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0713A -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라인 배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라인 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0713A
KR19980060713A KR1019960080079A KR19960080079A KR19980060713A KR 19980060713 A KR19980060713 A KR 19980060713A KR 1019960080079 A KR1019960080079 A KR 1019960080079A KR 19960080079 A KR19960080079 A KR 19960080079A KR 19980060713 A KR19980060713 A KR 19980060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mory
memory arrays
memory arra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4679B1 (ko
Inventor
김철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8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679B1/ko
Publication of KR19980060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Landscapes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라인 배치에 관한 것으로서, 횡렬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메모리 어레이들과, 상기 메모리 어레이들 중 인접한 메모리 어레이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모리 어레이들의 데이터를 감지하는 감지 증폭기와,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 어레이로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 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서 상기 메모리 어레이로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한 라인과 상기 메모리 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다른 라인을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과 상기 메모리 어레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 증폭기를 통과하는 데이터 라인을 구비함으로써 두 개의 뱅크마다 하나의 출력 데이터용 래취 및 입력 데이터용 멀티플렉서를 위한 면적과, 입출력 라인을 위한 면적이 감소된다. 또한, 데이터의 기입 및 독출을 위한 제어가 간단해진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라인 배치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어레이와 데이터 라인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의 편리성과 간편화를 이룩하기 위하여 시스템의 크기를 축소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어오고 있다. 최근 모든 시스템은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경향이 늘어가고 있는데 이것은 반도체 장치에 의해서 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의 크기를 축소시키기 위한 노력 또한 계속 진행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에 많이 사용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그 메모리 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지금은 256[MBit]의 DRAM 반도체 장치가 개발되었고 이와 같은 메모리 용량의 증가는 계속될 전망이다. 그러나 메모리 용량이 증가한다고 해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크기도 비례해서 커져서는 시스템의 소형화를 이룰 수가 없다. 따라서 용량은 커지면서 크기는 크게 변하지 않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형성되는 소자들의 배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야만 한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어레이와 데이터 라인의 배치도이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10)에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11,13,15,17)이 사각형 모양으로 4군데에 배치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2 메모리 어레이들(11,13)에 데이터를 기입(write) 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2 메모리 어레이들(11,13)로부터 데이터를 독출(read)하기 위한 제1 출력 데이터용 래취 및 입력 데이터용 멀티플렉서(multiplex)(21)와, 제3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15,17)에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또는 상기 제3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15,17)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제2 출력 데이터용 래취 및 입력 데이터용 멀티플렉서(23)가 입출력 라인들(25,27)을 통해서 상기 제1 내지 제2 메모리 어레이들(11,13)과 제3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15,17)과 각각 연결되어있으며, 상기 제1 출력 데이터용 래취 및 입력 데이터용 멀티플렉서(21)에 제1 입출력 버퍼(31)가 연결되어서 상기 제1 출력 데이터용 래취 및 입력 데이터용 멀티플렉서(21)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또, 상기 제2 출력 데이터용 래취 및 입력 데이터용 멀티플렉서(23)에 제1 입출력 버퍼(33)가 연결되어서 상기 제2 출력 데이터용 래취 및 입력 데이터용 멀티플렉서(23)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셀 어레이들(11,13,15,17)은 상하 두 개가 하나의 뱅크(bank)로 구성되어있다. 그래서 좌측에는 A 뱅크(35), 우측에는 B 뱅크(37)가 있다.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11) 및 제2 메모리 어레이(13) 사이와, 상기 제3 메모리 어레이(15) 및 제4 메모리 어레이(17) 사이에 제1 감지 증폭기들(41,43)이 각각 배치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11,13,15,17)에는 제2 감지 증폭기 및 입출력 드라이버(driver)들(45,47,49,51)이 각각 연결되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11,13,15,17)의 데이터를 감지하고 증폭한다.
상기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라인은 하나로 구성되어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11,13,15,17)에 기입되는 데이터와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11,13,15,17)로부터 독출되는 데이터의 제어가 복잡하다. 한가지 예로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11,13,15,17)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때는 상기 입출력 라인(25,27)을 프리차지(precharge)시키고, 상기 제1 내지 제2 메모리 어레이(11,13,15,17)로 기입할 때는 상기 입출력 라인(25,27)을 프리차지시키지 않는다. 또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11,13,15,17)의 용량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도 1의 구조는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어 반도체 메모리 장치(10)의 크기를 크게 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메모리 어레이로 기입되는 데이터와 메모리 어레이로부터 독출되는 데이터의 제어가 간단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어레이(Array)와 데이터 라인의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어레이와 데이터 라인의 배치도.
상기 과제들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횡렬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메모리 어레이들과, 상기 메모리 어레이들 중 인접한 메모리 어레이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모리 어레이들의 데이터를 감지하는 감지 증폭기와,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 어레이로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 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서 상기 메모리 어레이로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한 라인과 상기 메모리 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다른 라인을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과 상기 메모리 어레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 증폭기를 통과하는 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횡렬로 배치된 제1 내지 제2 메모리 어레이들과, 상기 제1 내지 제2 메모리 어레이들의 하부에 인접하며 횡렬로 배치된 제3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과, 상기 제1 내지 제2 메모리 어레이들과 상기 제3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2 메모리 어레이들과 제3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의 데이터를 감지하는 제1 감지 증폭기들과, 상기 제1 내지 제2 메모리 어레이들의 상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3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의 하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내지 제2 메모리 어레이들의 데이터와 상기 제3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의 데이터를 각각 감지하는 제2 감지 증폭기들과, 상기 제2 감지 증폭기들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감지 증폭기들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또 상기 제2 감지 증폭기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제어하는 출력 데이터용 래취 및 입력 데이터용 멀티플렉서, 및 상기 출력 데이터용 래취와 상기 제2 감지 증폭기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감지 증폭기들을 통과하는 출력 데이터 라인 및 입력 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제1 내지 제2 메모리 어레이와 제3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는 각각 하나의 뱅크를 구성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여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되고 메모리 어레이로 기입되는 데이터와 메모리 어레이로부터 독출되는 데이터의 제어가 간단해진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어레이와 데이터 라인의 배치도이다. 그 구조를 보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110)에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111,113,115,117)이 사각형 모양으로 4군데에 배치되어있고,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111,113,115,117)에 데이터를 기입 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111,113,115,117)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출력 데이터용 래취 및 입력 데이터용 멀티플렉서(121)가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111,113,115,117)과 입력 라인들(161,165) 및 출력 라인들(163,167)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있으며, 상기 출력 데이터용 래취 및 입력 데이터용 멀티플렉서(121)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입출력 버퍼(131)가 배치되어있다.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111)와 제2 메모리 어레이(113)가 하나의 뱅크 즉, C뱅크(135)를 구성하고, 제3 메모리 어레이(115)와 제4 메모리 어레이(117)가 D뱅크(137)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111) 및 제2 메모리 어레이(113) 사이와, 상기 제3 메모리 어레이(115) 및 제4 메모리 어레이(117) 사이에 제1 감지 증폭기들(141,143)이 각각 배치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111)와 제2 메모리 어레이(113)의 상부에 제2 감지 증폭기 및 입출력 드라이버(145,147)들이 각각 배치되어있고, 제3 메모리 어레이(115)와 제4 메모리 어레이(117)의 하부에도 역시 다른 제2 감지 증폭기 및 입출력 드라이버들(149,151)이 각각 배치되어있다.
상기 입력 라인들(161,165)과 출력 라인들(163,167)이 상기 제1 감지 증폭기들(141,143)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입력 라인들(161,165)과 출력 라인들(163,167)을 위한 공간이 따로 필요하지 않게 되어 그만큼 면적이 남게 된다. 뿐만 아니라 출력 데이터용 래취 및 입력 데이터용 멀티플렉서(121)는 두 개가 아니라 하나만 있으면 되므로 두 개의 뱅크(135,137)마다 하나의 출력 데이터용 래취 및 입력 데이터용 멀티플렉서(121)를 위한 면적이 남게 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111,113,115,117)로 데이터를 기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에서 데이터가 상기 입출력 버퍼(131)를 거쳐서 입력 멀티플렉서(121)로 입력된다. 상기 입력 멀티플렉서(121)는 상기 데이터를 그대로 입력 라인들(161,165)을 통해서 상기 제2 감지 증폭기 및 입출력 드라이버들(145,147,149,151)을 통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111,113,115,117)로 기입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111,113,115,117)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111,113,115,117)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는 상기 제2 감지 증폭기 및 입출력 드라이버들(145,147,149,151)을 통하여 상기 출력 라인들(163,167)에 실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출력 데이터용 래취(121)는 상기 데이터를 받아서 상기 입출력 버퍼(131)로 출력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뱅크마다 하나의 출력 데이터용 래취 및 입력 데이터용 멀티플렉서를 위한 면적과, 입출력 라인을 위한 면적이 감소된다. 또한, 데이터의 기입 및 독출을 위한 제어가 간단해진다.

Claims (3)

  1. 횡렬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메모리 어레이들;
    상기 메모리 어레이들 중 인접한 메모리 어레이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모리 어레이들의 데이터를 감지하는 감지 증폭기;
    상기 메모리 어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 어레이로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 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서 상기 메모리 어레이로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한 라인과 상기 메모리 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다른 라인을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과 상기 메모리 어레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 증폭기를 통과하는 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횡렬로 배치된 제1 내지 제2 메모리 어레이들;
    상기 제1 내지 제2 메모리 어레이들의 하부에 인접하며 횡렬로 배치된 제3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
    상기 제1 내지 제2 메모리 어레이들과 상기 제3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2 메모리 어레이들과 제3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의 데이터를 감지하는 제1 감지 증폭기들;
    상기 제1 내지 제2 메모리 어레이들의 상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3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의 하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내지 제2 메모리 어레이들의 데이터와 상기 제3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들의 데이터를 각각 감지하는 제2 감지 증폭기들;
    상기 제2 감지 증폭기들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감지 증폭기들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또 상기 제2 감지 증폭기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제어하는 출력 데이터용 래취 및 입력 데이터용 멀티플렉서; 및
    상기 출력 데이터용 래취와 상기 제2 감지 증폭기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감지 증폭기들을 통과하는 출력 데이터 라인 및 입력 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2 메모리 어레이와 제3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는 각각 하나의 뱅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9960080079A 1996-12-31 1996-12-31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라인 배치 KR100224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079A KR100224679B1 (ko) 1996-12-31 1996-12-31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라인 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079A KR100224679B1 (ko) 1996-12-31 1996-12-31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라인 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713A true KR19980060713A (ko) 1998-10-07
KR100224679B1 KR100224679B1 (ko) 1999-10-15

Family

ID=19493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0079A KR100224679B1 (ko) 1996-12-31 1996-12-31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라인 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6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2642A1 (en) * 2000-03-31 2001-10-04 Jeon In Soo Silver ion-containing solution and use thereof
WO2002014225A1 (en) * 2000-08-16 2002-02-21 An Jung O Ionization device which is mounted with gold pole or silver pole
KR100537198B1 (ko) * 1999-06-30 2005-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집적회로의 데이터 멀티플렉싱 장치
CN112542195A (zh) * 2020-12-30 2021-03-23 深圳市芯天下技术有限公司 减小非易失性闪存芯片面积的电路及非易失性闪存芯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198B1 (ko) * 1999-06-30 2005-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집적회로의 데이터 멀티플렉싱 장치
WO2001072642A1 (en) * 2000-03-31 2001-10-04 Jeon In Soo Silver ion-containing solution and use thereof
WO2002014225A1 (en) * 2000-08-16 2002-02-21 An Jung O Ionization device which is mounted with gold pole or silver pole
CN112542195A (zh) * 2020-12-30 2021-03-23 深圳市芯天下技术有限公司 减小非易失性闪存芯片面积的电路及非易失性闪存芯片
CN112542195B (zh) * 2020-12-30 2021-09-14 芯天下技术股份有限公司 减小非易失性闪存芯片面积的电路及非易失性闪存芯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4679B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81711B1 (en) Dynamic type memory
CN101401166B (zh) 具有多个地址、数据及命令总线的存储器装置及方法
US5590084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column selector
US5546349A (en) Exchangeable hierarchical data line structure
KR970051296A (ko) 다수의 뱅크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4581720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4796224A (en) Layout for stable high spe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173874B2 (en) Compact decode and multiplexing circuitry for a multi-port memory having a common memory interface
US6055202A (en) Multi-bank architecture for a wide I/O DRAM
KR100295167B1 (ko) 반도체기억장치및그구동방법_
US6023428A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a memory array with segmented bit lines and method of operation
KR0164391B1 (ko) 고속동작을 위한 회로 배치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224679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라인 배치
KR100335486B1 (ko) 다수개의 스택형 뱅크들에 공유되는 데이터 입출력 라인의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H08297967A (ja) 三重ポートを有する半導体メモリ装置
KR100486221B1 (ko) 입출력라인을공유한복수개의메모리뱅크를구비한메모리장치
US7515451B2 (en) Memory apparatus with a bus architecture
US20040256641A1 (en) Pad arrangement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semiconductor device
US6449210B1 (en) Semiconductor memory array architecture
WO2003075280B1 (en) Semiconductor storing device
KR100314129B1 (ko) 데이터 입출력 라인의 부하를 줄이는 뱅크 구성방법 및 데이터입출력 라인 배치방법으로 구현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973895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20030043410A (ko) 글로벌 입출력 라인간의 커플링이 최소화되는 구조를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512834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KR20010027117A (ko) 데이터 라인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칩 면적이 감소된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