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770U - 전원분배용 버스바 - Google Patents

전원분배용 버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770U
KR19980063770U KR2019970008323U KR19970008323U KR19980063770U KR 19980063770 U KR19980063770 U KR 19980063770U KR 2019970008323 U KR2019970008323 U KR 2019970008323U KR 19970008323 U KR19970008323 U KR 19970008323U KR 19980063770 U KR19980063770 U KR 199800637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istribution
bus bar
distribution bus
lug
lu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8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곤
김진규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2019970008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3770U/ko
Publication of KR199800637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770U/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분배용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개의 러그단자가 결합되며, 상기 러그단자를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이 체결되는 복수개의 암나사홈이 형성된 전원분배용 버스바에 있어서, 상기 러그단자가 결합되는 전원분배용 버스바의 일측면에는 상기 암나사홈을 중심으로 상기 러그단자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전원분배용 버스바는 러그단자의 조립이 용이하며 체결되는 러그단자의 수가 집적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원분배용 버스바
본 고안은 전원분배용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그 단부에 전선이 연결된 복수개의 러그단자가 결합되는 전원분배용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원분배용 버스바는 동판이나 알루미늄 판재에 다수개의 암나사홈이 형성된 것으로서, 복수개의 전선들의 러그단자가 볼트 등에 의해 상기 암나사홈에 고정되어 전원분배용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원분배용 버스바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전원분배용 버스바(10)는 평판형의 판재로서, 그 일측면에 복수개의 암나사홈(11)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전선(12)의 단부에 결합된 러그단자(13)는 볼트(14)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암나사홈(11)에 고정됨으로써, 전원분배용 버스바(10)와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된다. 하지만, 상술한 전원분배용 버스바(10)에 있어서, 러그단자(13)를 볼트(14)에 의해 전원분배용 버스바(10)에 형성된 암나사홈(11)에 체결시 러그단자(13)가 볼트(14)의 잠김 방향으로 함께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다수개의 러그단자(13)를 전원분배용 버스바(10)에 체결시 러그단자(13) 및 그 단부에 결합된 전선(12)들간에 간섭이 발생하여 그 작업이 어려워지고,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전원분배용 버스바(10)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홈(11) 사이의 간격이 러그단자(12)의 길이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1의 Ⅱ-Ⅱ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러그단자(12)를 전원분배용 버스바(10)에 각각 체결시키기 위해서는 러그단자(12)가 구부러진 형태가 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종래의 전원분배용 버스바에 러그단자를 체결하기 위해서 각각의 러그단자를 구부리는 작업를 실시해야만 한다. 결국, 이러한 부가적인 작업으로 인해 전원분배용 버스바에 러그단자를 조립시에 그 조립성이 나빠지게 되며, 또한 이러한 작업중 러그단자(12)의 균열 등의 불량이 발생하여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전기적 단락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암나사홈간(31)의 간격이 러그단자(33)의 길이만큼 넓게 형성된 전원분배용 버스바(30)가 이용되었다. 이 경우, 러그단자(32)가 구부러지는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지만, 암나사홈(31) 사이의 간격이 넓게 형성되므로 그만큼 전체적인 전원분배용 버스바(30)의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러그단자(33)를 전원분배용 버스바에 체결할때, 러그단자(33)가 볼트(34)의 잠김 방향으로 함께 돌아가는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러그단자(33)를 전원분배용 버스바(30)에 체결할때 러그단자(33) 및 그 단부에 결합된 전선(32)들간에 간섭이 발생하여 그 작업이 어려워지고,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러그단자의 체결이 용이하고 손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동일한 크기에서 체결되는 러그단자의 수가 집적화 된 전원분배용 버스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2는 종래의 전원분배용 버스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4는 종래의 전원분배용 버스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분배용 버스바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분배용 버스바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분배용 버스바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분배용 버스바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전선 52,72,93,113.러그단자
53,73,94,114.체결홈 54,96.암나사홈
91.경사면 92.나사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러그단자가 결합되며, 상기 러그단자를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이 체결되는 복수개의 암나사홈이 형성된 전원분배용 버스바에 있어서, 상기 러그단자가 결합되는 전원분배용 버스바의 일측면에는 상기 암나사홈을 중심으로 상기 러그단자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이 체결홈의 밑면은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분배용 버스바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전원분배용 버스바(50)는 그 단부에 전선(51)이 연결된 다수개의 러그단자(52)가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 전원분배용 버스바(50)는 평판형의 판재에 상기 러그단자(52)가 체결되는 체결홈(53)이 복수개 형성되며, 이 체결홈(53)에는 각각 암나사홈(54)이 형성되어 러그단자(52)를 전원분배용 버스바(50)에 고정시키는 볼트(55) 등의 결합수단이 삽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홈(53)의 밑면은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되는데, 그 각도는 전원분배용 버스바(50)의 두께와 러그단자(52)의 형상에 따라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암나사홈(54)은 상기 체결홈(53)의 밑면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러그단자(52)는 밑면이 경사진 체결홈(53)에 삽입 체결됨으로 전원분배용 버스바(50)와 소정각도를 이루면서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홈(53)의 내주면은 상기 러그단자(52)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분배용 버스바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전원분배용 버스바(70)는 도 5의 전원분배용 버스바(50)에 있어서 체결홈(53)의 배치를 달리한 것으로서, 전원분배용 버스바(70)의 길이 방향으로 일련으로 형성된 체결홈(73)은 전원분배용 버스바(70)의 폭방향에 대해 지그재그 형태로 교번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전원분배용 버스바(70)의 폭방향에서 체결홈(73)은 교번되어 형성됨으로 각각의 체결홈(73) 사이의 간격이 넓게 형성되어 러그단자(72)를 결합시 상호간의 간섭이 최소화되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분배용 버스바의 제3 실시예로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 전원분배용 버스바(90)에는 그 일측에 소정각도로 형성된 경사면(91)을 가지는 일련의 나사산(9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91)에는 러그단자(93)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홈(9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94)은 경사면(91)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94)의 밑면은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되며, 그 각도는 전원분배용 버스바(90)의 두께와 러그단자(93)의 형상에 따라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홈(94)의 내주면은 체결되는 러그단자(93)의 외주면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 체결홈(94)에는 상기 러그단자(93)가 볼트(95)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암나사홈(9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암나사홈(96)은 상기 체결홈(94)의 경사진 밑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전원분배용 버스바(90)의 체결홈(94)에 체결되는 러그단자(93)는 전원분배용 버스바(90)와 소정각도 경사져서 적층되는 형태가 된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분배용 버스바의 제4 실시예이다.
이 전원분배용 버스바(110)는 도 9의 전원분배용 버스바(90)에 있어서 체결홈(94)의 배치를 달리한 것으로서, 전원분배용 버스바(110)의 길이 방향으로 일련으로 형성된 체결홈(114)은 전원분배용 버스바(110)의 폭방향에 대해 지그재그 형태로 교번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2는 도 11의 Ⅹ11-Ⅹ11선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전원분배용 버스바(110)의 폭방향에서 체결홈(114)은 교번되어 형성됨으로 각각의 체결홈(114) 사이의 간격이 넓게 형성되어 러그단자(113)를 결합시 상호간의 간섭이 최소화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분배용 버스바에 있어서, 복수개의 러그단자(52)는 볼트(55) 등에 의해 전원분배용 버스바(50)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홈(54)에 체결되어 이 전원분배용 버스바(50)와 통전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분배용 버스바(50)에는 상기 러그단자(52)의 형상에 대응하는 체결홈(53)이 형성되어 이 체결홈(53)에 러그단자(52)가 삽입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53)의 밑면은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러그단자(52)는 소정각도를 이룬체 전원분배용 버스바(50)의 일측면에 적층되는 형상이 되어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체결홈(53)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크기의 전원분배용 버스바(50)에서 체결되는 러그단자(52)의 수가 집적화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53)은 러그단자(52)에 대응하는 형상이므로 체결홈(53)에 삽입된 러그단자(52)는 그 조립시에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용 버스바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러그단자의 형상에 대응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러그단자의 조립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된다.
둘째, 체결홈의 밑면이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체결되는 러그단자는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전원분배용 버스바의 일측면에 적층되는 형태로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크기의 전원분배용 버스바에서 체결되는 러그단자의 수가 집적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복수개의 러그단자가 결합되며, 상기 러그단자를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이 체결되는 복수개의 암나사홈이 형성된 전원분배용 버스바에 있어서,
    상기 러그단자가 결합되는 전원분배용 버스바의 일측면에는 상기 암나사홈을 중심으로 상기 러그단자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용 버스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의 밑면은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용 버스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의 내주면은 상기 러그단자의 외주면의 형상에 상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용 버스바.
KR2019970008323U 1997-04-21 1997-04-21 전원분배용 버스바 KR199800637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323U KR19980063770U (ko) 1997-04-21 1997-04-21 전원분배용 버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323U KR19980063770U (ko) 1997-04-21 1997-04-21 전원분배용 버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770U true KR19980063770U (ko) 1998-11-25

Family

ID=6968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8323U KR19980063770U (ko) 1997-04-21 1997-04-21 전원분배용 버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377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155B1 (ko) * 2007-03-20 2009-03-20 이승철 버스바의 체결 방법
US9530999B2 (en) 2013-09-13 2016-12-27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modu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155B1 (ko) * 2007-03-20 2009-03-20 이승철 버스바의 체결 방법
US9530999B2 (en) 2013-09-13 2016-12-27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4553A (en) Flat cable connection structure
KR100958487B1 (ko) 컴팩트화가 가능한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US4775324A (en) Electrical terminal assemblies
EP0075455B1 (en) Power source terminal assembly
US3509514A (en) Connection means for electrical bus bars
KR19980063770U (ko) 전원분배용 버스바
US4559413A (en) Rail insulator for the securing of a conductor rail on a rail support
US20190260170A1 (en) Contact and busbar assembly, electronics housing assembly having such a contact and busbar assembly, and method for removing an electronics housing from such an electronics housing assembly
KR200447658Y1 (ko) 단자대
KR900005207Y1 (ko) 플랫 케이블 접속구조
JP2017214042A (ja) バスバー連結構造
US6661672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100912577B1 (ko) 절연 성능이 향상된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US6179628B1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5816852A (en) Bus bar and cross connection for a series termin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bus bar
JPS6013154Y2 (ja) 配線用しや断器
KR102464467B1 (ko) 부스덕트 접속키트
JP3783148B2 (ja) 導体の接続構造
CA2062821C (en) Plug element for electric connection, in particular distribution boards or the like
JPH0438465Y2 (ko)
US4074161A (en) Pole assembly of a dynamoelectric machine
US4492419A (en) Electric distribution center
KR200322467Y1 (ko) 계기용 변성기의 2차 단자대
JP7526995B2 (ja) リニアモータ用コイルブロックの連結構造
JPH02836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23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