW16)와 타임 릴레이(RT)가 접속되고 정지스위치(SW15)의 단자 38은 타이머(T)를 경유하여 상부 리미트 스위치(SW12)의 No단자에 회로 접속되고 또한 단자 15와 5를 거쳐전원측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초기 상태(전원 공급차단)일 때 스위치 SW1,SW2,SW3,SW4,SW6,SW7,SW8,SW9은 각기 단자 1,3,5,7,11,13,15,17로부터 떨어져 회로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고 스위치 SW5와 스위치 SW10은 각기 단자 9와 19에 접속되어 있게 되며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2)과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4)에 전원이 공급되면 각 스위치의 접점 상태는 반대로 절환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자동수동절환스위치(SW16)가 오프 상태에서의 상차기(52)의 작동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동수동절환스위치(SW16)의 온 상태(회로접속상태)에 대해서만 설명토록 한다.
상차기(52)의 승강받침대(50)가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물건이 승강 받침대(50)에 올려놓여지면 작업자는 승강작동스위치(SW11)를 눌러 회로를 온 접속하게 된다.
승강작동스위치(SW11)가 온되면 전원은 단자 1,3,11,13을 거쳐 상부 리미트 스위치(SW12) 및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2), 승강작동스위치(SW11), 정지스위치(SW15)를 통하여전원측에 흐르게 되며 이때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2)의 가동으로 정회전측 스위치 SW1∼SW4는 단자 1,3,5,7에 붙고 정회전측 스위치 SW5는 단자 9로 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모터(M)에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M)는 정회전하게 되며, 와이어(54)를 감아들여 승강받침대(50)가 상승한다. 승강받침대(50)가 상승하면 하부 리미트 스위치(SW13)는 Nc단자에서 No단자로 절환되나, 스위치 SW5가 단락되어 있어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4)로 전류가 흐르지는 않는다.
승강받침대(50)가 상승하여 대략 작업자의 어깨 높이에 설치된 상부 리미트 스위치(SW12)에 접촉하게 되면 상부 리미트 스위치(SW12)는 Nc단자로부터 떨어져 No단자로 절환되며 이로써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2)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정회전측 스위치 SW1∼SW4는 단자 1,3,5,7로부터 떨어지고 정회전측 스위치 SW5는 단자 9에 접속하게 되므로써 모터(M)에의 전원 공급이 끊겨 승강받침대(50)는 상승 제한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승강받침대(50)가 정지하면 작업자는 일측 어깨를 들이 밀어 물건을 어깨에 올려놓은 후 이동 장소로 이동하여 적치시키게 된다.
한편, 상부리미트 스위치(SW12)가 절환 작동에 의해 No단자에 접속되어 있어 타이머(T)를 통해 전류가 흐르므로 타이머(T)가 일정시간, 예를 들면 10초로 셋팅되어 있다면 10초가 경과하는 순간 타임 릴레이(RT)가 작동하여 단자 40에 붙게 되므로써 전류는 단자 1,3,11,13 및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4)을 거쳐 정회전측 스위치 SW5, 회로 접속된 타임릴레이(RT) 자동 수동 절환 스위치(SW16), 정지스위치(SW15,승강받침대를 정지시키기 위해 누르지 않을 경우 회로를 온 접속하고 있음)의 순으로 흐르게 되며 이때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4)에의 전원 공급개시로 역회전측 스위치 SW5∼SW9은 단자 11,13,15,17에 접속되고 역회전측 스위치 SW10은 단자 19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에따라 단자 11,13에 공급된 전원은 역회전측 스위치 SW6, SW7, 모터(M), 역회전측 스위치 SW8을 통하여전원측에 흐르게 되며, 전원 공급 방향의 전환으로 모터(M)는 역회전 구동된다. 모터(M)가 역회전 구동하면 감아들였던 와이어(54)를 풀게되며 승강받침대(50)는 하강하게 된다. 승강작업대(50)가 하강을 시작하면 상부 리미트 스위치(SW12)는 Nc측으로 접속상태가 절환되나 역회전측 스위치 SW1이 단자 19로부터 떨어진 상태라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2)로 전류가 흐르지는 않는다.
승강받침대(50)가 하강하여 바닥에 닿게되면 하부 리미트 스위치(SW13)를 작동시켜 No단자로부터 Nc단자로 스위치 절환되고 이에 따라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4)에의 전원 공급이 끊겨 역회전측 스위치 SW6∼SW9은 단자 11,13,15,17로부터 떨어지고 스위치 SW10은 단자 19에의 접점이 이루어져 모터(M)에의 전원 공급이 중단된다.
하부 리미트 스위치(SW13)의 절환으로 전원 공급이 끊기면 타임 릴레이(RT)의 접점은 떨어지고 회로의 모든 상태는 초기화 상태에 돌입하므로 다시 승강 받침대(50)에 물건을 올려 놓고 들어 올리고자 할때 승강작동스위치(SW11)를 누르면 앞서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자동수동절환스위치(SW16)를 수동 위치 즉 회로를 오프시킨 상태에서는 승강작동스위치(SW11)를 작동시키면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2)에 전류가 흘러 정회전측 스위치 SW1∼SW4은 온, SW5는 오프되므로 모터(M)가 정회전하여 승강받침대(50)가 상승하게 되며 상승중에 상부 리미트 스위치(SW12)에 접촉하면 상부 리미트 스위치(SW12)가 Nc단자로부터 No단자로 접속 상태가 절환되면서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2)에의 전류 공급이 차단되어 스위치 SW1∼SW4는 오프, SW5는 온으로 되며 이에따라 모터(M)의 구동은 정지된다.
그러나 타이머(T)가 작동하여 타임릴레이(RT)가 회로를 온 접속하더라도 자동수동절환스위치(SW16)가 오프되어 있으므로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4)에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역회전측 스위치 SW6∼SW9은 오프되고 SW10은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모터(M)에는 전원 공급이 안되므로 모터(M)는 정지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작업자가 승강받침대(50)로부터 짐을 어깨에 짊어진 상태에서 하강작동스위치(SW14)를 누르게 되면 단자 32와 단자 34가 회로 접속되어져 비로소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24)로 전류가 흐르고 역회전측 스위치 SW6∼SW9은 온 접속되고 SW10은 오프되므로 단자 12,14,16을 경유해서 모터(M)로 역회전 전류가 흐르게 되어 모터(M)가 역회전하면서 승강받침대(50)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승강받침대(50)가 승강 또는 하강되는 도중에 일시 정지시키고자 한다면 정지스위치(SW15)를 눌러 회로를 오프시키므로써 모터(M)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자동모드의 경우 승강받침대(50)가 상승 제한 위치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승강받침대의 자동 하강을 타이머(T)와 타임 릴레이(RT)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들 대신에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인체가 센서의 시야에서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면 회로를 온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자동 수동 절환 스위치와 타이머 및 타임 릴레이를 설치하여 자동 모드 상태에서 승강 작업대는 상승 제한 위치에서 일정시간 동안 정지 상태를 유지한 후 다시 하강하여 초기 작업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써 짐을 이송하는 작업자가 짐을 짊어진 상태에서 하강 작동 스위치를 별도 조작하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와이어 견인에 의해 승강 받침대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정역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정회전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복수개의 정회전측 스위치와, 상기 정회전측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과, 상기 모터를 역회전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복수개의 역회전측 스위치와, 상기 복수개의 역회전측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과, 상기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를 정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승강작동스위치와, 상기 승강받침대가 승강 제한 위치까지 상승시 상기 정회전용 마그네트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상부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역회전용 마그네틱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모터를 역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하강 작동 스위치와, 상기 승강작업대가 바닥까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하부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상승 및 하강 작동 스위치와 일측 단자가 직렬로 연결되며 타측단자는전원측에 연결되어 누름 작동시 공급 전원을 차단하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스위치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차기의 작동스위치 회로에 있어서, 상기 승강받침대가 상승하여 상부 리미트 스위치의 회로 절환 작동시 접속되는 단자측과 상기전원측에 연결된 정지스위치의 일측단자와를 연결하는 회로상에 설치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가 통전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역회전용 마그네트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를 온 접속하도록 작동되며 상기 하강작동스위치와 병렬로 설치되는 타임 릴레이와;
    상기 타임 릴레이와 직렬로 연결되어 자동 모드 상태에선 상기 하강 스위치와의 병렬 회로를 온 접속하며 수동 모드 상태에서 병렬 회로를 오프하는 자동 수동 절환 스위치와;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차기의 작동 스위치 회로.
KR2019970008798U 1997-04-25 1997-04-25 상차기의 작동 스위치 회로 KR199800641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798U KR19980064157U (ko) 1997-04-25 1997-04-25 상차기의 작동 스위치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798U KR19980064157U (ko) 1997-04-25 1997-04-25 상차기의 작동 스위치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157U true KR19980064157U (ko) 1998-11-25

Family

ID=6968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8798U KR19980064157U (ko) 1997-04-25 1997-04-25 상차기의 작동 스위치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415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84855C (en) Automatic displacement and homing system for a rail mounted patient lift
EP0273888B1 (en) Patient lifting device
US7339134B2 (en) Extension lift truck modification
EP1740491A2 (en) Pneumatically telescoping mast having lighting and dc operated controls
CN209094682U (zh) 一种建筑钢材用的切割装置
AU1355888A (en) Load accumulating system
KR19980064157U (ko) 상차기의 작동 스위치 회로
JPH0414590Y2 (ko)
CN211283576U (zh) 一种移动房屋的装卸车结构
JP3048313U (ja) 昇降装置
JP2576369Y2 (ja) 車載クレーンのフツク格納装置
CN218879398U (zh) 一种墙体砌筑单升降工作平台车及双升降工作平台车
JPH09151085A (ja) リモコン方式電動巻上機
KR920004528B1 (ko) 호이스트 가변 위치 제어회로 및 방법
JP2562660Y2 (ja) ホイスト制御装置
CN215558817U (zh) 一种用于机车检测的移动升降台
JPS6037430Y2 (ja) ホイストの自動インチング装置
JP4577567B2 (ja) 物品搬送装置
JP3045702U (ja) 昇降装置
GB2328005B (en) A hand actuated control device for use in operating a displacing mast lift truck
JPH04185869A (ja) 建設用資材搬送装置
JPH08133418A (ja) 自動倉庫のスタッカクレーン
JPS6219679Y2 (ko)
JP2001145388A (ja) 巻線形電動機の制御方式
JPS5841799Y2 (ja) 刈取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