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553U - 자동차 엔진의 흡기 포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엔진의 흡기 포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553U
KR19980063553U KR2019970008079U KR19970008079U KR19980063553U KR 19980063553 U KR19980063553 U KR 19980063553U KR 2019970008079 U KR2019970008079 U KR 2019970008079U KR 19970008079 U KR19970008079 U KR 19970008079U KR 19980063553 U KR19980063553 U KR 199800635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port
intake
engine
combustion chamb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8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응준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08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3553U/ko
Publication of KR199800635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553U/ko

Links

Landscapes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엔진의 연소실 내부로 안내하는 자동차 엔진의 흡기 포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엔진의 연소실 내부로 도입되는 흡입 공기의 흐름에 변화를 주어 와류를 형성하게 하므로써 공기 및 연료의 확산을 도와주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고안은, 엔진의 실린더 헤드상에 형성되어 흡기부의 흡기 매니폴드와 연결된 흡기 포트의 구조로서, 흡기 포트의 내부는 원통형상의 관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원통형의 관 내부에는 나사형상의 돌기부가 총신의 강성 모양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의 흡기 포트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엔진의 흡기 포트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엔진의 연소실 내부로 도입되는 흡입 공기에 와류를 형성시키므로써 연소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동차 엔진의 흡기 포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본체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실린더, 크랭크 케이스, 실린더 헤드, 피스톤, 피스톤 링, 피스톤 핀, 커넥팅 로드, 크랭크 축, 플라이 휠, 엔진 베어링, 캠축, 밸브 및 밸브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실린더 엔진에서 실린더는 직력 또는 V형으로 나열된 것이 많고, 각각의 실린더내에는 피스톤이 있으며, 커넥팅 로드의 한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커넥팅 로드의 다른 끝은 크랭크 축에 장치되어 있으며, 피스톤이 왕복운동을 하면 크랭크 축이 회전운동을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위쪽에는 실린더 헤드가 있으며, 내부는 연소실이 되고, 이 부분에 흡입밸브와 배기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흡배기 밸브는 캠축에 의하여 작동되고, 또한 상기 흡배기 밸브의 개폐동작에 따라 혼합기가 실린더내에 흡입되거나 연소가스가 배출되게 된다.
한편,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연소실내로 도입하기 위하여 실린더 헤드에 설치되어 있는 엔진 포트, 특히 흡기 포트의 형상은 실린더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속도와 방향에 큰 관계가 있으며, 따라서, 상기 흡기 포트의 형상에 따라 연소실내에서의 연료가스 연소에 큰 영향을 주게 되고, 이러한 것에 자동차 업계가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가솔린 엔진의 배출가스가 대기오염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알려지고나서 배출가스를 청정화시켜야 한다는 사회적 요청이 일어나고 부터이다. 그런데, 이러한 배출가스청정화 문제에 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연소실내에서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연소실내의 혼합가스의 흐름에 와류 유동(실린더의 축에 수직으로 회전하는 유동)이나 와류(swirl)(실린더의 원주를 따라 회전하는 유동)를 형성하여, 연소실로 도입되는 공기와 연료를 효율적으로 혼합시키므로써 연료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연료가스가 희박하여도 확실하게 점화시킬 수 있게 하는 방법이 고안되었으며, 따라서, 이러한 흡입공기의 유동을 보다 원활하게 형성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 있어서, 엔진의 연소 특성인 확산현상을 도와주기 위하여 디젤 엔진의 경우는 간접 분사 방식을 사용하고, 직접 분사 방식의 엔진이나 가솔린 엔진은 사이클론을 장착하여 도입되는 공기와 연료의 확산형상을 증대시키는 경우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적용을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에어 덕트는 직선관 또는 곡선관과 같은 단순한 형태를 유지하여 단순한 공기의 통로로 이용되므로써 공기의 흐름에 변화를 주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흡입 덕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엔진의 연소실 내부로 도입되는 흡입공기의 흐름에 변화를 주어 와류를 형성하게 하므로써 공기 및 연료의 확산을 도와주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흡기 포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기 포트2 ; 나사형상의 돌기부
3 ; 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엔진의 실린더 헤드상에 형성되어 흡기부의 흡기 매니폴드와 연결된 흡기 포트의 구조로서, 흡기 포트의 내부는 원통형상의 관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원통형의 관 내부에는 나사형상의 돌기부가 총신의 강성 모양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의 흡기 포트 구조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먼저,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흡기 포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흡기 포트(1)의 내부는 원통형상의 관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원통형의 관 내부에는 나사형상의 돌기부(2)가 제공되어 마치 총신의 강성 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연소실로 도입되는 공기가 이러한 나사형상의 돌기부(2) 사이에 형성된 홈(3)을 따라 흐르게 되어 공기 흐름에 와류를 형성하게 되며, 이는 마치 총신을 통해 발사되는 탄두에 회전력을 주는 것은 아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엔진의 흡기 포트 구조에 의하면, 흡기 매니폴드를 통해 도입되는 공기를 연소실로 안내하는 흡기 포트의 내벽면상에 나사형상의 돌기부를 제공하여 흡기 포트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에 와류를 형성시키므로써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가 연소실 내에서 원활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연소 성능을 개선하며, 이에 따라 배출 가스를 저감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엔진의 실린더 헤드상에 형성되어 흡기부의 흡기 매니폴드와 연결된 흡기 포트의 구조로서, 흡기 포트의 내부는 원통형상의 관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원통형의 관 내부에는 나사형상의 돌기부가 총신의 강성 모양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의 흡기 포트 구조.
KR2019970008079U 1997-04-17 1997-04-17 자동차 엔진의 흡기 포트 구조 KR199800635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079U KR19980063553U (ko) 1997-04-17 1997-04-17 자동차 엔진의 흡기 포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079U KR19980063553U (ko) 1997-04-17 1997-04-17 자동차 엔진의 흡기 포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553U true KR19980063553U (ko) 1998-11-16

Family

ID=6967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8079U KR19980063553U (ko) 1997-04-17 1997-04-17 자동차 엔진의 흡기 포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355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41305A1 (en) A pist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0242618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5074265A (en) Rotary valve with facility for stratified combustion i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2474107C (en) Flow guiding structur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246432Y1 (ko) 내연기관용 흡기관의 와류 발생장치
KR920701621A (ko) 디젤-압축 점화방식의 2행정 내연기관
US4553514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3269175A (ja) 空気等の少なくとも1つの気体流体と燃料とを直噴内燃エンジンの燃焼室内で混合する方法およびエンジン
KR19980063553U (ko) 자동차 엔진의 흡기 포트 구조
KR19990075276A (ko) 차량 엔진에서의 흡입공기 유동성 증대장치
KR100245646B1 (ko) 가솔린 엔진의 혼합기 와류 형성장치
CN2256940Y (zh) 二冲程发动机的扫气系统
KR100365113B1 (ko) 직접분사식가솔린기관의피스톤헤드형상구조
CA1208088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4162705A (ja) クランクケース内部にある改良された空気・燃料供給装置
KR100365114B1 (ko) 직접분사식가솔린기관의피스톤헤드형상구조
JP2000205060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KR200172677Y1 (ko) 자동차 엔진의 흡기 조절장치
KR0139778Y1 (ko) 자동차용 엔진의 인젝터
RU2119066C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19980063396U (ko) 와류 형성용 흡기매니폴드
JPH06159075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RU2206757C2 (ru) Двухтактный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100224174B1 (ko) 자동차용 실린더 헤드의 연소실 구조
KR810001659B1 (ko) 내 연 기 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