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621A - 전착드럼 - Google Patents

전착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621A
KR19980063621A KR1019970063349A KR19970063349A KR19980063621A KR 19980063621 A KR19980063621 A KR 19980063621A KR 1019970063349 A KR1019970063349 A KR 1019970063349A KR 19970063349 A KR19970063349 A KR 19970063349A KR 19980063621 A KR19980063621 A KR 19980063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drum
top skin
electrodeposition
p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7514B1 (ko
Inventor
기하라미쓰오
아다치가네노부
Original Assignee
도야마기미오
닛폰스텐레스고자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야마기미오, 닛폰스텐레스고자이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야마기미오
Publication of KR1998006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4Wires; Strips;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57Conducting ro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동박을 제조하는 동박제조기에서의 전착드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2)을 설치한 전착드럼(3)에 있어서,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니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2m)을 형성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전착드럼
본 발명은 동박을 제조하는 동박제조기에서 전착(電着)드럼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전착드럼의 표면에 균일한 평활면을 갖는 동박을 동일두께로 전착생성하기 위한 개량이 이어져 오고 있고, 특히 톱스킨(top skin)의 도전성이나 톱스킨 및 인너드럼의 바깥둘레판의 도전성이나 내식성을 개량함으로써 양호한 동박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톱스킨의 내식성의 문제에 관하여는, 현재로서는 전해액에 대한 내식성이 뛰어난 티탄판을 톱스킨으로 사용하고, 이 톱스킨을 인너드럼의 표면에 부착하여 이 티탄판의 바깥둘레에 균일한 평활면을 갖는 동박을 동일두께로 생성하는 티탄 전착드럼을 사용함으로써 일단 해결되었다.
이 티탄 전착드럼은, 일반적으로 티탄판은 연강이나 스텐레스강으로 형성한 인너드럼의 바깥둘레부에 부착되고, 이 바깥둘레부를 통하여 티탄판측에서 인너드럼측으로 전류가 통하여 이 티탄판의 바깥둘레면에 동박이 생성되지만, 종래의 티탄 전착드럼에는 도전성에 대해서는 아직 하기의 문제점이 있다.
① 티탄판과 인너드럼의 접촉 및 밀착이 충분하지 않으면 국부적인 통전트러블이 발생한다.
② 인너드럼이 전해액에 의하여 서서히 부식되면 인터드럼에 산화스케일이 생성되고, 이로써 국부적으로 도전성이 열화한다.
③ 인너드럼을 철계통의 소재로 제조한 경우, 티탄과 같은 고가인 톱스킨을 표면에 덮어도 인너드럼에 녹이 발생하면 티탄 톱스킨의 도전성이 열화하여 티탄의 우수성이 상쇄된다.
따라서, 상기 도전성의 문제로부터, 종래의 티탄 전착드럼에는 동박의 두께의 불균일, 이상석출, 국부가열에 의한 변색 소위 핫스포트가 발생할 염려가 있고,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위하여는 도전성을 개량하는 것이 과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된 것으로, 인너드럼측의 도전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과 도전성의 열화방지를 행함으로써 티탄판 그 자체의 도전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아도 도전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티탄판과 인너드럼의 밀착성, 접촉성을 양호하게 함으로써 통전 트러블이 없으며, 목적과 같이 균일평활면을 갖는 동일두께로 변색이 없는 동박이 생성되는 것에 착안하여 티탄판의 내측이나 인너드럼의 표면에 니켈도금이나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 부착 티탄 전착드럼을 시험제작하고 이 도금층의 도전성, 밀착성, 접촉성, 도금성 및 내열내산화성등에 대하여 테스트를 반복하여 완성한 도전성이 양호한 전착드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예를들면 인너드럼을 철계통의 소재로 제조한 경우, 인너드럼에 녹이 발생하면 티탄 톱스킨의 도전성이 열화한다.
이 문제는 톱스킨을 철계통의 소재로 제조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고, 이 톱스킨에 녹이 발생하면, 톱스킨의 바깥둘레면은 연마하는 것에 의하여 다시 평활면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톱스킨의 안둘레면은 전착드럼을 분해하지 않으면 연마할 수 없기 때문에 톱스킨의 안쪽둘레면이 녹에 의하여 요철상태로 되며, 톱스킨과 인너드럼의 밀착성이 악화하여 상기 녹과 함께 도전성을 악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이 문제점도 해결하기 위해, 도전성의 확보는 니켈도금이나 황동도금보다 떨어지지만 그 반면 접촉성이나 도금성이 우수한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티탄판의 내측이나 인너드럼의 표면에 실시하여 녹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톱스킨의 도전성의 열화를 방지하여 충분히 우수한 실용성을 발휘하는 전착드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박제조기의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 및 제 5 실시예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 제 6 실시예, 제 7 실시예 및 제 8 실시예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중간에 중간벽판을 설치한 전착드럼에서 동판이외에 해칭선을 생략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인너드럼 1a: 바깥둘레판
1m: 도금층 2: 톱스킨
2m: 도금층 3: 전착드럼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는, 인너드럼의 바깥둘레판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을 형성한 전착드럼에 있어서, 톱스킨의 안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드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인너드럼의 바깥둘레판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을 형성한 전착드럼에 있어서, 인너드럼의 바깥둘레판의 바깥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드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는, 인너드럼의 바깥둘레판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을 형성한 전착드럼에 있어서, 톱스킨의 안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을 형성하고, 인너드럼의 바깥둘레판의 바깥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드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는, 인너드럼의 바깥둘레판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을 형성한 전착드럼에 있어서, 톱스킨의 안둘레면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드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는, 인너드럼의 바깥둘레판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을 형성한 전착드럼에 있어서, 인너드럼의 바깥둘레판의 바깥둘레면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드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는, 인너드럼의 바깥둘레판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을 형성한 전착드럼에 있어서, 톱스킨의 안둘레면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을 형성하고, 인너드럼의 바깥둘레판의 바깥둘레면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드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는, 인너드럼의 바깥둘레판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을 형성한 전착드럼에 있어서, 톱스킨의 안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을 형성하고, 인너드럼의 바깥둘레판의 바깥둘레면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드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는, 인너드럼의 바깥둘레판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을 형성한 전착드럼에 있어서, 인너드럼으로서 철계통의 소재로 형성한 인너드럼을 채용하고, 톱스킨으로서 티탄으로 형성한 톱스킨을 채용하며, 톱스킨의 안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을 형성하고, 인너드럼의 바깥둘레판의 바깥둘레면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드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는, 인너드럼의 바깥둘레판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을 형성한 전착드럼에 있어서, 톱스킨의 안둘레면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을 형성하고, 인너드럼의 바깥둘레판의 바깥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드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예는,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2)을 형성한 전착드럼(3)에 있어서,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2m)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실시예는,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2m)을 형성함으로써 단순히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동판이나 황동판등을 내장하는 구성의 전착드럼에 비하여 도금층(2m)이 톱스킨(2)에 양호하게 밀착되는 것이고, 필연적으로 톱스킨(2)과 인너드럼(1)의 접촉성 및 밀착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전기비저항율은 다음과 같다(아래의 대비표에 있어서는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채용한 다른 실시예와의 대비를 위해 주석과 납합금도금에 대하여도 병기함.).
티탄 55 (20℃ μΩ·㎝)
스텐레스 72 (20℃ μΩ·㎝)
철(금속표면) 9.7 (20℃ μΩ·㎝)
철(산화녹부착) 100이상 (20℃ μΩ·㎝)
니켈 6.8 (20℃ μΩ·㎝)
동 1.7 (20℃ μΩ·㎝)
황동 3.6 (20℃ μΩ·㎝)
주석 12.8 (20℃ μΩ·㎝)
납합금 17.2 (20℃ μΩ·㎝)
상기와 같이 니켈도금이나 황동도금은, 톱스킨(2)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티탄보다도 수배 내지 수십배 도전성이 좋기 대문에 티탄등의 톱스킨(2)의 도전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게 되고, 도금층(2m)으로서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부착하여 인너드럼(1)에 대하여 톱스킨(2)을 극히 양호하게 밀착할 수 있다.
또한 하기와 같이 니켈도금이나 황동도금은, 내식성·내열내산화성이 좋으므로 부식에 의한 전기절연피막·고온산화에 의한 전기절연피막의 생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표면전기저항을 상승시키지 않는다. 즉, 니켈도금이나 황동도금의 실시에 의해 도전성의 열화방지가 이루어지고, 값싼 인너드럼재료의 선정이 가능하게 된다.
※동(銅) 소재(깨끗한 표면)의 전기저항비교치를 1로 한다면,
부식분위기에서의 표면전기저항비교치〉
시험부식분위기(황산미스트 + 고습도) 장시간 노출후 측정
티탄 소재 1.1 (20℃)
철 소재 517 (20℃) 부식감소 두께증가
동 소재 1.3 (20℃) 부식감소 두께증가
황동 소재 1.1 (20℃)
상기 소재에 니켈도금 1.1∼1.2 (20℃)
상기 소재에 황동도금 1.1 (20℃)
상기 소재에 주석도금 9∼10 (20℃)
고온산화분위기에서의 표면전기저항비교치〉
시험고온산화분위기(가공·조업시 온도상승 반영) 장시간 가열후 측정
[100℃ 가열 냉각후]
티탄 소재 1.3 (20℃)
철 소재 1.2 (20℃)
동 소재 8.6 (20℃) 산화피막발생
황동 소재 1.1 (20℃)
상기 소재에 니켈도금 1.1∼1.2 (20℃)
상기 소재에 황동도금 1.1 (20℃)
상기 소재에 주석도금 1.2 (20℃)
[300℃ 가열 냉각후]
티탄 소재 1.4 (20℃) 산화피막발생
철 소재 1.3 (20℃)
동 소재 345 (20℃) 산화피막증대
황동 소재 1.1 (20℃)
상기 소재에 니켈도금 1.1∼1.2 (20℃)
상기 소재에 황동도금 1.1∼1.2 (20℃)
상기 소재에 주석도금 1.2∼1.3 (20℃)
이들의 상승효과에 의해 톱스킨(2)의 표면에서 생성되는 동박은 전범위에서 균일한 평활면을 갖는 동일두께의 동박으로 되고, 또 균일한 동박생성의 트러블의 원인이 되는 국부적인 전기저항열의 발생도 없고, 항상 우수한 품질의 동박을 톱스킨(2)의 표면에 생성할 수 있는 실용성, 생산성에 우수한 전착드럼이 된다.
도 3에 도시된 제 2 실시예는,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2)을 형성한 전착드럼(3)에 있어서,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1m)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도금층(2m)을 실시하는 대신에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도금층(1m)을 실시하여 인너드럼(1)에 톱스킨(2)을 밀착상태로 부착한 것이므로 상기 도금층(1m)은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내장된 것과 동일하게 되고, 제 1 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가 있는 전착드럼이 된다.
도 4에 도시한 제 3 실시예는,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2)을 형성한 전착드럼(3)에 있어서,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2m)을 형성하고,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1m)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를 조합시킨 구성이므로 2중으로 형성된 도금층(2m), 도금층(1m)에 의해 전도성도 보다 일층 양호하게 되고, 도금층(2m), 도금층(1m) 끼리 및 톱스킨(2)의 안둘레면으로의 밀착성이나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으로의 밀착성도 보다 일층 양호하게 되며, 실용성에 우수한 동박을 제조할 수 있는 전착드럼이 된다.
제 4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니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는 대신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2m)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납합금은, 아연-주석합금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4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발명의 도금층(2m)을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으로 한 것이므로 도전성의 확보는 니켈도금이나 황동도금보다 떨어지지만 그 반면에 접촉성이나 도금성에 우수하여 녹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톱스킨(2)의 도전성의 열화를 방지하여 우수한 품질의 동박을 톱스킨(2)의 표면에 생성할 수 있는 실용성, 생산성에 우수한 전착드럼이 된다.
또한 톱스킨(2)의 바깥둘레면에 녹이 발생하여도 이 바깥둘레면을 연마함으로써 녹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므로 우수한 품질의 동박을 톱스킨(2)의 표면에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톱스킨(2)으로서 연철등의 녹쓸 우려가 있는 소재를 사용한 경우, 이 톱스킨(2)의 바깥둘레면은 녹이 발생하게 되지만, 톱스킨(2)의 바깥둘레면은 줄등으로 연마함으로써 간단하게 녹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톱스킨(2)의 안둘레면까지 녹발생을 방지할 필요성이 없다. 또한 톱스킨(2)으로서 티탄등의 녹쓸지 않는 소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톱스킨(2)과 인너드럼(1)의 밀착성이 높아진다.
제 5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 대신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1m)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5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의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도금층(2m)을 실시하는 대신에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도금층(1m)을 실시하여 인너드럼(1)에 톱스킨(2)을 밀착상태로 부착하였기 때문에 상기 도금층(1m)은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내장된 것과 동일하게 되고, 제 4 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가 있는 전착드럼이 된다.
제 6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톱스킨(2)의 안둘레면 및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는 대신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2m), 도금층(1m)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6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와 제 5 실시예를 조합한 구성이기 때문에 이중으로 형성된 도금층(2m), 도금층(1m)에 의해 도전성도 보다 일층 양호하게 되고, 도금성 2m, 도금층(1m) 끼리 및 톱스킨(2)의 안둘레면으로의 밀착성이나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으로의 밀착성도 보다 일층 양호하게 되고, 톱스킨(2)나 인너드럼(1)을 연철과 같은 염가이지만 녹슬 염려가 있는 소재로 형성하여도 녹발생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저코스트 소재로 전착드럼(3)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는 실용성에 우수한 동박을 제조하여 얻는 전착드럼이 된다.
제 7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는 대신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1m)을 형성한 것이다.
제 7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이므로, 제 5 실시예의 도금층(1m)과 마찬가지로 인너드럼(1)의 부식방지 효과가 극히 높아 결과적으로 톱스킨(2)의 도전성의 열화가 방지되고, 장시간 연속적으로 동박의 생성을 행하여도 통전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아 양호하게 우수한 품질의 동박을 톱스킨(2)의 표면에 생성할 수 있는 실용성, 내구성, 양산성이 우수한 전착드럼이 된다.
또한 이 제 7 실시예는, 톱스킨(2)으로서 부식성이 높은 티탄판을 사용하고, 인너드럼(1)으로서 부식성은 티탄보다 떨어지지만 염가인 연철등의 철계통의 소재를 사용한 전착드럼에 있어서 특히 그 작용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되는 것이고, 톱스킨(2)도 인너드럼(1)도 녹쓸지 않고, 게다가 밀착성이나 도전성이 높아 우수한 품질의 동박을 극히 양호하게 톱스킨(2)의 표면에 생성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가장 우수하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2m)을 형성한 것이므로 단순히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동판이나 황동판등을 내장하는 구성의 전착드럼에 비하여 도금층(2m)이 톱스킨(2)에 양호하게 밀착되고, 필연적으로 톱스킨(2)과 인너드럼(1)의 접촉성 및 밀착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니켈도금이나 황동도금은 톱스킨(2)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티탄보다도 수배 내지 수십배 전도성이 좋기 때문에 티탄등의 톱스킨(2)의 도전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킨다.
또한 제 5 실시예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1m)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주석도금이나 납합금도금은, 도전성의 확보는 니켈도금이나 황동도금보다 떨어지지만 그 반면 접촉성이나 도금성에 우수하여 녹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톱스킨(2)의 도전성의 열화를 방지하여 우수한 품질의 동박을 톱스킨(2)의 표면에 생성할 수 있으므로 실용성, 생산성에 우수한 전착드럼이 된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는 대신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1m)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8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금층(2m)을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으로 한 것이므로 도전성의 확보는 니켈도금이나 황동도금보다 떨어지지만 그 반면 접촉성이나 도금성에 우수하여 녹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톱스킨(2)의 도전성의 열화를 방지하여 우수한 품질의 동박을 톱스킨(2)의 표면에 생성할 수 있는 실용성, 생산성에 우수한 전착드럼이 된다.
또한, 톱스킨(2)의 바깥둘레면이 녹발생하여도 이 바깥둘레면을 연마하는 것에 의해 녹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품질의 동박을 톱스킨(2)의 표면에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도금층(2m)을 실시하는 대신에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도금층(1m)을 실시하고, 인너드럼(1)에 톱스킨(2)을 밀착상태로 부착하였기 때문에 상기 도금층(1m)은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내장된 것과 동일하게 되고, 제 1 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가 있는 전착드럼이 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8 실시예 모두 도금금속은 그 합금을 사용하여도 좋다.
도 1은, 동박제조기의 전체설명도이고, 도면중 부호 (6)은 전도경로, (7)은 전극, (8)은 전원, (9)는 회전축, (10)은 회전축(9)의 바깥둘레에 설치된 동파이프, (11)은 전도축받이부, 도 5에서의 (12)는 결합부 (13)은 측방향에 설치된 티탄판이다.
이 전착드럼(3)의 크기의 일예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전착드럼(3) ø2300㎜ 지름
전착드럼(3) 1200㎜ 폭
스텐레스강 또는 연철제의 드럼 바깥둘레판(1a) 22㎜ 두께
티탄판(2) 5㎜ 두께
니켈 또는 황동합금등의 도금층(1m,2m) 3∼5㎛ 두께
스텐레스강 또는 연철제의 측벽판(4) 22㎜ 두께
스텐레스강 또는 연철제의 중간벽판(5) 22㎜ 두께
회전축(9)의 바깥둘레에 형성된 동케이싱(10)의 대직경부 60㎜ 두께
측방향에 설치된 티탄판(13) 4㎜ 두께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착드럼은, 톱스킨의 내측이나 인너드럼의 표면에 니켈도금이나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전성이 양호하게 되고, 톱스킨과 인너드럼의 밀착성, 접촉성을 양호하게 함으로써 통전 트러블이 없다.
또한 도전성의 확보는 니켈도금이나 황동도금보다 떨어지지만 그 반면 접촉성이나 도금성이 우수한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톱스킨의 내측이나 인너드럼의 표면에 실시하여 녹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톱스킨의 도전성의 열화를 방지하여 충분히 우수한 실용성을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2)을 형성한 전착드럼(3)에 있어서,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2m)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드럼.
  2.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2)을 형성한 전착드럼(3)에 있어서,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1m)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드럼.
  3.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2)을 형성한 전착드럼(3)에 있어서,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2m)을 형성하고,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1m)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드럼.
  4.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2)을 형성한 전착드럼(3)에 있어서,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2m)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드럼.
  5.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2)을 형성한 전착드럼(3)에 있어서,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1m)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드럼.
  6.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2)을 형성한 전착드럼(3)에 있어서,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2m)을 형성하고,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1m)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드럼.
  7.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2)을 형성한 전착드럼(3)에 있어서,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2m)을 형성하고,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1m)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드럼.
  8.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2)을 형성한 전착드럼(3)에 있어서, 인너드럼(1)으로서 철계통의 소재로 형성한 인너드럼(1)을 채용하고, 톱스킨(2)으로서 티탄으로 형성한 톱스킨(2)을 채용하며,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2m)을 형성하고,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1m)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드럼.
  9.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톱스킨(2)을 형성한 전착드럼(3)에 있어서, 톱스킨(2)의 안둘레면에 주석도금 또는 납합금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2m)을 형성하고, 인너드럼(1)의 바깥둘레판(1a)의 바깥둘레면에 니켈도금 또는 황동도금을 실시하여 도금층(1m)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드럼.
KR1019970063349A 1996-12-04 1997-11-27 전착드럼의톱스킨,바깥둘레판및전착드럼 KR100367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3925 1996-12-04
JP96-323925 1996-12-04
JP32392596 1996-12-04
JP97-234599 1997-08-29
JP23459997A JP3388693B2 (ja) 1996-12-04 1997-08-29 電着ドラム
JP234599 1999-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621A true KR19980063621A (ko) 1998-10-07
KR100367514B1 KR100367514B1 (ko) 2003-03-10

Family

ID=26531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349A KR100367514B1 (ko) 1996-12-04 1997-11-27 전착드럼의톱스킨,바깥둘레판및전착드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88358A (ko)
JP (1) JP3388693B2 (ko)
KR (1) KR100367514B1 (ko)
TW (1) TW3756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6826A (en) * 1996-11-22 2000-03-14 Nitto Stainless Steel Kozai Co., Ltd. Titanium electrodeposition drum
JP4719375B2 (ja) * 2001-05-11 2011-07-06 株式会社ナイカイアーキット 高速電着ドラムとその製造方法
JP5032802B2 (ja) * 2006-06-30 2012-09-26 日本ステンレス工材株式会社 電着ドラム
CN101392393B (zh) * 2007-09-21 2011-04-13 西安航天动力机械厂 生箔机阴极辊内软式导电结构及其制作方法
KR102227226B1 (ko) * 2017-12-15 2021-03-11 도야마 스미토모 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금속 다공체의 제조 방법 및, 도금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9486A (en) * 1984-01-06 1985-07-16 Olin Corporation Anode for continuous electroforming of metal foil
AU581889B2 (en) * 1985-04-10 1989-03-09 Asahi Glass Company Limited Durable low-hydrogen overvoltage cathode
JP3207909B2 (ja) * 1992-02-07 2001-09-10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電気めっき方法および電気めっき用分割型不溶性電極
US5215646A (en) * 1992-05-06 1993-06-01 Circuit Foil Usa, Inc. Low profile copper foil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bondable metal foils
US5268045A (en) * 1992-05-29 1993-12-07 John F. Wolpert Method for providing metallurgically bonded thermally sprayed coat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88693B2 (ja) 2003-03-24
US5888358A (en) 1999-03-30
KR100367514B1 (ko) 2003-03-10
JPH10219493A (ja) 1998-08-18
TW375661B (en) 199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3621A (ko) 전착드럼
JP2006506796A (ja) 電気的接続の有効寿命を延ばす接触装置
US4849083A (en) Rotary conductor roll for continuously electroplating metal strip or other electrically conductive strip
CN108723652B (zh) 一种机械密封组件的焊装工艺方法
US3451903A (en) Conductor rol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6915204B2 (ja) 導電性保護膜の形成方法
JPH052604Y2 (ko)
KR100325781B1 (ko) 컬렉터링없는컨덕터롤
CN219432703U (zh) 一种高强度抗形变效果好的法兰
CN219508047U (zh) 一种用于注塑机拉杆镀铬的局部防护装置
JP3121775B2 (ja) チタン電着ドラム
US6036826A (en) Titanium electrodeposition drum
JPH01176100A (ja) 鋼ストリップのめつき用不溶性アノード
CN213520614U (zh) 一种槽成型式换向器
CA2321988A1 (en) End cap contact assembly for a heater roller
JP5032802B2 (ja) 電着ドラム
RU269680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гальванических покрытий
CN219350694U (zh) 一种电连接结构
JPH06158353A (ja) 電池ばね用鋼線
CN217761152U (zh) 一种用于汽缸盖的垫片保护装置
KR100350068B1 (ko) 전도성과내부식성이우수한전기도금용전극롤및그제조방법
CN217202932U (zh) 一种蒸发镀膜用的防污染坩埚组件
JP3043318B2 (ja) 連続メッキ装置の給電方法及びその装置
JPH05156485A (ja) 極薄金属箔めっき用のコンダクターロール
JP2007107725A (ja) 電食防止型転がり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